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년원 내 문제행동 예측에 대한 특수인성검사(SPI-Ⅲ)와 청소년 성격평가질문지(PAI-A)의 상대적 효과성 연구

        문수미,이수정 한국소년정책학회 2018 少年保護硏究 Vol.31 No.2

        . The current study aims to verify the validity of SPI-Ⅲ(Special Personality Inventory-Ⅲ) and PAI-A(Adolescent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which are used as tools of mental health screening assessment by the Korean juvenile justice system for the prediction of rule violation by juvenile offenders. To do so, this study examined 60 inmates consisting of 30 males and 30 female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in punishment, the number of punishments and the score of SPI-Ⅲ, PAI-A sub-scales. The inmates were grouped by the number/frequency of punishments (twice) and the difference of scores in each group was compar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sub-scales used for the prediction of the number of punishments. As a result, SPI-Ⅲ is independent of both the disciplinary punishment and the number of punishments. It also could not display a significant explanation for a prediction of the number of punishments. On the other hand, the AGG sub-scale of PAI-A showed that the punishment experience have positive correlation. The number of punishments display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INF, ANT, ALC and AGG subscale scores. Also, the ALC sub-scale of PAI-A was verified as a factor for juvenile inmates to predict the number of disciplinary punish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respect that we examined whether the tools of youth mental health screening assessment, which are currently used in the juvenile justice system, have a relevance to predict behavioral infractions in the juvenile correctional facility or not.

      • KCI등재

        한국산 처녀고사리과 식물의 포자형태

        문수미,선병윤 한국식물분류학회 2008 식물 분류학회지 Vol.38 No.4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spores of 17 species belonging to 6 genera of the Korean Thelypteridaceae are examined. Description of each species and key to the species are provided. Spores of Korean Thelypteridaceae are monad and monolete with bilateral symmetry. Perispore, the sporoderm of spore, was found in all the species examined. The perispores and exospores of Thelypteris japonica var. japonica, T. japonica var. glabrata and Pseudocyclosorus subochthodes are much similar to each other, but the rest of taxa examined shows diverse patterns of the surface ornamentation of perispores and exopores enough to distinguish genera and sometimes to distinguish species in some genera. Previous study reported that perispore is not easily distinguished from exospore in Cyclosorus and Leptogramma. However, three species of Cyclosorus examined here show different pattern having scabrate or verrucate exospores and cristate or echinate perispores. Leptogramma pozoi ssp. mollisima also have echinate perispore and fossulate exospore. Macrothelypteris oligophlebia var. elegans and M. viridifrons have scabrate exospore which is contrast to previous report of reticulate exospore. Thelypteris glanduligera, T. angustifrons and T. laxa show same patterns of perispore and exospore with reticulate perispore and fossulate exospore and hence cannot be distinguished by spores only. 한국산 처녀고사리과 6속 17종에 대한 포자의 형태, perispore와 exospore의 형태을 관찰하여 기재 및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포자의 형태는 모두 단립으로 좌우상칭의 단지형이었다. perispore는 모든 종에 존재하였으며, 지네고사리, 참지네고사리 및 제비꼬리고사리는 perispore와 exospore의 형태가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분류군에서는 perispore와 exospore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어 속간 또는 일부 속에서는 종간에도 차이를 보였다. 별고사리속과 진퍼리고사리속의 경우, 기존의 보고에서 exospore와 perispore의 구분이 어렵다고 하였으나, perispore의 경우, 별고사리와 탐라별고사리는 계관상 돌기를, 검은별고사리와 진퍼리고사리는 자상 돌기를 가졌으며, exospore의 경우 별고사리와 탐라별고사리는 미립상 돌기를, 검은별고사리는 과립상 돌기를, 그리고 진퍼리고사리는 추문상 무늬를 가져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시고사리속은 exospore에 망상 돌기가 있다는 기존의 보고와는 달리 미립상 돌기가 분포하였다. 사다리고사리, 탐라사다리고사리 및 드문고사리는 모두 망상 돌기의 perispore와 추문상 무늬의 exospore를 가져서 포자 형태로 식별이 불가능하였다.

      • KCI등재

        유동 IP주소의 이용행위에 관한 온라인서비스제공자(OSP)의 책임 -CJEU ‘Breyer’ 사건(Case C-582/14)의 개인정보성 판단 기준을 중심으로-

        문수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9 지식재산연구 Vol.14 No.3

        Personal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relating to a living individual that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the individual that can easily be combined with other information to identify the individual. The issue is that dynamic IP used by OSP is ambiguous whether it is personal information. The CJEU presented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dynamic IP. There were arguments. One insists the nature of the information should be examined as an objectivity. The other clams the subject must be viewed on a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Following the latter, the CJEU identified the dynamic IP of OSP as personal information. Conclusionally, Personal Information must be reviewed on a controller. Based on the standard of controller, the following requirements must be met: It should be possible to identify an individual by reasonable means. Also, it should be possible to easily obtain other information, and there should be a possibility to combine the information obtained with any information at a reasonable level. 온라인서비스제공자(OSP)는 단순 정보뿐만 아니라 개인정보를 활용하여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개인정보는 임의의 정보가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OSP가 활용하는 정보의 개인정보성 여부가 모호하다는 점이다. 특히 OSP가 활용하는 유동 IP주소는 고정 IP주소와 달리 끊임없이 달라지는 숫자에 불과하여 개인정보라고 단정짓기 어렵지만, 피결합 정보에 의해 개인을 식별할 수 있으면 개인정보가 될수 있다. 유럽사법재판소(CJEU)는 ‘Breyer’ 사건을 통해 유동 IP주소의 개인정보성 판단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하여 대상 정보의 특성을 검토해야한다는 객관설과 대상 정보의 개인정보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보처리자를 기준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관설이 논의되었다. CJEU는 후자의 입장을 취하면서 해당 사건에서 OSP의 유동 IP주소에 대한 개인정보성을 인정하였다. 해당 사건과 같이, ① 개인정보처리자를 기준으로 ② 피결합 정보를 용이하게 입수하여 ③ 대상 정보와 합리적인 수준으로 결합함으로써 개인을 식별할 수 있을 때, 해당 개인정보처리자에게 대상 정보에 대한 개인정보보호법적 책임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OSP의 유동 IP주소에 대한 개인정보성인정 여부 및 이에 대한 책임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세 가지 요건을 구체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 KCI등재

        웨어러블 기기 환경에서 특징 점 추출 기법을 통해 프라이버시 보존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문수미,김종욱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10

        With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individuals' health status can be checked in real time and risks can be predicted. For example, an application has been developed to detect an emergency situation of a patient with heart disease and contact a guardian through analysis of health data such as heart rate and electrocardiogram. However, health data is seriously damaging when it is leaked as it relates to life. Therefore, a metho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s essential in collecting health data, and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collecting data while protec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ata owner through a LDP(Local Differential Privacy). The previous study introduced a technique of transmitting feature point data rather than all data to a data collector as an algorithm for searching for fixed  feature points. Next, this study will explain how to improve the performance by up to 75% using an algorithm that finds the optimal number of feature points .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위험을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심장 질환 환자의 심박수, 심전도가 이상 수치를 보이면 위급 상황을 감지하여자동으로 보호자에게 연락한다. 이처럼 즉각적인 대처를 가능케 하는 건강 데이터는 생명에 관계되는 만큼 유출되었을 시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지역 차분 프라이버시 기법을 통해 데이터 소유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면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고정된 개의 특징 점을 탐색하는 알고리즘으로 전체 데이터가 아닌 특징 점 데이터를 데이터수집가에게 전송하는 기법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는 최적의 특징 점 개수 를 찾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성능을 최대 75%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 KCI등재

        모조 ‘표시’ 상품의 혼동가능성 판단 기준에 대한 상표법적 연구

        문수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8 지식재산연구 Vol.13 No.4

        Counterfeit goods have significant economic damage to legitimate trademark licensees as well as trademark owners. There are making efforts to prevent counterfeit trade which causes social and economic problem.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t forms and types of counterfeits that can be traded online. The point is that counterfeit sellers try to avoid liability for Likelihood of Confusion by indicating the fact explicitly that it is imitation. Although the likelihood of confusion can be reduced by marking a counterfeit, infringement responsibility still exists for those who sell them according to trademark law or other intellectual property law as well. The focus of this study is whether the fact that we indicate counterfeiting is the exclusion of the likelihood of confusion, which is a trademark infringement. If a counterfeit is marked on a commodity, the consumer can find the counterfeit and less likely to be caused the likelihood of confusion. On the other hand, if there would be indicating it is forged in a form to explain the fact that counterfeit goods, the likelihood of confusion can occur easily.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under the trademark law to determine whether the likelihood of confusion can be present by the goods marked by the imitation in this way and the specific criteria for determining it. In particular, the subject and timing of confusion, the type of product,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ket and the details of the likelihood of confusion are studied in detail. 위조상품은 국가나 기업의 이미지를 실추시키며 사회·경제적 피해를 발생시킨다. 문제는 이를 판매하는 자가 모조 사실을 직접적으로 상품에 표시하거나 이용자에게 이를 고지함으로써 혼동가능성 유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점에 있다. 판매자가 ‘커스텀’, ‘Replica’ 등의 표시를 통하여 정품이 아니라는 점을 명시하였다면 근본적으로 상표권 침해의 판단 요소인 혼동가능성이 부정된다고 볼 수 있는가? 모조라는 표시가 눈에 띄지 않으면 판매 전·후로 혼동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판매자가 상품 자체가 아닌 다른 수단으로 거래자에게 모조 사실을 나타내면 혼동가능성이 야기될 여지가 높다. 반면, 판매자의 명백한 모조 ‘표시’ 내지는 ‘설명’에도 불구하고 해당 상품을 구입한 거래자에게는 혼동가능성이 부정될 것이다. 그러나 제3의 수요자에게는 여전히 혼동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 본고는 모조 ‘표시’ 상품 판매자의 시장 지위, 상품에 따른 거래 시기와 수요자의 범위 및 주의력의 정도, 상품의 종류와 성질, 일반적인 시장의 거래 실태, 거래자 또는 수요자의 소비 행태나 거래 시 주의의 정도 등 세부 사안에 관하여 상표법적 혼동가능성 판단 기준을 연구한다.

      • KCI등재

        공중이용제공행위로서 링크에 대한 규제 방안의 연구 - 공중송신권의 구체적 범위 해석을 중심으로 -

        문수미(Moon, Sue Mi),박민주(Park, Min Joo) 한국저작권위원회 2017 계간 저작권 Vol.30 No.3

        링크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저작물의 위치를 나타내거나 이용자에게 저작물의 이용을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들은 링크된 저작물을 이용함으로써 자유롭게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한다. 링크는 이용자들에게 저작물의 이용을 용이하게 해주는 순기능이 있는가 하면, 기술적인 특성에 의해 저작권 침해를 야기하기도 한다. 최초로 저작물을 인터넷에 게시한 저작권자의 이용허락 없이 대상 저작물을 다른 사이트로 링크하는 것은 저작권자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법원은 링크와 저작권이 문제된 사건에서 저작물을 링크한 설정자의 저작권 침해에 따른 책임 부과에 대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법원은 링크가 배포권, 복제권, 전시권 및 전송권 등을 침해하는 행위인지 검토하였으나 이들 모두를 부정하였다. 문제는 사건에서 법원이 직접적으로 링크를 설정한 자를 특정하기보다는 링크사이트 운영자의 책임 문제를 논하였을 뿐이라는 것이다. 링크와 저작권 침해 사건에서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링크설정자에 해당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을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링크에 의해 피해를 입는 저작권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링크설정자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링크에 의해 문제되는 저작권을 특정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구체적으로 링크설정자의 책임 부과 요건에 대하여 논하여야 한다. 본고는 링크에 따른 저작권 침해 사건에서 문제된 권리들을 검토하고 공중이용제공권으로서 링크를 규제할 필요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공중이용제공권과 관련하여 링크에 대한 미국과 유럽의 저작권 규정 및 판례 등의 태도를 확인함으로써 우리 저작권법의 공중송신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해석하였다. 특히 공중송신권으로 링크의 규제 가능성을 검토하고, 공중송신권의 침해 요건으로 링크행위와 링크를 통해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는 공중의 범위(새로운 공중), 공중송 신의 목적을 살펴보았다. 다만 인터넷은 자유롭게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을 하므로 이를 저하시 키지 않도록 과도한 규제를 가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링크설정자에 대한 책임은 공중송신권 침해 요건을 엄격하게 검토하여 부과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링크된 게시물들을 관리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와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 양측 모두는 게시된 저작물을 합법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스스로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link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work through the Internet or facilitates the use of the work by the user. Through the Internet, users can freely share and utilize information by using link. On the other hand, It may infringe copyright depending on their technical system. It may violate the rights of the copyright owner to Linking the work to another site without permission of the copyright holder who published the work originally. Nonetheless The courts have shown a passive attitude toward imposing liability for copyright infringement of a linker in the case of links and copyright. The court considered whether the link infringed right of distribution, reproduction, exhibition, transmission rights and so on. But they denied all of these rights. The problem is that courts only discussed the liability of the link site operator (online service provider) rather than specifying the link actor directly in the case. Of course, we should discuss the responsibilities of online service providers in the case of links and copyright infringement, as well as in the case of online service providers being link actors. However we think that sanctions for link actors should be initiated in order to protect copyright holders who are damaged by lin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pyright in question by the link and specifically discuss the responsibility charge requirement of the link actor. This article discusses the rights of the link in the case of copyright infringement and suggests the need to regulate the link as the right of public transmission. By confirming the attitudes of the US and European copyright laws and judgments on ‘Making available to the public right’ or ‘Righ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of works’, we have specifically examined requirements on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public transmission of the Korean Copyright Act. First,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link regulation by public transmission rights. Then, we looked at requirements on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public transmission. The requirements are: Link activity, A range of public (new public) that the work may be used by links, and Purpose of public transmission. However, the Internet should not impose excessive restrictions on freedom of information sharing. Therefore, liability for the linker should be imposed by strictly reviewing the requirements for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public transmission. In addition, online service providers who manage linked posts and users who use them should be able to take care of themselves to legitimately use the published work.

      • KCI등재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프라이버시 보존 건강 데이터 수집 방법

        문수미(Su-Mee Moon),김종욱(Jong-Wook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4

        센서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의 보편화로 개인의 건강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웨어러블 기기에서 파생된 걸음 수, 심박 수와 같은 건강 데이터들은 모바일 환경의 위치, 날씨 데이터 등의 외부 데이터와 결합하여,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 및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웨어러블 기기에서 파생된 건강 데이터는 편리하고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개인의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될 경우 심각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차분프라이버시와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웨어러블 기기에서 추출한 건강 데이터를 데이터 소유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없이 데이터 수집가에게 전송할 수 있는 기법을 소개한다. 지역차분프라이버시를 통해 데이터 소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였으며 특징점 알고리즘으로 프라이버시 보호 수준과 데이터 유용성간의 상충 관계를 조절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기법이 단순 방법에 비해 최대 77% 정도의 오차율 개선이 있음을 보여준다.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헬스 케어 및 맞춤형 서비스 산업에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various sensors are being embedded in wearable devices. Consequently, these devices can continuously collect data including health data from individuals. The collected health data can be used not only for healthcare services but also for analyzing an individual’s lifestyle by combining with other external data. This helps in making an individual’s life more convenient and healthier. However, collecting health data may lead to privacy issues since the data is personal, and can reveal sensitive insights about the individual. Thus,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to collect an individual’s health data from a smart band in a privacy-preserving manner. We leverage the local differential privacy to achieve our goal. Additionally, we propose a way to find feature points from health data. This allows for an effective trade-off between the degree of privacy and accuracy. We carry out experiment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approach and the results show that, with the proposed method, the error rate can be reduced upto 77%.

      • KCI등재

        상업적 이용의 대상으로서 유행어의 보호 방안 - 무한도전 `히트다 히트`의 부정경쟁방지법적 권리 보호를 중심으로 -

        문수미 ( Moon Sue Mi ),이대희 ( Lee Dae Hee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41 No.1

        유행어는 대중이 특정기간에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이색적이거나 특색이 있는 언어이다. 이는 대중의 흥미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상업적으로 이용되었을 때 수요자들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친숙하게 만들어 준다. 이와 같은 유행어의 대중성은 저투자 고비용의 효율적인 광고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된다. 유행어의 이용에 경제적인 가치가 더하여지면서 유행어의 상업적 활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재산권적 성격이 명확하지 않아 법적 보호가 어려운 실정이다. 현행법 체제에서 유행어의 법적 보호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유행어의 낮은 저작물성과 실연자의 불안정한 법적 지위가 문제된다. 유행어는 표현에 특색이 있더라도 단순한 언어의 조합에 불과하기 때문에 저작물로서 인정받을 가능성이 희박하다. 유행어가 저작물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이를 예능적 방법으로 표현한 실연자는 그에 따른 저작권을 보호 받을 수는 있지만, 이 경우에도 유행어의 실연을 모방한 것에 대한 권리범위는 한정적이다. 한편으로는 유행어의 창작자 또는 유행어 실연자가 아니라 유행어를 대중에 알린 방송이나 광고 제작자 등이 저작권을 행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방송관계자의 유행어에 대한 저작권은 다수의 이해관계인 및 복잡한 권리 행사 관계에 의해 현실적으로 보호받기 어렵다. 결국 유행어의 저작권법적 보호 가능성은 현저히 낮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유행어는 상표 등록을 목적으로 표현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활용될지 예측하기 어렵다. 상표등록을 위해서는 지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특정하여야 하는데, 대중의 현실을 반영하기 이전에 이색적이고 특색있는 표현을 상표로 등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표등록을 목적으로 유행어를 만들어 이에 대한 권리를 취득하는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유행어의 상표법적 보호가 가능할 것이다. 셋째, 유행어는 독특한 말과 행동·음색 등을 통하여 표현되므로 퍼블리시티권에 의하여 보호 될 여지가 있다. 그러나 현행법상 퍼블리시티권에 대한 명문의 규정이 없고 이를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법원의 태도도 일치하지 않으므로, 퍼블리시티권의 법적 보호 가능성은 불분명하다. 명시적인 퍼블리시티권의 보호 요건·범위 및 효과가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이상 유행어를 퍼블리시티권에 따라 보호하는 것은 법적 안정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 다만,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부정경쟁방지법)에 일반조항(§2(1)(차))이 신설되면서 퍼블리시티권의 근거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퍼블리시티권이라는 명시적인 법적 개념이 규정되어 있지 않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퍼블리시티권 인정의 필요성이 존재하고 부정경쟁방지법 일반조항이 그 근거라고 볼 수 있지만, 이는 법률상의 권리가 아니므로 유행어를 퍼블리시티권으로 보호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만, 부정경쟁방지법 일반조항에 의한 유행어의 보호는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유행어의 경제적 가치가 존재하고 이에 대한 권리자의 상당한 노력과 투자를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단순한 언어적 표현이 아니라 `상당한 투자나 노력으로 만들어진 성과`로서 유행어가 평가된다면, 부정경쟁방지법에 따른 권리의 보호가 가능하다. 성과성은 사안에 따라 대중의 소비욕 등에 기반을 둔 경제적 가치 평가를 통하여 인정될 것이다. 한편, 유행어에 대한 권리자 외의 자(제3자)가 경쟁자의 `공정한 관행이나 경쟁질서에 반하는 행위`에 대하여 일반조항에 따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가 문제될 수 있다. 이는 사안에 따라 유행어를 무단으로 이용한 업체의 경쟁기업(제3자)이 부정경쟁행위로부터 권리를 구제 받을 필요성이 있는가에 대한 이익형량을 통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성과성이 인정된 유행어의 권리자는 무단으로 불공정하게 이를 사용한 자에 대하여 부정경쟁방지법 일반 조항에 근거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이때 권리를 행사하는 자는 권리자뿐만 아니라 부정경쟁을 야기하는 유행어 이용자의 경쟁업체가 될 수 있다. 유행어에 대한 권리는 인격권이 아니라 부정경쟁방지법 일반조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식재산의 일종이므로, 권리자는 단순히 실연자로서의 위자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재산적 손해에 대한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A buzzword is a term or phrase that becomes very popular in some specific context. Buzzwords are typically either newly coined words, often acronyms or portmanteaus, or existing terms used in a different way than they were in the past. This not only raises public interest, but also makes products and services familiar to consumers when used commercially. The popularity of these buzzwords helps build an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y with low investment costs. The economic value of the buzzwords adds to the commercial use of them, but the rights of buzzwords have unclear property rights and legal protection it is difficult to be protected legally. The legal protection of the buzzwords in the current law system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re is a problem of low copyrightable and unstable legal status of performers. It is unlikely to be copyrightable work because buzzwords are merely a combination of languages, even if they have explicit characteristic expression. Even if the buzzword does not correspond to a copyrightable work, the right of performer who verbalizes it in an artistic way in show-business area can be legally protected, even in this case, the scope of the right to imitate the performance of the buzzwords is limited. On the other hand, it is not the creator of the buzzword or the performer of it, but the broadcast or the advertisement maker that publicized the buzzword can have copyright. However, it is difficult for broadcasting officials to be protected their copyrights effectively due to the relationship of many interested parties and complicated rights exercises.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law protection of the buzzwords is remarkably low. Seco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at kind of goods or services will be used, except when expressed in the purpose of trademark registration. In order to register a trademark, it is necessary to specify a designated product or service. It is impossible to register an unusual and distinctive expression as a trademark before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response.Therefore, trademark legal protection of the buzzwords will be possible only when the buzzword is made for the purpose of registering the trademark and the rights are acquired. Third, buzzwords can be protected by publicity rights because they are expressed through unique words, actions, and tones. However, it is unclear to what extent the lawful protection of publicity rights is possible, as the current law does not have a clear definition of publicity rights and the attitude of the courts to admit it is not coherent) Unless the explicit right of publicity is legally prescribed, protecting the buzzword with this may compromise legal stability. However, the general provision (§2 (1) (j)) has been newly added to the Act o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Law, thus laying the grounds for the right of publicity. However,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explicit legal concept of publicity rights is not stipulated.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publicity rights, and the general provision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may be the basis for this, but it is not a legal right, so it is not desirable to protect the falsehood as a publicity right. However, I think that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buzzword by the general provision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Law. This is because the economic value of the buzzword exists with the validity of economic value of buzzword, it can not deny the rightful efforts and investment of the right holder. When the buzzwords are evaluated as `achievements made with considerable investment or effort`, protection of rights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s possible. Outcomes will be recognized through economic valuation based on the consumption of the public according to the case. On the other hand, it may be a question whether a person other than the right holder of the buzzword (third party) exercises the right under the general provisions against the competitor`s `fair practice or contrary to the competition order`. It should be judged through the profit penalty that the competitor(third party) of the company that uses the buzzword unauthorizedly according to the case needs to be relieved from the unfair competition act. In other words, the right holder of a mock word for which outcomes are recognized can exercise rights based on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gainst unauthorized use of the unauthorized person. At this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mpetitor may file a lawsuit or may litigate if it is necessary to regulate not only the owner but also the buzzwords causing unfair competition. Since the right to a buzzword is not a moral right but a kind of intellectual property prescribed in the general clause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 right holder can claim compensation for property damage, not merely as a victim as a performer.

      • KCI등재

        Factors that Drive the Adoption of Smart Factory Solutions by SMEs

        조남재,문수미 한국데이터전략학회 2023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 Vol.30 No.5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smart factories and their performance after implementation, using the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 based on interview data. The research subjects were 21 companies that were selected by the Smart Manufacturing Innovation Promotion Group under the SME Technology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in 2020-2021 as the best case smart factory implementation companies, and introduced the intermediate stage 1 or above. A total of 87 concepts were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were able to classify them into 16 detailed categories, and finally derived six broad categories. These six categories are “motivation for adoption”, “adoption context”, “adoption level”, “technology adoption”, “usage effect” and “management effect”. As a result of the overall structur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doption level of smart factory is determined by the adoption motivation, the IT technology experience affects the adoption level, the adoption level determines the usage and usage satisfaction, internal and external training affects the usage and usage satisfaction, and the performance or results obtained by the usage and usage are reduced defect rate, improved delivery rate and improved productivity. This study was able to derive detailed variable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adoption of smart factories, and explore the effects on the usage effects and management effects according to the level of adop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dop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MEs that want to adopt smart fac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