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7년 수학과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계 단원에 대한 연구

        민진영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statistics in mathematics of 2007 amended curriculum by comparing it with that of the 7th curriculum. By analysing the textbooks and practice books, this study is also to guide teachers to restructure the contents and to design learnning and teaching methods. Firstly, I analyze the changed contents on statistics of option-based curriculum with comparison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2007 amended curriculum of mathematics. Secondly, I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contents on statistics in amended curriculum and analyze the propriety of the contents for the recognition of current school teachers through the survey. Thirdly, I investigate whether or not to reflect the amended curriculum and differences of ways to describe a fundamental notions and term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vised textbooks and practice books every 10 version of integral calculus and statistics.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조사 오류 분석

        민진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문법 항목 중 조사의 사용 양상에 따른 오류를 분류하고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수준을 점검, 효율적인 조사 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의 작문을 이용, 오류 말뭉치(error corpus)를 구축하여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의 조사 사용 양상은 어떠한지, 어떤 종류의 오류가 발생하고 그 빈도는 얼마나 되는지, 고급 학습자들임에도 불구하고 왜 그러한 오류가 나타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 자료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선행 연구를 검토했다. 연구는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5급 학습자 172명이 쓴 220 장의 자유작문 시험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는 학습자의 언어권에 따른 오류 분석 연구, 오류의 빈도수를 밝힌 연구, 학습자의 수준별 오류 분석 연구, 말뭉치를 이용한 오류 연구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Ⅱ장은 오류 연구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학습자가 범하는 오류는 학습자들이 목표어에 대한 언어 능력을 기르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보여줄 뿐아니라 교수자에게 그 학습자가 언어 습득의 어떤 단계에 있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그래서 학습자가 범하는 이러한 오류를 분석하여 그 발생 요인을 밝히는 대조 분석, 중간 언어, 오류 분석의 세 가지 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오류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시험지를 이용해 말뭉치를 구축, 그 말뭉치에 나타난 각 조사의 빈도를 살피고 오류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했다. 말뭉치를 구축한 후 주석 된 품사 말뭉치를 연구에 알맞은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인 자료의 입력, 형태소 분석, 전체 조사 분류 및 표지의 부착, 오류의 판정, 조사 오류 분류및 유형 분류 등의 절차에 대해 설명하고 빈도를 추출했다. 빈도는 전체 말뭉치 25,138어절 중 9,137회의 조사가 쓰였고, 총 82개의 조사 중에서 단일 조사는 37개, 복합 조사는 45개가 쓰였다. 조사의 오류는 총 1,092회가 나타났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조사 오류를 분석했다. 조사를 격조사, 보조사, 접속 조사, 복합 조사로 나누고, 격조사는 다시 주격, 목적격, 부사격, 관형격으로 나누었다. 그 중 부사격 조사와 보조사, 복합 조사에서는 많이 나타난 조사의 오류와 유형을 살폈다. 조사 범주의 오류 유형은 대치, 누락, 첨가, 이형태, 철자 오류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오류의 원인은 모국어의 간섭 및 목표어 자체의 복잡성으로 인한 과잉일반화와 단순화, 심리적인 회피, 그 밖의 학습 상황에서 나타나는 화석화 등 여러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설명했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의 조사 오류를 바탕으로 하여 오류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조사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 교수의 방안은 많이 나타나는 횟수에 따라 대치 오류의 교수 방안, 누락 오류의 교수 방안, 첨가, 이형태, 철자 오류의 교수 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Ⅵ장은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이 연구와 관련하여 더 진행할 수 있는 조사 오류 분석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data for particle education i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error patterns of particles employed by advanced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e first chapter presents the aims and materials of this study and examines previous researches on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e materials of this study are 220 free writing test papers from the advanced Korean learners who have studied in the Language Institute of Yonsei University. The previous researches focused on the study of error analysis of Korean grammar, which classified the error analyses by learner level, learner's own language, and using the learner's corpus. The second chapter reviews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study, including the theory of contrastive analysis, inter-language, and identifying the origin of making an error by Korean learners through error analysis. The rationale of the study of error analysis are also mentioned. The third chapter describes the procedures of developing corpus and analyzing errors of particles used by Korean learners' written test papers. Also, the usage frequency of particles is examined. To develop Korean learners' corpus, it's necessary to collect materials and develop raw corpus by entering those materials in the database system. For the next step,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morpheme, classify the particle, attach the tag and classify the errors. The usage frequency of particles is 9,137 among a total corpus of 25,138. Among 82 particles, simple particles account for 37 of the total, while compound particles account for 45 of the total number of particles. There were 1,092 errors in particle usage on said written test papers. The fourth chapter comprises an error analysis of particles of advanced Korean learners. The particle items of Korean grammar contain sub-items such as case particle, auxiliary particle, conjunctive particle, and compound particle. Case particles include nominative, objective, possessive, and adverbial particles. The error patterns of particle usage are classified as replacement, omission, addition, misformation, and misspelling. The main error factors result from the interference of mother tongue, over-generalization and simplification affected by the combination of target language, psychological avoidance, and fossilization affected by various learning circumstances. The fifth chapter suggests an effective instructional model for reducing errors of particles by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reduce particle errors, it is desirable to practice using by pattern drill and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written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Also this chapter contains the role of the teacher and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n the last chapter a brief summarization of this study is made and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for more elaborate error analysis of Korean particles.

      • 야관문에서 분리된 화합물들과 이들의 혈관확장 활성 연구

        민진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sixteen compounds including three sitosterols, two flavonoids, six flavonol were isolated from the n-hexane extract and EtOAc extract of Lespedeza cuneata.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β-sitosterol (1), loroxanthin (2), β-sitosterol-6’-linolenoyl-3-O-β-D-glucopyranoside (3), quercetin (4), kaempferol + isorhamnetin (5), (+)-pinitol (6), bezyl-β-D-glucopyranoside (7), isovitexin (8), hirsutrin (9), nicotiflorin (10), vitexin (11), astragalin (12), β-sitosterol β-D-glucoside (13), tifolin + astagalin (14), 7R,8S –dihydrodehydrodiconiferyl alcohol (15) and Homovanillyl alcohol (16)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and comparison with the literature. Among these compounds, 2, 3, 7, 15 and 16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Lespedza cuneata. the isolated compounds 1-16 were evaluated for NO assay against HUVECs(Heart and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β-sitosterol (1), loroxanthin (2), β-sitosterol 6'-linolenoyl-3-β-D-glucopyranoside (3) and β-siosterol-β-D-glucoside (13) exhibited strong NO release activity against HUVECs with 2.89 ± 0.23, 3.18 ± 0.07, 3.59 ± 0.09, 2.58 ± 0.38 μM, respectively. Quercetin (4), kaeampferol + Isorhamnetin (5) and vitexin (11) exhibited modest NO release activity against HUVECs with 2.06 ± 0.11, 1.88 ± 0.12 and 2.06 ± 0.19 μM respectively.

      • 대장암에서 TAK1의 작용 기전 규명 및 저해제 발굴에 관한 연구

        민진영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특정 카이네이즈(kinase)의 돌연변이와 과발현으로 인한 과다활성화가 암, 염증, 당뇨, 뇌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카이네이즈를 타겟으로 하는 표적 치료제의 탐색과 개발은 오랜 시간 동안 신약개발의 축을 이루어 왔으나 많은 저해제들은 정상세포에 존재하는 효소들의 ATP 이용을 함께 경쟁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약물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암세포를 죽이고 독성과 관련된 비 타겟(off-target) 단백질들을 피할 수 있는 안전한 표적항암제의 개발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최근 카이네이즈의 시스테인 (cysteine) 잔기를 타겟으로 한 저 분자 공유 결합 저해제들의 발굴에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TGF-β activated kinase-1 (TAK1, MAP3K7)은 MEKK 계열의 한 종류이며 serine/threonine 인산화 효소로써 세포사멸 신호와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암세포의 생존과 성장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K-Ras가 활성화 되어있는 대장암 세포의 사멸에 있어서 TAK1의 선택적인 저해가 중요하다는 보고들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세포의 증식 및 진행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TAK1이 중요한 타겟 분자지표로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 TAK1의 cysteine 잔기를 타겟으로 하는 저해제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Nuclear factor erythroid (NF-E2)-related factor 2(Nrf2)는 K-Ras와 같은 발암유전자들에 의해서 유도되는 단백질로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다양한 대장암 (HCT116, HT-29, DLD1, SW480, SW620) 세포들 에서 K-Ras, TAK1과 Nrf2의 발현 여부를 살펴본 결과 DLD1과 SW620 세포에서 동시 발현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장암 환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K-Ras, TAK1과 Nrf2는 서로 양성조절 관계성을 보였고 Nrf2에 의해 조절되는 항산화 효소 및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또한 양성 조절 관계가 나타났다. SW620세포에 siRNA를 사용하여 TAK1의 발현을 억제 시켰을 때, Nrf2와 이에 조절 받을 수 있는 항산화 단백질인 HO-1, GCLC 그리고 NQO-1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더 나아가 Nrf2의 핵 내 이동의 감소가 동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실험 조건하에서 암세포의 저항성과 관련된 유전자로서 SLC7A11, glutathione reductase, NQO-1의 mRNA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SW620 세포에 TAK1 저해제인 5Z-7-Oxozeaenol을 처리하였을 때, TAK1의 인산화 저해에 따라 Nrf2의 발현 억제가 동시에 수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Z-7-Oxozeaenol은 세포사멸 저항 단백질인 Cyclin D1과 Bcl-2의 발현 감소를 통하여 세포 사멸을 농도 의존적으로 일으키는 것을 MTT assay와 형태학적 세포 사진 촬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TAK1의 cysteine 잔기를 타겟으로 하여 합성된 신규 화합물은 기존에 알려진 TAK1 저해제보다 다양한 대장암 세포주들 에서 우수한 세포 증식 저해능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밝힌 TAK1의 작용 기전에 부합하여 조절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K-Ras가 과발현되어 있는 대장암세포에서 TAK1의 활성 억제는 저항성과 관련 있는 Nrf2의 발현 및 항산화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 시킴으로써 암세포의 성장과 이동을 막을 수 있었다. 또한, TAK1의 cysteine 잔기를 타겟으로 하여 합성된 신규 저해제들은 TAK1에 대하여 우수한 카이네이즈 활성과 대장암 세포들의 성장 억제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항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Overactivation due to mutations and overexpression of certain kinases is known to cause various diseases such as cancer, inflammation, diabetes, and brain diseases. The search and development of targeted therapy drug targeting kinase has long been the axis of new drug development. But many inhibitors are competitive in inhibiting ATP use of enzymes present in normal cells, which may cause side effect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afe targeted therapy drugs that have selectivity for cancer cells and avoid off-target proteins related to toxicity is becoming important, and interest in the discovery of small molecular covalent bond inhibitors targeting the cysteine residues of kinase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TGF-β activated kinase-1 (TAK1, MAP3K7) is a MEKK family, known as serine/threonine kinase, which regulates the survival and growth of cancer cells by regulating apoptosis signals and stress response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reports of the importance of selective inhibition of TAK1 in the apoptosis of colon cancer cells activated with K-Ra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the anti-proliferative modulation by TAK1 knockdown in colon cancer cells and to identify the synthetic inhibitors for targeting TAK1 in colon cancer cells. Nuclear factor erythroid (NF-E2)-related factor 2 (Nrf2) is known as a protein induced from oncogenes such as K-Ras. In fact,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K-Ras, TAK1, and Nrf2 in various colon cancer (HCT116, HT-29, DLD1, SW480, SW620) cells and found that they were simultaneously expressed in DLD1 and SW620 cel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ene expression of colorectal cancer patients, TAK1, and Nrf2 showed a positive regulatory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the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and related Nrf2-regulated genes also showed a positive regulatory relationship. When the expression of TAK1 was suppressed using siRNA in SW620 cell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Nrf2 and its controlled antioxidant proteins HO-1, GCLC, and NQO-1 decreased, and further, it was found that Nrf2 was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intranuclear migration.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it was confirmed that mRNA expression of SLC7A11, glutathione reductase, NQO-1 was reduced as genes related to resistance of cancer cells. When 5Z-7-Oxozeaenol, a TAK1 inhibitor, was treated in SW620 cells, it was identified that inhibition of Nrf2 was simultaneously accompanied by inhibition of phosphorylation of TAK1. 5Z-7-Oxozeaenol was verified by MTT assay and morphological cell photography to cause apoptosi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through decreased expression of Cyclin D1 and Bcl-2. Furthermore, the new compound synthesized targeting the cysteine residue of TAK1 showed superior cell proliferation inhibitory effects in various colon cancer cell lines than the known TAK1 inhibitor, which was confirmed to be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mechanism of TAK1 in this study. Taken together, the inhibition of TAK1 activity in colon cancer cells mutated with K-Ras could prevent the growth and movement of cancer cells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Nrf2 and antioxidant proteins related to resistance. In addition, new inhibitors synthesized with the cysteine residue of TAK1 were found to exhibit excellent inhibition on the kinase activity against TAK1 and the growth of colon cancer cell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an anticancer drug.

      • 질 들뢰즈의 문학론 연구 -'차이' 와 '생성' 의 개념을 중심으로-

        민진영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들뢰즈의 문학론이 어떤 성격을 띠는지, 그리고 그 바탕에는 들뢰즈의 차이와 생성의 철학이 어떻게 가로지르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재현은 동일한 것, 유사한 것으로의 회귀를 그 목표로 하지만 차이와 생성은 그 어떤 동일성에도 매개되지 않는 ‘차이 그 자체(la difference en elle-meme)’와 시뮬라크르(simulacre)들이 범람하여 ‘미칠 듯이 쏟아지는 생성(devenir-fou)’을 목표로 한다. 들뢰즈가 문학작품에서 찾고자 하는 것 역시 이 두 개념들이 드러나는 좌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들뢰즈가 관심을 갖는 작가들은 시뮬라크르들의 부상을 통해 새로운 요소들을 들춰내려고 시도하는 작가들이다. 시뮬라크르들은 이질적인 항들의 번쩍거리는 드러남이라는 의미에서 '기호들(signes)'이기도 하다. 들뢰즈에게 기호는 소쉬르가 말하는 기표와 기의의 대응이라는 식의 기호 개념과는 전혀 다르다. 오히려 들뢰즈의 기호는 ‘징조’나 ‘조짐’에 가까운 개념이다. 또한 들뢰즈는 문학을 차이나는 것들의 기계적 생성으로 보고, 문학을 다시 ‘기계의 작동’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이때 기계(machine)는 어떤 의도나, 동일성, 혹은 목적을 전제하지 않고, 어떤 유기체 모델도 아니고, 어떤 근거나 기초도 없으며, 단지 생산 그 자체를 위해 작동할 뿐인 기계이다. ‘문학이 삶에 대한 표현이다’라고 한다면 이 때의 삶은 결코 개인의 역사성이나 연속적인 시간의 종합이 아니다. 기계가 어떤 작동을 할지를 다른 기계와 접속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알 수 없는 것처럼 삶도 그 다음의 삶을 미리 예견하거나 상상하거나 재현하고 묘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삶은 단지 기계처럼 이질적인 것들과의 접속이자 증식이고, 생산들의 흐름일 뿐이며, 이 접속과 흐름에는 항상 서로 다른 새로운 모형들이 작동한다. 들뢰즈가 ‘문학 기계(machine litteraire)’ 개념을 사용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이다. 본 논문의 Ⅰ장은 ‘차이’와 ‘생성’의 개념이 무엇이며, 이 두 요소가 문학에서는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핀다. 차이와 생성은 문학 속에서 시뮬라크르들의 분산과 계열들의 탈중심화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궁극적으로 문학에서 시뮬라크르의 복권은 문학의 새로운 주체 개념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들뢰즈가 강조하는 다양체, 비인칭성, 전(前)개체성으로서의 주체이다. 차이와 생성으로서의 문학의 주체는 주체도 대상도 없는 다양체로서의 문학, 알과 애벌레들과 같은 기관없는 신체들의 역동적 드라마와 같은 창조로서의 문학을 낳게 된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 창작은 어떤 상상력이나 현실에 대한 모방이나 재현이 아닌 비인칭성과 전개체성의 글쓰기이다. Ⅱ장은 들뢰즈의 차이와 생성이 ‘기호들(signes)’로 발생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그에 따르면 진정한 차이와 생성의 문학은 바깥과의 마주침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 마주침은 항상 수동적이고 비자발적이지만 역설적이게도 작가에게 창조성을 발휘할 수 있는 감응(Affect)을 준다. 들뢰즈는 이것을 사유이미지라 부르는데, 차이와 생성에 기초한 이 사유이미지를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A la recherche du temps perdu』의 주인공에게서 추적한다. 주인공은 기호들을 배움으로써 예술의 본질을 얻게 되는데, 기호들의 본질이란 결국 일상적인 반복이 아닌 차이나는 것들만이 영원히 돌아온다는 ‘영원회귀(retour eternel)의 반복’을 드러내는 차이이다. Ⅲ장은 들뢰즈의 차이와 생성 개념이 ‘문학 기계(machine litteraire)’로 변모하여 그 기계가 어떻게 사회장으로 확대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문학 기계는 언제나 하나의 실험이고 혁명이기 때문에, 원형 찾기나 정신분석적 자유연상기법, 구조주의적 해석과 같은 재현의 논리를 따르지 않는다. 들뢰즈는 카프카의 작품들을 분석하면서 그의 작품이 법이라는 욕망에 어떻게 접속하고 이접하고 또는 통접하면서 기계적 작동을 펼치게 되는지를 보여준다. 그에 의하면 카프카의 문학 기계를 작동시키는 것은 그의 편지들, 단편들, 장편들이며, 그것들은 표현의 구성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이 표현의 구성요소들, 다른 말로 표현 기계들은 ‘소수 문학(litterature mineure)’이라는 기계를 낳는다. 소수 문학은 들뢰즈의 차이와 생성의 문학론이 극명하게 드러내는 최고의 역량이다. 소수 언어는 언어의 탈영토화를 거치면서 모국어가 외국어처럼 구사되는 언어이다. 이런 언어의 언표행위는 항상 집단적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배치는 항상 소수의 언표행위일지라도 항상 그 민족을 대변하는 정치성을 띤다. Ⅳ장은 차이와 생성의 문학론이 과연 우리에게 말하려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사실 들뢰즈에게 문학은 일종의 ‘건강(sante)’이다. 그에게 작가는 억압과 고뇌에 싸인 환자가 아니라 인간의 건강을 책임지는 문화적 의사이다. 따라서 작가들의 작품은 일종의 치료제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모든 작가들은 들뢰즈를 통해 질병에 걸린 환자들이 아니라 삶의 건강을 진단하는 의사들로 가치를 회복하게 된다. 마조흐와 사드는 징후학자로써, 베케트는 분열증적 주체를 진단하는 의사로써, 프루스트는 다양한 ‘-되기’를 수행함으로써 인간의 다양체적 삶을 진단해내는 문화적 의사이다. 따라서 이들이 제시하는 치료제로서의 문학은 일상적 의미작용을 하는 일상화된 언어들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차이와 생성은 탈주선을 이루고, 탈주선을 통해 언어는 탈영토화된다. 이러한 언어의 사용을 들뢰즈는 ‘언어의 소수적 사용’이라고 하며, 그 한 예를 베케트에서 찾고 있다. 베케트는 말들을 그 의미에서 벗어나서 언어의 한계를 직시하고 그 바깥을 보았고, 보기(vision)와 듣기(audition)를 사용함으로써 말들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제시하는데, 이 이미지들의 언어는 문학과 삶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본 논문에서 문학은 궁극적으로 무엇을 지향하는가? 들뢰즈에게 있어서 문학은 ‘기쁨(joie)’과 ‘웃음(rire)’이라는 긍정의 미학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가 언급했던 작가들, 즉 프루스트, 카프카, 베케트, 조이스, 마조흐 등은 들뢰즈에 의해서 새롭게 해석되는데, 이들은 고독한 내면이나 신경증의 작가들이 아니라 삶의 기쁨에서 기인하는 더없이 즐거운 웃음을 짓는 작가들인 것이다. 들뢰즈에게 있어서 주체는 인간을 하나의 인격으로 보는 통일된 주체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욕망의 흐름에 따라 분열증적으로 탈영토화하며, 항상 ‘-되기’를 통해 탈주선을 긋는 비인칭적이고 전개체적인 특징을 지닌 주체, 즉 다양체로서의 주체이다. 따라서 삶이란 들뢰즈에게 어떤 초월적 장으로 귀결되는 개별자의 인격적 삶이 아니라 하나의 내재적 장에서 또 다른 내재적 장으로 계속하여 이동하는 하나의 삶(UNE VIE), 즉 비인칭적 삶인 것이다. 이렇듯 내재성으로서의 삶을 영위한다는 것은 기쁨과 웃음으로 그 삶을 긍정하는 것이다. Cette étude a pour but de dégager quelques aspects essentiels de la pensée de Deleuze sur la littérature. Deleuze accepte le risque radical de l'absence de toute harmonie préétablie entre la pensée et ses objets. Par là, Deleuze invente une nouvelle méthode de penser, y incluant les domaines de la non-pensée. C'est pourquoi la littérature est, pour lui, une référence et une source. Sa vision littéraire est étroitement liée aux notions de différence et de devenir. Pour lui, écrire n'est pas une fin en soi, précisément parce que la vie (le réel littéraire) n'est pas quelque chose de personnel. D'où son refus de la représentation (identité, ressemblance, mimésis) comme finalité de la littérature. Ecrire doit poursuivre la différence elle-même sans la médiation des éléments représentatifs et le devenir-fou que les simulacres inondent. Les simulacres sont les signes au sens de la fulguration venue de la rencontre des différents. C'est dans la différence et le devenir que le phénomène littéraires fulgure et s'explique comme signe. Par conséquent, la littérature est un devenir machinique des différents et une opération des machines. La machine ne présuppose ni l'intention, ni fondement, ni la fondation. Elle est la production elle-même. Si l'on définit la littérature comme l'expression d'une vie, cette vie n'est jamais une synthèse du temps successif ou une histoire personnelle. Deleuze vise, en fait, la vie a-subjective, inorganique et non individuelle dont les profondeurs sont intensives. Cette vie ne se vit pas à partir du besoin, en fonction des moyens et des fins, mais à partir d'une production, d'une puissance. La vie-machine. Comme on ne sait pas comment la machine fonctionne avant sa connexion, on ne peut pas prévoir, imaginer, représenter notre vie d'avenir. La vie est la connexion, la prolifération et le flux des productions. La machine littéraire fonctionne dans le plan d'immanence qu'est la vie. Dans le premier chapitre, les notions de différence et de devenir sont d'abord examinées, et nous avons souligné ensuite comment celles-ci font la divergence des imulacres et le décentrage des séries dans les oeuvres littéraires. Le surgissement des simulacres demande une nouveau sujet littéraire, c'est-à-dire multiplicité, sujet impersonnel et préindividuel. La littérature est produite non pas avec le sujet et l'objet fixe, mais comme drame dynamique des corps sans organes à l'image des oeufs et des sujets larvaires. Le sujet est une synthèse du temps; le présent estle répétiteur, le passé, la répétition même, mais le futur est le répété. Or, le secret de la répétition dans son ensemble est dans le répété, comme signifié deux fois. La répétition royale, c'est celle de l'avenir qui se subordonne aux deux autres et les destitue de leurs autonomies. Dans le deuxième chapitre, nous étudions comment la différence et le devenir se transforment en signe. Cette transformation ne peut se produire qu'à travers la rencontre avec le dehors. Cette rencontre passive et involontaire donne à l'auteur l'affect pour créer. Deleuze l'appelle l'image de pensée. C'est ainsi que le héros d'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apprend les signes et obtient l'essence de l'art comme différence non pas venant de la répétition ordinaire, mais de la répétition du retour éternel. La différence et la répétition ne s'opposent qu'en apparence, comme le remarque Proust: "L'art, par exemple, comme le septuor de Vinteuil, c'est la même et pourtant autre". Dans les signes de l'amour, on découvre le déguisement et le déplacement par la divergence des séries de l'amour. L'objet virtuel est nécessairement remplie par un autre personnage dans la série qui constitue le présent d'une autre subjectivité, compte tenu toujours des déplacements de cet objet appelé "χ". Un peu comme le héros de la Recherche, en aimant sa mère, répète déjà l'amour de Swan pour Odette. A travers de la réminiscence du goût d'une petite madeleine, Combray surgit chez le narrateur d'un passé pur, coexistant avec les deux présents, mais hors de leurs prises, hors d'atteinte de la mémoire volontaire actuelle et de la perception consciente ancienne. Le souvenir involontaire en retient les deux pouvoirs: la différence dans l'ancien moment, la répétition dans l'actuel. Dans le troisième chapitre, nous soulignons comment la différence et le devenir se métamorphosent en machine et la machine traverse le champs social. Chez Deleuze, la machine littéraire est toujours une expérimentation et une révolution. Elle ne suit pas la représentation qui trouve l'archétype, l'association libre, l'interprétation et la structure. L'opération machinique produit un sujet nomade, célibataire. Deleuze, se référant aux oeuvres de Kafka, montre comment la machine loi connecte, disjoint et conjoint le désir, Ce dernier n'est jamais métaphore. La loi ne s'opère pas par sa transcendance, mais par l'immanence du désir. Les lettres, les nouvelles et les romans de Kafka sont les composantes de l'expression qui constituent la littérature mineure. Celle-ci est définie non pas comme celle d'une langue, mais plutôt comme celle qu'une minorité fait dans une langue majeur. Et il en donne trois caractères: ce sont la déterritorialisation de la langue, le branchement de l'individuel sur l'immédiat-politique et l'agencement collectif de l'énonciation. Dans la littérature mineure, Il n'y a pas de sujet, il n'y a que des agencements collectifs et une politique d'énonciation Dans le quatrième chapitre, le rapport entre la littérature et la santé est examiné. L'écrivain en tant que tel n'est pas malade, mais plutôt médecin, médecin de lui-même et médecin du monde. Le monde est l'ensemble des symptômes dont la maladie se confond avec l'homme. La littérature apparaît alors comme une entreprise de santé. Le mot maladie ne convient pas à Sade et à Masoch. Il n'en reste pas moins qu'ils nous présentent des tableaux de symptômes et de signes inégalables. Les sujets-schizos ont aussi une bonne santé pour dévélopper leur unité de l'inconscient du théâtre à l'usine. Par exemple, promeneur Molloy décrit géométriquement d‘un porte-couteaux quel en est l'usage, ou bien, opère la machine à sucer les pierres. C'est ainsi que, pour Deleuze, écrire, c'est devenir, mais ce n'est pas du tout devenir écrivain. C'est devenir autre chose. L'écrivain devient- femme, devient-animal, devient-moléculaire et devient-imperceptible. Par exemple, Proust, un corps sans organes, devient une araignée.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n'est pas bâti comme une cathédrale, mais comme une toile. Le Narrateur-araignée, dont la toile même est la Recherche en train de se faire, se tisser avec chaque fil remué par tel ou tel signe. C'est avec ce corps-araignée du narrateur, l'espion, le policier, le jaloux, l'interprète et le revendicateur - le fou - l'universel schizophrène que va tendre un fil Albertine l'érotomane, pour en faire autant de marionnettes de son propre délire, autant de puissances intensives de son corps sans organes, autant de profils de sa folie. Pour Deleuze, la littérature doit tracer la ligne de fuite dans la langue. Les beaux livres sont écrits dans une sorte de langue étrangère. LEs langues mineures inventent une nouvelle langue dans la langue maternelle. Ecrire, c'est faire bégayer le langage, c'est imposer à la langue, à tous les éléments intérieurs de la langue dans les champs phonologiques, syntaxiques et sémantiques. Dans ce travail de variation, l'écrivain découvre la limite et le dehors de la langue en tant que langage comme Vision et Audition.

      •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원 학업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민진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원 학업 적응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학업 적응에서 실제로 경험한 것들이 무엇인가를 그들의 목소리로 이끌어내고 그들의 관점에서 대학원 학업 적응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주요 개념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지원 정책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 적응과 학업 적응, 학업 적응의 주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업 적응을 이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학업을 수행하고 교수와 다른 학생과도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며 학교 규칙과 제도에 적응해 나가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절차와 연구 참여자, 자료 수집 방법 및 분석 방법을 소개하였다. 연구 절차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원 학업 적응 경험을 이해하기 위하여 ‘현장에 존재하기’, ‘현장에서 현장자료로 이동하기’, ‘현장자료 구성하기’, ‘현장자료에서 연구자료로 이동하기’, ‘연구자료 구성하기’와 같은 다섯 단계를 거쳤다. 참여자는 한국에서 석사 혹은 박사 과정에 있거나 과정을 마친 8명의 유학생들이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1년 11월부터 2012년 8월까지의 9개월간이었다. 주된 자료 수집 방법은 면담이었으며 분석을 위한 현장자료에는 녹취한 면담의 전사 자료와 현장 노트, 연구일지, 참여자의 일기, 참여자와 주고받은 문자와 참여자들이 필기한 노트, 전자우편, 수업 보고서 및 발표문, 지원 서류, 대학원 지원이나 장학금을 신청할 때 썼던 자기소개서 등이 포함되었다. 자료 분석은 전체 이야기의 배경 안에서 현장자료를 분석하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의 특징을 살려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전사 자료를 읽어가며 내용을 잘 요약해 줄 수 있는 제목을 여백에 기입하는 방식인 분석적인 메모를 통해 텍스트의 특정 주제에 제목을 붙이면서 영역 분석을 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류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제목을 읽으면서 비슷한 제목을 정렬하여 다시 세부 항목으로 나누었다. 마지막 단계로 분석 결과를 서술하기 위하여 제목에 해당되는 텍스트를 제목 아래에 삽입하였고 긴 텍스트의 경우, 제목에 맞는 내용으로 축약하여 참여자의 이야기를 재구성하였다. 4장에서는 전체 텍스트에 나타난 요인들을 통합하고 체계화하여 참여자 각자의 대학원 학업 적응 경험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5장에서는 그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의미 있는 대학원 학업 적응 경험을 분석한 후 이러한 경험이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참여자들의 학업 적응 경험은 학업 적응을 촉진하는 요인들과 저해하는 요인들 그리고 이들이 학업 적응을 하기 위해 스스로 찾은 대처 방안 및 전략으로 분류되었다. 참여자들의 학업을 촉진하는 요인은 전공 관련 측면 그리고 사회적인 관계와 기타 요인들로 범주화되었으며 학업 적응에 저해가 되는 요인들은 전공 관련 측면, 한국어 측면, 사회적인 관계 측면, 학교 시스템 측면, 참여자 본인의 태도와 개인 생활 측면으로 구분되었다. 전공 관련 측면에서 저해가 되는 요인은 전공과목의 어려움과 교수의 불합리성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측면의 저해 요인은 교수의 태도와 외국 학생, 참여자 본인 요인으로 나뉘었고 참여자 본인으로 인한 것은 한국어가 저해가 되는 원인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 결과로 구별되었다. 사회적인 관계 측면은 참여자들이 관계를 맺고 있는 교수, 한국 학생, 외국 학생, 자국 학생에 의한 저해 요인이 있었다. 학교 시스템 부분은 입학제도, 교육 방식, 잦은 시스템 변경, 컴퓨터나 사이버 강의실 이용 방법에 대한 안내 부족, 정보 부족,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제도의 미비, 장학금과 관련된 것, 졸업 제도로 나타났다. 기타 저해 요인 중 참여자 본인의 태도는 무서움, 스트레스, 여유 없음, 좌절감, 행동 방식과 후회로 분류가 되었고 개인생활적인 측면은 시간 활용과 생활비 부분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이러한 분석 결과는 대학 행정가와 교수자들 특히,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에게 외국인 대학원생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시키고 차별화된 수업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 한국에 오게 될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학업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한국 정부가 외국인 대학원생의 지속적인 유치 방안을 수립하는 데에도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공간에 나타난 인간 정체성과 상징성 연구 : 본인 작업을 중심으로

        민진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s artists who explore and structuralize the world where they belong with visual thinking often search materials to spurt their hidden desire on the inside in their private history. I, as well, am not far off this attribute of self-reminiscence of modern art. This study researched the development process which expressed on art works symbolically and experimented various expression methods by deriving the memories and injuries of childhood through the researcher's own inward research. Especially, the story about private history which is the core of the researcher's work represents the material, 'home.' For the researcher, 'home' is a symbolic space which means rest and cure at the same time the base of residence, as well as a space of memories that cherishes the time of family and one's own exclusively. The space that is the base of the researcher's work is on collinearity with 'home' which enabled growth, at the same time meaning 'womb' which presented life. The space concept like this can be explained as Julia Kristeva's chora theory, who is a semiologist and psychoanalyst. 'Chora', which has a meaning of 'brooding' mother's body means a woman's body and womb, as an unconscious bowl which means love and pain as mother's body who broods other people, i.e. a big other person who contains alien substance, which shares context with the researcher's own work. Also, the semiotic system which is the core of this theory has a creative power to disturb and overset the patriarchal symbol system, and artistic energy which is difficult to explain theoretically comes from here. This study selected Lewis bourgeois which has strong autobiographical characteristic in the advanced research of writers and analyzed similarity and difference with the researcher's work through <woman-home> series and <secret room> series with regard to the meaning of the space and the symbolization in the work related to home, the residential area as space in her 1940's works. For the next, it considered the researcher's own art expression method and discussed the works from 2008 to the recent 2012 by classifying characteristics by subjects according to period by mentioning justification of reminiscent work through private history. At first, it researched <He has no child> which came to talk about the story of private history for the first time on the premise of trauma and <Reading a house> series which is expressed as a vinyl house form in 'the transmission of self through the space of memories'. In 'the self expressed as an extended space', the researcher developed a work <Individually mountain> made by the inspiration of a movie based on a real story 'the case of abandoned 4 brothers and sisters in Nasi sgamo' and <Flowers are always in the 'seeds'> which was made by children's drawing for the purpose of psychotherapy. Also, it tries to investigate <Chora>, <Between roof and roof>, <Tunnel>, <The green stairs> progressively with the exhibit title 'the original space' with the subject of the space of memories which represent woman's womb.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researcher's own memories and experiences were expressed metaphorically in the art work and intended to research self identity and symbolization expressed in the space centered with memories. A series of the researcher's works is concluded as a purpose of 'cure' in common. Because, for the researcher, creating art work is to cure oneself by revealing illogical awareness condition freely. That is, because the researcher undergoes self-centered cure process with repetitive action which recycles within oneself in the middle zone between imaginary worlds, which satisfies on the contrary to the reality that frustrates one's wish, by facing trauma again through repeating memories through work of art.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gained recognition on the great power of art which can infiltrate into inner deep injury above imaginary area on expression which visualizes invisible area, and at the same time, again humbly accepted the weight of artists' frustration and agony which they undergo in the countless process of progressing work of art. The researcher promises oneself to be an artist who constantly exerts efforts for the work of art to present a true echo to other people by taking the opportunity of this study. 자신이 속한 세상을 탐구하고 시각적 사고로 구조화하는 오늘날의 미술가들은 내부에 숨겨놓은 욕망을 분출하기 위한 소재를 종종 자신의 개인사에서 찾곤 한다. 본인 역시 이러한 현대미술의 자기술회적인 속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본 논문은 본인의 내면 탐구를 통해 어린 시절의 기억과 상처를 끄집어내어 상징적으로 작품에 표현하고 다양한 표현방법을 실험했던 전개 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특히 본인의 작업에서 핵심이 되는 개인사적 이야기는 ‘집’이라는 소재로 대변된다. 본인에게 있어 ‘집’이란 거주의 근거지인 동시에 안식과 치유를 뜻하는 상징적 공간이며 가족과 자신만의 시간을 오롯이 간직한 기억의 공간을 의미한다. 본인 작업의 근간이 되는 공간은 삶을 선사한 ‘자궁’을 뜻하면서 성장을 가능케 한 ‘집’과 동일 선상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간 개념은 기호학자이면서 정신분석가인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코라(chora) 이론으로 설명되어질 수 있다. 어머니의 신체를 ‘품다’라는 뜻을 가진 ‘코라’는 타자를 품은 어머니의 신체, 곧 이물질을 담은 큰 타자로서 사랑과 고통을 의미하는 무의식의 그릇이라는 여성의 신체와 자궁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인의 작업과 맥을 같이한다. 또한 이 이론의 핵심인 기호계는 가부장적인 상징계를 교란시키고 전복하는 창조적인 힘을 가지고 있으며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힘든 예술적 에너지가 여기에 기인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 작가 연구에서 자전적 성격이 강한 루이스 부르주아를 선정하여 그녀의 1940년대 작품들 집, 공간이라는 주거지에 관련된 <여자-집> 연작과 <밀실> 연작을 통하여 작업내에서의 공간의 의미와 상징성에대하여 알아보고 본인 작업과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본인만의 독자적인 예술 표현 방식에 대하여 고찰하였는데 개인사를 통한 자기술회적인 작업의 정당성을 언급하며 2008년부터 최근 2012까지의 작업들을, 시기에 따른 주제별 특성으로 분류하여 논하였다. 먼저 ‘기억의 공간을 통한 자아의 전달’에서는 트라우마를 전제로 하는 개인사적 이야기를 처음 하게 된 <He has no child>와 비닐하우스 형태로 표현되는 <집을 읽다> 시리즈를 연구하였다. ‘확장된 공간으로 표현되는 자아’ 에서는 ‘나시스가모의 버림받은 4남매 사건’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에 영감을 받아 작업한 <Individually mountain>과 심리 치료를 목적으로 그려진 아이들의 드로잉으로 작업한 <꽃은 언제나 ‘씨’ 안에 있다> 작업을 전개하였다. 또한, 여성의 자궁으로 대변되는 기억의 공간을 주제로 ‘근원적 공간’이라는 전시타이틀로 <Chora>, <Between roof and roof>, <Tunnel>, <The green stairs>를 순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인의 기억과 경험이 작업에 어떻게 은유적으로 표현되었는지 알아보며 기억을 중심으로 한 공간 안에서 나타나는 자아 정체성과 상징성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본인의 일련의 작업들은 공통적으로 ‘치유’라는 목적으로 귀결된다. 본인에게 있어 작품을 만든다는 행위는 비논리적인 의식의 상태를 자유롭게 드러냄으로서 스스로를 치유하기 때문이다. 즉, 작품을 통해 기억을 되풀이하며 트라우마를 다시 직면함으로써 소망을 좌절시키는 현실과 반대로 충족시키는 상상의 세계 사이의 중간지대에서 마음속에 재생하는 반복행위로 자기중심적인 치유 과정을 겪게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가시화의 영역을 가시화시키는 표현상의 상상적 영역을 넘어, 내면 깊숙한 상처까지 침투할 수 있는 예술의 위대한 힘을 인지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작업을 진행하는 무수한 과정에서 겪는 예술가의 좌절과 고통의 무게를 다시 한 번 겸허히 받아들이게 되었다. 본인은 사람들에게 진정한 울림을 줄 수 있는 작품을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는 예술가가 되기를 본 논문을 기점으로 스스로 다짐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