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한 개발 측면을 고려한 보행공간에 관한 사례연구 -경포호 습지복원을 통한 보행공간의 실태 및 이용자 행태분석을 중심으로-

        문정인 ( Jung In M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개발 측면을 고려한 보행공간의 실태 및 이용자 행태조사의 사례연구를 통해 친환경적인 보행자 공간의 계획 및 설계 시 기초적인 연구로 그 의미를 가진다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지속가능한 보행공간에 대한 이론고찰을 통해 경포호 보행공간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보행자도로, 탐방로, 산책로의 바닥 재료는 친환경적인측면을 고려하여 비포장이거나 고무 블럭, 황토, 자연석 등이 사용되어졌다. 가로시설물 중 조명은 LED 기구들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생태습지 공간은 최대한 기존환경이 보존되도록 계획되어 있었다. 두 번째, 지속가능한 측면을 고려한 보행공간에서 발생하는 이용자들의 행태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걷기행태의 경우 보행로 중 습지근처를 걷는 수가 많았으며 앉기 행태는 보행로 주변, 공원, 데크에서 가장 빈도수가 많이 일어났다. 또한 보기의 행위 경우 관찰대, 습지, 보행로 근처 습지, 식물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가능한 요소들이 적용된 공간에서 이용자의 행태유형이 많이 도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로 지속가능한 요소들의 특성이 이용자의 행태유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lfill basic research for plan and design of pedestrian space via case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pedestrian space and user behaviors from a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pedestrian space in Kyeongpo Lake was conducted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sustainable pedestrian space. Ground of pedestrian passage, visiting place and trail are unpaved or covered with rubber blocks, red clay and natural stone for environment-friendly atmosphere. Lights in street facilities were all LED while swamp, ecological space, was designed with the greatest emphasis on the maintenance of the original environment. Second, survey of user behaviors in pedestrian space was fulfilled from a viewpoi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lace where people look for most frequently among the various types of roads was vicinity of swamp for walking, whilst pedestrian road periphery, park and deck for sitting. In terms of sightseeing, observatory, swamp around pedestrian space and botanical garden were the most popular places. It indicates that these types of user behaviors are appeared mostly in the places applied with sustainable factors. Given the fact, it is proven that the sustainable factors influence to the behavior types of users.

      • KCI등재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공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강릉시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실태 및 면담조사를 중심으로-

        문정인 ( Jung In M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강릉시 노인공동생활가정시설의 실태 및 면담조사를 통해 공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노인공동생활가정의 공간구성은 현관 등과 같은 진입공간, 침실, 거실, 주방과 같은 생활공간, 위생공간, 이동공간, 관리 및 서비스공간으로 분류된다. 공간구성에 대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입공간 중 현관은 휠체어 유효공간 및 수납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둘째, 생활공간 중 침실은 내부에 화장실 계획이 필요하며, 거실은 프로그램 및 기타 지역연계와 관련된 공간을 고려하도록 한다. 셋째, 위생공간인 화장실, 욕실, 세탁실은 분리 설치하도록 하며 탈의실 계획을 고려하도록 한다. 넷째, 이동공간인 복도는 동선이 길지 않게 계획하며 휴식공간을 배려하도록 한다. 다섯째, 관리 및 서비스 공간 중 관리실은 직원을 위한 휴게공간, 의무실의 설치가 필요하다. 실내공간요소의 개선방안으로는 노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마감재, 색채, 조명계획 및 개인적 수납가구 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연계에 대한 개선방안은 노인공동생활가정과 지역연계를 위해서는 정부의 제도, 정책 및 지역교류 프로그램 또한 그에 필요한 공간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rovement plan of elderly group homes in Gangneung Cit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pace structure of elderly group homes is classified into the entrance space such as door, living space including bedroom, living room, and kitchen, hygiene space, moving space, and maintenance as well as service spaces.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space structure are as follows. First, the door among entrance areas must secure wheel-chair available space and storages. Second, the bedroom among living spaces needs a bathroom in the space, and the living room should be related to programs and other regional connection. Third, the bathrooms and laundry rooms, which are hygiene spaces, should be separated and have dressing rooms. Fourth, the halls, moving spaces, should be short with rest spaces. Fifth, the janitor`s offices among maintenance and service spaces need rest space and a medical room for employees.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interior environment elements are as follows. Interior space elements should include finishing materials, colors, lighting plans, as well as personal cabinet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addition, the regional connection takes roles in linking elderly group homes and local areas with government policies, systems, regional exchange programs, as well as spatial plans for them.

      • KCI등재

        가로시설물 실태조사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강릉시 걷고싶은거리 "금성로"를 중심으로

        문정인 ( Jung In M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1

        보행공간은 도시의 얼굴로서 좁게는 인본주의 사상이 깃든 문화공간이고 넓게는 그 나라의 인간에 대한 의식수준을 미학적으로는 도시설계와 디자인 수준을 말해주고 있다. 이처럼 삶의 질이 높아진 현대에 와서 보행환경의 개선은 곧 도시의 이미지를 고양시키는 도구로서 앞으로 도시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하나의 모티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보행환경 개선의 일환으로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이 1997년 서울시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확산·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가로공간 디자인 사업들이 지방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더불어 가로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가로시설물들의 역할은 점차적으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강릉시 걷고싶은거리 ``금성로``의 물리적 요소인 가로시설물을 분석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한다. 즉 가로시설물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중요도-만족도 평가를 통해 향후 보행환경 및 거리디자인 시 참고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s the face of city, the sidewalk is not only a cultural space in which humanism dwells but also a indication showing a living standard of the general public and a level of urban planning or design in aesthetic. Hence, today with a high quality of life, as a way to enhance the image of city, the improvement of the sidewalk environment would be one of the motives to gain an advantage on the competition between the cities. Therefore, in the country, as a part of reformation of the sidewalk environment, the projects of walkable street have been practicing and spreading since 1997 in Seoul. As a result, in spreading the trend of the design projects of reforming the space of sidewalk to the provinces, the practical value of the street furniture consisting of the space of sidewalk has been emphasized. For that reason, this study aims to carry useful and practical suggestion by analyzing the street furniture of walkable street ``Geumseongro`` as artificial factors. Moreover, this study will provide the reference sources for the walkable street design focused on the street environment,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level of feeling of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about the street furniture estimated by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대피시설 특성에 관한 연구 -강릉시 대피시설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문정인 ( Moon Jung 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재해·재난 시 강릉시 대피시설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기존 건축물을 대피시설로 활용했을 시 사용되는 시설과 선정기준을 조사하여 대피시설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연구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대상은 강릉시의 기존건축물을 사용한 대피시설이며, 조사방법은 대피시설 관련 이론 조사를 통해 분석틀을 도출하고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실태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해·재난 대피시설의 유형은 교육, 공공, 노인복지, 사무, 종교시설로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학교와 관공서의 경우는 대피공간으로 사용해도 생활하기에 큰 어려움은 없었으나 대피 시 이재민이 생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마을회관과 경로당 같은 경우 접근공간이 협소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시 구호차량 진입 불가 등 어려움이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둘째, 지진해일 대피소의 유형은 교육, 공공, 주거, 군사, 상업, 종교시설, 산 공터로 크게 7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지진해일 대피소는 기존 건축물 또는 넓은 공터 및 산이 지정 되어 있었으나 실제로 실내 대피공간이 없는 특징이 나타났으므로 긴급 상황 시 장기 대피의 경우를 대비하여 실내외 대피공간 계획이 필요하리라 본다. 또한 긴급 상황 시 대피로가 없는 경우가 특징으로 나타났으므로 기존 건축물을 고려한 대피로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대피시설의 지정기준은 체계적인 방법으로 지역별 특징 및 기존 건축물의 용도와 특징을 파악하여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roperties of the facility used to evacuate through field case studies evacuation facilities in Gangneung. In addition, through this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provide data to help evacuate the facility actively research. The subjects are evacuated using existing facilities building of Gangneung. Research methods is to derive the analytical framework through an evacuation facilities related theory research and visit the site directly conducted a survey. Specific detai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disaster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big as education, the public, the elderly, office, religious facilities. Schools and government offices can be used to evacuate the facility, but showed that the difficulties in evacuating the refugees. Main entrance to the town hall and senior citizen is narrow space launch vehicle derived structural problems difficult if an emergency occurs. Second, the type of Tsunami evacuation facilities are classified as educational, public, residential, military, commercial, religious facilities, mountains, open spaces. Tsunami shelters were designated as existing buildings and mountains, but there was no indoor shelter space. Therefore, Tsunami evacuation shelters is required indoor and outdoor evacuation facilities in case of long-term evacuation in an emergency. Since there was no evacuation path is needed as an emergency plan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buildings. Third, specifies criteria for evacuation facilities are systematically need to b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uses of the existing building.

      • KCI등재

        중학교 감성화 공간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강릉시 중학교를 중심으로 -

        문정인 ( Moon Jung In ),조원석 ( Cho Won Se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화에 대한 이론 고찰을 통해 감성디자인 사업을 시행한 중학교의 사례 및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해 감성화가 적용된 학교 공간의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범위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청소년 감성디자인 사업에 참여하였던 강원도 강릉시 소재 중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감성화 적용학교 공간의 사례조사와 설계사무소에 근무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사례 및 면담조사를 통해 감성화 적용 학교 공간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감성화 공간으로 교실의 앞 공간은 칠판 외 벽면의 재료 및 색채의 변화, 뒷공간은 수납공간이 확장하거나 디자인이 변화되어 있었으며, 옆 공간은 창문의 확장 되어있거나 게시판이 설치되어 있었다. 복도와 홀은 작품을 전시할 수 할 수 있으며 홍보공간으로 디자인되어 있었다. 휴식공간은 주로 계단 참 또는 학교의 유휴공간에 의자와 테이블을 설치한 것이 특징으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감성화 공간요소로 색채 및 재료의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층별이나 학년별로 계단, 벽, 복도에 변화를 주고 있었다. 또한, 공간의 기능에 따라 직접 조명과 간접조명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가구는 수납공간, 복도의 붙박이 의자, 휴식공간의 테이블 등이 나타났다. 세 번째, 공간의 개념으로는 지역적 특색 및 학교가 추구하고자 하는 방향의 적용이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네 번째, 감성화 공간의 범위가 교실, 복도, 홀 등으로 제한되어 있어 교실 외부까지의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 학부모, 교사가 참여하는 디자인 설계과정을 거치고 있지만 전문가와의 협업 과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특성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space in middle school by applying emotional design projects with case the study and expert interviews. The scope of the study is for middle school in Gangneung-si, Gangwon-do, which participated in the youth emotional design project from 2016 to 2018. As a method of research, a case study is conducted on the schools that carried out the emotional design. In addition,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experts working at the design office that performed the emotional design project.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paces to which emotions are applied are derived through surveys on actual conditions and interview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space is the front space of the classroom with the change of materials and colors on the wall outside the board and in the back of the classroom, the storage space is expanded or the design is changed. And also the space next to the classroom is extended with windows or bulletin boards. The corridors and halls are designed to display works or to be promotional spaces. The rest area is mainly characterized by the installation of chairs and tables using stair landing and unused spaces of the school. Second, the most prominent changes as the emotional element of school are colors and materials, and it changes stairs, walls, and corridors by floor or grad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space, direct lighting and indirect lighting are installed, and also the furniture shows storage space, built-in chairs in the hall, and tables in the resting area. Third, the concept of space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the direction of school development. Fourth, The range of emotional space is limited to classrooms, corridors, halls,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outside the classroom. In addition, although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re involved in the design proces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llaboration process with experts.

      • KCI등재

        노인 그룹홈의 현장 사례 연구 - 독일, 스웨덴 그룹홈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문정인 ( Moon Jung-in ),최임정 ( Choi Im Jung ),최기 ( Choi K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8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노인공동생활가정 공간계획 및 리모델링 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독일, 스웨덴의 위치한 그룹홈의 현장 사례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실내공간 계획 및 실내 디자인 요소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별 계획의 특징으로 접근공간의 진입로는 경사로와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외부공간이 계획되어져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생활공간으로 침실은 1인용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거실과 주방은 인접배치, 미닫이문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위생공간은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시설물이 배치되어 있는 특징이 도출되었다. 내부 이동 공간으로 복도는 중복도 형식으로 알코브공간이 있어 휴식이 가능하게 계획되어 있었다. 관리 사무 공간은 직원을 위한 휴게실과 상담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현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특징이 도출되었다. 둘째, 실내 요소 디자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마감 재료는 노인들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미끄럽지 않고 친환경 재료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문과 창은 각 실마다 채광 등 기능에 따라 차별을 두게 디자인되어져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조명은 간접조명과 직접조명이 각 실의 기능에 따라 사용되었으며, 사인은 개별 침실 문 앞에 이름표와 색채로 구분을 두는 특징이 나타났다. 가구 및 패브릭은 일반 가정집과 같은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자신이 사용하던 가구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 특징이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to use as a basis when planning and remodeling the elderly group home. The subjects are the elderly group home in Germany and Swede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on-site case studies.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pace planning and interior design elemen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eatures of the interior space planning is as follows. Access space is composed of ramps and stairs and the exterior space is planned various activities. The bedroom is a single type and living room and kitchen were separated by the adjacent arrangement, a sliding door. Toilet facilities are characterized by considering of the elderly. The corridor is double type and also planned alcove space to rest. Management office is consisted of a meeting space, counsellor space and located adjacent to the entranc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is as follows: Finishing materials are eco-friendly things used conside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Doors and windows are considering a plan to design lighting for each room. Lighting is used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each room and also signs are characterized by putting name tags, separated by the color at the door of each room. Furniture and fabrics are brought to make their used furniture in order to create a home like space.

      • KCI등재

        입체/복합 건축물 매개공간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문정인(Moon Jung-In),이상호(Lee Sang-Ho)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5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intermediate space in a large mixed-use complex according to the case studies in Korea and Japan. The study results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space in a large mixed-use complex are to stimulate a synergy effect by means of connecting and integrating different functions in the sky, ground, underground. The reason that the mixed-use complex is consisted of various buildings, the intermediate space shows in the between buildings and urban contexts. The functions of intermediate spaces in a large mixed-use complex are walking and staying based on the existing public open spaces. Through the case studies, types of the intermediate spaces come up with a pedestrial connection type, rest type and mixed type and also design elements of types are a skywalk, bridge, deck, pilot, arcade, park, sunken, plaza, footpath.

      • KCI등재

        일본 오사카, 고베의 대피시설 현장사례 조사 연구

        문정인 ( Jung In M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대피시설 현장사례조사를 통해 대피시설의 특성을 도출하고, 국내의 대피시설 계획 시 기초자료로서 대피시설 연구가 발전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일본의 일시 대피시설이며, 조사방법은 국내 및 일본의 대피시설 관련 이론적 고찰과 관리자와의 면담을 토대로 현장을 직접 방문한 실태조사이다. 그 결과 일본의 대피시설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일본의 대피시설은 일시피난소, 광역피난소, 재해피난소와 같이 대피시설이 기능별로 다양하게 분류되어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두 번째, 재해재난 시 대피의 신속성을 위해 지역적으로 긴밀하게 방재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세 번째, 대부분 1 차 일시적인 대피시설로 사용되고 있는 시설은 기존 건축물로서 쇼핑시설, 공원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면서 대피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호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일본 대피시설 현장사례조사를 통해 국내에서도 대피시설로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을 재해재난 시, 민방위 시로 분류하여 지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피시설 용도로 사용 시 구체적인 기존건축물의 기준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대피용도 시설물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기존건축물을 이용한 대피시설은 수도권에서부터 지방까지 방재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characteristic of evacuation facilities through field case studies in Japan. It can be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 when planning the evacuation facilities, which is laying the groundwork to develop the study. The research object is the first temporary shelters in Japan.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related evacuation facilities in Korea, Japan and conducted field research based on a description of the administrator. The characteristics of evacuation facilities in Japan were derived and in summa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mporary refuges, wide-area refuges, evacuation facilities, such as a disaster emergency shelter that has been characterized variously classified by function. Second, the case study results showed emergency network system features that are built. Third, most primary temporary shelters are shopping facilities, parks as existing facilities. In addition, the shelters are planned for the various functions relief facilities. Therefore, Buildings that can be used as shelters in Korea should be designated to classify a disaster emergency, civil defense. When using the existing buildings into evacuation shelters building standards and facility planning applications should be made. In addition, evacuation facilities using these existing building need to build disaster prevention network systems from the city to the province.

      • KCI등재

        농촌주택 옥외공간의 사용에 관한 조사연구

        문정인 ( Jung In M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주택 옥외공간의 사용 실태와 면담 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토대로 옥외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농촌의 기계화로 인해 농촌주택 옥외 공간의 개념 및 특성, 기능들이 변화되었다. 둘째, 실태 및 면담조사를 통해 농촌주택 옥외공간의 사용현황 및 효율적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대상 농가의 앞마당은 농기계의 보관 및 농작물의 보관 및 건조 작업이 행해지고 있어 휴식 및 다른 기능의 마당 사용 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를 위해서는 농기계 수납공간 계획 및 농경지 사용의 극대화를 고려하도록 한다. 옆마당은 대부분 주차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마당의 형태를 고려하지 않은 비닐하우스 등을 배치함으로써 마당 사용의 효율을 떨어뜨렸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기능을 한 곳에 배치시키거나 자투리 공간의 적극적인 이용을 고려하도록 한다. 뒷마당은 대부분 가사 지원의 기능으로만 사용되어지며, 마당의 형태와 상관없는 부속사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치로 사용할 수 없는 공간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각 공간의 구성요소를 기능별로 배치하여 옥외공간을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하도록 계획한다. 또한 각 마당의 구성요소들은 옥외공간의 분류별 기능을 고려하여 적정 크기로 계획하고 배치하도록 계획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pare useful materials that allow the more efficient use of outdoor spaces of houses in rural houses based on data acquired through interviews and survey on actual use conditions of the outdoor spaces (yard) of rural houses,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s of rural houses have been disappearing and its functions have been becoming simplified due to farm mechanization, introduction of Western style buildings, and change in food life. Second, an efficient method for outdoor spaces of rural houses was deducted through interviews and surveys on conditions, which is as follows. The front yard of houses in rural houses ave less use space for resting purposes or other functions because it is used for storing farm machines, storing farm products, and conducting dryer work. To correct this problem, the maximum use of farmland and planning of storage space of farm machines need to be considered. The front yard is mostly used for parking purposes, and arranging vinyl greenhouses without considering the form and area of the yard decreased the efficiency of the actual use of the yard. To correct this problem, the same functions should be bundled together and assigned to one place and the active use of leftover space should be considered. The backyard is mostly used only to support housekeeping, thus, spaces occur that cannot be used in the form of the same component as the functional buildings described in the above, which is irrelevant to the form of the yard. To correct this problem, the component of each space should be arranged per function, and the outdoor space should planned so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functions. Moreover, the components of each yard, having the arrangement and form irrelevant to the conditions of the same function, use frequency, yard area, or yard form, have become factors decreasing the use efficiency of the yard area, thus, the function of each space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the components of the space can be planned and arranged in an adequate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