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분석

        맹희주,서혜애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gifted in the elementary inv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appears that although the majority of teachers & students are spontaneously joining in that learning course due to lots of interest, the response rate for how to come in that learning course has been higher in the case of a male teacher being obligatory and female students being recommend by their teacher or parents. Second, the teachers who take disjun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hink that they are dealing with the basic knowledge or necessity of the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a class for how to create a clever idea. However, it has analysed that phenomenon of estrangement for teaching & learning occur because students meaningfully recognize that learning arise less than the recognition from teaching teacher statistically. Third, it has analysed that the intention of teaching from teachers such as, evaluation, debate, and presentation is not well reflected in student’s learning. Finally, it has shown that the class satisfaction from students and teachers is generally higher. Hence, in order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estrangement, it needs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Moreover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should be studied to facilitate learning and systematically manage a invention of the gifted education efficiently. 본 연구에서는 초등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교사와 학생들간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여 교수-학습 상호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발명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들의 과반수 이상이 발명에 관심이 많아 자발적으로 발명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자교사들은 의무적으로 담당하거나 여학생들의 경우 부모님이나 교사의 권유로 참여하게 되었다는 응답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명영재 담당 교사들은 발명의 필요성이나 기초 지식, 창의적 아이디어 창출에 관한 수업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다고 생각하나, 학생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교사들의 교수에 대한 인식보다 학습은 적게 일어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교수-학습의 괴리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호 평가와 발표, 토론 등의 활동은 교사의 교수 의도와 다르게 학생들의 학습에서 잘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발명영재 담당교사들과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나타나는 괴리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교수-학습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발명영재 수업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기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한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적용 현황 분석 및 교사의 수업능력 진단

        맹희주,손연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하여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 수업 적용 현황을 조사하고,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과학교사들의 수업능력을 진단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통합과학교육은 과학지식과 학생들의 일상 경험을 연결시켜 일상생활을 과학적으로 해결하는 태도를 함양시키는 것에 가장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어,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이 교육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컨설팅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전체 응답자의 43.5% 정도가 통합과학 수업을 적용해 본 경험 있으며, 대부분 생물영역 중심의 통합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급에 따라 통합이 취약한 과학영역과 접근방법에 대해 심층적으로 수업컨설팅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과학 전영역이 통합 중심영역으로 고르게 적용되고, 수업의 전 과정에서 통합과학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수학습 방법과 전략에 대한 컨설팅이 요구되어졌다. 셋째,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지율(52.1%)에 비해 대부분(83.0%)의 교사들은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에 참여해본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 개발을 위해 지식습득 보다 교사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교사모임을 통한 수업자료의 공유가 필요하며, 수업컨설팅을 통한 수업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에게 통합과학 수업내용 선정에 대해 수업컨설팅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과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은 물리영역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지구과학 영역에 대한 지식 확보가 컨설팅을 통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수업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수업목표에 따라 수업주제를 선정하고 수업 설계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방안이 수업컨설팅의 내용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결과에 따라 학교급의 특성에 맞는 수업컨설팅을 수행함으로 편중된 통합과학교육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수업능력의 함양을 위해 차별화된 연수 프로그램과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To consult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SE),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teaching abilities related to Integrated Science Instruc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Education Appli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ince ISE is recognised to be more focused on improving students’ attitudes so that they can scientifically solve phenomenon in their daily life through connecting Science knowledge to their daily experiences as students, the direction of ISE will be consulted with respect to its agreement with the objects of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application of ISE comprised about 43.5 percent and that applied to the integration of the main ideas of the biological sciences. Third, most teachers (83.0%) had not experienced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for class consulting although the rate of awareness (52.1%) about class consulting was significant. The teacher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need to share class materials through teacher meetings or participate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rather than simply acquire knowledge to develop professionalism for ISE that has been recognized as being needed for class improve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for the physical realm need consulting to improve their knowledge; and th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concerning earth science as well. Therefo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level, the class consultations should not put too much emphasis on ISE. Moreover, it will be necessary to promote and develop differentiated training and class consulta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abilities relating to ISE. (273 words)

      • KCI등재

        교수매체와 교수방법 선정을 위한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지각적 학습양식과 정보처리성향 분석

        맹희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2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style and information processing habits of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and considered appropriate teaching media and methods to ensure positive perceptions. As a result, the group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provided with visual materials because this tended to be visual learners according to perception learning styles when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 medium group should be provided with visual materials, experiences, and operational activity lessons because this group approximated haptic and visual learners. With respect to the lower group, it is effective to use lesson materials evenly without their being weighted to one type only because responded mean of the perception learning style is midium degree and especially the simple auditory class composed by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ould make effectiveness of class impeded. Moreover, in the tendency of information processing, a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cademic achievement group, it seemed tha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somewhat active, sensory and global tendency.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지각적 학습양식과 정보처리 성향을 신념적 학업성취도에 따라 분석하고, 이들의 학습특성을 긍정적으로 강화시키기 위해 적합한 교수 매체와 교수방법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신념적 학업성취도가 상인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지각적 학습 양식 중 시각형 학습 유형에 가까워 시각적 자료를 제시해 주고, 학업성취도가 중인 집단은 시각형이면서 조작형의 학습유형에 가까워 시각적인 자료와 체험 등 조작 활동이 많은 수업을 전개하는 것이 수업에 효과적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신념적 학업성취도가 하인 집단은 보통정도의 지각적 학습 양식을 띠므로 수업매체가 편중되지 않도록 고르게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특히 교사의 언어로만 이루어지는 단순 청각적인 수업은 수업의 효과를 저해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처리 성향에서는 학업성취도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다소 활동적이며, 감각적이며, 전체적인 성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활동이 요구되는 수업으로 진행하며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해주고, 수업내용은 전체적인 설명 뒤 구체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식으로 전개해야 효과적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학업성취도에 따라 정보처리 방법에서는 유사한 성향을 보이나 지각적 학습양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므로 지식의 개별화에 따라 지각적 성향에 적절한 교수학습 매체를 선정하여야 할 것이며, 학급의 수업 운영을 위해서는 전체 학생들의 정보처리성향을 반영하여 전략적으로 교수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한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적용 현황 분석 및 교사의 수업능력 진단

        맹희주,손연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하여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 수업 적용 현황 을 조사하고,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과학교사들의 수업능력을 진단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 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통합과학교육은 과학지식과 학생들의 일상 경험을 연결시켜 일상생활을 과학적으로 해결 하는 태도를 함양시키는 것에 가장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어,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이 교 육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컨설팅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전체 응답자의 43.5% 정도가 통합과학 수업을 적용해 본 경험 있으며, 대부분 생물영역 중심의 통합을 적용하고 있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급에 따라 통합이 취약한 과학영역과 접근방법에 대해 심층적으로 수 업컨설팅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과학 전영역이 통합 중심영역으로 고르게 적용되고, 수업의 전 과정에서 통합과학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수학습 방법과 전략에 대한 컨설팅이 요구되어졌다. 셋째,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지율(52.1%)에 비해 대부분(83.0%)의 교사들은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에 참여 해본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 개발을 위 해 지식습득 보다 교사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교사모임을 통한 수업자료의 공유가 필요하며, 수업컨설팅을 통한 수업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에게 통합과학 수업내용 선정에 대해 수업컨설팅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과 고등학교 과학교 사들은 물리영역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지구과학 영역에 대한 지식 확보가 컨설팅을 통해 필 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수업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수업목표에 따라 수업주제를 선정하고 수업 설계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방안이 수업컨설팅의 내용에 포함되어 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결과에 따라 학교급의 특성에 맞는 수업컨설팅을 수행함으로 편중된 통합 과학교육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수업능력의 함양 을 위해 차별화된 연수 프로그램과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융합영재교육의 발전 과제와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맹희주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6

        융합형 인재 육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영재교육에서도 융합교육을 위한 노력들이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노력은 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편이며, 과학과 예술에 편중되게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융합교육과 관련된 영재교육의 연구 현황들을 통해 우리나라 융합영재교육의 실현과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를 논의하고, 향후 융합영재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논의결과 융합영재와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명확한 정의의 확립이 필요하며, 영재교육의 수혜영역별 융합적 사고력에 대한 정의와 개념적 틀 마련을 위한 연구들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또한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융합영재교육의 콘텐츠 개발과 융합이론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사되어졌다. 더불어 영재교사들의 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들 또한 필요한 것으로 논의되었다. Many studies on convergence education have been done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to meet the social needs for people of convergence talent and to adjust our education system to the paradigm shift. However, the number of studies on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not sufficient enough and most of them are mainly on science and art. So, this study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on gifted education involving convergence, and discusses the pressing issues to address for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n korea. Also, the direction of the further research is introduced. There is an agreement that the definition of the convergence gifted an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needs to be clarified, and further researches have to be conducted to establish a basis for defining integrated thinking ability.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ontent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ccommodat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a theory-based approach to crea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is proposed. On top of that, the needs for the studies on how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capability of the teachers are discussed.

      • KCI등재

        예술영재 담당 교원 연수 현황 및 인식 조사

        맹희주,강병직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3

        This research examined to seek managing the way of effectiveness for training through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training for the gifted in art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it is analyzed that about 49.4 percent of respondents do not have any experiences of in-service training related to the gifted education in arts and there are also teachers who teach with no experiences of in-service training. Moreover, it is also analyzed that in-service training is generally being conducted with revolving to basic courses and the opportunities that teachers are able to develop programs for themselves are offered insufficiently. Second, in terms of management of in-service training, it is implied that accessibility to the training site and the active promotion of program, as well as sufficient provision of information, have to be considered in advance. Third, teachers have recognition that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diversification of training types, professionalism of instructors and managing directors for the effectiveness of in-service training. Forth, in terms of program, teachers show that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programs, the diversification of training contents and the differentiated opportunities for developing programs according to basic, advanced course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in arts are most important. Furthermore,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the amenity of training facility are said to be important elements. Therefore, we suggest that,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of the gifted in arts, not only differentiated in-service training model and curriculum which can be applicable to the field, but also efficient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education in arts. 본 연구에서는 예술영재 담당 교사들의 연수 현황 및 연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실효성 있는 연수를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응답자의 약 49.4%는 예술영재교육 관련 연수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수 경험 없이 영재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초 연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수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 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수업 내용은 미흡하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술영재교육 연수 운영 시 연수지역의 접근성을 고려하고, 연수에 대한 사전 홍보와 정보의 제공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셋째, 실효성 있는 예술영재교육 연수를 위해 ‘연수강사진의 전문성 확보’와 ‘연수 유형의 다양화’, ‘연수기관 및 연수 운영진의 전문성 확보’가 연수 운영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 측면에서 현장 적용이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과 기초, 심화, 전문 등 연수 종류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 연수 내용의 다양성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수 환경 측면에서 교통과 연수시설의 편의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실효성 있는 예술영재교육 연수가 되기 위해서 예술영재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차별화된 연수모형과 현장적용이 가능한 연수 커리큘럼이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연수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 전문성에 관한 10년 주기(2008-2018) 비교 연구

        맹희주,손연아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6

        The cultivation of creative convergence talent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the Korean curriculum has also undergone many changes, aiming for convergence and integrated education. In addition to these changes in science and curriculum, we examined the changes in perception and Professionalism(PCK)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of science teachers over the past decade. For this study, 359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2008, whe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as applied, and 360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2018, wh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pplied, were examined for 10 years of changes in perceptions and PCK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he conclusion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n 2018,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warenes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Nevertheless, cognition was found to be ‘normal’. Seco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provid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ducing the contents of learning,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and securing flexible timetables, and raising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for students and parents as a condition for the succes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was analyz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2018. Third, the results of PCK survey through self-diagnosis, teachers’ PCK on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such as competence to secure curriculum contents knowledge, comprehension of curriculum and class composition related to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eaching strategy for integrated, cre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for integrated teaching, efforts to improve administrative constraints and the professionalism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t was ten years ago. Therefore, the recent emphasis on convergence education has increased the experience of applying convergence class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it was seen as a result of the continuous efforts of science teachers to meet the changes in the education paradigm. 창의융합 인재 양성의 중요성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도 융합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며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더불어 최근 10년간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이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0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59명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 되고 있었던 201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통합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PCK)에 대하여 10년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2018년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과학교육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교사의 전문성 향상, 교수 학습 자료의 제공, 학습내용의 축소, 학생 수 감소와 시간표의 융통성 확보, 학생과 학부모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확대의 필요에 대한 인식도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기진단에 의한 PCK 조사 결과, 교과 내용 지식 확보 능력,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의 이해와 수업 구성 능력, 통합적 교수 전략 능력, 통합적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환경 조성 능력, 통합과학교육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등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PCK는 10년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 융복합 교육의 강조로 현장에서 융복합 수업의 적용 경험이 많아졌으며,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부합하고자 하는 과학교사들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실로 보여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