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대 목구조의 발달과 그 이론

        홍성 대한건축학회 1968 建築 Vol.12 No.1

        현대 목구조의 발달을 살펴볼 때 각종 목재의 강성상수를 구하는 것과, 또 각종 목재의 탄성상술을 구하는 것과 또 각종 접합의 과학적 분석 이외에, 눈에 뜨이게 매력을 느끼게 하는것이 최근 눈부시게 발달한 합성수지접착제를 이용한 여러 모양의 집성목재(glue-joint)와 합한(plywood)의 자유로운 유형이다. 접착접합(glue joint)의 여러 형태는 우리나라에서도 빨리 이용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본고는 필자가 기술연수차 도영, Imperial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of London에서 1966-1967학년도에 있었던 Timber Structure and Technology 과정을 수학한 귀국보고서의 일부이다.

      • KCI등재

        정상 자연 임신과 동반된 난소과자극증후군 유사증후군 1 예

        목정은,장윤석,강병문,김정훈,채희동,이동헌,김선권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8

        본 저자들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서 정상 자연임신 12주에 중등도의 OHSS 증상을 나타내어 대중적 요법으로 증상이 완화되고 만삭 분만에 이른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 하는 바이다. It has been known that most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 is associated with the use of exogenous gonadotropins to induce multiple ovulation. However, OHSS-like condition could be developed rarely in spontaneous ovulatory cycle. We report a case of OHSS in a spontaneously pregnant woman. A 35-year-old woman conceived in a natural ovulatory cycle. She visited our hospital initially at 6th weeks of gestation for antenatal check without specific problem. At 12th weeks of gestation, she complained of low abdominal pain, abdominal distension, and dyspnea. Ultrasonography revealed bilateral enlarged ovarian cysts with small amount of ascites. The serum concentration of estradiol (E2), progesterone, and renin were >5,000 pg/ml, >50 ng/ml, and 8.1 ng/ml/hr, respectively on the day of admission. Conservative management was adopted to the patient with daily intravenous 5% Dextrose/Sodium 1,000 ml, 20% albumin 100 ml, and Dextran (Rheomacrodex-D) 500 ml for about 10 days until she dischaged. The pregnancy progressed to term and she delivered of a normal female infant at 42th week of gestation. As OHSS is self-limited disease, the conservative management may be adequate for initial approach.

      • KCI등재

        악성 및 양성 난소종양에서 HER-2/neu 유전자의 발현정도와 과도발현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목정은,조윤경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8

        유방암 환자에서 HER-2/neu 유전자의 과도발현이 15-40%에서 일어나고 이것이 낮은 생존율 및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난소암에서도 HER-2/neu유전자의 과도발현이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지고 있으나 아직 HER-2/neu유전인자의 기능과 이 유전인자의 과도발현이 난소암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난소 및 양성, 악성 난소종양에서의 HER-2/neu 유전인자의 발현정도를 관찰하고 악성 난소종양에서의 과도발현과 예후인자 -연령, 병기, 조직학적 형태, 조직학적 분화도-와의 관계를 고찰하여 HER-2/neu 과도발현이 생존율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1991년 1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서 악성 및 양성 난소종양 그리고 기타 양성부이놔 지롼으로 개복수술을 시행한 환자중 64명(악성 난소종양 36예, 양성난소종양 17예, 양성 부인과 질환 11예)을 대상으로 하여 HER-2/neu단일클론성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후 HER-2/neu 유전자의 과도발현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항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 난소조직(11예)에서의 발현정도는 0-1+로 나타났다. 2. 양성 난소종양조직(17예)에서는 16예(94.2%)에서 0-1+의 염색정도를 나타내었고 1예(5.8%)에서만이 2+의 과도발현을 나타내어 통계적인 의의는 없었다. 3. 36예의 악성 난소종양 중 정상난소조직에서와 같은 염색정도 즉 0-1+의 염색정도를 나타내는 경우는 13예(36.1%)였고 23예(63.9%)에서 2+-3+의 과도발현을 나타내었다. 악성 난소종양에서의 HER-2/neu의 과도발현과 각 예후인자인 세포형태, 조직학적 분화도, 병기, 연령과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p$gt;0.1, p$gt;0.05, p=1.0, p$gt;0.05). 그리고 발현정도와 무병생존기간과의 관계를 비교하여 볼때 정상발현군과 과도발현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gt;0.5). 4. 악성 난소종양에서 세포형태를 구분하여 볼때 상피성 난소암과 비상피성 난소암 사이의 무병생존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p$gt;0.1), 각각의 세포형태군에서 정상발현군과 과도발현을 보이는군사이의 무병생존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gt;0.5). 5. 악성 난소종양에서 조직학적 분화도에 따라 구분하여 볼때 분화도가 좋은 군(well, moderate)에서 분화도가 나쁜 군(poorly)에 비하여 무병생존기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그러나 각각의 조직학적 분화도군에서 정상발현군과 과도발현을 보이는 군 사이의 무병생존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gt;0.1). 6. 악성 난소종양에서 임상병기를 초기성 난소암(I, II)과 진행성 난소암(III, IV)으로 구분하여 무병생존기간과의 관계를 비교하여 볼때, 초기성 난소암에서 진행성 난소암에 비하여 무병생존기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그러나 각각의 병기에서 정상발현을 보이는 군과 과도발현을 보이는 군사이의 무병생존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gt;0.5). 7. 악성 난소종양에서 폐경 전후 연령군에 따라 구분하여 볼때, 폐경전 연령군과 폐경후 연령군 사이의 무병생존기간의 차이는 없었으며(p$gt;0.1), 각각의 연령군에서 정상발현군과 과도발현을 보이는 군 사이의 무병생존기간의 차이는 없었다(p$gt;0.1, p$gt;0.5). 이상의 결과로 난소암의 예후인자로서 이미 알려져 있는 임상병기, 조직학적 분화도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후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HER-2/neu 유전인자의 과도발현과 난소암의 여러 예후인자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HER-2/neu 과도발현이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않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난소암에서 HER-2/neu유전인자의 과도발현이 증가되어 나타나기는 하나 예후인자로서의 효용성은 적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대상 예가 많지않고 비교적 추적관찰기간이 짧으므로 더 많은 예에서 계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HER-2/neu gene first was identified as the oncogen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neuroblastoma in rats exposed to ethylnitrosourea in utero. The human HER-2/neu gene (c-erbB-2) encodes a cell surface glycoprotein that is similar in structure to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c-erbB). In animal model, it has been shown that HER-2/neu is oncogenic due to a single point mutation in the membrane spanning region. In human malignancies, however, HER-2/neu amplification and overexpression rather than point mutation have been noted. In normal tissues, HER-2/neu expression has been demonstrated predominantly in epithelial cells; however,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HER-2/neu, like that of other known peptide growth factor receptors, has not been clarified. In breast cancer,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overexpression of HER-2/neu occurs in 15-40% of cancers. Some, but not al, of these studies also have suggested that overexpression of HER-2/neu is associated with poor survival.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HER-2/neu sometimes is amplified and overexpressed in other human malignancies including ovarian cancer Most recent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as in breast cancer, overexpression of HER-2/neu in ovarian cancer might be associated with poor survival.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utilized a murine monoclonal antibody specifically reactive with the external domain of HER-2/neu to study expression of HER-2/neu in frozen sections of normal, benign and malignant ovarian tissues using immunihistochemical techniques. The intensity of staining for HER-2/neu in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was compared to that of normal ovarian epithelium.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HER-2/neu expression and prognostic factors such as age, stage, histological type, and histological grade. In additio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HER-2/neu expression and survival. The intensity of staining for HER-2/neu was always light or less(0-1+) in normal ovarian epithelium. Among 17 benign ovarian tumors, 16(94.2%) had staining similar to that for normal ovarian epithelium(0-1+) while 1(5.8%) stained heavily (2+). Among 36 ovarian cancers, 13(36.1%) had staining similar to that for normal epithelium(0-1+) while 23(63.9%) stained heavily (2+-3+).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istological grade, histological type, stage, age and high HER-2/neu expression in 36 patients with ovarian cancers. The difference of survival between high and normal HER-2/neu expression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role of HER-2/neu as prognostic marker in ovarian cancer.

      • KCI등재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반응의 예측인자로서 Clomiphene Citrate 부하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목정은,김정훈,조윤경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2

        1994년5월부터 1995년 7월까지 CC 부하검사를 시행한 후 과배란유도 주기에서 자궁강내 인공수정을 시행받은 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CC 부하검사소견과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반응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기초 혈중 FSH농도(FSH1),cc 투여후 FSH농도(FSH2), FSH1+FSH2의 값과 과배란유도 후 성숙난포의숫자 및 hCG 투여당일의 혈중 E2 농도 사잉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FSH1, FSH2, 또는 FSH1+FSH2의 값이 증가할수록 성숙난포의 숫자 및 혈중 E2 농도가 감소하는 음의 상관관계(negative correlation)를 나타내었다. 2. CC 부하검사상의 호르몬변수 중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반응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FSH1+FSH2의 값을 CC 부하검사에 대한 정상치를 설정하는 기준인자로 정하였으며, 이의 기준치는18.5mIU/ml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3. FSH1+FSH2의 값 18.5mIU/ml를 기준으로 정상군과 비정상군간의 과배란유도에 대한 임상적 반응의 비교는 다음과 같았다. 성선자극호르몬 투여용량은 비정상군의 경우 47.6+or-15.0 앰플, 정상군의 경우 22.5+or-8.4 앰플, 성선자극호르몬의 투여기간은 비정상군의 경우 9.4+or-1.6일, 정상군의 경우 7.2+or-1.9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6, p=0.04),hCG 투여당일의 14mm 이상인 성숙난포의 숫자는 비정상군의 경우 8.1+or-2.4개 정상군의 경우 14.9+or-5.9개, hCG투여 당일의 혈중 estadiol치는 비정상군의 경우 1538.0+or-734.3pg/ml 정상군의 경우 2401.9+or-782.8pg/ml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p=0.01). 시술주기당 임신율은 정상군에서는 37.0%이었으나 비정상군에서는 모두 임신에 실패하였다. 4. FSH1+FSH2의 값 18.5mIU/ml 및 임신여부를 기준으로 FSH1+FSH2가 정상범위(=or18.5 mIU/ml)인 군인 제 III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간의 과배란유도에 대한 임상적 반응의 비교는 다음과 같았다. 과배란유도후의 난소반응에 있어 제 I 군과 제 II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선자극호르몬 투여용량 및 투여기간은 제 III 군의 경우 제 I 군 및 제 II 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용량 및 오랜 기간이 소요되었으며(p=0.001, p=0.005), hCG 투여당일의 14mm이상인 난포의 숫자는 제 III군의 경우 제 I군 및 제 II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으며(p=0.003), 혈중 E2 농도 또한 제 III군에서 제 I 군 및 제 II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이상의 결과로 볼때, CC 부하검사의 정상과 비정상군을 구분하는 기준치를 기초 혈중 FSH 농도와 CC 투여후 FSH 농도의 합이 18.5mIU/ml로 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되며, CC 부하검사는 과배란유도에 있어 난소반응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usefulness of colmiphene citrate challenge test(CCCT) as a predictor of ovarian response to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COH). From May 1994 to July 1995, thirty-nine infertile women who had undergone CCCT before and COH attempts for intrauterine insemination(IUI) were allocated to the study group. Baseline(day 2-3 of the menstrual cycle) and response levels(day 10)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FSH), luteinizing hormone(L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100 mg CC on dyas of 5-9 of the menstrual cycle. COH was performed using long protocol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GnRH) agonist in all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The hormonal parameters obtained during the CCCT were compared to the numbers of follicle($gt;=14mm) and values of estradio(E2) on the day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administration during subsequent COH cycle. The sum of FSH measured before and after CC intake, is the parameter that correlated best with response to COH. The upper limit of the normal value for this parameter,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CCCT performed on 10 patients who became pregnant, was 18.5 mIU/ml. Twelve patients who presented a CCCT above the normal value were compared with patients with a normal test result. In these patients, the numbers of follicle($gt;=14mm) and the values of E2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patients with a CCCT result within the normal value. COH required more ampulses(75IU) of gonadotropin adminimstered, longer duration of ovarian stimulation, and no pregnancy was obtained in patients with abnormal CCCT. We conclued that CCCT appears to be a reliable method to predict individual ovarian response to COH.

      • KCI등재

        자궁경부에 발생한 평활근육종 1 례

        목정은,김영탁,김암,정동근,이인식,정재현,김상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1

        자궁경부에서 발생하는 육종은 발생수가 적어 치료에 대한 경험축척이 미진한 관계로 권장할만한 치료기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현재까지 시도되고 있는 모든 치료기법이 괄목할만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여 예후가 불량한 악성종양이다. 향후 여러 치료방법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표준화된 진단 기준이 시급히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들은 간단한 문헌적 고찰과 함께 자궁경부에서 발생한 평활근육종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Leiomyosarcoma of the uterine cervix is very rare in occurrence and highly malignant. Since Aaro and Dockertys first report in 1959, there has been only a few articles on this subject. Because of the rarity of cervical leiomyosarcoma, no standard criteria has been used in the diagnosis and histopathological classification and no definite recommendation established in management. Variety of therapies has been employed in the management with poor overal prognosis. Further experiences with a large number of cases are necessary for better management and prognosis. We present a case of leiomyosarcoma arising from uterine cervix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중증의 승모판협착증을 가진 산모에 있어서 분만전 풍선판막성형술이 시행된 1 례

        목정은,김암,이인식,이필량,나준희,황성욱,박승정,김재중,이종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9

        풍선판막 성형술은 승모판 협착증의 치료에 수술요법을 대치할 수 잇는 치료법으로 최근 널 리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승모판 협착증을 가진 임산부에서 임신말기에 풍선판막 성형술 을 시행하여 합병증 없이 성공적으로 분만을 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burden of pregnancy in patients with severe mitral stenosis continues to present a therapeutic challenge. A 23- year old woman at 36 weeks gestation wa discovered to have previously undiagnosed severe mitral stenosis. Not responding to medical therapy, she underwent percutaneous ballon mitral valvotomy(PMV) using inouer ballon catheter, which resolved her symptoms completely. She delivered a healthy infant at 38 weeks gestation. the unique of PMV may render it the technique of choice for selected pregnant patients with severe mitral stenosis.

      • KCI등재

        양성 난소기형종에서 발생한 편평세포암 2 례

        목정은,김영탁,이영배,김암,정동근,이인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8

        저자들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서 양성 난소기형종에서 발생되는 희귀한 악성변형증 편편세포암 2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presence of malignant squamous cell components in the ovaries is rare whether it is primary or metastatic. We present two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s arising from benign cystic teratomas of ovary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 KCI등재

        난소기능의 예측인자로서 Immunoradiometric Assay로 측정된 기초혈중 난포자극호르몬 농도 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목정은,김정훈,조윤경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0

        1994년 5월 1995년 3월까지 과배란 유도 주기에 자궁강내 인공수정을 시행받은 93명의 환자 를 대상으로 면역방사계수측정법으로 측정된 기초혈중상 FSH농도와 과배란유도에 대한 난소 반응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기초 혈중 FSH농도와 성숙난포의 숫자 및 hCG투여당일의 혈중 E2농도사이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 즉 기초혈중 FSH농도가 증가할수록 성숙난포의 숫자가 감소하였으며, 혈중 E2농도가 감소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2. 난소반응 및 임신가능성을 가장 잘 예측할수 있는 민감도, 위양성율 등을 산출하여 이를 가장 만족시키는 값을 난소반응 및 임신가능성을 예측하는 기초혈중 FSH농도의 기준치로 정하였는데 이때의 기준치는 8.5mIU/ml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3. GnRH agonist 초단기투여법군에서 기초혈중 FSH농도 8.5mIU/ml를 기준으로 한 두군간의 hCG투여일의 성숙난포의 숫자는 =8.5mIU/ml인군에서 7.28+-2.63개였고, 혈중 E2농도는 =8.5mIU/ml 인군에 서 983+-554 pg/ml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 GnRH agonist 장기투여법군에서 기초혈중 FSH농도 8.5mIU/ml를 기준으로 한 두 군간의 hCG투여일의 성숙난포의 순자는 =8.5mIU/ml인군에서 10.68+-6.75개였으며 과배란유도시 소요된 성선자극호르몬 투여용량은 35.31+-13.6앰플, 48.81+-18.94앰플이었고, 혈중 E2농도는 1897+-1137pg/ml, 1241+-981pg/ml로 모두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5. Gonadotropin 단독용법군에서 기초혈중 FSH농도 8.5mIU/ml를 기준으로 한 두 군간의 hCG 투여일의 성숙난포의 숫자는 =8.5mIU/ml인군에서 11.4+-6.82개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혈중 E2농도는 2334+-1812pg/ml, 1375+-645pg/ml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과배란유도를 시행하는 환자에서 월경주기 제 2일또는 3일에 측정된 기초혈중 FSH농도가 난소반응의 예측인자로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과배란 유 도에 대한 난소반응을 예측하는 면역방사계수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기초 혈중 FSH농도의 기준치는 8.5mIU/ml가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usefulness of basal follicle stimulating hormone(FSH) levels measured by Immunoradiometric Assay(IRAM) as a prognostic indicator of ovarian reserve and to determine the discriminatory level of basal FSH that predicts the ovarian response and the probability of pregnancy in patients with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COH). From May 1994 to March 1995, ninety-three infertile women who had undergone intrauterine insemination(IUI) during COH cycles were allocated to the study group . COH wa performed using ultrashort protocol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GnRH) agonist (n=38), long protocol of GnRH agonist(n=35) and exogenous gonadotropin only(n=20). All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had blood samples drawn on cycle day 2 or 3 prior to COH for IRMA of basal FSH. There was a distinct negateive correlation between rising FSH values and numbers of follicles on the day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administraion . The values of estradiol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showed distinct negateive correlation with rising FSH values.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basal FSH values and total ampules of gonadotropin administered, and the duration of gonadotropin administraion . With a cut-off level of 8.5mIU/ml for the basal FSH concentration measured by IRMA , the false positivity rate for prediction of pregnancy were the lowest value. The false positivity increased as the cut-off level was decreased or increased, and therefore we selected 8.5mIU/ml as the cut-off to optimize sensitivity and minimize false positivity .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pregnancy rate in the low group with 39.2% compared with 21.4% in the high group($gt;-8.5mIU/ml). In the group using ultrashort protocol of GnRH agonist, patients with low basal FSH levels(-14mm) on the day of hCG adminitration than those with high levels($gt;-8.5mIU/ml)(11.52 vs 7.28). Mean peak E2 level of low group, 2,378+-1,034pg/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igh froup, 983+-554pg/ml. In the group using long protocol of GnRH agonist, patients with low basal FSH levels(-14mm)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than those with high levels($gt;-8.5mIU/ml)(17.05 vs 10.68). The amounts of gonadotropins administrered was significantlyly reduced in low basal FSH group. Mean peak E2 level of low group, 1,897+-1,137pg/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igh group, 1,241+-981pg/ml. In the group using gonadotropin only protocol, patients with low basal FSH levels($gt;8.5mIU/ml) yieled a higher mean number of follicles($gt;-14mm) on the day of hCG administation than those with high levels($gt;-8.5mIU/ml)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Mean peak E2 level of low group, 2,334+-1,812pg/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igh group, 1,375+-645pg/ml. Basal FSH levels are predictive of the ovarian response and proability of pregnancy in stimulated cycles and may be useful in patient selection and counseling of patients regarding their appropriateness for assisted reproduction.

      • KCI등재

        고혈중 기저 난포자극호르몬논도를 보이는 반응저하군에서의 저용량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장기투여법의 유용성

        목정은,원혜성,김정훈,조윤경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

        1994년 5월부터 1995년 7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 불임크리닉을 찾은 불임환자들 중 과거의 과배란유도주기에서 부량한 난소 반응을 보였던 반응저하군으로서, 동시에 기저혈증 FSH치가 8.5mIU/ml 이상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저용량 GnRH-a 장기투여법을 시행하였다(LD 군)(n=25). 이때 동일 조건의 환자들중 일상적 GnRH-a 장기투여법을 시행받는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였다(RD군)(n=25). 두 군에서 각각 25주기의 과배란유도주기에서의 자궁강내 인공수정이 시도되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환자들의 나이는 LD군의 경우 35.2세, RD군의 경우 34.8세로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이외의 임상적 특성의 비교에 있어서도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시술주기의 취소율은 LD군의 경우 0%, RD군의 경우 4.0%(1/25)로 유의한 차이를 보지 않았다. 3. 과배란유도를 위한 성선자극호르몬 투여용량은 LD군의 경우 43.3앰플, RD군의 경우 48.9, 2앰플로 LD군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며(p$lt;0.0001), 성선자극호르몬의 투여기간도 LD군의 경우 9.7일, RD군의 경우 10.6일로 LD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p$lt;0.01). 4. HCG 투여일의 혈중 E2치는 LD군에서 1102.8 pg/mL로 RD군에서의 1010.1 pg/mL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lt;0.0001), 평균직경이 14 mm 이상인 난포수도 LD군에서 6.9개로 RD군에서의 6.0개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다(p$lt;0.05). 5. HCG투여당일 질식초음파상 관팔된 자궁내막의 두께, 혈중 p치 및 혈중 LH치는 LD군과 RD군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군에 포함된 모든 대상환자들에서 hCG 투여일의 혈중 p치는 0.7 ng/mL이하, 혈중 LH치는 7.8 mIU/mL이하로 나타났다. 즉 두 군에 포함된 모든 대상환자들에서 조기황체화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6. 자궁강내 인공수정 시술주기당 임신율은 LD군의 경우 24.0%(6/25), RD군의 경우 12.5%(3/24)로 LD군에서 다소 높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7. 임상적 임신당 자연유산율에 있어서도 LD군의 경우 16.7%(1/6), RD군의 경우 33.3%(1/3)로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저용량 GnRH-a 장기투여법은 일상적 GnRH-a 장기투여법에 비하여 반응저하군에서 성성자극호르몬에 대한 난소의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되는 바이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 of lowdose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GnRH-a) long protocol in poor responders with elevated basal level follicle stimulating hormone(FSH)($gt;8.5 mIU/ml). From May 1994 to July 1995, 50 patients who were defined as poor responders on previous superovulation attemp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lowdose GnRH-a long protocol group(LD group)(n-25) and the regular-dose GnRH-a long protocol(RI) group)(n=25). The indications for superovulation with intrauterine insemination(IUI) included ovulatory factor(n=34), unexplained infertility(n=8), and stage I, II endometriosis(n=8). Patients with male factor, polycystic ovarian syndrome, or hyperandrogenism were excluded from this stydy. Twon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clinical features and basal FSH level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cycle cancellation rate(0% vs 4.0%). The amount gonadotropin required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LD group, with 43 ampules compared with 48.9 ampules in the RD group. The duration of gonadotropin administration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LD group, with 9.7 days compared with 10.6 days in the RD group. The mean estradiol level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in the LD group, 1102 pg/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RD group, 1010 gp/ml. Patients in the LD group yielded a higher mean number of follicles($gt;=14mm)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than those in the RD group(6.9 vs 6.0). It seemed that a clinical pregnancy rate per cycle was higher in the LD group, with 24.0%(6/25) compared with 12.5%(3/24) in the RD group, but this de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s that a lowdose GnRH-a long protocol is a better choice than regular-dose GnRH-a long protocol in poor responders undergoing superovulation with IU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