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통의료 ‘경험지’의 의료문화사적 가치와 집성 및 활용방안

        박경용(Bak Gyeong-Yo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2 No.2

        이 글의 목적은 원로 전통의료 전문인들이 평생 동안 의약업을 해오는 과정에서 축적한 전통의료 ‘경험지’의 문화적 가치를 살펴본 후 연구와 집성 및 활용방안을 모색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원로 한의약업인들을 만나 의약업 생애사와 전통의료 경험지를 구술로 채록하고 소장 문서나 물증 등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통의료 경험지는 환자 집증과 처방,한약 조제, 약물과 침구시술 등 의료 실천과정에서 오랜 시간 동안 체득하여 축적한 경험지식과 기술을 의미한다. 경험지는 과학적 검증과 공론화 과정을 거치지 못함으로써 사회적으로 공인되어 있지는 않지만, 무형의 문화유산으로서 전통의료 지식과 기술의 집적과 보존에 나아가 이를 전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으로는 특정 부문에 탁월한 치료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국민보건에 기여하고 새로운 치료 기술과 한방제제 개발의 원천이기도 하다. 전통의료 경험지 연구를 위해서는 장기간 한 분야에 종사해온 한약업사나 한의사, 침구 사, 채약인, 민간치료사 등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이들을 통해 의약업의 구술 생애사와 전통의료 경험지를 채록하고, 관련 문서나 물증 등의 소장 자료를 수집한 후 모든 자료에는 분류번호와 더블린코어를 부착하여 디지털 형식으로 집성한다. 이들 집성자료들은 학술적 분석 및 과학적 검증을 통해 회술자료의 생산과 한의학 이론 구축에 나아가 새로운 치료기술 및 한방제제 개발의 원천으로 활용 가능하다. 교양방송 및 교육용콘텐츠로 제작하여 일반인에게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학생들에게는 교육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전통의료 경험지는 의료문화사적 가치가 크고, 집성을 통한 활용가치도 상당하다. 무형의 민족문화자산으로서의 전통 보존과 계승 차원에서도 이의 연구는 시급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ultural value of the experience knowledge in traditional medicine and the plan for data archiving and practical use. For this, I recorded oral data and collected a series of real materials and documents, concerning of the every day"s lives of traditional medicine business. ‘Experience knowledge’ in traditional medicine is a knowledge and skill that senior of a herb and an Oriental medicine have accumulated in various medicine practices for a long time, diagnosis and recipe, making drag, acupuncture & moxibustion etc. Though it is not approve of explicit knowledge by a scientific test or an official debate, it have been preserved and handed down next to next as an u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t have been used of a creative source of a new therapy technique and a herb drag, because of excellent healing effects in special part. We must research and archive the experience knowledge in traditional medicine in form of a digital method, erecting senior one as key informants and collecting oral data, document and real material. For taxonomy and distinction, index of data, we must label a taxonomy number and dublin core of each data. The experience knowledge in traditional medicine has a large value in the succession of medicinal culture and it"s practical use. Therefore we can produce research reports and Oriental medicine theory and use as a source of a new therapy technique and a herb drag. Furthermore, we can use it as contents for broadcasting and education so as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health and culture. Especially, it is necessary for us to research the experience knowledge’ in traditional medicine in behalf of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the tradition of national culture.

      • KCI등재

        산청(山淸)지역 민간요법의 실재와 전승양상

        박경용(Bak Gyeong-Yong) 실천민속학회 2011 실천민속학연구 Vol.18 No.-

        이 글에서는 경남 산청지역을 중심으로 전래의 민간요법 실재와 전승양상을 약초 채취, 자가치료, 민간치료사 활동, 약용 동식물 재배?사육 등의 측면에서 고찰해보았다. 의약이 발달한 현대사회에도 민간요법은 끈질긴 생명력으로 생업활동과 치병, 건강 증진, 먹을거리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민간요법의 본래적 속성은 의료지식의 사회화와 호혜성의 원리에 의한 ‘자가 치료’에 있다. 민간요법 지식과 기능은 만인에게 개방, 공유되는 사회적 자산으로서 장기간의 생활실천 속에서 구축된 민속지식이다. 현대사회에서 민간요법은 생업 유지와 가업 잇기, 질병치유 효험 매료, 전통 계승의 필요성, 자가 치료수단의 확보, 의료 보시(布施)의 실천 등 여러 동기에서 전승되고 있다. 민간요법은 비록 일상생활과 경험지식의 수준에서 명맥만 유지할지라도, 제도권 의료가 다가가기 어려운 한계영역과 사각지대의 의료영역을 보완한다. 산청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민간요법의 보존, 계승과 그 활용방안에 대한 몇 가지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술적 측면에서 민간요법을 소중한 무형문화자산으로 인식하여 이를 생활사적 맥락에서 개인, 가정, 공동체 수준에서 사례별로 조사, 집성해야 한다. 민간요법은 비록 과학적 연구를 통해 개개의 효능을 검정 받지 못한 ‘암묵지’ 혹은 ‘경험지’에 속할지라도, 오랜 기간 동안의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형성된 소중한 사회적 지식이자 민간과학이다. 둘째, 집성된 민간요법의 인문학적 연구결과물을 생물학, 한의약학, 약학, 보건의학, 바이오유전공학 등의 학제적 연구를 통해 약성과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건강 및 치료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만성?난치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물질과 치료기술의 개발은 경제적 이익 창출에 나아가 인류의 건강과 생명 보전에도 큰 기여를 할 것이다. 셋째, 산청군의 입장에서 본다면, 전승 민간요법에 대한 심사를 통해 어느 정도 효능이 검증된 사안에 대해서는 군 차원의 이른바 ‘민간요법사 자격인증제’ 혹은 ‘민간요법사의 집’ 지정을 통해 기능을 체계적으로 지원, 관리하고 보존, 활용할 필요가 있다. Folk therapy is a social knowledge and a folk science, being handed down for a long time, though it is a tacit knowledge or an experience knowledge not being gained official approval by a state organ. Like the case of Sancheong(山淸) County, folk therapy has been transmitted continuously in various ways through a gathering of medicinal herbs and self-remedies, the roles of folk healers, cultivating and breeding of medicinal animals and plants etcs. In many cases, folk therapy has been effective on incurable and chronic diseases by making up for legal medicines or as an alternative measure. By the case of Sancheong County, I suggest a few ideas in followings. First, we should be recognize folk therapy as an intangible culture heritage and research concerning various dates of it case by case of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Second, we must verify scientifically the medicinal effects of folk therapy and develop a new medical stuff and remedy for health and cure from it. Third, for Sancheong County, it is worth supporting, using, preserving the knowledge and skill of folk healers through an social approval.

      • KCI등재

        죽방렴과 주낙 어업의 자연·우주 전통지식

        박경용(Bak Gyeong-yo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8 No.-

        본고의 연구 목적은 남해안 도서어촌의 죽방렴과 주낙 어업을 통해 자연과 우주에 대한 전통지식을 살펴보는 데 있다.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하는 죽방렴 어업은 지형조건과 조수, 수심, 물때, 어류 습성 등에 대한 전통지식을 필요로 한다. 주낙 어업에서도 장거리 항해와 어장 선정, 어류 습성 및 이에 기초한 어구와 조업방식 등과 관련되는 자연ㆍ우주전통지식을 요한다. 태양과 달, 별을 비롯한 구름, 바람, 산 등의 자연ㆍ우주 전통지식에 기초한 천측(天測)과 산가름 등 전통적인 ‘가름’ 방식은 항해와 조업지역 선정에 필수적이다. 산가름은 항해와 어장 선정 시 활용된다. 천측은 특히 먼 바다 항해 시 유효하다. 자연과 우주에 대한 전통지식은 위험 상황을 예측하여 대비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어민들의 자연과 우주에 대한 전통지식은 민간의 과학지식이자 지역생태를 반영한 토착지식이다. 또한 조상들이 남긴 소중한 무형문화유산이기도 하다. 따라서 자연과 우주에 대한 전통지식을 전승해온 연로자들이 자연 사멸하기 전에 조사 연구하여 보존과 활용을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raditional knowledge of natureㆍspace in Jukbangryum[竹防簾] and Junak Fishing, handed down in Namhae and Nukdo Islands. Jukbangryum fishing is operating by a gap of the ebb and the flow of the tide. Therefore it needs various traditional knowledge of natureㆍspace, concerning of the geographical features above and below the sea, the tide, the dept of the sea, tide time and the habits of fishes etcs.. Junak fishing is operating by a long distance sailing over three days. Therefore it needs various traditional knowledge of natureㆍspace, concerning of a long distance voyage, a choice of the fishing place, the habits of fishes etcs.. A traditional ‘perception and judgement’ ways[Garyum], a mountain Garyum and a Garyum through the sky[天測], are based on these various traditional knowledge of natureㆍspace. Traditional knowledge of natureㆍspace is science knowledge and indigenous knowledge of folk based on local ecological conditions. And it is very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nded down by our ancestors. Therefore we should research traditional knowledge of natureㆍspace and establish the way of conversation and usage of it before them natural dying.

      • KCI등재후보

        사할린 한인 김옥자의 삶과 디아스포라 생활사

        박경용(Bak, Gyeong Yong)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3 디아스포라 연구 Vol.7 No.1

        본고는 김옥자라는 한 여성의 디아스포라적 삶을 중심으로 사할린 한인의 생활사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술자로 하여금 자신의 과거 삶을 ‘기억의 환기’를 통해 되돌아보게 함으로써 한 개인의 디아스포라적 생활경험과 인식에 주목하였다. 그녀는 일제 강점과 대동아전쟁, 8.15해방, 냉전과 탈냉전의 시대를 관통하며 한국과 일본, 사할린, 그리고 다시 한국을 차례로 옮겨 다니면서 살아왔다. 그녀는 두 번의 결혼과 거기서 태어난 5남매 자녀를 키우면서 30년 넘게 건축과 바느질공장 노동을 해왔다. 해방을 전후하여 5번씩이나 한국으로의 귀국을 시도했지만, 좌절의 아픔을 겪었다. 러시아체제로의 변혁기에는 사상범으로 온 가족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사할린 한인의 삶은 의식주와 일생의례를 비롯한 사회적 유대 등에서 한국의 전통적 생활양식을 대체적으로 유지하며 살았다. 그녀는 남편의 권유에도 불구하고 북한공민증을 취득하지 않고 ‘무국적자’로 있다가 자녀의 대학교육과 현지 적응을 위해 러시아공민증을 발급받았다. 그녀는 한국, 일본, 러시아 등 3국의 4가지 다른 이름을 갖고 있어 디아스포라의 표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녀는 사할린 호적에 일본 이름이 등재되어 있으며, 모든 가족들을 사할린에 남겨둔 채 단신으로 영주 귀국하여 한국에 살고 있다. 조용히 여생을 보내야 하는 여든이 넘는 나이에도 디아스포라의 굴레에서 여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영주 귀국한 사할린 한인들에게 ‘제2의 디아스포라’라는 표현이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everyday lives of Sakhalin Korean Diaspora, focusing on diaspora life of a female, Kim-Okja. For this, I was attention to diaspora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of an individual by ‘evocation of memories’ about the past. She has lived successively in Korea, Japan, Sakhalin and Korea through Japanese colonialism, the great eastern war by Japan, 8.15 liberation, the cold war and the post cold war periods. She married twice and reared five children. And she had worked over thirty years in a construction field and a sewing factory. Before and after 8.15 liberation, she tried to coming back Korea, but much suffered from all failure. Sakhalin Korean has generally maintained a traditional way of life in not only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 rites of passage, but also social relations etcs. In spite of a persuasion of husband for the nation right in North Korea, she had been the loss of nationality. She acquired the civil right of Russia for entrance to college her sons and daughters and for social adaptation in Russia society. She has hold different four names in Korea, Japan and Russia and therefor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she is a representation of Korean Diaspora. From now, she has been recorded on a family register in Sakhalin as Japanese name on account of various reasons. At present, She has lived alone in Korea as a permanent resident, leaving all family in Sakhalin. She is not free herself from diaspora restriction, in spite of eighties years old. Therefore Sakhalin Korean, coming back home permanently, has been likely placed in ‘second diaspora’.

      • KCI등재
      • KCI등재

        한 조선족 여성의 가족사를 통해 본 디아스포라 경험과 생활사

        박경용(Gyeong Yong Bak) 한국아시아학회 2014 아시아연구 Vol.17 No.3

        기억(memories)은 주체의 경험이 비가시적인 형태로 생성, 배열, 간직되므로 경험의 저장고에 해당한다. ‘기억의 환기’는 지나가버린 사건이나 삶의 양태 및 인식, 태도, 신념, 믿음, 가치지향 등의 비가시적인 문화 양상들을 현재로 불러내어 살아 생동감 넘치게 만드는 방법중의 하나이다. 코리안 디아스포라 초기 세대일수록 이주와 적응, 생활사에 대한 기록의 가능성은 더 희박하므로 심층 면담에 의한 기억의 환기 방식이 연구 방법론으로서 유효하다. 심층 면담에 의한 구술생애사의 기록과 해석은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주와 적응, 생활사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연구전략이다. 본고에서는 두만강 접경지역 한 조선족 여성 노인의 삶을 세 딸의 도움을 받아 기억의 환기 방식으로 접근함으로써 조선족 디아스포라 경험과 생활사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구술자의 본가와 시가 선조들은 일제 강점기에 두만강을 건너 중국 연변의 용정과 도문 일대에 각각 정착했다. 그녀는 용정 석정촌에서 태어나 광석촌으로 이주후 결혼해서는 조양천 시가에 살면서 광복 전후 시기의 삶을 경험했다. 1960년대 초에는 북한 이주와 탈북 귀향 후 돈화시로 이주하여 생의 대부분을 보냈다. 구술자의 가족사를 관통해서는 봉건 전통주의와 일제 식민주의, 중국 사회주의의 중첩된 역사적 맥락이 녹아들어 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조선족사회도 이제 전통적 생활양식의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1970년대까지 지속된 문화대혁명과 1980년대 이후의 개혁개방정책 및 한ㆍ중 수교에 따른 조선족 대이주는 이러한 변화를 추동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집거 형태의 조선족 마을의 공동화는 머잖아 민족문화의 흔적까지 지우고 말 것이다. 초기 이주 세대가 자연 사멸하기 전에 서둘러 이들로부터 디아스포라 경험과 기억을 추수해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Memories are the storeroom that people produce, arrange and store their experiences in an invisible form. ‘The recall of memories’ is the way to make the past vivid, in terms of event, life, awareness, attitude and value. For early generations of Korean diaspora, the in-depth interview is the most useful method because their memories about immigration, adaptation, and everyday lives are hard to be recorded. This study explored the family history of a female Korean Chinese living near the Duman River(豆滿江) with ‘the recall of memories’ method. Her forebears went cross the Duman River and settled down in Domun(圖們) and Yongjung(龍井) cities near the Yanbian(延邊) area. She was born in Sukjung(石井) village and moved to Kwangsuk(光石) village. After getting married, she lived in Joyangchon(朝陽川) and experienced turmoils before and after the 8.15 independence. In the late 1960s she moved into North Korea but fled from the country. In the end, she went to Donwha(敦化) city and thus lived there for most of her life. The whole historical contexts of her living were deeply penetrated by feudal traditionalism, Japanese colonialism, and Chinese socialism. Korean-Chinese societies experienced the rapid changing of lifestyles, as Korea did at that time. The Cultural Revolution sustained by the 1970s, the Reform-Opening Policy, and China`s new diplomatic ties with Korea established in the 1980s have all acted as a catalyst for rapid social changes. As Korean-Chinese converged areas are getting emptied of all as a hollow space, ethnic cultures will gradually disappear into thin air. Therefore, diaspora experiences and memories of Korean-Chinese people should be recorded before the early generation fades away.

      • KCI등재

        접골사(接骨士)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접골 의료문화

        박경용(Bak, Gyeong Yong) 실천민속학회 2013 실천민속학연구 Vol.21 No.-

        접골(接骨)은 ‘도수정복(徒手整復)’, ‘유도정복(柔道整復)’ 혹은 ‘정골(整骨)’이라고도 일컫는 전래의 의료시술의 한 영역이다. 이는 피부와 근육의 손상 없이 골절만 발생하는 비개방성 골절, 탈구, 염좌 및 근?건(筋?腱) 조직의 손상 부위에 약물 투여나 수술 없이 행하는 의료시술법을 통칭한다. 달리 말하면, 이는 골?근?관절 등의 해부학적인 이상 상태를 손으로 만져 본래대로 되돌리는 것을 말한다. 접골사는 접골 기능을 바탕으로 의료행위를 하는 ‘의료유사업자’로서 1960년대 초 접골사법의 폐기 이후 더 이상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2009년 보건복지부 통계 기준으로 현재 15~20인에 불과하다. 자격증을 소지한 접골사들도 고령으로 차츰 폐업 혹은 자연 사멸 중이어서 머잖아 단절될 전망이다. 접골사 제도는 일제 강점기 일본의 접골사 제도에서 유래되었다. 일본에서는 국기인 유도 선수의 노후를 보장하기 위해 접골기술을 배우도록 한 것이 존립의 계기가 되었다. 현존하는 접골사들은 대부분 광복 전후시기에 유도를 배우면서 접골 기술을 연마하여 접골사 자격을 받은 사람들이다. 현재 외상성 질환의 대부분은 정형외과가 담당하고 있으며, 주로 수술을 하게 되어 비용이 많이 들고 치료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외상성 질환에 접골술을 사용하면 치료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는 수술을 통해 치료해야겠지만, 수술 없이 치료가 가능한 외상의 경우 접골술을 통한다면 치료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접골은 현대의료가 불가능한 기능을 보완해주는 ‘틈새의료(niche medicine)’로서의 의의와 가치를 지닌다. 접골을 박제된 역사 문헌 속에서만 찾는 것이 아닌 살아있고 진화하는 기술로 계승하여 재탄생시킨다면, 이의 보존에 나아가 많은 사람들의 건강 개선에도 적잖은 도움을 줄 것이다. 접골사들의 구술생애사 기록을 통해 평생의 경험지식을 널리 알려나가는 것은 이를 위한 첫 걸음이자 인문학자의 소명이기도 하다. Bone-setting is an area of traditional medical procedures called ‘reduction’, ‘reposition’, or ‘osteopathy’. It is called a medical procedure not having surgery or medications to closed fracture that fracture only occurs without damage of skin and muscle, dislocation, a sprain, or injury site of muscular tendinous tissue. In other words, it is said that anatomic abnormal condition is back again treating with hands in bone, muscle, joint, etc. Bone-settler is ‘similar medical practices’ that practicing medicine of bone-settler early in 1960. Thus, there are just 15~20 bone-settlers according to statistics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in 2009. Licensed bone-settlers gradually close up shops with old ages or pass away naturally, and then are expected to sever in near future. Bone-settler system is originated from that of Japan in Japanese colonial era. In Japan, it was the beginning of teaching bone-set technique to ensure players’ old age of judo, national sports. Most of existing bone settlers are entitled bone-settler as they learned bone-setting technique around independence era. Now, most of traumatic diseases are in charge of orthopedic and have disadvantages of high costs and long treatment period to have surgery mostly. If bone-setting is used in traumatic diseases, it will have the merit of low costs and simple treatment. It has to be treated with surgery that must be needed, but in case of injury not having surgery, it has the merits of reducing costs and period of treatment. Therefore, bone-setting has significance and value of ‘niche medicine’ that make up for fault of modern medicine. Bone-setting is not discovered just in stuffed historic document, but if it is recreated lively and evolving technique, it will give great help to improve a number of people’s health as well as its preservation. To inform lifelong experienced knowledge is not only first step but also summons of humanitics scholars through recording oral life history of bone-settler.

      • KCI등재후보

        파독 광부의 디아스포라 노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색 - 탄광의 막장 안과 밖에서 -

        박경용 ( Bak Gyeong-yong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8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3 No.-

        본고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독일로 파견된 광부들을 대상으로 당시의 탄광 노동 경험과 기억을 심층 면담의 내러티브 방식으로 현재화하여 디아스포라 노동생활사를 재구성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노동현장인 지하 탄광의 ‘막장 안’과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지상의 ‘막장 밖’의 공간으로 나누어 파독광부들의 디아스포라 노동과정과 다문화 경험에 주목하였다. 광부들은 간호사와 마찬가지로 경제적으로 낙후되어 있던 시기 가난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외화벌이 목적으로 ‘독일 광부’가 되었다. 이들은 파독 후 처음에는 방 하나에 2-4인씩 기숙사에서 합숙생활을 했다. 노동방식은 1일 3교대로 오전, 오후, 야간 등 3개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 간에도 노동시간이 달라 휴식과 수면 등에서 많은 불편을 겪었다. 그리하여 언어와 현지 사정에 익숙할 즈음에는 민가에 셋방을 얻어 자취생활을 하였다. 광부들은 3년이라는 계약기간 동안 한 푼이라도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일은 가장 힘들지만 보수가 많은 막장의 채탄(採炭) 작업에 종사하였다. 지하 1,000m의 탄광 내부는 소음과 탄가루, 돌가루 분진으로 가득할 뿐만 아니라, 낙반과 갱도 붕괴 등 안전사고 위험에도 항시 노출되어 있다. 이들은 돈을 많이 벌기 위해 잔업이나 휴일 노동 등 가능한 연장 근무를 희망한다. 파독 광부들은 노동현장과 일상생활 공간에서 다국적 노동자와 현지 독일인들과의 만남을 일상화 한다. 다국적 광부들 사이의 인종적 갈등은 희소한 편이었지만, 때로는 언어와 음식 등의 문화적 차이와 몰이해, 일의 서투름, 규율 위반 등으로 상호 갈등을 유발한다. 광부들이 파독되었던 1960년대에도 독일은 주 5일제 근무를 시행하였다. 광부들은 토·일 휴일에 함께 독일 국내를 비롯한 유럽 여러 나라로 여행을 가거나 생일파티, 쇼핑, 한국 음식 나누기 등을 통해 여가를 보냈다. 일부는 종교생활과 유흥업소 출입 등으로 현지민과의 교류를 통해 다문화 경험도 했다. 광부들의 독일 파견은 개인적 성취에 더하여 국가적으로는 실업난 해소와 국제 관계 향상 및 유럽 한인사회의 기초를 닦고 송금과 차관 도입을 비롯한 외화 유입으로 산업화에도 일조하였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construct the everyday lives’ history of diaspora labor by way of in-dept interview about labor experiences, perceptions and memories of Korean coal miners dispatched to Germany in the 1960s and 1970s. For this, I payed attention to diaspora labour processes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which had been practiced in the inner and outer of a blind end in a mine gallery. Beginning, Korean coal miners dispatched to Germany lived in a boarding house, being attached in a coal mine. But they cooked their own meals at a private house from now on because of having interferes with a sleeping and a rest. They labored in the inner of a blind end in a coal mine gallery of 1,000m. So as to earning more money, they labored more hours putting up with their physical fate and danger of accident. Though there were vital a cooperation to foreign laborers in the inner of a blind end in a mine gallery, they had gone through conflicts for various reasons of a different culture(language, food, belief), unskilled operation and contravention of the rules etc. In the outer of a blind end in a mine gallery, they also had multi-cultural experiences through tour to Europe, association with various peoples contacting to church, hiring room, beer drinking, nearby park and stores etc. They achieved not only to their lives but also contributed to economic development,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Germany,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Korean society in Europe etc.

      • KCI등재후보

        중국 칭다오(靑島) 조선족의 정착 애로와 딜레마

        박경용(Bak, Gyeong-Y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3

        본고의 목적은 중국 칭다오 자영업자의 일상적 삶을 중심으로 조선족의 신흥이주지 정착의 애로와 딜레마를 내러티브 연구방법(narrative approach)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칭다오의 조선족사회는 국가(혹은 국적)경계와 민족경계, 지역(공간)경계, 문화경계가 다중적으로 설정, 작동됨으로써 상호간 경합과 타협, 갈등이 상존해 왔다. 칭다오 조선족들은 소수민족과 동북3성 이주민이라는 점에서 민족과 지역 차별의 중층적 차별을 경험했다. 칭다오 조선족들은 언어와 문화 차이로 인해 현지인과 한국인 모두로부터 무시당하거나 때로는 오해를 받음으로써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산둥(山東)말’로 표현되는 지방어(사투리)는 토박이(현지인)와 이방인(외지인)을 확연히 구별되게 만듦으로써 일상생활에서 무시와 차별, 배타성의 근원이 된다. 같은 민족이면서 동일 언어를 사용하는 한국기업의 노동현장에서는 국적을 달리하는 생활환경에서 살아온 문화 차이로 인해 때론 오해와 갈등을 경험한다. 칭다오 조선족들은 ‘민족정체성’과 ‘현지사회의 적응’이라는 가치 사이에서 어린 자녀들의 학교 선택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조선족은 한국기업에 취업하거나 창업 등으로 민족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바탕에서 비즈니스 활동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중국 내 기업환경의 변화로 인해 한국기업과 한국인이 차츰 이탈함으로써 민족자원의 약화로 인해 경쟁력을 상실해가고 있다. 주류사회 다수 종족인 한족과 경쟁해야 하면서 동시에 동종업계 조선족들과도 동일한 자원을 두고 다투어야 하는 입장이다. 칭다오 조선족이 당면한 이상의 정착 애로와 딜레마는 자영업자에만 국한되지 않는 전체 조선족에 해당되는 사안이다. 이를 극복하고 도심 속의 새로운 삶터를 굳건히 건설해나가기 위한 방안을 하루 빨리 강구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difficulties and dilemmas for settlement of Chinese-Korean[Chosun-jok] in Quindao, China. For this, I payed attention to daily lives of self-employed small businessmen by a narrative approach. In the society of Chinese-Korean in Qingdao, there have been always contests, compromises and conflicts because of complex coming across state(or nationality) borders, ethnic borders, regional borders and cultural borders etc.. Chinese-Korean in Qingdao have been experienced complex discriminative treatment account of different race and native place, being a minority of race and an emigrant from east-north province. They have been ignored or mistaken, troubled with others for the reason of language and culture. A dialect, calling "Sandung language", was the reason of difference between a native and a stranger, and therefore they have been ignored, treated discriminatively and excluded in daily lives. In Korean factories in Qingdao, though Korean and Chinese-Korean were same in race and language, there have been occasionally mistaken and troubled with each other owing to different cultures. They have been front of troubles about selection of school between maintenance of national identity and adaptation in majority society. As Korean factories and Korean have been gradually break away from Qingdao, their national capital has been reduced to much and therefore competitive power has been weakened. Now, they are confronted by competition with Chinese majority and also with themselves of Chinese-Korean in Qingdao for same resources. These difficulties and dilemmas for settlement are faced up to not only self-employed small businessmen but also to all Chinese-Korean in Qingdao. The way for conquest of these difficulties and dilemmas and for construction of a new settlement community in Qingdao should be planned for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내몽고 접경지 조선족의 생애 구술과 생활사적 함의 : 치치하얼 S촌과 울란호터 H촌 조선족을 중심으로

        박경용 ( Bak Gyeong-yong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7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0 No.-

        조선족의 디아스포라 생활사는 이들이 중국으로 이주 후 정착, 적응하는 과정에서 생성, 변화, 지속시켜온 일상생활의 문화적 현상을 의미한다. 본고를 통해서는 내몽고 접경지 조선족의 생애 구술을 중심으로 이주와 적응, 생활사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06년 2월 내몽고 접경지의 S촌과 H촌을 현지 조사하여 두 명의 구술자에 대한 심층적인 생애 구술을 채록하였다. 이들은 중국의 공산 통일 국가 건설과 문화대혁명, 개혁 개방 정책 등의 역사적 부침 속에서 이주민으로서의 특수한 다문화 경험을 겪었다. 조선족의 내몽고 접경지 이주는 생계수단의 확보와 독립운동, 전쟁 피난을 비롯하여 국가 권력의 개발 정책 등 다양한 동기에서 비롯되었다. 무산자 계급의 의식 개조 혁명이자 사회주의 이념과 생활문화의 일원화 운동이기도 하는 문화대혁명은 민족과 전통을 해체하고 사회주의 공민을 형성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조선족의 정체성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농촌의 생산체제가 호조조, 집단농장 체제, 개별 경영의 호도거리제 등으로 부침을 겪어오는 과정에서 내몽고 접경지 조선족들은 사회주의의 집단적 평등주의와 개인의 역량에 의한 성과주의 문화를 두루 경험하였다. 60대 이상의 기성세대에서는 동족 간 결혼이 보편적이었지만, 40대 이하의 자녀 세대에서는 동족 관념보다는 애정 요인이 배우자 선택에서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내몽고 접경지의 S촌과 H촌도 한국을 비롯한 국내외로의 극심한 인구 유출로 공동체가 약화되고 문화적 기반마저 소진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두 개의 마을은 대도시 근교의 지리적 이점을 살려 성중촌 개발과 민속촌 조성 전략을 추진 중이다. 출타한 마을 사람들을 어떻게 되돌아오게 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들을 유인하기 위한 주거시설과 생업기반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 Diaspora history of everyday lives of Korean-Chinese(Chosunjok) is the cultural phenomena that they have created, changed and continued through taking root, adapting after migrating to a settlement.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the migration progress, adaptation and the cultural meanings of diaspora history of everyday lives of Korean-Chinese. For this, I made field work on two S and H villages in 2016 year, February. And I interviewed in-dept and recorded the life narratives of two key informants. I analysed the migration progress, adaptation and the cultural meanings of diaspora history of everyday lives of Korean-Chinese by this oral life history. They have experienced various and special acculturation in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Cultural Revolution, Reformation and Opening policy etc. after the building of communist nation in China. The migration to borderland of the Chinese Inner Mongo of Korean-Chinese were due to substation of life, independent movement, taking refuge and development policy etcs. The Cultural Revolution were the movement for reformation toward one way to socialist ideal and the history of everyday lives. This broken up races and traditions, and influenced Korean-Chinese to making as socialist people. Therefore Korean-Chinese have been influenced to formation of their identity. They have experienced both of the socialist equalitarianism and individual liberalism by his efforts. The cases of S village in Chichihwaul(齊齊合爾) city and H village in Ulanhwot(烏蘭浩特) city are at a crisis to community deconstruction and the weakening of cultural bases. As alternatives for this, two villages have been each planned an urban village through building apartments and folk vill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