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GIS에서 위상 관계의 유도와 일관성 검사

        문현수(Hyun-Soo Moon),황환규(Whan-Kyu Whang),김상욱(Sang-Wook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B

        위상 관계는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질의 최적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만일 공간 객체간의 위상 관계를 미리 알 수 있다면, 비용이 많이 드는 질의 처리는 피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문제들을 다루려고 한다: 1) 공간 객체 사이에서 위상 관계, 2) 주어진 위상 관계들의 일관성 검사, 3) 주어진 위상 관계로부터 새로운 위상 관계의 유도 등이다. 이러한 동작들은 위상 관계와 연관된 질의들이 발생했을 때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것이다. 특별히, 8가지 형태의 위상 관계(equal, disjoint, overlap, meets, contains, contained-in, properly-contains, and properly-contained-in)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위상 관계의 일관성을 검사하는 것과 주어진 위상 관계로부터 모든 가능한 관계들을 유도하는 것에 대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한국어 부정사 “못”에 대응하는 만주어 부정표현에 관하여

        문현수 ( Hyun Soo Mo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본고는 淸學四書로 불리는 『淸語老乞大』, 『三譯總解』, 『八歲兒』, 『小兒論』에서 한국어 부정사 ``못``과 대응하는 만주어 부정표현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대조함으로써 문어 만주어의 부정법이 가지는 특성을 보다 명확히 밝혀보고자 하였다. 한국어 부정사 ``못``과 대응하는 만주어 부정표현으로는 대표적으로 ``aku``, ``unde``, ``-me muteraku``, ``-ci ojoraku``가 있는데, 본고의 검토 결과 이들과 대응하는 ``못``은 그 대응 양상이 각각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어 부정사 ``못``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만주어의 부정표현들을 보다 정밀하게 살펴보는 이러한 작업은, 만주어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부정법이 가지는 특성에 대해서도 고찰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In this article, Manchu negations corresponding to the Korean negative "Mot" was studied. Manchu negation expressions, "aku," "unde," "-me muteraku," and "-ci ojoraku," which correspond to the Korean negative "Mot," have different semantic functions respectively. The research of these negation expressions is significant in that it helps our understanding not only of Manchu negation, but also of Korean negation.

      • SCOPUSKCI등재

        증례보고 : 상대정맥 증후군이 동반된 Budd-Chiari Syndrome 환자의 개심술 마취 경험

        문현수 ( Hyun Soo Moon ),이수경 ( Soo Kyung Lee ),최은주 ( Eun Joo Choi ),신진우 ( Jin Woo Shin ) 대한마취과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6 No.1

        Budd-Chiari syndrome (BCS) is a rare disorder that arises from obstruction of the hepatic venous outflow tract. BCS causes various clinical status from liver cirrhosis and other systemic diseases that are usually fatal. BCS is caused by hypercoagulability, e.g, arising from malignancy, oral contraceptives, and deficiency of protein S or C. It is not rare that BCS often shows venous thrombosis, including in superior vena cava. We performed a cardiac anesthesia for a 44 year old male with BCS and total superior vena cava syndrome (SVCS) due to the hereditary protein S and C deficiency. Surgical relief of the hepatic outflow stenosis was performed during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The patient was managed successfully without conventional intraoperative hemodynamic monitoring such as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pulmonary artery catheterization, or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due to underlying SVCS and the risk of varix bleeding. After weaning of cardiopulmonary bypass, mild acidosis and hypoxia improved slowly in an intensive care unit. Hypercoagulability was controlled by warfarin during the first postoperative day. (Korean J Anesthesiol 2009;56:96~101)

      • KCI우수등재

        해독이 겹치는 진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의 점토에 대하여

        문현수 ( Moon Hyun-soo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97

        본고에서는 진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서 해독이 겹치는 점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이 자료에는 동일한 자토로 해독되는 점토가 다수 존재하는데, 이는 점토 자료에 비해 자토 자료가 거칠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지금까지의 점토의 해독이 매우 거칠기에 발생한 현상일 수 있다. 이처럼 해독의 결과가 겹치는 점토로는 31(·)과 41(·), 42(ㅜ)와 52(ㅜ), 21(·)과 42(·), 35(·.)과 54(·-)과 53(\.), 43(\)과 43(|)과 23(-)과 33(\), 35(`\)과 52(·.), 35(\)와 42(\), 12(·)과 33(·), 14(·)과 44(·), 51(·)과 52(·)이 존재한다. 본고에서 이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이들 대부분은 한자의 자형에 따른 위치 변이로 볼 수 있는 경우와 다른 해독 결과를 보이는 경우로 양분할 수 있었다. 요컨대 선행 연구에서 동일한 해독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추정되어 온 진본 《화엄경》의 점토들은 대부분 서로 다른 자토로 해독되는 구결점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kugyol points in Jinben Huayanjing volume 20 having the same decoding results have been studied.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there are many kugyol points having the same decoding results in Jinben Huayanjing volume 20. There are two possibilities: [1] It is because point-attached kugyol is rough compared to character-attached kugyol; [2] It is because the decoding results of the kugyol points are wrong. The kugyol points having the same decoding results are as follow: 31(·) and 41(·); 42(ㅜ) and 52(ㅜ); 21(·) and 42(·); 35(·.), 54(·-), and 53(\.); 43(\), 43(|), 23(-), 33(\); 35(`\) and 52(·.); 35(\) and 42(\); 12(·) and 33(·); 14(·) and 44(·); 51(·) and 52(·). As a result, Most of them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1] those that can be considered the identical kugyol points; [2] those that can be considered having different decoding results. In short, kugyol points in Jinben Huayanjing volume 20, which have been considered having the same decoding results, are mostly those that are deciphered into different character- attached kugyols.

      • KCI등재

        ≪구역인왕경≫과 ≪자비도량참법≫의 석독구결 현토 양상에 대하여

        문현수 ( Moon Hyun-soo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3

        본고에서는 자토석독구결 자료의 현토 특징을 ≪유가사지론≫ 계통과 ≪화엄경≫ 계통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자토석독구결 자료인 ≪자비도량참법≫과 ≪구역인왕경≫이 어떠한 계통의 자료와 유사한 현토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정 한자를 어떤 어형으로 석독할지, 특정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어떤 구결자를 사용할지, ‘ㄱ’ 약화 현상을 표기에 반영할지, 주체높임의 기능을 하는 ‘-□-’을 사용할지와 관련하여 ≪유가사지론≫ 계통의 문헌과 ≪화엄경≫ 계통의 문헌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비도량참법≫과 ≪구역인왕경≫이 ≪화엄경≫ 계통와 ≪유가사지론≫ 계통 중 어느 쪽의 현토 특징을 따르는지 검토한 결과, ≪자비도량참법≫은 ≪유가사지론≫ 계통의 현토 특징보다 ≪화엄경≫ 계통의 현토 특징이 매우 우세한 문헌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구역인왕경≫은 ≪화엄경≫ 계통의 현토 특징을 보이는 부분도 적지 않지만 ≪유가사지론≫ 계통의 현토 특징도 ≪자비도량참법≫에 비해 우세하게 나타나는 문헌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of a style of marking forms between Yuqieshidilun and Huayanjing Seokdokkugyol has been investigated. And based on the investigation, we analyzed a style of marking forms between Cibeidaochangchanfa and Jiuyirenwangjing Seokdokkugyol. As a result, Cibeidaochangchanfa Seokdokkugyol is very similar to Huayanjing Seokdokkugyol. On the other hand, Jiuyirenwangjing Seokdokkugyol is not only similar to Huayanjing Seokdokkugyol but also Yuqieshidilun Seokdokkugyol.

      • KCI등재

        ≪화엄경≫ 점토석독구결 점도의 발달 과정에 대하여

        문현수 ( Moon Hyun-soo )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1

        이 글은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 사용된 점도가 어떻게 발달해 왔는지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려시대 점토석독구결 자료는 크게 ≪유가사지론≫ 계통의 자료와 ≪화엄경≫ 계통의 자료로 나뉜다. 그리고 ≪화엄경≫ 계통의 자료는 주본 ≪화엄경≫ 자료와 진본 ≪화엄경≫ 자료로 다시 세분된다. 진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 자료는 학계에서 초조대장경보다 앞선 10세기 이전에 간행된 목판본이며 구결점의 기입 시기도 주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 자료의 구결점 기입 시기보다 앞설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의 점도는 초기의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의 점도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의 점도와 진본 ≪화엄경≫의 점도, 주본 ≪화엄경≫의 점도를 비교해 보면, ≪화엄경≫ 점도가 어떻게 발달해 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나아가 점도의 구성 방식의 분석을 통해 구결점을 달았던 당시의 한국인들이 중요하게 생각했던 문법 요소에 대한 분석도 가능해져 고대 한국어의 연구에 진전을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 진본 ≪화엄경≫, 주본 ≪화엄경≫의 점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점도의 발달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고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의 점도는 가장 단순한 조사와 어미만을 나타내었다. 진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서는 구결점의 기입 위치와 형태를 늘림으로써 좀 더 복잡한 조사와 어미 및 단어의 형태를 표기하고자 하였다. 주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서는 진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 비해 구결점의 위치 및 형태가 그 해독에 있어서 대칭성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대응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가 상당수 발견된다. 이는 구결점의 문법 형태소의 대응 관계를 점도에 체계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구결점 암기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석독구결자료인지 혹은 일본의 훈점자료인지 아직 학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이 초기 형태의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의 점도를 반영하고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이 자료의 점도가 진본 및 주본 ≪화엄경≫의 점도와 매우 큰 유사성을 보인다는 점, 그리고 그 유사성은 이후의 점도 발달 단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적어도 이 자료는 고려시대 ≪화엄경≫ 점토석독구결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자료임은 틀림없을 것이다.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Jŏmto diagrams i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has been studied.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there are two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s in the Goryŏ dynasty: Jinben Huayanjing and Zhoube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The former is estimated to reflect the Korean language before the 10th century, and the latter after the 10th century. And Satoben Huayanwenyiyaojuewenda is estimated to reflect the initial form of Jŏmto diagram i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Therefore, comparing the Jŏmto diagrams of them, we can see how they have developed. The Jŏmto diagram of Satoben Huayanwenyiyaojuewenda represents the simplest case markers and endings. The Jŏmto diagram of Jinbe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has developed to represent more complex case markers and endings by increasing locations and types of Jŏmto. However, the increased numbers of Jŏmto would have increased the burden of memory. Accordingly, the need to systematically place the Jŏmto in Jŏmto diagram would have emerged. As a result, the Jŏmto diagram of Zhoube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showed a systematic correspondence between locations and types of Jŏmto and grammatical morphemes. This paper started from the assumption that Satoben Huayanwenyiyaojuewenda reflects the early form of Jŏmto diagram i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However, it is not sure that this material is Korean Jŏmto Sŏkdok Kugyŏl or Japanese Kunten Siryo. But the Jŏmto/okototen diagram of Satoben Huayanwenyiyaojuewenda shows similarities with Jinben and Zhoube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and the similarities help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Jŏmto diagrams i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If so, at least Satoben Huayanwenyiyaojuewenda must be a material related to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in the Goryŏ dynasty.

      • KCI등재

        /ㄱ/ 약화 표기를 통해 살펴본 구결자 ‘□’의 원자(原字) 및 음가(音價) 연구

        문현수 ( Moon Hyun-so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81 No.-

        본고에서는 구결자 ‘□’의 원자와 독음을 분석하기 위하여 ‘今□’을 비롯한 ‘今’에 현토된 자토들과 ‘餘□’을 비롯한 ‘餘’에 현토된 자토들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今’의 경우 자토석독구결과 점토석독구결을 가리지 않고 <화엄> 계통의 자료에서는 ‘今□’와 ‘今□□’이 쓰이고, <유가> 계통의 자료에서는 ‘今□’과 ‘今□’, ‘今□□’이 쓰이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餘’의 경우에도 <화엄> 계통의 자료에서는 ‘餘□□’이 쓰이고 <유가> 계통의 자료에서는 ‘餘□’이 쓰이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唯□’, ‘最□’, ‘當□’과 같이 ‘ㄱ’ 말음을 갖는 부사어의 경우 <화엄> 계통점토석독구결에서만 ‘唯□’, ‘最□’, ‘當□’와 같은 어형도 함께 쓰이는 특징이 관찰되었으며, ‘□□□/□□□□’과 ‘□□□/□□□□’의 경우에도 <화엄> 계통 석독구결자료에서만 ‘□□□□’, ‘□□□□’과 같은 ‘ㄱ’, ‘ㅎ’의 교체 어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화엄> 계통의 자료와 달리 <유가> 계통의 자료에서는 ‘ㄱ’이 ‘ㅎ’으로 약화되는 음운 현상을 문자 표기에 반영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표기 경향을 고려할 때 <유가> 계통의 자료에서만 관찰되는 ‘今□’, ‘餘□’의 ‘□’은 [□]보다는 [□]을 표기하는 구결자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며, 따라서 그 원자도 ‘恨’보다는 ‘艮’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the original character and the phonetic value of Kugyol character ‘□’ was studied. It has presumed that the original character and the phonetic value of ‘□’ would be ‘恨’[hΛn] or ‘艮’[kΛn] in previous studies. In this article, it is proved that Kugyol character ‘□’ is used only in Yuqie shidi lun (瑜伽師地論) Kugyol. And it is proved that the reduction of [k] to [h] does not be reflected on Yuqie shidi lun (瑜伽師地論) Kugyol. Thus it is probable that the original character and the phonetic value of ‘□’ is ‘艮’ [kΛn], rather than ‘恨’ [hΛ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