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화법 및 작문 이론의 대비를 위한 예비적 논의

        민병곤 ( Byeong Gon Min ) 한국작문학회 2009 작문연구 Vol.0 No.8

        필자는 화법 이론과 작문 이론의 자기 정체성 정립을 위하여 양자를 대비 고찰할 필요가 있음을 전제하고, 이론의 개념과 구성 요소, 화법 이론과 작문 이론의 동향을 살피고, 대비적 논의의 생산성을 위한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주요 내용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법 이론과 작문 이론은 모두 학문적 자기 정체성 정립의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인접 이론인 화법 이론과 작문 이론은 서로를 참조하면서 연구 대상과 방법을 이론화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둘째, 이론은 하나의 연구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을 포괄적으로 전제해야 한다. 화법 이론과 작문 이론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이러한 전제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이론적 지형과 맥락을 파악하면서 다루어져 왔는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이론 간의 대비를 위해서는 비교의 기준 설정이 필요하며 연구대상을 공유해야 한다. 화법 이론과 작문 이론의 대비를 위해서는 양자를 연구 프로그램(이론1)의 층위에서 대비할 것인지, 아니면 특정 이론(이론2)의 층위에서 비교할 것인지를 고려해야 하고, 각각의 경우 모두 비교의 기준이 될 만한 범주나 메타 이론의 설정이 필요하다. 넷째, 화법 이론과 작문 이론의 기본적 연구 대상은 각각 화법 현상과 작문 현상이다. 양자를 미시적으로 대비하기에 용이한 지점은 화법 현상과 작문 현상이 교차하는 담화 및 텍스트를 선정하는 데 있다. 다섯째, 화법 이론 및 작문 이론의 통합으로서의 표현 이론은 화법과 작문만이 아닌 좀 더 보편적인 표현의 원리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거시이론으로서 화법 이론과 작문 이론의 비교는 언어가 아닌 다른 표현 매체를 활용한 표현의 이론들을 아우르는 표현론 또는 표현학의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tates that oral communication theory and written composition theory need to be compared in order to establish their disciplinary identities. It explains the concept of and the elements of a theory, explores the contemporary theory of oral communication and written composition, and suggests the direction for contrastive research program for productivity. The main ideas established are as follows: Firstly, oral communication theory and written composition theory face the challenge of establishing their own identities as academic disciplines. In this respect, both disciplines need to refer to each other and to theorize their own research objects and methodologies. Secondly, a theory should contain elements related to its research program such as philosophical, theoretical, analytical, empirical, and practical elements. We need to check whether the previous research program on oral communication theory and written composition theory wa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elements and context. Third, in order to compare the oral communications and written composition theories, researchers need to set criteria for comparison and employ research objects. They need to decide on the levels at which they can compare the two theories, that is, whether on the research program (theory1) or on the specific theory level (theory2). In addition, it could be helpful to have some categories and meta-theories that can be applied. Fourth, the basic research objects of the oral communication and written composition theories are phenomena of oral communication and written composition, respectively. A proper position for a comparison would be to choose discourses or texts in which the two phenomena cross over. Lastly, an expression theory as an integration of oral communication theory and written composition theory should be based on universal principles of expression with respect to speaking and writing. A comparison between the oral communication and written composition theories as a macro theory could b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clusive expression disciplines.

      • KCI등재

        논문 : 한국어능력시험의 운영 현황 및 과제

        민병곤 ( Byeong Gon Min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어 교육 Vol.16 No.3

        Based on statistical data, the writ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 8th TOPIK conducted in 2004, casting light on certain problems involving its management and execution. Following this, the writer suggests several solutions. Firstly, in order to develop the TOPIK as a scientific test and to enhance its quality, it is necessary to conduct systematic and in-depth research on each test. Secondly, availability of the item bank and vocabulary lists of previous tests will prove to be helpful to those who prepare these tests. Thirdly, a manpower pool consisting of experts with diverse academic backgrounds should be established and a greater number of training workshops should be organized for them to participate in. Fourthly, the TOPIK should be designed and reported such that it satisfies the diverse needs of the applicants. Fifthly, the current scoring system should be replaced by a more reliable one in terms of measurement science, since it does not equate each test and continues to have the same benchmark every year. Lastly, the TOPIK should customise its design and content according to the diverse needs of the people.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KCI등재

        국어 수업 컨설팅 모형 및 매뉴얼 개발 연구

        민병곤 ( Byeong Gon Min ),권회경 ( Hoe Kyung Kwon ),이은미 ( Eun Mi Lee ) 한국어교육학회 2007 국어교육 Vol.0 No.123

        이 연구는 국어 수업 컨설팅 모형을 구안하고 국어 수업 컨설턴트를 위한 사용자 매뉴얼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 수업 컨설팅이란 교사의 자발적 의뢰를 바탕으로 국어 수업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거나 전문성을 계발하기 위해 국어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사람들이 제공하는 조언활동이다. 국어 수업 컨설팅은 국어 수업의 질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국어 수업 컨설팅의 주요 과업은 국어 수업과 관련한 문제 진단, 대안 수립, 해결 방안 실행 지원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 an instructional consultation model and to develop a user manual for consultants in Korean.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 Korean can be defined as supportive advice that specialists of instruction in Korean provide

      • KCI등재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 연구

        민병곤 ( Min Byeong-gon ),조수진 ( Cho Su-jin ),홍은실 ( Hong Eun-sil ),박현정 ( Park Hyun-jeong ),강석한 ( Kang Seok-han ),이성준 ( Lee Sung-jun ),오예림 ( Oh Ye-lim ),이승원 ( Lee Seung-won ),안현기 ( Ahn Hyunkee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국어교육 Vol.0 No.157

        The overall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for foreign students. As part of this purpose,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d on the processes of designing a test framework and verifying the developed test items. The test framework was developed through theoretical reviews, surveys, and the Delphi Method. We suggest these four constructs for the final test version: “vocabulary and grammar,” “pronunciation and fluency,” “content,” and “organization.” We also added “overall performance” as a holistic criterion. Six different tasks for the test were derived from the three types of discourse in academic situations: narratives, explanations, and persuasions. Within the test framework, we also developed many test items and finally developed a trial test set of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KoSTAP), an Internet-based Korean speaking test. A total of 120 foreig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KoSTAP test, and we collected 720 responses. Nine Korean speaking test experts scored the tests in accordance with the scoring rubric we developed. For statistical validity, we conducted a statistical analysis of test results for the Items, constructs, raters, and test-tak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test reliability was very high, and the interclass-correlation between the test types and examinee groups was at a good level.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sks and constructs, we also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found that some test items showed low quality when estimated by task format and prompt. An analysis of test-taker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orean language levels and academic levels among the them.

      • KCI등재
      • KCI등재

        "화법과 작문" 과목의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민병곤 ( Byeong Gon Min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6

        필자는 2012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선택과목 ‘화법과 작문’의 성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화법’과 ‘작문’ 과목 각각을 중심으로 한 과목 정체성 재정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화법과 작문’ 과목의 문제점으로 제기한 내용은 크게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교과 내적 요구에 의해서가 아니라, 과목 수 축소 및 저조한 과목 선택률 개선과 같은 교육 외적인 요구에 의해서 통합을 강요받았다는 점이다. 둘째, ‘화법과 작문’ 과목이 다른 영역과의 결합 필요성을 배제하거나 간과하게 한다는 점이다. 셋째, 가장 큰 문제점으로 ‘화법’이나 ‘작문’의 개체적 자율성을 보존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필자는 개별 과목 중심으로 타 영역을 수렴하여 통합하는 과목 정체성 재정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화법과목은 ‘연설’ 교육 내용을 예로 들어 타 영역의 내용이 어떻게 화법 과목에 통합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작문 과목은 ‘설득하는 글쓰기’를 예로 들어 논의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방안이 개별 과목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공통과정의 학습 내용을 심화·발전시키고 나아가 선택과목에서 언어 사용의 실제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실 있는 과목 정체성의 확립이 전제될 때에만 교육 외적인 논리에 의해서 교과목을 해체하거나 통합하도록 강요받는 사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임을 강조하였다. The author critically reviews the identity of ``Speech Communication and Written Composition (SC&WC)``, an optional subject in the revised 2012 Korean curriculum for high schools, and shows how it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into the individual subjects of ``Speech Communication`` and ``Written Composition``. The issues discussed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ion of the two subjects was forced not by the internal needs of the subjects but by external ones such as reduction in the number of optional subjects and enhancement of the low ratio of selection. Second, little or no possibility existed of integrating the two subjects with any other subjects. Third, most importantly, it is difficult to preserve the individual autonomy of the two subjects when teaching SC&WC as a whol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author suggests an alternative that involves reconstructing the identities of the subjects separately by including topics from other areas in them. A content example is presented, in which topics such as public speech and persuasive writing are integrated into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Additionally, ideas are presented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the autonomy of optional subjects, to the development and deepening of the core curriculum`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nd to the enhancement of practical language use. Finally, the need is emphasised for preparing for possibly enforcing the integration or deconstruction of subjects on the basis of external educational needs an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separate optional subjects.

      • KCI등재

        고도 전문화 시대의 언어 인식과 교육적 대응

        민병곤 ( Byeong Gon Min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6 No.-

        이 논문은 고도로 전문화된 현대 사회에서 담화의 전문화에 따른 언어문제와 언어 인식에 대하여 논의하고 그 교육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고도 전문화 시대에 제기되는 언어 문제의 성격을 고찰하고(2장),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요구되는 언어 인식의 두 측면을 살펴본 후(3, 4장), 언어 인식 제고를 위한 국어 교육의 과제를 제안하는(5장)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필자는 지식 정보화 사회의 도래가 전문화된 담화를 양산하게 만들고 이로 인하여 생겨나는 지식의 불평등과 의사소통의 위기가 고도 전문화 사 회 언어 문제의 본질이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언어 인식의 문제를 기능적 언 어 인식과 비판적 언어 인식의 두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전자는 전문가 집단 내에서 개인의 직무 수행과 관련한 언어 인식의 문제이고, 후자는 전문가 집 단과 비전문가 집단 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언어 인식의 문제이다.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필자는 ``한국 표준 직업 분류``를 바탕으로 전문 분야를 ``관리자, 과학·정보통신·공학 전문가 및 기술직,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교육 전문가 및 관련직, 법률 및 행정 전문직, 경영·금융전문가 및 관련직,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의 일곱으로 나누고각 직군에서 요구되는 언어 인식의 문제를 기술하고 전문가 집단과 비전문가 집단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비판적 언어 인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도 전문화 시대 언어 인식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국어 교육의 과제 네 가지를 제기하였다. 첫째, 언어 기술의 이론적 기반을 기능주의 적 접근으로 확장하는 문제, 둘째, 문법 또는 국어 지식의 내용을 언어 기능영역의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할 것, 셋째, 전문적 담화에 대한사회적 소통을 활성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여 전문 분야 담화를 재구성하게 할 것. 넷째, 담화 분석 및 언어 인식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확대할 것. The present study discusses language awareness and the educational responses to it in a highly specialized society . For this author, the problem of language awareness arises from both the inequality of knowledge and the crisis of communication that has its origins in an age of information and mass production of specialized discourse. The former is related to communication among specialists and the latter between specialists and non-specialists.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the author classifies the specialized areas into seven categories: management; science, information and engineering; health, social welfare, and religion; education; law and governance; business and finance; and culture, art, and sports. In addition, he describes language awareness through each of these categories and argues that critical language awareness is necessary for communication between specialists and non-specialists. Finally, he discusses the educational tasks required to resolve problems, such as a more functional approach to language and school grammar, the cultivation of discourse among specialists, the reconstruction of various special discourses for non-specialists, and a more critical approach to discourse analysis and language awareness.

      • KCI등재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실태 분석-의사소통 어려움의 요인 및 경로 모형과 어려움 해소에 필요한 학습 기간을 중심으로

        민병곤 ( Min Byeonggon ),구본관 ( Koo Bonkwan ),박성석 ( Park Seongseog ),박종관 ( Park Jong-kwan ),김종철 ( Kim Jong-cheol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3

        본 연구는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고, 어려움 해소에 필요한 학습 기간을 실증적으로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사회 이주민 중 다수를 차지하는 이주민근로자, 결혼이주민, 이주민자녀 구성원 728명을 전국적으로 표집, 조사하고, 결측이 없는 461명의 자료에 대해 조건부 과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거주 기간이 직·간접적 경로로 한국어 어려움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여기에 한국어 학습 기간이 조절 변인으로, 한국어 능력 인식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며, 어려움 인식의 출발점이 성인과 미성년에게서 달리 나타남을 밝혔다. 또한 한국에 거주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매주 4시간 정도 한국어를 학습한다면, 한국어 의사소통이 별로 어렵지 않다고 느끼게 되기까지 성인 이주민은 최소 6.8년, 미성년 이주민은 최소 2.9년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contributing variables to immigrants` difficulty of communication in Korean, and the learning period required to overcome the difficulty based on the empirical evidence. A comprehensive survey was conducted on 728 people, who were from three immigrant groups (Immigrant Worker, Marriage Immigrant, Immigrant Child) living in Korea. 461 participants` responses, with no missing values, were analyzed using Hayes(2013)`s model 8.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ength of Residence plays a role in immigrants` Self-awareness of Difficulty through the direct path and indirect path. In addition, Self-awareness of Korean Language Ability affected it as a mediator, and Learning Period as a moderator on the direct or indirect path. Moreover, adult immigrants had higher Self-awareness of Difficulty than children upon their arrival.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ifficulty reported by adult and child immigrants was maintained through the learning period. Second, if an adult immigrant continues to learn Korean 4 hours a week from arrival, s/he will overcome the difficulty after 6.8 years, and a child immigrant, under the same condition, needs 2.9 years.

      • KCI등재

        청소년 언어문화 실태 연구 -구어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민병곤 ( Min Byeong-gon ),정혜승 ( Chung Hye-seung ),정현선 ( Jeong Hyeon-seon ),김정자 ( Kim Jeong-ja ),권은선 ( Kwon Eun-sun ),박성석 ( Park Seong-seog ),이병하 ( Lee Byung-ha ),임해랑 ( Lim Hae-rang ),박현정 ( Park Hyun-jeon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국어교육 Vol.0 No.159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discuss Korean adolescents’ oral language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from 3,429 adolescents, ranging from 10 to 18 years old, which was conducted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Researchers defined the adolescents’ language culture as a hierarchical structure which consists of three layers, namely, expression, behavior, and thought.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focused on the expression layer, this study tries to focus on the behavior and thought layer of adolescents’ language culture. Researchers selected four categories-two are from behavior layer, and another two are from thought layer-as the locus which Korean adolescents’ oral language culture shows its unique characteristics: (a) Active Participation in Public Communication(APPC); (b) Empathic Attitude in Private Communication(EAPC); (c) Recognition of Language as Self-Expression(RLSE); and (d)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Role Model(RCRM). And Researchers analyzed the difference of survey result by school year, sex, and scale of residential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is decreases in three cultural aspects, including APPC(public speech and discussion), EAPC(with parents), and RCRM; (2) There is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three cultural aspects, including APPC(discussion), EAPC(with peers), and RLSE. Female adolescents where higher than male in all cultural aspects; (3) There is difference among metropolitan, urban, and rural adolescents in three cultural aspects, including APPC(public speech and discussion), EAPC(with peers and with parents), RLSE. In all cultural aspects, metropolitan adolescents were higher than urban and rural adolescents or than rural adolescents. Some general discussions were given in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