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가야 컵형토기의 출현과 확산 과정 연구

        박광춘,김다빈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2

        The number of the Cup-shaped pottery is increasing in recently excavated the Gaya ancient tombs. This study was begun with questions about when the Cup-shaped pottery similar to the shape of a cup currently used appeared in Gaya, and what process of changes and local color are showed. The Cup-shaped pottery had been named “把杯” by existing researchers because they have handles, however, it is better to define them by the shape of their body than by their handles for evolutionary Typological explanation. Therefore, The Cup-shaped pottery which resemble the shape of a cup currently used can be defined as a long rectangle shape without references to the presence of a handle. The form classific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Cup-shaped pottery were proceeded mainly about the ancient tombs of Gimhae, Haman, Hapcheon and Goryeong where have many examples of excavation. As a results, Gimhae and Haman were classified as type 6, Hapcheon was 5type, and Goryeong was 3type. These format classified by region were verified through accompanied type arrangement of other pottery. The local color for each polity was expressed since 4C which is stage 3, and it became more obvious since 5C which is stage 4. Especially, in Goryeong, there are some apparent differences from other polities. So it can be pointed out at this point that the theory of Dae Gaya Confederacy has some problems. Comparing the format of each region of the same period, the Cup-shaped pottery without handle were first appeared at Daeseong-dong tomb No. 91. It can be judged that these pottery were spread from Geumgwan Gaya to neighboring areas like Haman and Hapcheon, because the pottery from Haman and Hapcheon were found 1 stage later.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origin of the Cup-shaped pottery without handle are the lacquerware from Dahori tomb no 1 and soft light gray Cup-shaped pottery from Dahori tomb no 150, or they can be thought that they may imitated Roman glass cups. 최근 발굴된 가야고분에서 컵형토기의 출토량이 늘어나고 있다. 가야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컵 모양과 비슷한 컵형토기가 언제 출현했고, 어떠한 변천과정과 지역색이 나타나는 가에 대한 의문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컵형토기는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손잡이가 달렸다고 하여 파배라고 명명되어 왔으나 손잡이에 의해 정의하는 것보다 동체부의 형태에 따라 정의하는 것이 보다 이해하기 쉽게 형식학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따라서 컵형토기는 현재의 컵 모양과 닮은 토기로써 파수의 유무에 상관없이 모양이 세로로 세운 직사각형에 가까운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컵형토기의 형식분류는 출토 예가 많은 김해, 함안, 합천, 고령의 고분군을 중심으로 형식 분류와 검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김해지역과 함안지역은 6형식, 합천지역 5형식, 고령지역 3형식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각 지열별 형식은 동반하는 고배, 중형호, 기대의 형식 조열을 통해 검증하였다. 각 정치체별 지역색은 3단계인 4세기부터 보이기 시작되어 4단계인 5세기부터는 더욱 뚜렷해짐을 알 수 있다. 특히 고령지역의 경우 타 정치체보다 확연하게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대가야연맹설의 문제점을 여기서도 지적할 수 있다. 같은 시간대 각 지역별로 형식을 비교해본 결과 김해 대성동 91호분에서 파수가 없는 무파수 컵형토기가 가장 먼저 출현함을 알 수 있었다. 함안과 합천지역은 한 단계 늦게 출현하고 있으므로 금관가야에서 함안, 합천 등 주변지역으로 확산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무파수 컵형토기의 시원은 다호리 1호분의 칠기와 다호리 150호분 출토 회백색연질 컵형토기에서 구하는 것이 현 시점의 발굴 자료에서 가능성이 높으며, 로만글라스 유리컵에서 모방했을 가능성도 제기해 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신라․가야 단경호와 장경호의 연구

        박광춘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6 石堂論叢 Vol.0 No.66

        Short neck jar and long neck jar of Shilla and Gaya along with the stand pottery play an important role in terms of defining chronology and locality. However, short neck jar had not been identified into two different types but rather had been treated as one type which led diverse problems of understanding of the chronology of Shilla and Gaya pottery. It is clear that the short neck jar which was sat on the stand and the long neck jar can be divided into the middle neck jar. There are certain typology of short neck jar to middle neck jar and long neck jar in this sense. Long neck jar are various from with no lid, with lid and stand style also stand style with the lid. Among them long neck jar with the stand and with the lid are highlighted as they are the criteria to identify Shilla and Gaya Pottery. However, both types of pottery are developed from the long neck jar with no lid which led the conclusion that both types are the solid but congested cultural index. This work, therefore, will spot on the two different styles of short neck jar first of all. Then it will highlight the clear typology of short neck jar that sat on the stand which were developed to thelong neck jar. Long neck jar was developed from the short neck and two different types such as with the lid and stand have been indicated to the new types which could be named long neck jar with no lid. This long neck jar with no lid had been favoured long time by then and so it is certain that his kind of jar identified locality of Shilla and Gaya. Long neck jar with stand and with lid are not just the congested cultural index. Archaeology is part of history and not only Guemgwan Gaya which had led wrong interpretation, many other Gayas must be re-discov ered its own but unique identity. 신라․가야토기에 있어 고배와 더불어 단경호와 장경호는 편년과지역색을 밝히는데 있어 기준 기종의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단경호의경우 형태는 비슷하지만 용도가 다른 두 기종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같은 기종으로 분류하고 있음으로 해서 신라․가야토기 편년 연구에 많은 문제점을 잉태하고 있다. 기대 안에 얹혀서 사용되는단경호와 장경호를 중형호라는 기종으로 모아서 형식 분류하면 단경호→중경호→장경호로 형식 변천함을 알 수 있다. 장경호는 무개장경호, 유개장경호, 대부장경호, 유개대부장경호 등 여러 형식으로 분류할수 있으며, 이 중 대부장경호와 유개장경호는 신라토기와 가야토기를구분하는 기준으로 인식되기도 했을 정도로 일찍부터 주목을 받았다. 그런데 대부장경호와 유개장경호는 무개장경호에서 발전된 형식이므로 문화의 연속성의 법칙에 의거하여 천천히 변화하는 것을 인식하지못하고 어떤 정치체 문화의 지표로서 활용하고 있다. 본고는 우선 단경호를 고분에 부장된 양상에 따라 용도가 다른 두 기종이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한 후, 기대 안에 얹혀서 사용되는 단경호의 경우 단경호에서 장경호로 형식이 변천함을 명확히 했다. 장경호는 단경호에서 형식 변천하였으며, 또 다른 새로운 형식인 유개장경호와 대부장경호가 출현함에 따라 무개장경호로 명명하여 지역색을 고찰하였다. 무개장경호는 중형호의 형식 중에서는 가장 긴 시간동안 같이 유행하기 때문에 고배의 투창을 대신하여 신라․가야토기를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종래 대부장경호와 유개장경호를 정치체의 문화적 지표로 해석하여 신라양식 혹은 대가야양식이라고 하는 일방적 해석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도 지적하였다. 고고학도역사학의 일부분이며, 문헌 기록을 무시한 채 금관가야와 더불어 가야의 수많은 정치체의 문화를 고고학자가 만든 검증되지 않은 기준에의해 그릇되게 해석하는 문제점을 직시해야 고고학이 발전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