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해방 후 1950년대까지의 여성관련 법제화와 축첩제 폐지운동

        마정윤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6 이화젠더법학 Vol.9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women’s objection to concubine, an issue from the 1920s, and the discourse on formulation a new law against it after liberation in Korea. After common-law marriage was changed to civil marriage, the status of wife and concubine became unstable. In the name of love, marriage through free love and divorce became crucial. Therefore, stress was gradually laid upon partners remaining chaste, and doing so was considered an indicator to measure gender equality. To keep a concubine in addition to a wife was considered to violate the institution of marriage and was considered a feudal or corrupt practice from a man. In this situation, women pushed two agendas after liberation. The first was for the new constitution to prescribe the“chastity of marriage” and to prohibit keeping a concubine. The second was to establish legislation for banning men who already had a concubine from working as a government employee. Article 20 on the “chastity of marriage” was accepted without much resistance; however, the potential prohibition on government employees faced fierce objections. This may have been because this prohibition would result in individual and familial problems for men. As a result, this prohibition was rejected by a vote of 83 against to 53. Shortly after this vote was defeated, women began demonstrating in its favor, and women’s organizations forced President Lee to legislate for the abolition of concubine. As the Korean war broke out immediately after this period, women’s movement against concubines cooled down, and objections and criticisms subsided owing to the strong anticommunist sentiment after the war. Although many punishments were imposed for keeping a concubine, they were very light and applied only sparingly. They seemed no more than a formality to soothe the public opinion. Furthermore, expressions like democracy, gender equality, and antidiscrimination that women had demanded and that were prescribed under the Constitution were not included in the new criminal law and civil law. At this time, lawmakers were given to conservative thinking and to maintaining old customs in society. Whereas women considered concubines to be a public problem linked to licensed prostitution and human trafficking, men considered it a private problem. These attitudes resulted in society being divided sexually. As long as there existed a division between “good” and “bad” women, women remained trapped in the image imposed by society. Women’s status was not dealt with in the same manner as that of men in the discourse and movement, and the demand of gender equality that women hoped would be enshrined in the Constitution emerged through the reform in family law, thus ultimately gaining acceptance in the areas of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본 연구는 해방 후 여성관련 법제들이 제정되는 과정이 축첩제 폐지운동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가를 추적한다. 기존의 한국 여성운동관련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축첩제 폐지운동에는 덜 주목하였을 뿐만 아니라 해방 후 동시다발적으로 제기되었던 축첩제 폐지운동, 공창제 폐지운동, 인신매매금지운동 간의 연관성에도 주목하지 않았다. 아마도 이것은 보다 쉽게 폐지된 인신매매금지와 좌우합작운동으로 이루어진 공창제 폐지운동에 비해 축첩제 폐지운동은 성과도 덜 가시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축첩이 가족의 형태로 오래도록 지속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는 해방 후 가장 활발하였던 여성운동의 이슈인 가족법개정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1980년대 이후 이른바 ‘진보적’ 여성운동과 그 이전 세대와의 단절을 설명할 수 없다. ‘축첩’의 문제는 미군정 이후 제1공화국의 제헌의회까지 끈질기게 여성계의 요구로 제기되면서 법제정과정에서 다양하게 논의되었던 것으로 앞에 제기한 의문들을 살피는데 중요한 지점이 된다. 즉 첩의 문제는 해방 후 문명세계의 일원으로 규정하여야 할 혼인의 형태의 문제이자 기존의 가족의 문제를 재구성하도록 요구하였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국가가 가족의 문제에 어떻게 개입할 것인가에 대한 당시 사회적 인식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법제화 과정은 당시의 사회적 인식과 이에 대한 반발과 교정으로서의 운동 그리고 이에 대한 결과로써의 법제정을 살핌으로써 당시의 국가와 사회의 구성에 대한 역동적인 재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축첩을 둘러싼 법제화는 헌법상으로는 ‘혼인의 순결’ 조항을 삽입하는 한편, 「형법」에서는 간통쌍벌주의로 분화되었고 신민법 제정과정에서 혼외자의 출생신고의 문제로 드러났다. 하지만 해방이후 축첩의 문제를 둘러싸고 이루어진 운동과 담론 속에서 여성의 지위는 진정으로 남성과 같은 수준으로 다루어진 적이 없으며 이후의 더 지난한 가족법개정운동과 더불어 정치, 사회, 경제, 문화의 영역을 가로지르는 여성들의 목소리와 문제제기가 등장할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 KCI등재후보

        해방 후 1950년대까지의 여성관련 법제화와 축첩제 폐지운동

        마정윤(Jung-Yun Mah)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6 이화젠더법학 Vol.8 No.3

        본 연구는 해방 후 여성관련 법제들이 제정되는 과정이 축첩제 폐지운동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가를 추적한다. 기존의 한국 여성운동관련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축첩제 폐지운동에는 덜 주목하였을 뿐만 아니라 해방 후 동시다발적으로 제기되었던 축첩제 폐지운동, 공창제 폐지운동, 인신매매금지운동 간의 연관성에도 주목하지 않았다. 아마도 이것은 보다 쉽게 폐지된 인신 매매금지와 좌우합작운동으로 이루어진 공창제 폐지운동에 비해 축첩제 폐지운동은 성과도 덜 가시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축첩이 가족의 형태로 오래도록 지속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는 해방 후 가장 활발하였던 여성운동의 이슈인 가족법개정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1980년대 이후 이른바 ‘진보적’ 여성운동과 그 이전 세대와의 단절을 설명할 수 없다. ‘축첩’의 문제는 미군정 이후 제1공화국의 제헌의회까지 끈질기게 여성계의 요구로 제기되면서 법제정과정에서 다양하게 논의되었던 것으로 앞에 제기한 의문들을 살피는데 중요한 지점이 된다. 즉 첩의 문제는 해방 후 문명세계의 일원으로 규정하여야 할 혼인의 형태의 문제이자 기존의 가족의 문제를 재구성하도록 요구하였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국가가 가족의 문제에 어떻게 개입할 것인가에 대한 당시 사회적 인식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법제화 과정은 당시의 사회적 인식과 이에 대한 반발과 교정으로서의 운동 그리고 이에 대한 결과로써의 법제정을 살핌으로써 당시의 국가와 사회의 구성에 대한 역동적인 재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축첩을 둘러싼 법제화는 헌법상으로는 ‘혼인의 순결’ 조항을 삽입하는 한편, 「형법」에서는 간통쌍벌주의로 분화되었고 신민법 제정과정에서 혼외자의 출생신고의 문제로 드러났다. 하지만 해방이후 축첩의 문제를 둘러싸고 이루어진 운동과 담론 속에서 여성의 지위는 진정으로 남성과 같은 수준으로 다루어진 적이 없으며 이후의 더 지난한 가족법개정운동과 더불어 정치, 사회, 경제, 문화의 영역을 가로지르는 여성들의 목소리와 문제제기가 등장할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women’s objection to concubine, an issue from the 1920s, and the discourse on formulation a new law against it after liberation in Korea. After common-law marriage was changed to civil marriage, the status of wife and concubine became unstable. In the name of love, marriage through free love and divorce became crucial. Therefore, stress was gradually laid upon partners remaining chaste, and doing so was considered an indicator to measure gender equality. To keep a concubine in addition to a wife was considered to violate the institution of marriage and was considered a feudal or corrupt practice from a man. In this situation, women pushed two agendas after liberation. The first was for the new constitution to prescribe the“chastity of marriage” and to prohibit keeping a concubine. The second was to establish legislation for banning men who already had a concubine from working as a government employee. Article 20 on the “chastity of marriage” was accepted without much resistance; however, the potential prohibition on government employees faced fierce objections. This may have been because this prohibition would result in individual and familial problems for men. As a result, this prohibition was rejected by a vote of 83 against to 53. Shortly after this vote was defeated, women began demonstrating in its favor, and women’s organizations forced President Lee to legislate for the abolition of concubine. As the Korean war broke out immediately after this period, women’s movement against concubines cooled down, and objections and criticisms subsided owing to the strong anticommunist sentiment after the war. Although many punishments were imposed for keeping a concubine, they were very light and applied only sparingly. They seemed no more than a formality to soothe the public opinion. Furthermore, expressions like democracy, gender equality, and antidiscrimination that women had demanded and that were prescribed under the Constitution were not included in the new criminal law and civil law. At this time, lawmakers were given to conservative thinking and to maintaining old customs in society. Whereas women considered concubines to be a public problem linked to licensed prostitution and human trafficking, men considered it a private problem. These attitudes resulted in society being divided sexually. As long as there existed a division between “good” and “bad” women, women remained trapped in the image imposed by society. Women’s status was not dealt with in the same manner as that of men in the discourse and movement, and the demand of gender equality that women hoped would be enshrined in the Constitution emerged through the reform in family law, thus ultimately gaining acceptance in the areas of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 KCI등재

        아시아 지역 여성 역량강화를 위한 한국 공적개발원조(ODA) 방안 : 인도와 필리핀의 기술직업교육훈련(TVET) 사례를 중심으로

        김효정,마정윤,이슬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1

        본 연구는 아시아 지역 여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한국 공적개발원조(ODA)를 모색하는데 있어 기술직업교육훈련(TVET)에 주목한다. 한국의 교육 분야 개발협력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기술교육과 일자리에 대한 TVET를 중점적으로 지원해왔다. 그러나 여성의 역량강화라는 목표에 있어 TVET의 예산, 기획, 시행 및 평가 정도는 성중립적(gender neutral)이거나 때론 몰성적(gender blind)이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2012년 교육예산은 전체예산의 약 23%를 차지하는 반면 여성을 직, 간접적 목적으로 하는 TVET의 예산은 전체 예산의 약 1%였고, 기존의 여성 대상 TVET 사업들은 대개 여성 노동의 특성을 고려한 접근성이 부재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의 ODA 사업 중 젠더통합적인 TVET 사례를 아시아 여성의 역량강화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시민사회(CSO)에 대한 다자간 프로그램 원조 사례인 인도의 맨발학교(Barefoot College)와 양자 간 프로그램 원조 사례인 필리핀의 여성경제역량강화교육을 분석하였다. 이 두 TVET 사례의 특징은 단순히 여성을 임금노동 시장으로 편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여성이 처한 현실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경제적 역량강화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위한 주요한 요소로는 개인과 지역 공동체의 통합적인 발전, 여성노동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 여성들 간의 차이 고려를 통한 접근성 증대, 성별고정관념을 넘어선 여성노동에 대한 충분한 고려 및 남녀 모두에 대한 성 평등 의식 고양 등이 요구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VET(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Korean ODA(Official Development Aid) to enhance Asian women's empowerment.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Korea aids in priority TVET to expand technical education and job creation for recipient countries. However budget and planning and evaluation of TVET were generally gender neutral or gender blind. This study found the aid budget of KOICA's TVET projects on women was less than 1% and existing TVET projects of ODA for women or gender equ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failed to analyze and adjust the women's status of local labor market and characteristic of women's labor. To understand the gender integrated TVET, it reviewed TVET cases of foreign ODA the 'Barefoot College' program in India funded by UNDP and UNESCO, and 'Gender-Responsive Economic Actions for the Transformation'(GREAT) in Philippine funded by CIDA. These two cases are not just added women into wage labor market, its approach was based on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women's economic empowerment which includes several factors that the integrated development between individuals and local community level, holistic approach of women's labor, advancement of acces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women's differences, overcoming the gender stereotypes of women labor and raising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 KCI등재

        여성주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시론

        장필화,김효정,마정윤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5 여성학논집 Vol.32 No.1

        A concept of empowerment is translated various words. This study focuses on agency, power and consciousness raising as a principle notion of empowerment. It reviews gender-sensitive statistics of economic, political and educational secto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gency, power and consciousness raising as a notion of empowerment. As a result, women’s agency and power in economic and political sector is still low unlike a high achievement rate of women’s educational enrollment. It shows women’s individual and collective ability is hardly demonstrated in economic and political sector. It requires a feminist consciousness raising in the process of demonstrating women’s agency and power to overcome patriarchal conventions and gender discrimination. It clarifies that empowerment is both a result and process in the dynamic process of agency, power, and consciousness raising. It is important that understand an integrated concept of empowerment and an expansion of feminist consciousness raising. 이 논문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여성주의 임파워먼트를 재개념화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현재 여성 임파워먼트는 여성권한, 역량강화를 비롯한 다양한 용어로 번역되고 있다. 본 논문은 여성주의 임파워먼트의 주요 개념으로 행위성, 세력화, 의식화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성인지 통계를 살펴본 결과 여성의 지위는 이미 향상되었고 성평등에 도달했다는 기존의 담론들과 다른 것을 확인한다. 즉 여성 개인의 높은 교육 취학율과는 달리 낮은 경제활동참여율과 정치에서의 여성과소대표성은 여성의 개인적・집단적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여성들의 임파워먼트를 저해하는 가부장적 통념과 성차별적 사회구조 및 문화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개인의 역량강화로 드러나는 행위성과 더불어 세력화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여성주의 의식화가 요구된다. 결국 임파워먼트는 결과이자 과정으로서 역동적으로 일어나는 의식화, 행위성, 세력화의 상호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여성의 임파워먼트를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여성주의 의식화의 확대가 요구됨을 강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