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모경환,김선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global citizenship is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study us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Merryfield(1998) to analyze the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the world as interdependent systems, contents on politics and culture as well as economy increased. Second, more global issues and problems were included. Third, conten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increased. Fourth, the scope of diversity expanded. Fifth, interconnectedness of humans through time was inadequately reflected in the current social studies curriculum. Sixth, contents on values and attitudes, and actions were strengtened. Sixth, contents of cross-cultural understanding,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re not adequately included.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strengthen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interaction and prejudice reduction. Also, more instructional method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overhauled.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Merryfield의 개념틀을 사용하였는데 세계시민교육을 일곱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첫째, 인류와 세계를 역동적, 유기적, 상호의존적인 체계로 이해하기, 둘째, 전지구적 쟁점 이해하기, 셋째, 다양한 문화와 관점 이해하기, 넷째, 지역적·전지구적 차원에서 의사결정을 내리고 행동하는 데 필요한 지식·기능·책임감 갖기, 다섯째, 역사적인 차원에서 인류의 상호연계성 이해하기, 여섯째, 간문화적 이해·상호작용·의사소통, 일곱째, 비판적인 맥락에서 편견 해소와 도덕 교육의 중요성 인식하기 등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교육과정과는 달리 지구촌을 역동적, 유기적, 상호의존적인 체계로 이해하는 내용이 강화되었고, 경제 외에 문화, 정치 분야가 포함되었다. 둘째, 구체적인 전지구적 쟁점과 이슈를 포함하고, 다양한 문화, 관점, 세계관의 내용이 강화되었다. 셋째, 지역적·전지구적 차원에서 의사결정을 내리고 행동하는 데 필요한 역량이 강조되었다. 넷째, 간문화적 이해와 상호작용, 의사소통 내용이 미흡하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편견을 해소하는 내용이 부족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세계시민교육 내용 요소들의 계열성을 높이도록 구성해야 한다. 둘째, 간문화적 이해와 상호작용, 의사소통 내용을 강화하고 자민족 중심주의, 고정관념 및 외국인 혐오를 극복할 수 있는 내용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세계시민교육 전문가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재외 한국학교의 진로교육 현황 분석 및 발전방안 탐색

        모경환,구하라,권오현,성상환,임봉환,이동훈,손연지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9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8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of Overseas Korean Schools in order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and suggest development strategies. We analyzed career education programs of 22 Overseas Korean Schools across 7 countries in 2017-2018. Most of the programs focus on college entrance exams at the cost of systematic career education. Also, career teachers are rarely assigned to overseas Korean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directions for career education in Overseas Korean Schools a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재외 한국학교의 진로·진학교육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2개 재외 한국학교의 연간교육계획서를 활용하여 진로·진학 담당 부서,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및 교과목 편제 현황을 살펴보고,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의 ‘일반고등학교 진로교육의 세부목표 및 성취기준’을 준거로 하여 재외 한국학교의 진로·진학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개별 학교별로 진로·진학교육의 세부특성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재외한국학교의 진로교육은 주로 대학진학에 초점을 두고 있어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시급하다. 또한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배치 비율이 낮고 진로 관련 과목의 운영이 극히 미흡한 실정이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재외 한국학교의 진로·진학교육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교육의 과제

        모경환,황혜원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지구촌사회, 다문화사회로 급변하면서 나타나는 교육적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사회과 교사교육의 관점에서 탐색해 본 것이다.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는 기존 사회의 시민들과 청소년들에게 변화하는 환경에 더불어 살아가는 시민적 자질을 함양해야하는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하지만 우리 청소년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의 교사들은 아직 다문화적 환경에 대응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에서 다문화교육과 가장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사회과교사들의 다문화적 태도, 다문화적 이해도, 그리고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을 조사하였다. 사회과교사들은 자신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한 준비가 불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을 위하여 교사교육과정의 변화와 교사연수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다문화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교육을 담당할 예비교사들을 위한 교사교육 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 글로벌 사회 청소년 시민교육의 전략과 방법

        모경환,임정수 한국시민청소년학회 2010 시민청소년학연구 Vol.1 No.1

        세계화의 흐름은 국가 중심의 시민성 개념 및 시민성교육에 대한 재개념 화를 요구하고 있다. 국가 내부의 문화적 다양성이 강화되고 초국가적 기구의 활동 및 교류가 일반화되면서 현대 시민에게는 지역주민과 국민으로서의 자질 은 물론이고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출 것이 기대된다. 다중시민성 향상을 위한 세계시민교육과 다문화교육이 중요한 시민교육의 과제로 부상하였다. 기 존의 시민교육은 동화주의적 가치를 내재하고 소수 문화에 대한 왜곡과 편견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세계화 시대의 시민교육은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반편견, 관용 등과 같은 자질 함양을 목표로 해야 하며, 학생 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교수-학습의 공식적인 요소로 존중하고, 참여와 행동 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과 장학 개선에 관한 연구

        모경환,박영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사회과교육 Vol.43 No.1

        이 논문은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향상이 성공적인 사회과 수업의 핵심적인 요소라고 보고, 이를 위한 교과 장학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교실 수업에서 교육과정은 교사에 의해 조정되거나 재해석되어 실행되기 때문에 교실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에 주목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제고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의 장학 활동은 교사의 수업 활동에 대한 권위적이고 관료적인 감독과 통제로 이해되어 실제 수업 개선에 한계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교과 장학의 새로운 방향으로 교사의 자발적 참여를 촉진하는 협력적 장학, 수업의 실질적 개선을 위한 임상장학, 교사의 반성적 성찰에 바탕한 장학을 제시한다. 그리고 사회과 교과장학에서 사회과 교사의 교과에 대한 이해, 교수-학습 방법 선택, 교과 관련 지식, 교사의 개인적 실행이론, 교사문화 등의 요소가 고려되어 장학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In this study we regard increasing social studies teacher's competence as a critical factor for successful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and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supervision improvement in social studies, The new supervision strategies for improving social studies instruction should consider teacher's voluntary participation in supervising activities,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supervisor, clinical supervision, and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bout his instruction. We also argue that social studies supervision should include subject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teacher, teacher's choic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subject related knowledge, teacher's personal practical theory, and teacher's occupational culture.

      • KCI등재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분석

        모경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수 프로그램은 서울대학교 중앙다문화교육센터에서 2008년 8월에 1주일 30시간 실시한 것으로, 대상은 수도권 초등학교 교사 11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Guyton & Welshe(2005)가 개발한 교사 다문화효능감 척도와 Ponterotto 등(1995)이 개발한 인종적 다양성에 대한 태도 문항을 우리 실정에 맞게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가능한 68명의 자료에 대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수 후 세 명의 교사와 비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고, 참여 교사들이 인종적 다양성에 대하여 보다 개방적이고 관용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음이 나타났다. 면담 일지를 분석한 결과, 설문 결과와 마찬가지로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의 개선에 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수업 기능 향상 측면에서도 개선의 기대를 나타내었다.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n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and their attitudes towards diversity.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s of 115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30 hour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Cent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questionnaire is comprised of questions regarding multicultural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s cultural and ethnic diversity.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were analyzed through paired t-test for 68 teachers' data,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data for three teachers were analyzed to complement the survey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both for enhancing the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and their positive attitudes regarding racial diversity. Second, the program was found more effective for enhancing the teachers' competence for multicultural instructions rather than their racial attitudes.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focus more attention on enhancing teachers' attitudes toward racial diversity.

      • KCI등재

        다문화 교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모경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4

        한국 사회의 인종적·문화적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교사들은 이러한 다양성이 교육현장에 제기하는 각종 문제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대다수 교사들은 직전 교육이나 현직 연수를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계발할 기회를 적절히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교사양성 기관의 교과과정과 교원연수 기관의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다문화교사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유아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으로 나누어 전국 69개 유아교육과의 교과과정, 전국 13개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교과과정, 그리고 전국 42개 사범대학의 교과과정을 조사하여 다문화교육 관련 강좌 개설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직연수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시·도 교육연수원의 다문화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교육과의 경우 다문화 강좌 개설이 3군데에 그쳐 극히 미흡함을 나타내고 있다.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경우, 정부의 지원을 받아 전국적으로 강좌를 개설하고 멘토링을 실시하고 있으나 일률적인 교과 구조를 지니고 있다. 중등교사 양성기관의 경우, 총 8개 사범대학에서 강좌를 개설하고 있어 개설율이 저조하며 현장 실습 경험을 제공하는 강좌가 미흡하다. 현직교사 연수의 경우, 전국적으로 9개 기관에서 연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데, 주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비추어볼 때 교사교육과정은 먼저 다문화 강좌가 양적으로 확대되어야 하고, 교양 강좌뿐만 아니라 전공 강좌로서 개설되어야 한다. 또한 강좌의 내용은 다문화가정의 자녀에 대한 지원과 배려뿐만 아니라 다문화사회의 시민으로 살아가는 다수자 자녀들의 다문화적 시민성 교육도 강조해야 한다. 또한 교사교육 기관과 현장의 연계를 강화하여 충분한 현장 실습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연구

        모경환,정수진,전영은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2 시민교육연구 Vol.54 No.4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공존과 협력의 의미가 강조되면서 문화다양성 교육은 시민교육의 주요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화다양성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초등학교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 영역 및 내용 요소, 그리고 성취기준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 국제기구와 국내법에 나타난 개념적 정의의 모호함을 개선하고자 문화다양성과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새로운 개념 정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념 정의와 함께 문화다양성 교육의 목표도 새롭게 기술하였다. 둘째, 본 연구 결과 문화다양성 교육의 영역으로 문화다양성의 이해, 요소, 실천의 세 가지 차원을 제시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이러한 세 가지 영역에 대해 해당 내용 요소를 배치하였는데, 이해 영역에는 문화다양성의 개념과 가치, 그리고 사회변동과 문화다양성 등 두 가지, 요소 영역에는 지역, 민족과 인종, 종교, 세대, 성 등 다섯 가지, 실천 영역에는 문화다양성의 표현과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발전 등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각각의 내용 요소에 대해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개념 정의, 목표 제시, 내용 영역 분류와 내용 요소 제시, 그리고 이에 따른 성취기준이라는 연구 결과는 체계적 문화다양성 교육과정으로서 향후 교과서 및 학습 자료 개발에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 언어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 언어교육 강화 방안

        모경환,이재분,홍종명,임정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linguistic minority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on language development of diverse students, language education policies of multicultural societies such as Germany, Canad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e current KSL and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this article suggests improvement plans for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First of all,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from diverse families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bilingual literacy, educational equality, and global citizenship required to function effectively in this globalized world. Standard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effective instruction models and share exemplary practices. All students in need of KSL and bilingual education have the right to be taught by high-quality teachers.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students whose first languages are not Korean introduces more accountability for teachers,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언어는 사회 및 집단의 주요한 문화유산이자 소통의 도구이며 소속 구성원 간 이해와 연대의식, 소속감과 애착을 형성하는 토대이다. 따라서 공존과 통합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부상한 다문화 시대에,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교육은 매우 중요한 정책 아젠다가 된다.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언어교육 정책은 사회의 공식 언어를 교육하는 것과 학습자의 제1언어를 유지,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계승어 교육 혹은 이중언어교육으로 구분된다. 공식 언어를 교육함으로써 사회 통합을 도모하는 동시에 제1언어의 습득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개인이 지닌 교육적 자산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06년 다문화 교육이 정책 아젠다로 등장한 이후, 다문화 언어교육 정책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많은 가시적인 변화와 성과를 달성해 왔다. 이제는 그간 축적해 온 교육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정책의 전문화 및 세분화를 모색할 시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바람직한 다문화 언어교육을 위한 국가 정책 차원의 목표와 원리, 접근 방식 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학습자의 언어 발달 원리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일본․독일․캐나다․미국 등, 주요 국가의 다문화 언어교육 정책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KSL) 교육과 이중언어교육의 현황을 검토하여, 정책 측면, 프로그램 측면, 운영 측면에서의 약점과 강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 언어교육 강화를 위한 방안을 교육 목표, 교육과정, 교수-학습, 운영체제, 교강사 운영, 학교-가정-사회의 지원 체제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