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토벤 현악4중주 op. 127의 구조와 작곡기법 연구 : 제 1악장을 중심으로

        문혜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지 고전주의 현악4중주를 정착, 발전시킨 하이든과 모차르트에 이어서 베토벤은 고유의 양식과 작곡기법으로 이 장르를 절정으로 이끌었다. 이에 특징적인 작법적 양상을 짙게 발한 초기와 중기작품을 거쳐 12년의 공백기가 지난 후에 육체적, 정신적 고통이 수반된 상태에서 탄생한 베토벤의 후기 현악4중주는 그 절정의 대표작들로 역사에 자리매김 하고 있다. 본 논문은 후기 현악4중주 중 첫 번째 작품인 op. 127을 첫 악장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적으로 살펴보았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베토벤은 이 현악4중주에서 전통적인 소나타악장 형식의 틀을 과감히 벗어나는데, 그 예로 악장을 시작하는 서주마디들을 단순히 서주로만 그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이후의 전개에서 중요한 구조적, 구성적, 주제적 역할을 하게 한다. 두 번째, 베토벤의 op. 127의 1악장에서는 네 성부의 온전한 동등성이 실현된다. 그리하여 그 동등성 안에서 네 악기는 전통적인 전개방식을 벗어나 출현순서 및 성부전개에 있어서도 자유로움을 구현한다. 세 번째, 무엇보다 주목을 끄는 것은 다채롭고 집중적인, 하지만 통일성을 결코 포기하지 않는 발전 양상이다. 주제의 제시가 이루어지는 제시부에서 이미 음악적 재료들은 발전에 노출되고, 이는 발전부에 이르러 정점에 이른다. 당김음, 동형진행, 음정 확대, 선율 확대 및 축소, 수직 ․ 수평적 결합 등의 수단을 통해 악장의 주제적 재료들이 극도로 다채롭고 극적인 변형을 겪는 것이다. 네 번째, 주제적 재료들의 변형, 발전만큼 음악적 짜임새도 무척 다채로워서 폴리포니와 호모포니, 음역 ․ 음향 ․ 주제 ․ 동기의 대비 등을 모두 포괄한다. 위와 같은 베토벤의 특징적인 작곡기법들은 궁극적으로 작품의 극적 성격과 내적 ․ 외적 역동성을 실현하는데 기여한다. 그리고 그 극성과 역동성은 강도 높게 유기적인 구조 및 구성에 기반한다. 본 논문의 핵심 결론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이 유기체적 발전 기법을 통하여 이 작품은 베토벤의 현악4중주를 넘어 현악4중주라는 장르의 역사에서 절대적 위치를 차지한다.

      • Cause of death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n Busan : Multicenter study

        문혜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has increased considerably in recent decades. However, there are no current reliable estimates of the excess mortality associated with diabetes. Methods: We analyzed all subjects with T2DM over the age of 30 whose death certificates were issued at three hospitals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from 2010 to 2014. The causes of death were retrospectively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from attending physicians or death certificates. Results: The study comprised 777 patients of which 60.1% were male. The average age of death was 71 years. In these patient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was infectious disease (28.1%), followed by cardiovascular disease (25.5%), malignant neoplasm (24.5%), and kidney disease (8.1%). This trend was consistent when we sub-analyzed them according to glycemic control status. However, cancer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male patients. Compared with prior studies, cardiovascular disease as the cause of death decreased and malignant neoplasm increased steadily. Conclusion: Preventive strategies for primary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infectious diseases are urgently needed to reduce this excess mortality in patients with T2DM. In addition, gender differences in the cause of death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urthermore, the association of diabetes with malignancy indicate a potential need for appropriate cancer screening among patients with T2DM. 당뇨병의 유병률은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도 높아 국내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당뇨병 사망원인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고 1990년대, 2000년대에 선행된 연구가 있으나 새로운 약제들이 임상에 도입되고 당뇨병 관리기술도 비약적으로 발전하였기에 당뇨병 환자의 사망원인에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2010년도부터 5년간 다기관연구를 통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사망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0년도 1월부터 2014년도 12월까지 5년 동안 부산 시내 주요 세 병원, 동아대학교병원, 부산 침례병원,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사망진단서가 발부된 30세 이상의 제2형 당뇨병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당뇨병 진단 당시에 결핵, 간질환, 갑상선질환, 신장질환, 결체조직질환, 악성종양 등이 동반된 경우는 제외하였다. 사망원인은 사망진단서에 직접 사인으로 기재된 질환으로 하였고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표(KDC-4)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1990년대, 2000년대의 당뇨병 사망원인을 분석한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총 777명이었으며 이 중 60%가 남성이었다. 평균 사망연령은 71세였다. 사망원인은 감염성질환(28.1%)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심혈관질환(25.5%), 악성종양(24.5%), 신장질환(8.1%) 순서였다. 여성과 달리 남성에서는 악성종양이 감염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보다 비율이 더 높았다. 악성종양 중에서는 간세포암으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았다. 1990년대, 2000년대 연구와 비교했을 때 심혈관질환은 감소하고 악성종양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환자의 가장 많은 사망원인이 감염성질환이었으나 남녀간의 차이가 있었다. 당뇨병 환자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당뇨병 환자에서 감염성 질환에 대한 예방적 관리와 암에 대한 적절한 조기검진이 필요하다.

      • 청각-자폐 중복장애아동의 수화학습에 관한 사례연구

        문혜연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changes process in the learning development for two multiple disabilities who are deaf with autism as a cas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to observe the changes in how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accept sign language, and (b) to observe the changes in how they express sign language. The observa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to september. One female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one male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who both have multiple disabilities(deaf-autism) were participated for this case study. Two student's sign language which was using for conversation at classroom during six months was record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that: (a) sign language was effective in accepting language itself. It was especially effective in verbs. When verbs were learned by sign language it was easier for students to use them in ordinary life constantly and repeatedly, and because verb is a dynamic concept there were errors in explaining them in photos and pictures since they are still daters, but through sign language error were reduced because sign language is a dynamic and visual language. And (b) sign language changed the way they expressed language. It differed from the degree of student's disability and their ability to imitate but they expressed sign language by themselves. They expressed their ideas even though their sign language wasn't accurate. And also their problem behaviors decreased and the use of positive expressions increased. Even in situations when they couldn't use sign language they changed their expressions from shouting, crying or aggressive actions to eye contact, directing objects and pulling hands. It is also important for develope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ng system) for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deaf and autism) but using the most commonly used language within hearing handicapped(sign language) can help improve communicating skills for deaf-autistic child.

      • 유아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혜연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기의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의 음악 감상활동을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 유아의 발달에 맞게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Y유치원의 만4세 유아34명과 만5세 유아 56명 모두 90명(남자57명, 여자33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음계 청음능력 및 음악적 개념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음악 감상활동을 10주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사도 사전검사와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도구는 음계 청음능력 검사는 기본8음계로 검사하였으며 음악적 개념검사도구는 이연섭의 '학습준비도 검사'중 24개 문항과 이건용의 '청각을 통한 음악능력 평가 시스템 개발방안'에서 18개 문항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음악능력의 하위영역에서 음계 청음능력은 사전-사후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음악적 개념에서도 박자를 듣고 따라 손뼉치기, 악기소리 구별하기, 빠른 소리 느린 소리 구별하기, 세 가지 악기소리 알아맞히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음악 감상활동이 음악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계 청음능력의 성별 및 연령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분석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음계청음능력이 더 향상되었으며 연령별 분석에서는 만5세 유아와 만4세 유아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음악적 개념검사에서 나타난 성별, 연령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아가 여아보다 전반적으로 더 많이 향상된 결과를 보여 주었고 남아는 표현법, 셈여림 구별에서 여아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연령차이에서는 만4세와 만5세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음계 청음능력의 향상에 대한 성별, 연령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아 .11, 여아 .14로 여아가 남아보다 더 큰 점수 차를 보였으며 연령에서는 만4세와 만5세 간의 차이는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음악적 개념 향상에 대한 성별 및 연령에 대한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에서는 남아들의 평균이 .18, 여아는 .05로서 남아들의 점수 차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빠른 소리 느린 소리 구별하기에서 만4세가 .22, 만5세가 .18이며 리듬 구별하기에서도 만4세는 .20, 만5세는 .14로서 만4세 유아의 향상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문제에 따라 통계적 유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t 검증과 일원변량 분석을 사용하였다. The study aims to know the children's music activity on music capability and to apply children's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o some teaching spots according to each children's development stage. For the study were performed for 10 weeks, using the same method in taking post-tests. As an experiment device music scale listening ability test was taken according to the basic 8 scales, and musical test was taken by the 24 items in "Yi, Yeon-Seop's Learning Preperation Test and the 8 items in "Yi, Keon-Yong's System of Evaluating Music Ability through Audition."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as following. First, Children's music appreciation ability had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musical capability. At the low category of musical ability music scale listening ability shows its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nd its increase in the musical conception tests such as 44 percent in clapping after hearing meter, 25 percent in distinguishing the instrument sounds, 20 percent in telling the quick sound from the slow sound, and 20 percent in comprehending the three instrument sounds. So children's music activity is on the improvement their musical ability. Second, resulting from the differences of music scale ability by gender or by age, girls has raised music scale listening ability more than boys, showing no difference between 5 year old child and 4 year old. Third, resulting from the difference of music scale ability by gender and by age boys improved more than girls. Boys has showed the remarkable improvement of expression ability, and the distinguishing ability of strong and weak sounds more than girls, not showing any difference between four year old one and five year old. Fourth, resulting from the grade differences of music scale listening ability by gender and by age, girls have showed more differences than boys, indicating 11 percent in boys and 14 percent in girls and showing no difference between four year old one and five year old. Fifth, resulting from the grade differences of musical showed more grade differences in average 5 percent. By age four year old children have showed 22 percent more than five year old ones 18 percent in distinguishing the quick sound from the slow sound, and four year old ones 14 percent in distinguishing some rhythms.

      • 배 흑성병원균 (Venturia nashicola Tanaka & Yamamoto)의 생리·생태적 특성 및 이의 생물학적 방제제 탐색

        문혜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During February 2006 to February 2008, the seasonal diversity of airborne fungi in the oriental pear (Pyrus pyrifolia (Burman) Nakai) farms l℃ated in Naju, Jeonnam Province, Korea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 total, 7,030 colonies of airborne fungi were detected on the plates from the farms using plate lid opening method. From the black spot (scab) lesions on pear leaf and fruit, twenty isolates of Venturia have been purely isolated. All the fungi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18S and 28S rDNA sequence analysis. Out of airborne fungi isolated, Ascomycota group was the most prevalent phylum and followed by Basidiomycota and Zygomycota, consisting of small sectors (1-3%). In this study, Alternaria and Cladosporium were the most prevalent airborne fungal genus, and followed by Epic℃cum, Fusarium and Penicillium. Strains of the Venturia species were placed in three distinct monophyletic groups in a phylogenetic tree. V. nashicola is a species phylogenetically distinct from V. pirina which causes scab of European pear and V. inaequalis which causes commonly apple scab.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irborne fungi and pear scab pathogens were investigated. Growths of fungi tested varied with species or strains. Out of 15 airborne fungi tested, the growth of Aspergillus EML-NJA11-05 and Phomopsis sp. EML-NJA8-09 were better at 18℃ than 32℃. Especially, Aspergillus EML-NJA11-05 grew best at lowered water activity (0.95 a_(w)) level. In addition, growths of Venturia species were basically very slow and varied with strains within the same spec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Growth rates of different isolates of Venturia on oatmeal agar at 18℃ ranged 0.2 to 1.1 mm per day. Interestingly, all the species hardly grew at 27 to 32℃ and low water activity (0.95 a_(w)) but grew better at 13 to 23℃. Antifungal activity of 300 bacterial and fungal isolates against five phytopathogens were investigated. Out of them, Bacillus sp. EML-B13 was selected as a strong candidate for bi℃ontrol of pear scab. The agent was active against all the pathogens used but more active against Colletotrichum sp. CO10 and V. nashicola CBS 793.84. When the resistance of different Venturia species to chemicals such as carbendazim, trifloxystrobin and triflumizole was evaluated using standard susceptibility test method, V. nashicola EML-VEN1, V. nashicola CBS 793.84 and V. inaequalis KACC 40329 were susceptible to the chemicals while V. nashicola EML-VEN2 and V. nashicola EML-VEN4 were considerably resistant to the chemicals at the level of 2,000 ppm. Our results showed Venturia strains isolated from the pear fields in Korea were most resistant to triflumizole at the level of 2,000 ppm. The information about diversity of airborne fungi and pear scab pathogens in pear fields, chemical resistance of Venturia species to pesticides, and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m will be useful for development of bi℃ontrol agents against pear diseases in sustainable agriculture. 2006년부터 2008년에 걸쳐 전남 나주지역에 위치한 배 포장에서 계절에 따른 공기 전염성 곰팡이 (airborne fungi)의 다양성과 배 흑성병 (pear scab) 병원균의 발생분포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공기 전염성 곰팡이의 분리를 위하여 배나무 포장에서 plate lid open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배양적, 형태적 특성 및 18S와 28S ribosomal RNA 유전자 분석에 기초하여 동정하였다. 공기 전염성 곰팡이의 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Ascomycota (자낭균문)이 가장 자주 검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Zygomycota (점합균문)와 Basidiomycota (담자균문)이 차지하였다. Alternaria와 Cladosporium속 균이 가장 자주 분리되는 공기 전염성 곰팡이였고 Epic℃cum, Penicillium 및 Fusarium속 균이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한편, 배나무 이병병반으로부터 배 흑성병원균을 direct plating 법으로 분리하였고, 자실체의 형태와 상기의 분자계통분류학적인 방법으로 동정하였다. 연구결과, Venturia 종들은 분자계통상에서 세 가지 각기 다른 그룹에 속해 있었다. V. nashicola는 유럽지역에서의 흑성병원균인 V. pirina와 사과 흑성병원균으로 알려진 V. inaequalis와 계통 분류학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공기전염성 곰팡이 15개 균주와 배 흑성병원균 (Venturia) 4개 균주의 생리 생태적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공기전염성 곰팡이 15개 중 Aspergillus sp. EML-NJA11-05와 Phomopsis sp. EML-NJA8-09의 균사 생장은 대체로 32℃에서 보다 18℃에서 더 양호한 생장을 보였으며 Aspergillus의 경우 낮은 수분활성도인 0.95 a_(w)에서도 잘 생장하였다. Venturia 균주의 생장은 기본적으로 느리고 환경조건에 따라 다양하였다. 18℃의 OA배지에서 Venturia의 균주의 생장율은 하루에 0.2-1.1 mm로 매우 낮았다. 흥미롭게도, 대부분의 균주들이 27-32℃에서 보다 13-23℃에서 대체로 더 높은 생장율을 보였으며 낮은 수분활성도 (0.95 a_(w))에서는 매우 낮은 균 생장율을 보였다. 300여 개의 균 배양체를 이용하여 Venturia를 포함한 다섯 종류의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sp. EML-B13 균주가 다섯 균주 모두에 항균활성을 보였고, 특히 Colletotrichum sp. CO10와 V. nashicola CBS 793.84에 대해 높은 활성을 보여 흑성병의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잠재성을 보였다. Carbendazim, trifloxystrobin과 triflumizole과 같은 화학 약재에 대한 Venturia 균주의 약제저항성을 standard susceptible test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V. nashicola EML-VEN1, V. nashicola CBS 793.84와 V. inaequalis KACC 40329는 화학약재에 대해 감수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V. nashicola EML-VEN2와 V. nashicola EML-VEN4는 화학약재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배나무 재배지에서의 균류의 다양성 연구, 이들의 생리·생태적 특성 및 화학약제에 대한 저항성 연구는 배병방제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시 작품집 ≪북극의 시간≫ 창작론

        문혜연 숭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manuscript is the writing of the process of creative writing based on 50 poems written by the graduate school. The poetic thinking to start the writing, an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creative writing were organized through example of the creative poems. In chapter 1, defined the poem I thought. Before deciding on how to create poetry, thought it was necessary to explore the genre of poetry. So tryed to define the poem by asking questions about the poem. In chapter 2 about the background of creative writing, first, arranged the elements of determining the style of poetry. It is worth considering the process of forming a unique style of writing, and each of the nine items was organized, and the poetry was defined through the this manuscript's writer style. Next, introduced texts that influenced writing poems. Thought that I wanted to incorporate fantasy images into poetry, but it was always difficult to balance fantasy and reality. Through the prose poetry of Baudelaire, learned that using a realistic style of grammar can help to use prose closer to reality. Through Lee Jenny’s poems, found that act of naming objects creates a fantastic atmosphere. Also, learned that repetition is the best way to create rhythm, and variation of the rhythm is important too. Through the creative poem <Argentina>, looked back at that enlightenment. Finally, The exercise style of the writing learned in the graduate school Master course <Poetry Create Seminar>, explained a method of expressing one writing material as seven main feelings. Introduced poem <The Witch's Kitchen> and <Paper goldfish> for explain the effects of the exercise style of the writing. In Chapter 3, give a detail account the process of writing a poem. The process of presenting ideas come from the experience of everyday and the impression of painting, briefly explain that process through poems <Arctic Time>and <On Thursday>. Along with the actual creation process, composed creating a total of three poems : <Sue>, <Hyeongjeseom Island> and <Pretty penis>. And it was divided into categories of rhythm, prose poems, the balance between fantasy and reality. In addition, the poetry writing method like the play learned in <Poetry Creative Seminar > was effective in creating a poetic atmosphere and explained it as a <Refrigerator>. Lastly, revealed the process of modification for checking uniformity poetic images, poetic word and rhythm through <Door and Door>. In conclusion, reviewed the method of creativity discussed earlier and arranged the direction of this writer's poetry. This paper may be read as a personal interpretation to my poetry, but it can be meaningful as an objective analysis to check the poem, too. Before all else, It could sort out the creative method of what thought, intended to write, and wanted to write. Writing could be a product of genius, but thought it could be a way for a person to speak towards the world. Writing a good poem is important, but realized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how to write and write what I want to write. Also, wanted to elaborate on how to create a poem that learned from graduate school. That's because the exercise style of the writing and the poetry writing method like the play were of help to create a poem. And thought it would help people who wanted to learn how to create poetry. In an appendix, have included fifty poems, including the <Arctic Time>. 본고는 필자가 대학원 석사 과정에서 집필한 시 50편을 바탕으로 창작의 과정을 정리한 글이다. 창작 이전의 영향과 배경부터 창작의 시작인 발상, 실제 집필, 퇴고의 과정을 실제 창작시를 예로 들며 정리했다. 제 1장 서론에서는 필자가 생각하는 시에 대해 정의해봤다. 시란 무엇인가? 라는 물음으로부터 뻗어나가 시에 대해 정리한 것으로, 시 창작에 대해 밝히기 전 시에 대한 장르적 탐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제 2장 창작의 배경에서는 우선 시의 스타일을 결정짓는 요소에 대해 정리했다. 문체(文體)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고심해 볼 만한 것으로, 아홉 가지의 항목에 대해 각각 정리하고 필자의 문체를 창작시 <매머드 연대기>를 예로 들어 정리했다. 그 다음으로는 시를 쓰기 까지 영향 받은 텍스트들을 소개했다. 필자는 환상적인 이미지들을 시 속에 담고 싶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 항상 환상과 현실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어려웠다. 보들레르의 산문시를 통해, 환상적 시 스타일에는 보다 현실의 문법에 가까운 산문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제니로부터는 명명의 힘을 통해 환상을 만들어내고, 시적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을 배웠다. 또, 반복이 리듬을 만들어내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그 반복에는 변주가 따라야 단조롭지 않다는 점을 배우고, 창작시 <아르헨티나>를 통해 되짚어 봤다. 마지막으로는 대학원 석사 과정 중 <시창작 세미나>에서 배운 문체연습으로, 하나의 제재를 일곱 가지의 주된 감정으로 표현해 보는 훈련 과정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창작한 <마녀의 부엌>과 <종이 금붕어>로 그 효과를 소개했다. 3장에서는 창작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밝혔다. 발상을 이끌어오는 과정을 일상의 경험과 회화로 받은 인상으로 나누어 설명하며, 그 발상으로 이루어진 <북극의 시간>, <목요일> 2편의 시를 소개하였다. 실제 창작의 과정에서는 <수>, <형제섬>, <프리티 페니스> 등 총 3편의 시를 통해 필자가 시를 창작하는 방법을 리듬과 산문시, 환상과 현실의 균형의 항목으로 나눠 상세히 밝혔다. 또, <시창작 세미나>에서 배운 연극적 시 쓰기 방법이 시적 분위기 형성에 효과적임을 밝히고, 이를 창작시 <냉장고>로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문과 문>을 통해 리듬과 시어, 이미지의 통일성을 점검하는 퇴고의 과정을 밝혔다. 결론에서는 앞서 논했던 창작의 방법을 재검토하고, 필자의 시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정리했다. 본고는 필자가 스스로의 창작시에 대해 설명한다는 점에서 자신의 시에 대한 개인적 항변으로 읽힐 수도 있겠으나, 시를 쓰는 사람으로서 자신의 시를 객관적으로 점검해본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무엇보다 이전까지는 그저 쓴다고 생각했던 창작을 무엇을, 어떻게, 왜 쓰고자 하는지를 정리해보며, 창작이 번뜩이는 영감을 단숨에 써내려가는 천재적 능력일 수도 있지만, 한 사람이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게 말을 거는 방법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좋은 시를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만큼 스스로 쓰고자 하는 바를 알고 쓰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또, 필자는 대학원 석사 과정에서 배운 시 창작 방법과 훈련 과정을 세세히 소개하고자 했는데, 문체연습과 연극적 시 쓰기 훈련 방법이 시 창작에 큰 도움이 되었던 것도 사실이거니와, 시 창작 방법에 대해 도움을 얻고자 하는 또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부록으로 <북극의 시간>을 포함한 50편의 창작시를 첨부하였다.

      • Bacillus 및 Penicillium의 항균활성 및 병 방제기작에 관한 연구

        문혜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생물 유래의 식물병 방제제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및 Penicillium 균주의 항균활성을 탐색하고, 효소, 항생물질 생성 및 식물생장 촉진효과 등의 작용기작을 조사하여 식물병 방제를 위한 미생물제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포장에서의 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토양, 식물, 청국장, 된장 등의 분리원으로부터 총 100여개의 Bacillus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이 가운데 18개 균주가 길항 활성을 나타냈으며 이중 12개 균주가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고, 그 중 3개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등의 세균에 대한 높은 항세균활성을 보였다. 16S rDNA 및 gyrase A 유전자에 기초하여 동정한 결과 8개 균주가 B.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5개가 B. subtilis subsp. subtilis, 3개가 B. siamensis, 1개 균주가 B.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다. 한편, 곰팡이성 길항균으로서 Penicillium 속 균은 벼, 보리, 밀, 옥수수 등의 종자서식균, 공기유래균, 더덕 및 겨우살이 등의 저장균 등에서 총 38개의 균주가 선발되었다. 이 중 P. oxalicum 종이 우점종으로 분포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P. viridicatum, P. aurantiogriseum, P. polonicum, P. expansum, P. raistrikii 종이 차지하였으며, 2개 균주는 Talaromyces clade에 속하였다. 이들 균주들의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2개 균주가 S. aureus에서, 3개 균주가 E. coli에 대해 항세균활성을 보였으며, 28개 균주가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확보된 Bacillus 및 Penicillium 속 균의 병 방제기작을 조사하였다. Bacillus 균주들의 효소 활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cellulase 및 chitinase의 생성이 확인되었으며, 17개 균주에서 protease, 15개 균주에서 amylase 생성을 확인하였다. 확보된 Penicillium 균의 경우, 1개 균주가 protease를 생성하였으며, 4개 균주가 chitinase와 cellulase, β-glucosidase를, 2개 균주가 amylase를 생성하였다. Bacillus 속 균의 fengycin (fenD), iturin (ituC), surfactin (srfAA), bacilysin (bacA), subtilin (spaS), bacillomycin (bmyB), subtilosin (sboA) 유전자를 포함하는 총 7개의 peptide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분석을 위해 PCR을 이용하였다. 조사된 Bacillus 균주 대부분이 surfactin과 bacilysin 항생제를 암호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어느 균주도 subtilin을 암호하는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았다. 항균활성이 높은 대다수의 균주는 3개 이상의 peptide 물질을 생합성하는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균주 중 선발된 3개의 균주 (EML-BS2, EML-CHUB2, EML-YDJB2)를 배양한 후 에탄올 추출물의 L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EML-BS2 균주의 경우 유전자 분석 시에 fengycin, iturin, surfactin, bacilysin, bacillomycin, subtilosin 등의 peptide genotype을 보였으나 fengycin, iturin, surfactin 항생제로 추정되는 분자량을 가진 물질만이 생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ML-CHUB2 균주는 iturin, surfactin 등의 peptide 생합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LC-MS 결과에서는 surfactin의 분자량이 검출되었고, EML-YDJB2 균주는 LC-MS를 통해 bacillomycin과 surfactin의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Penicillium 균 중 3개 균주를 선발하여 생장실험을 실시한 바, EML-WPF1 균주는 낮은 온도 (18oC)에서, EML-AB02 균주는 25oC에서, EML-Air6-10 균주는 32oC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높았다. 선발된 EML-BS2 균주의 배양 조건을 조사한 결과, 35-40oC, pH 6 또는 8, LB배지, 탄소원 soluble starch, 질소원 peptone이 최적조건으로 확인되었다. 최적 배양조건을 바탕으로 배양된 EML-BS2 균주의 시간에 따른 효소생성량을 조사한 결과, 48시간 배양 시에 protease의 생성이 약 100 U/ml, cellulase는 약 60 U/ml, chitinase는 60시간 배양 시에 43 U/ml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EML-BS2 균주 배양여액의 흰가루병원균 포자발아억제 효과를 검정한 결과, 고추, 졸가시나무, 백일홍, 사철나무 등의 흰가루병원균에 대해서 50% 이상의 발아억제율을 보였으며, diaion HP20을 이용하여 추출한 80% EtOH 삼출물 및 HPLC 추출물에서 90% 이상의 포자발아 억제율을 보였다. 또한, EML-BS2 균주의 배양액은 애기장대, 고추, 오이 등의 식물에 대해 식물생장촉진 효과를 보였으며, 고추 및 오이 흰가루병, 들깨의 잿빛곰팡이병 및 줄기마름병에 대해서도 병 방제 효과를 보였다. 여러 농업부산물을 기질로 사용하여 고체배양하고 동결건조한 후 이들의 저장성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균주들이 1010 cell/g 이상의 CFU를 보였으며, 쌀기울, 콩, 대두박, 오트밀을 기질로 사용하여 배양했을 때에는 1011 cell/g의 CFU를 보였다. 하지만 2년 경과 후 측정한 결과, 쌀기울, 콩, 대두박 배양체의 shelf-life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기질에서 많은 내생포자가 형성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내생포자 형성이 균주의 긴 shelf-life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대두박을 이용한 EML-BS2의 배양은 protease, cellulase 및 chitinase의 효소 활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향후 제제화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발굴된 Bacillus 및 Penicillium 균은 효소 및 항균물질 등을 생성하여 병원균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Bacillus sp. EML-BS2의 in vivo 상에서의 병 방제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균주들은 친환경농업을 위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제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채근담』에 나타난 자녀 인성교육 연구

        문혜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보고서의 목적은 중국어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실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채근담』을 통해 인성교육 요소를 분석하고, 그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 전기적 자극에 의해 유도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골분화와 칼슘유입에 관한 연구

        문혜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기 자극은 뼈 치유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많은 연구에서 전기 자극이 세포 이동과 증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전기 자극이 mouse clonal mesenchymal stem cells (cMSCs)의 골 형성 분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조사했다. 백금 전극을 사용한 전기자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류 (DC)타입으로 하루 1시간 동안 3가지 조건(1V/cm, 0.5V/cm 및 0.05V/cm) 전압의 전기를 가해주었다. 적용된 전기 자극은 세포 활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은 하루 1 시간 동안 0.5V/cm로 전기 자극에 노출된 후 14 일째에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냈다. 3,7,14일 동안 전기 자극 후 골 형성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 RUNX2, ALP, Collagen1(COL1), Osteocalcin(OC), Osteopontin(OPN)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OC는 세 가지 전압 조건에서 모두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증가는 전기 자극에 의해 증가된 세포 내 칼슘 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cMSC에 0.05V/cm로 하루 1 시간 동안 전기 자극을 가한 후 14 일째에 Fluo-4AM을 사용하여 세포 내 칼슘 농도의 이미지를 확인한 결과, 전기자극을 가한 후 칼슘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전기자극 후 Calcineurin/NFAT pathway 관련 유전자의 발현 또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전기적 자극이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마우스 cMSC의 칼슘 관련 pathway를 조절해 골 형성 분화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전기자극이 골 형성 분화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Electrical stimulation is an effective tool for bone healing. Numer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electrical stimulation affects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electrical stimulation enhances the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ouse clonal mesenchymal stem cells (cMSCs). Using platinum electrodes with function generator, an in vitro system was designed for delivering direct current (DC)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cMSC monolayers. Mouse cMSCs were exposed to three different voltages of electrical stimulation (1 V/cm, 0.5 V/cm, and 0.05 V/cm) for 1 hr per da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ed electrical stimulation does not affect cell viability.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day 14, subsequent to exposure of electrical stimulation with 0.5 V/cm for 1 hr per day. Genes related to osteogenic differentiation, including RUNX2, ALP, collagen 1 (COL1), osteocalcin (OC) and osteopontin (OPN), were examined at days 3, 7 and 14 after exposure to the three electrical stimuli. OC expressions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t all three voltage conditions. These increas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electrically stimulated increases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s, assessed by Fluo-4AM on day 14 after exposure to 0.05 V/cm for 1 hr per day. Furthermore, the expressions of calcineurin/NFAT pathway related genes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subsequent to electrical stimulation. We therefore demonstrated that electrical stimulation enhances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ouse cMSCs by increasing the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as a new strategy for enhancing the efficacy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