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내 어머니의 집으로 ― 가나 혼인 잔치와 아가서의 상호텍스트성

        문우일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2 神學과 宣敎 Vol.40 No.-

        This paper uncovers and interprets the echoes of the Song of Songs in the narrative of the wedding at Cana in John 2:1­11 in order to propose an intertex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Johannine text and the Song. The primary methodologies are the history of ideas and the intertextuality theories suggested by Stephen Hinds, Richard Hays, Dennis MacDonald, Michel Riffaterre, and Ziva Ben­Porat. Nevertheless, many anterior hypotheses regarding the Johannine text are respected, and partly included, only if they are agreeable to this study. This analysis suggests that the wedding at Cana describes the messianic banquet envisaged by the Song of Songs. Jesus in the narrative portrays the fulfillment of the bridegroom messiah imperfectly displayed by the Solomonic king in the Song. The wedding at Cana further resonates with both the mother’s house and the house of wine in the Song, where the mother crowned the messianic king on the day of his wedding. Thereby, the first sign at Cana can be interpreted as signifying and announcing the new beginning of the Johannine kingdom of Israel. This study is innovative because previous studies on the wedding were not able to detect the echoes of the Song in the narrative. 본 연구는 가나 혼인잔치 사화 (요 2:1­11)와 아가서의 상호텍스트성을 제안한다. 사용한 방법론은 사상사비평과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이론들이나, 문학비평과 역사비평의 연구 결과들을 존중한다. 먼저 요한복음 본문에서 아가서를 연상시키는 “어머니”와 “포도주”를 열쇠어로 삼아 두 본문을 연결시키고, 두 본문을 지배하는 신랑과 신부의 혼례식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관련 은유들과 주제들을 분석한다. 이 분석에 따르면 가나 혼인잔치 사화는 아가서가 대망한 신랑 메시야와 신부 이스라엘에 관한 것이며, 성전 재건과 이스라엘의 주권 회복이 예수를 통해 실현됨을 선포하는 사화다. 초대 기독교 교부들 이후에 가나 혼인잔치 사화를 아가서의 빛으로 해석한 학자는 거의 없었으므로 본 연구는 요한학계에 혁신적인 것이다. 더구나 기존 연구는 이 사화의 초점이 물을 포도주로 만든 기적 자체에 있으며, 그런 기적에 능했다고 알려진 디오니소스보다 예수가 더 나음을 시사하는 사화라고 해석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가나 혼인잔치가 디오니소스 뿐 아니라 필론적 모세도 겨냥하고 있으며 기적뿐 아니라 그 내면적 의미, 곧 갈릴리 가나에서 시작하는 새 이스라엘의 시작을 선포하는 데 더 큰 의미가 있다고 해석한다.

      • KCI등재

        누가-행전에 나타난 원시기독교 선지자운동

        문우일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3 신약연구 Vol.12 No.3

        This study is an intertextual approach to the prophetic movement described in Luke-Acts. It divides the movement into three successive stages: first, the period of the law and the prophets proclaimed until John the Baptist (Luke 16:16);second, the period from the baptism of John until the day of Jesus’s ascension (Acts 1:21); third, the period from the day of Pentecost to the time for the restoration of All (Acts 3:21). This suggestion is an innovative conflation of the Lukan theme of prophet with Hans Conzelmann’s concept of salvation history which consists of three periods, the eras of Israel, of Jesus, and of the Church. This paper argues that Jesus throughout the Lukan Gospel and Acts represents the Son of God and Messiah who repeats the fate of Israelite prophets, such as Moses, Elijah, Elisha, and John the Baptist,but still preserves his role as the Son of Man to be the eschatological judge after the restoration of All. Due to the Son’s redemptive death, He is able to be taken up into heaven and His followers and apostles become unprecedentedly radical prophets who possess the Holy Spirit and thereby invincible mouth and wisdom. They all participate in the eschatological role of Jesus as the sons of the Most High, and their days signify the last days in which all nations are required to listen to them in whatever they tell those nations. This definition of early Christian prophetic movement stands against J. Severino Croatto (2005) who argues that Jesus in Luke is a prophet like Elijah, but in Acts the prophet-teacher like Moses foretold in Deut 18:15,18. The former, according to Croatto, is “a historical Jesus prophet”while the latter “a paschal Jesus Messiah.”For Croatto, the symbolic transcendent and eschatological Messiah-Savior in Acts replaces the historical messengerprophet. Luke Timothy Johnson (2011), however, effectively argues that Jesus in Luke does not deviate from Jesus in Acts because Luke-Acts are the two volumes of a single literary composition, and that the prophetic spirit in Luke is not lost but radically reinforced in Acts.

      • KCI등재

        한국의 저출산ㆍ고령화 대응 정책 비판과 기독교계 참여 가능성에 대한 탐색

        문우일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이 논문은 한국의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 현상 극복을 위한 정책에 교회가 기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하여 주요 통계자료와 선행연구를 기독교 시각에서 분석한다. 주요 통계자료는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의 설문조사를 포함한다. 더불어 이 논문은 한국의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 개선에 기독교계가 기여할 방안들을 논의한다. 1980년부터 나타난 저출산과 고령화 폐해가 심각해지자 정부는 2006년부터 거액을 투입하여 정책과 법제 개선 일변도로 대응했으나, 그 효과는 미미했다.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은 결혼, 출산, 가족 등 사생활과 직결되고, 개인의 신념과 사회 통념 등에 좌우되므로 종교의 영향이 큰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사회과학적 접근만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에서 기독교(가톨릭과 개신교 포함)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9.2%로서 불교 22.8%보다 많다. 또한 한국갤럽조사는 기독교인의 평균 연령이 다른 종교 단체의 평균연령보다 낮을 뿐 아니라, 한국 기독교인들은 불교도나 유교도보다 더 자주 적극적으로 종교활동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이는 한국에서 교회가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 극복에 기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단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정부는 기독교의 잠재력을 활용할 기회를 마련하고 기독교 교계와 학계도 자발적으로 적극 참여하여 사회 위기 극복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whether the church can foster South Korea’s policies against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phenomena. For this purpose, the paper analyzes major statistical data and some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the phenomena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nd the data includes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es and Gallup Korea’s surveys. The paper further discusses some possible solutions which Korean Christians can employ in overcoming low birthrate and the aging society. Since 2006, the Korean government has committed astronomical amounts of money on the policies and policy researches against the crisis. Nevertheless, they met with little success partly because they were too much weighted towards social scientific approaches without considering the religious aspect of the phenomena. Low birthrate and aging phenomena have to do with private matters such as marriage, childbirth, and family formation, and those matters depend on individual perspectives and social norms to a great extent, which can hardly change without the transformative power of religious dedication. 200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dicates that Christian population (both Catholic and Protestant) is 29.2% of the total population while Buddhist population is 22.8%. A Gallup Korea’s survey further shows that the average age of Christians is lower than that of any other religious group in Korea, and Korean Christians are engaged in religious activities more frequently and actively than Buddhists and Confucianists. This suggests that the Church is the most influential group that can contribute to overcoming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phenomena.

      • KCI등재

        A. B. 심프슨과 아시아 선교

        문우일 한국교회사학회 201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9 No.-

        이 논문은 심프슨(A.B. Simpson)에 대한 선행연구가 지나치게 서양 관점에서 진행되었음을 지적하고, 동서양의 종교가 충돌하고 서양에 아시아 선교 열풍이 불 무렵에 심프슨의 사상과 사중복음(the Fourfold Gospel)이 체계화되었음을 알리고자 한다. 예컨대, 밴 더 월(Burnie Van De Walle, 2009)은 사중복음 형성 배경이 네 가지라고 분석했는데, 그것은 18·19세기의 서양 “부흥운동”(Revivalism), 요한 웨슬리가 시작한 “성결운동”(the Holiness Movement), 스위스 뮈네도르프에서 기인한 “신유 운동”(the Divine Healing Movement), 비관적 시대상을 반영한 “전천년설”(Premillennialism) 등이다. 이 네 가지 서양 사조와 운동들이 사중복음 형성에 영향을 끼쳤음은 분명하지만, 다른 중요한 요소들도 있는데 밴 더 월은 간과한 것 같다. 심프슨은 불교, 유교, 이슬람교, 특히 불교와 불교적 요소들이 교회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경계했으며, 그에 대항하여 복음을 변증하려 했고, 아시아선교, 특히 중국선교에 몰입했다. 이런 상황과 필요 때문에 심프슨은 당시 사조들을 종합하고 재해석하여 사중복음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 논문은 밴 더 월이 분석한 서양 사조들이 사중복음 탄생에 기여했음을 전제로 하되, 그가 간과한 다른 부분, 즉, 서양에 밀려온 아시아사상에 대항하여 심프슨이 복음을 변증하고자 한 것과 아시아선교, 특시 중국 선교 열망을 가진 것도 사중복음 형성에 기여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심프슨과 사중복음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서구 복음주의 진영에서 교파를 초월하여 주목을 받았고, 현재까지 오순절 및 복음주의 계통 교회들에 꾸준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동북아 주요 3국과 인도차이나반도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심프슨의 삶과 글과 그가 설립한 “기독교연합선교회”(Christian and Missionary Alliance, 이후 “C&MA”)를 소개하는 정도에 머물렀다. 심프슨이 사역 후반기에 중국 사상과 언어를 공부하고 중국 선교를 독려하는 데 몰입했다는 사실과 그 배후 사상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Van De Walle(2009) argues that C&MA’s theology and practices reflect the four major theological trends of the late 19th century evangelicalism: Revivalism, the Holiness Movement, the Divine Healing Movement and Premillennialism. His analysis, however, is too much focused on the theological communication between the Europeans and the European Americans. This paper suggests that Simpson’s theological system was partly designed for mission to the world, especially to China, as the title of his Alliance demonstrates by its inclusion of the term “missionary.” Asian religions and philosophies were rapidly introduced to the US by the huge influx of Asian immigrants as well as by western missionaries, travelers, and philosophers in the 19th century. Various kinds of syncretic conflation of Buddhism with western thoughts emerged in those days, such as theosophy and Christian science, against which Simpson tenaciously defended the Gospel of divine healing by publishing articles and books through Christian Alliance Publisher. In 1854, Hudson Taylor arrived in China, and one of his sons was married to the daughter of Henry Grattan Guinness. Long time after Simpson was converted by Guinnes’s preach at the age of 15, Simpson further advocated Guinness’ theory of eschatology. Simpson got a missionary call to China through a dream about Chinese people, and this call fostered Simpson’s formation of the Fourfold Gospel and his foundation of C&MA which dispatched many missionaries to Asia and Africa. Simpson directly communicated with Taylor by visiting each other several times, although CIM did not allow membership to C&MA.

      • KCI등재

        The Descending and Ascending Theme in the Gospel of Thomas (NHC II,2)

        문우일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17 신학논단 Vol.90 No.-

        This paper proposes that a ritual of descent into the underworld provides the framework of The Gospel of Thomas (NHC II,2). The majority of scholars define the Gospel as a sayings collection compiled through multiple stages of transmission. They consider the sayings as only intermittently connected by topic, form and/or catchwords without any coherent principle applicable to the overall structure. Nicholas Perrin (2002), however, defended the orgainc unity of the Gospel, contending that it was originally composed in Syriac by “one author at one time,” and all the sayings are “knit together as a seamless whole” by the frequent use of catchwords and paronomasia. This study reserves judgments on the original language, date, provenance, and source of the Gospel, but supports its unity by reading the sayings from history-of-religious and memesis-critical perspectives. This reading reconsiders the nature and format of the Gospel depending on the following observations. First, the Gospel contains components peculiar to a journey into a crypt, and its sayings are organized to facilitate its process. Second, the components resonate not only with the “prehistoric ritual pattern” W. F. J. Knight (1935) derived from the Sixth Aeneid and The Epic of Gilgamish but also with the factors of the “catabasis ritual” Hans Dieter Betz (1980) extracted from Papyrus Michigan inv.7. Third, catabatic myths and rituals were prevalent in the Greco-Roman world, and their literary uses are detected in Homer, Plato, Virgil, Ovid, Plutarch, Apuleius, Melito of Sardis, Clement of Alexandria, etc. Fourth, The Acts of Thomas portrays Judas Thomas as a mystic who invokes Jesus to raise the dead from the underworld, and its Sixth Act, like the Sixth Aeneid, forms a nekyia.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e significance of the descent ritual in the Thomasine tradition, and characterize the Gospel of Thomas as a manual for the ritual.

      • KCI등재
      • KCI등재

        신약성서 및 초대 그리스도교 연구 자료로서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의 중요성

        문우일 한국신약학회 2019 신약논단 Vol.26 No.3

        The paper aims to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Philo and his works as a tool for New Testament and patristic studies and to provide an introductory information and research motivation for Philo studies particularly in the Korean fields of New Testament, early Christianity, and philology studi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iscusses ① how Philo and his family negotiated their Jewish-Alexandrian origin with the Greco-Roman world keeping or even amplifying their social and political leverage and intimacy with the Jewish as well as Roman royal families; ② how Philo’s works have been preserved, duplicated, translated, and interpreted, whe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within Christianity; ③ how they can be categorized by genre, and what philosophy best defines Philo’s language and ideas; ④ how Philo and his works are getting more scholarly attention even in the contemporary fields of philology and New testament studies. This paper is historical and literary oriented in method, and uses primary and secondary written sources about Philo. It could not have been produced without John Dillon’s pioneering works (1977 and 1996), and David T. Runia’s dedicated and extensive research products on Philo. 이 논문은 신약성서와 초대그리스도교 연구 분야에서 역사적 필론(Philo of Alexandria)과 그 저작들을 소개하고, 그 저작물 상당수가 어떻게 그리스도교에서 전해졌는지 알아보고, 그 저작들에 관한 번역 및 연구 현황을국외와 국내로 나누어 조망함으로써 우리 학계에 필론 연구를 위한 동기를 부여하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 중심이며, 1차 자료 외에 관련 연구들을 참조한다. 필론은 예수 그리스도보다조금 이른 시기에 태어나, 사도 바울이 브리스길라와 아굴라를 만나 동역하던 즈음까지 살면서(행 18:2), 예수 및 사도들과 거의 동시대에 동일한문화권에서 방대한 저작을 남겼다. 그 저작들은 예수 및 사도시대의 정치, 사회, 종교, 철학, 교육, 경제 등에 관한 정황을 보도하는 희소한 자료로서, 그 중요성은 사해문서(the Dead Sea Scrolls), 요세푸스(Flavius Josephus) 의 작품들, 중간기문헌(Intertestamental Literature) 등에 상응한다. 필론은 그리스-로마의 다신론과 로마의 폭정 및 차별에 저항하며 여호와 신앙과 모세오경을 고도의 철학 언어로 재해석했는데, 이는 로마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신약성서를 낳고 교리화 작업을 해야 했던 초대그리스도교에 일종의선례가 되었으므로 초대그리스도교 저자들은 필론을 직·간접으로 극찬하거나 비판하면서 그와 그 작품들을 후대에 전하는 통로가 되었다. 필론의친인척 가운데는 알렉산더 리시마쿠스, 티베리우스 알렉산더, 아그립바 1 세 등 당대에 가장 유력한 유대인들이 있었으므로 그들에 대한 정보도 당시 상황 파악에 요긴하다. 그리하여 필론의 저작들의 상당수가 오늘날까지 전해져 현재까지 5개 언어로 번역되고 12개 언어로 부분 번역되었으며, 관련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필론 연구는 미진하므로 관련 학계의 발전을 위하여 후속 연구가 절실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