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입암 민제인의 도학과 사상적 함의

        민황기 인문예술학회 2021 인문과 예술 Vol.- No.11

        This thesis is a study on moral philosophy and ideological implications of Ibam Min jein. Ibam was a “Confucian scholar bureaucrat” who lived as a high-quality bureaucrat in the period of the upheaval period along with his lifelong academic activities. He showed moral philosophy and Confucian spirit of moderation in Korean intelligence history. The basic position of Ibam moral philosophy was based on xianqinruxue 先秦儒學(pre-Qin Confucianism), and he made a meaningful argument with the spirit of Jizi 箕子’s supreme fairness and impartiality and the spirit of Confucius’s humanity, putting the hongfan 洪範 of shujing 書經 at the core of zhidao 治道(governing principles). In addition, he made psychology a priority and recommended weijizhixue 爲己之學(study to cultivate one’s personality), and emphasized that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wo letters of bienveillance and frugality in a way that boosts morale and cultivates and reflects. In particular, he thought that inner self-discipline and practice were more important than theoretically exploring Neo-Confucianism, focusing on pre-Qin Confucianism such as zhongyong 中庸, daxue 大學, lunyu 論語, and mengzi 孟子. The character and moral philosophy spirit of Ibam, in which the mind and spirit were harmonized, were sublimated into human life. In other words, starting from filial piety toward parents, it developed into friendship for children and salvation for the tribe, and further expanded to save people and benefit all things, and has a character that is united with the truthless practicality of the universe. His humanitarian character and learning viewed the people as the subject of political action, and it can be said that the Benevolent government of Confucianism appeared as a politics that “pleases and cares about with the people.” Considering the respect and memory for Jo Gwangjo of Ibam, the denial of the disloyal subject with power, the claim of punishment and the raising of political arguments as a cause, the upright loyalty and Confucian spirit based on his moral philosophy are well revealed. As such, the ideological implications of Ibam’s moral philosophy and learning and virtue still deserve to be highly valued today. 이 논문은 입암 민제인의 도학과 사상적 함의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입암은 일생에 걸친 학문 활동과 함께 격변기 사화시대 고급 관료의 생활을 했던 ‘유학자 관료’였다. 그는 한국지성사에서 중용의 도학과 사림정신을 보여주었다. 입암 도학의 기본입장은 선진유학을 본령으로 하였는데, 서경의 홍범을 치도(治道) 의 핵심에 두고 기자의 지공무사의 정신과, 진충(盡忠)하고 지공(至公)함을 공자의 인의정신으로 의미있는 주장을 하였다. 또한 입암은 학문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심학을 급선무로 삼고 위기지학을 권장하였다. 그는 인심 안정과 사기(士氣) 배양을 중요시하고, 수양하고 반성하는 방법으로 인· 검 두 글자를 근본 삼아 나라의 기틀을 잡을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그는 중용·대학 ·논어·맹자 등 선진성학을 중심으로 하여 성리학을 이론적으로 탐구하기보다는내면적 자기 수양과 실천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마음과 의양이 조화된 입암의 성품과 도학정신은 인륜적 삶으로 승화되어 나타났다. 즉 부모에 대한 효성으로부터 출발하여 아우에 대한 우애, 족인에 대한 구원으로 전개되었으며, 나아가 사람을 구원하고 만물을 이롭게 하는 데로 확충되어, 우주의 진실무망한 실리에 합일되는 성격을 띠고 있다. 그의 인도주의적 성품과 학행이 백성을 정치적 행위의 주체로 보았으며 ‘백성과 함께 더불어 즐거워하고 근심하는’ 유학의 왕도정치로 나타난 것이라 하겠다. 입암의 조광조에 대한 존경과 추모, 기묘 제현에 대한 존모, 권간(權奸)들의 부정함에처벌 주장과 대의로서 정론 제기 등 사실을 볼 때 그의 도학에 기초한 강직한 의리와사림정신이 잘 드러나 있다. 이와 같이 입암의 도학과 학행이 함유한 사상적 함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높이 평가되어야 마땅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입암 민제인의 유물과 유적에 관한 연구

        민황기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08 儒學硏究 Vol.18 No.-

        본 논문은 입암 민제인의 유물과 유적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입암은 현달한 가통의 명문거족으로서 용의가 빼어났으며, 천성이 온화하고 인후한 성품과 위엄 있는 외양을 조화롭게 겸비하였다. 그는 조선조 16세기 정치적 격변기에서 의정부 좌찬성 등 내외 주요 높은 관직을 두루 역임하며, 몸소 수기 안인(修己安人)을 실천한 도학의 유학자요 관료지식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선진성학(先秦聖學)의 대도(大道)에 근거하여 부모형제에 대한 사랑에서, 나아가 애민(愛民), 위민(爲民), 보민(保民)의 입장에서 국가 보위와 민심 안정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는 도통(道統)으로는 정암 조광조의 순절(殉節)과 율곡 이이의 행도(行道)의 중간에서 이었으며, 경서와 역사에 밝았고 문장에도 능통하였다. 입암의 주요 유물과 유적으로는 『입암집』, 『동몽선습』, 『동국사략』, 백마강부 편액, 민『입암집』 판각, 묘역의 유적 등을 들 수 있다. 입암 민제인의 시문집인 『입암집』 은 천·지·인으로 분류된 6권 3책으로 규장각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보관되어 있다. 이 책은 1610년(광해군 2)에 발행되었으며, 판 사항은 목판본이고 보존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일반사항으로 권1-2(1책)은 훈련도감 목활자이고, 1610년에 서(序)는 유근이, 지(識)는 손자인 민여임이 한 것으로 되어 있다. 1981년 6월 서지학자 안춘근에 의해 발견된 『동몽선습』 은 입암 민제인이 후학을 깨우쳐 인도하고 세상의 참된 교육을 유지하며, 독행(篤行)과 진학(進學)의 문로(門路)를 백성들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저술하였으며 최초로 목판 인쇄로 간행된 교과서이다. 윤인서가 쓴 발문에는 저자, 저술 동기, 책이름, 저술 년도, 발문을 쓴 사람까지 자세하게 밝히고 있어 입암의 『동몽선습』 이 최고(最古)의 정본(正本)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책은 1543년(중종 38)에 간행되었으며, 판 사항은 목판본이고, 형태사항은 1책으로 되어 있다. 입암 민제인의 저술로 『동국사략』 3권이 있었으며, 고란사 영종각 안 벽면에는 입암이 지은 백마강부(白馬江賦) 편액이 걸려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남당 한원진의 인간관

        민황기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5 No.-

        이글은 남당 한원진의 인간관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남당은 공자와 맹자 그리고 주자를 도학의 정통으로 삼고 율곡으로부터 이어지는 사계(-신독재)-우암-수암의 적통을 계승한 기호유학자로서 한국 성리학에서 제기되었던 거의 모든 주제들을 언급, 종합 정리하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그는 인성과 물성의 준별 문제로 人物性相異論을 주장하여 인간이해를 체계적으로 해명하며 한국 유학의 큰 틀인 인본사상을 드러냈다. 남당은 性을 ‘在氣’의 理라는 성격과 의미로 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성과 리의 관계를 주자의 리일분수와 율곡의 리통기국을 통해 보다 분석적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그의 성삼층설을 통하여 인․물의 고유한 본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사람과 동물의 본성의 차이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람의 본성이 다름도 극명하게 논하였다. 그에 의하면 성에는 초형기의 人物皆同의 성, 인기질의 人物不同․人人同의 성, 잡기질의 人人不同․物物不同의 성 등으로 구분된다. 남당에 의하면 사람과 사물의 차이는 그들의 타고난 기의 정편․통색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사람은 기가 바르고 통한 것을 얻게 된 것이고, 사물은 기가 치우치고 막힌 것을 얻게 된 것이다. 따라서 바르고 통한 기만으로 응취된 사람만이 오직 건순․오상의 덕목을 완전히 갖추어 천지와 같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이며, 만물 중에서 마음이 가장 영묘하고 성품이 가장 고귀하다는 것이다. 남당은 허령 자체 또는 명덕 자체로 말한다면 성인과 범인 간의 차이가 없다고 인정하면서 사람의 마음이 어떤 기의 응취 여하에 그 품격이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주장하여 성․범 또는 성인․현인․중인․불초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사람은 기의 정․통한 것을 얻은 중에 또한 청․탁․수․박이 고르지 못한 데, 지극히 청․수한 것을 얻은 자가 성인이 되고, 청․수한 것이 많고 탁․박한 것을 적게 얻은 자가 현인이 되고, 탁․박한 것이 많고 청․수한 것을 적게 얻은 자가 중인이 되고, 지극히 탁․박한 것을 얻은 자가 하우가 된다는 것이다. 인간의 주체적 자각의 주체가 바로 聖人이다. 즉 성인은 총명한 예지로서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밝히는 주체이고, 항상 겸양하고 공경한 태도를 지님으로써 도덕적 이념인 선을 수용하는 주체이며, 동정 간에 항상 경으로 일관함으로써 마음을 보존하는 주체이고, 직으로서 사람 된 도리를 체인하는 주체인 것이다. 이것이 바로 성인의 도덕적 인간상이라 할 수 있다. 남당은 성인과 범인의 다름을 기품의 차이를 통해서 설명하려 했고, 따라서 그 기질의 변화를 통한 선한 본성의 회복을 주장하였다. 또한 기질은 변화가 불가능한 신체적인 조건과는 달리 분명히 가변적인 성질을 띠고 있는 것이어서, 우․불초의 탁박한 기질이라 할지라도, 순과 같은 성인의 청수한 기질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는 것이다. 남당에 있어서 수양공부는 성선을 자각하는 일과 기질을 변화시키는 일로 양대 축으로 이 양자는 수양공부의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선한 본성을 구현할 수 있는 실천방법은 사람의 본성이 선하다는 것을 알아 그것을 기준으로 마음의 기질을 순수하게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남당은 도덕적 인간상을 실현하기 위한 인간 수양론의 요체를 타고난 바탕에 있어서는 총명, 덕의 실천에 있어서는 겸공, 마음을 다스리는 법에 있어서는 경, 도체를 체인하는 것에 있어 ... This is studied about a view of human in NamDang HanWonJin. NamDang is well acquainted with Confucius, Mang-Ja and Ju-Ja, as a KiHo confucian scholar which succeed the line of decent from YeulGok to SaGae(-SinDogJae)-WooArm-SuArm, remarked and arranged almost all of the subjects which raised a question in Korean Confucianism. Particularly, he asserted a theory of human nature is different with a property of matter about distinction topic between human nature and property of matter, explained human understanding and showed humanism ; a flame of Korean Confucianism. NamDang defined a conception of nature in a sense of Li of Jae-Gi(在氣), can be appreciated analytically the nature-Li relation through Liilbunsu(理一分殊) of JuJa and Litongkiguk(理通氣局) of YeulGok. He arranged analytically own nature of human property through his opinion of three floor in Seong(性三層說), discussed in detail the difference of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s well as the difference among human nature. According to NamDang, Nature is divided such as nature of the same human-property in transcendence of body, nature of deference of human-property in deposition and nature of deference of human each other and property each other in mixture deposition. According to him, difference of human and animal is depended on their own rightness and bias ,circulation and closeness of deposition. Human get thing that deposition is straighten and go through. Property get thing that deposition is inclined and closed. Hence, people with straighten and circulating deposition only are qualified virtue strong and confirmity five-Sang(五常), also are sole existences as heaven and earth and most noble, mind-ethereal beings. Under HerReoung(虛靈) itself or bright virtue, NamDang recogniz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an saint and ordinary person, suggested human's character bear no resemblance essentially to some deposition put and classified it into saint, ordinary person or saint, sage, commoner, unworthy person. Human's the main body of the core recognition is saint and this is typical human of morality. NamDang illustrated the difference of saint and ordinary person through disparity of given deposition so he mandated recover of good nature through that change of deposition. Also deposition distinctively has a variable temperament alike physical condition of non-variable, then although impure and coarse deposition of fool, unworthy person, it is possible to change it into clear and pure deposition of saint like Soon. To NamDang, moral cultivation have both pillars which recognizing good nature and changing deposition, both are inseparably related. Practice method to realize good nature is to learn that human nature is good, and in this basis, alter deposition of mind purely. NamDang indicated that four cardinal point of human theory of moral culture is sagacity(聰明), modesty(謙恭), respect(敬) and rightness(直) realized by means of recognition of human and practice. Contrastively, NamDang suggested preservation- cultivation(存養), Self-reflection(省察), arrival to Wisdom(致知), performance hardly(力行) in a way of moral culture in a basis of human's acquired act and effort. This understanding of human in NamDang established human nature and morality, showed the dignity and value of man and opened the door to restore of humanity. This is worthy of investigation into human and contribution to NamDang schoo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학사상에 있어서의 도덕적 행복론과 인간존재

        민황기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This paper examines Confucius’s thoughts on moral eudemonics and his view on humanity. Based on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equivalent to Heavenly Order, early Confucian thoughts suggest that the condition of happiness comes from the subjective morality or the cultivation of the mind and the body. So restraint of desire and reflection on wrongdoing without blaming others are conditions of happiness. The ultimate happiness comes not from the external materialistic condition but from one's self which agrees with nature. In this sense, it is plausible to suggest that the Confucian thoughts on happiness is moral eudemonics. Confucius says that one must extend one’s happiness outward from the closest family member to all of humankind. Moreover, happiness can be achieved when one acknowledges each other's differences and thereby promotes harmony. Confucian ideology focuses on the practice of cultivating mind and body by reflecting on the self. A path to happiness can be seen as the combination of the studies concerning for others and use of ‘in and for itself’ (대자적) thinking ,and the pursuit of harmony. Moral eudemonics in Confucius thoughts, therefore, can provide the room for reflecting the loss of humanity and materialism so as to have wisdom which guides us to the new paradigm of happiness. 이 논문은 유학사상에 있어서의 도덕적 행복론과 인간존재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유학사상에 있어서의 행복의 근거는 ‘천명=성’이라는 유학 특유의 일원적 구조로 인성에 정초하고 있다. 행복은 인간의 주체적 도덕성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고, 이로부터 우러나온 것이야 말로 진정한 행복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욕망을 극복하며 모든 탓을 자기에게 구하는 것이 행복의 조건이 된다. 행복은 부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 스스로 만족하는 내면세계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유학사상의 행복이론은 도덕적 행복론이라 할 수 있다. 유학사상에서는 행복에 대하여 가까운 부모형제에 대한 행복으로부터 출발하여 인류 전체에 대한 행복에 이르기까지 넓혀져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행복은 다름을 인정하고 다른 것들끼리의 조화를 도모하는 것이며, 이것이 또한 행복의 구경적 목적이 된다. 유학사상에 있어서의 행복의 문제는 ‘자기로부터 구하는’ 수양론에 귀결된다. 행복에 이르는 길은 대타적 학문과 대자적 사변의 병용, 조화의 추구에 있으니, 이것이 바로 행복의 수양공부라 하겠다. 유학사상의 행복론을 통해 우리는 오늘날 인간성 상실, 물질만능주의현상을 성찰하며 새로운 행복의 열쇠를 제공하게 하는 또 하나의 지혜와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