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남지역에서 다래 재배지대별 주요 해충의 발생현황 및 방제

        마경철,최덕수,김효정,이진희,고숙주,김도익,김희권,김현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다래(Actinidia arguta)는 국내에서 약 30ha 정도가 재배되고 있는 과수로 아직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하고, 특히 병해충 연구는 전무하다. 다래의 자생지는 산속의 계곡 주변이지만, 재배지는 다양하므로 전남지역의 재배지를 평야지, 산간지, 해안지로 구분하여 지대별로 주요 해충의 발생상황을 2015년 9월부터 1년간 조사하였다. 점착트랩과 페로몬트랩, 유아등을 이용하여 10일 간격으로 시기별 발생양상과 피해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유기농업자재 등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법을 농가에 적용하였다. 평야지대 과수원에서는 총 6목 19종의 해충이 조사되었고, 녹응애, 뽕나무깍지벌레, 노린재류가 관리대상 해충이었다. 산간지대는 9목 35종이 확인되었으며, 노랑가슴초록잎벌레를 비롯한 딱정벌레류와 노린재류, 녹응애 발생이 많았다. 산간지대는 평야지대나 해안지대보다 해충 종류가 다양하였고, 발생량도 많아 해충관리가 특히 중요하였다. 해안지대는 8목 21종이 발생하였고, 볼록총채벌레와 애매미충이 방제대 상이었다. 월동기 뽕나무깍지벌레에 대한 방제는 휴면기인 2월 중순 기계유유제 10배 처리에서 97%, 결정석회유황합 제 50배 처리에서 방제가가 82.5%였다. 생육기에는 식물추출물 등 유기농업자재 2종 모두 90% 이상 방제가를 보였다. 녹응애는 6월 상순 처리시 유기농업자재 2종 모두 96%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1회 처리로도 충분히 효과적이었다. 한편 유아등을 이용한 담배거세미나방 유살효과는 흑색등이 주광색등보다 32.2% 높았고, 갈색날개매 미충에 대한 유살효과도 기대할 만하였다.

      • 호남지역 시설재배지 박과작물에서 뿌리혹선충 발생분포

        마경철,최덕수,고숙주,김도익,김현우,김상수 全南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2015 農業科學技術硏究 Vol.50 No.-

        Five species of cucurbits from major cultivation areas in Jeollanam-do and Jeollabuk-do have been investigated from May to October 2013 in order to create D/B on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Meloidogyne spp. occurring in greenhouse-grown crops according to region crop, and in order to utilize it as data for pest control, such as the selection of cultivar resistant to Meloidogyne spp., and rotation cro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50% of cucumber, 31.3% of melon, 26.7% of watermelon, 30% of squash and 18.2% of melon were infected. In cucumber, there was the most severe damage of Meloidogyne spp. in Gimje region, Jeollabuk-do, and the larval density was an average of 1,999 per 100㎤ soil uni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pecies identification using PCR,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2 species of Meloidogyne spp. were identified, and they were arranged in the following order of larval density: M. incognita〉M. arenaria.

      • 전남지역 시설재배 수국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의 발생소장과 방제약제 선발

        마경철,최덕수,고숙주,김효정,김도익,김현우,김상수 全南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2015 農業科學技術硏究 Vol.50 No.-

        This study has been made for the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insect pests which occurred in greenhouse-grown hydrangea and the selection of pesticide from March 2013 to December 2014. Major insect pests included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Garden thrips (Frankliniella intonsa), and Melon aphid (Aphis gossypii glover). And among them, insect pests requiring being controlled were T. kanzawai, and F. intonsa. With regard to seasonal occurrence, T. kanzawai occurred in mid-March, and showed the peak period of occurrence in early June, and then showed that it tended to rapidly decrease. F. intonsa started to occur from early April, and its peak period of occurrence was late-June. With regard to the selection of pesticide, in case of T. kanzawai, 4 types such as abamectin emulsifiable concentrate showed a high control value of 93% or above, and in case of F. intonsa, 2 types such as acetamiprid wettable powder too. No pesticides with which hydrangea was treated had phytotoxicity.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the sticky trap's level of attracting F. intonsa according to color, blue has well attracted F. intonsa until late July, while yellow has attracted a lot from August. Accordingly, only if color was made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iod, forecast and trap effect were high. White had remarkable weak attrac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colors.

      • KCI등재

        벼 이앙시기 및 시비수준에 따른 수도 주요해충의 발생.피해

        마경철,이승찬 한국응용곤충학회 199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5 No.2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벼 이앙시기 및 시비수준과 주용해충 발생치해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조사해충은 모두 시비수준보다 이앙시기가 발생 피해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끝동매미충, 벼물기굴파리는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발생량이 많았으나, 이화명나방, 혹명나방은 이앙시기가빠를수록 발생량도 많았고, 피해도 컸다. 그리고 끝동매미충과 이화명나방을 제외한 해충들은 이앙시기가 늦으면서 질소질비료가 많으며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rice insect pests related to different transplanting times and N-P-K-fertilizer levels of paddy field in Southern region of Korea. The population densities of brown planthopper (BPH: Nilaparvata lugens Stal), whitebacked planthopper (WBPH: Sogatella furcifera Horvath),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green rice leafhopper (GRLH: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rice stem maggot (RSM: Chlorops oryzae Matsumura), striped rice borer (SRB: Chilo suppressalis Walker), and rice leaffolder (RLF: Cnaphalocrocis medinalis Guenee) were affected more by transplanting time than the fertilizer levels. The later transplanting time induced the higher population densities of BPH, WBPH, SBPH, GRLH, RSM, whereas SRB and RLF were affected by earlier transplanting time in paddy field. The major pests except GRLH and SRB were increasingly induced by higher N-fertilizer level in the late transplanting.

      • 다래 친환경 해충관리를 위한 방제 및 피해경감 대책

        마경철,최덕수,오상아,김효정,이진희,김희권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다래(Actinidia arguta)는 전국에 자생하지만 상업적으로 약 30ha가 재배되고 있다. 주요 해충에 대한 친환경 방제법을개발한 결과, 뽕나무깍지벌레 성충과 갈색날개매미충 월동난은 겨울철 기계유유제 살포로 90% 이상, 부화유충은5월 중순 유기농업자재 살포로 92% 이상 방제가 가능하였다. 노린재류는 4월 중순부터 다래 생육후기까지 페로몬트랩으로 효과적으로 포획되었다. 기생봉에 기생된 갈색날개노린재 알은 65.4%로 천적이용 가능성이 높았으나, 썩덩나무노린재의 알은 기생률이 매우 낮았다. 녹응애류, 총채벌레류, 애매미충류는 6월 상순에 동시방제를 하면 방제가90% 이상이었고, 밀도가 높을 경우 8월 중순, 9월 상순에 추가 방제가 필요하였다. 한편, 백색필름을 이용한 과수원바닥 멀칭은 자연초종에 비해 총채벌레류와 애매미충류의 피해과율이 34.9% 낮아 효과적이었다. 유기농업자재로는식물추출물 50%+녹나무오일 5%+목초액 30%, 님 80%, 고삼70%+계피 15%, 고삼 75%+계피 0.5%+채종유 15%,식물추출물 91%+목초액 7.5% 등이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 KCI등재

        재배양식에 따른 무화과 역병의 발생 및 친환경적 방제

        마경철,변만호,방극필,고숙주,이용환 한국식물병리학회 2008 식물병연구 Vol.14 No.2

        For the eco-friendly control of fruit rot of fig, disease incidences according to the cultural practices at 51 fig orchards in south coast area of Korea were surveyed in 2002, and the effect of soil mulch and potassium phosphonate on fruit rot of fig was evaluated from 2002 to 2004. Diseased fruits of fig orchards of open field, rain shading, and vinyl house were 33.3%, 7.5%, and 0%, respectively. Diseased fruits were rated at 34.6%, 35.7%, and 27% as the tree spacing of 2 m×2 m, 2m ×3m, and 3 m×4 m, respectively. Among the soil mulching materials, barley straw showed disease incidence of 1.8% and 3.5% of diseased fruits compared to 42.1% and 48% of no mulching in 2002 and 2003, respectively. Diseased fruits in dark paper film mulching were recorded at 4.8% and 12% in 2002 and 2003,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those in dark polyethylene film mulching at 11.2% and 26.2%. When potassium phosphonate (1,000 ppm) was sprayed 3 times with 10 days intervals from the beginning of disease occurrence, disease incidences were rated at 3.0% and 2.0% in 2003 and 2004, respectively, which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control at 45.9 % and 39.3%. For the eco-friendly control of fruit rot of fig, disease incidences according to the cultural practices at 51 fig orchards in south coast area of Korea were surveyed in 2002, and the effect of soil mulch and potassium phosphonate on fruit rot of fig was evaluated from 2002 to 2004. Diseased fruits of fig orchards of open field, rain shading, and vinyl house were 33.3%, 7.5%, and 0%, respectively. Diseased fruits were rated at 34.6%, 35.7%, and 27% as the tree spacing of 2 m×2 m, 2m ×3m, and 3 m×4 m, respectively. Among the soil mulching materials, barley straw showed disease incidence of 1.8% and 3.5% of diseased fruits compared to 42.1% and 48% of no mulching in 2002 and 2003, respectively. Diseased fruits in dark paper film mulching were recorded at 4.8% and 12% in 2002 and 2003,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those in dark polyethylene film mulching at 11.2% and 26.2%. When potassium phosphonate (1,000 ppm) was sprayed 3 times with 10 days intervals from the beginning of disease occurrence, disease incidences were rated at 3.0% and 2.0% in 2003 and 2004, respectively, which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control at 45.9 % and 39.3%.

      • 시설재배 무화과에서 대만총채벌레 발생 및 물리적 방제효과

        마경철,최덕수,오상아,김효정,이진희,김도익,김희권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무화과(Ficus carica)는 지중해 연안지방이 원산지인 아열대 과수이다. 국내에는 1970년대부터 과수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2016년 현재 전국적으로 720 ha가 재배되고 있으며, 이 중 전남지역이 90.3%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자재배를 비롯한 시설재배가 늘어나면서 해충 피해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이며, 안정생산의 제한요인이 되고 있다.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는 시설재배 무화과의 가장 중요한 해충으로 4월 중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8월에는 감소하지만 9월 상순에는 다시 증가하였다. 피해는 과일 직경이 2 ㎝ 내외가 되는 5월 중하순에 과정부를 통하여 내부로 침입한 뒤 화기를 가해하였는데, 중심부가 갈변되었다. 피해경감을 위한 물리적 방제법 중에서는 과수원 멀칭이 효과적이었는데, 멀칭재료는 백색 타이백이 피해과율 12.5%로 우수하였고, 흑색부직포는 48.9%로 효과가 낮았다. 백색멀칭 후 결과지 밴딩, 지제부 점착트랩 설치의 경우 초기에는 효과가 좋았지만 나무가 성장하면서 주변 가지와 교차하는 등 밀식 때문에 멀칭 단독처리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점착트랩 색상별 유살정도는 5월부터 9월 하순까지는 청색에 유인이 더 잘 되었으나 10월 이후에는 유사하거나 황색에 유인이 많았다. 대만 총채벌레는 주로 과수원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과수원 내부는 물론 외부의 잡초 등에도 방제가 필요하였다.

      • 시설재배 애호박에서 배지피복과 점착트랩을 이용한 작은뿌리파리의 물리적방제

        마경철,최덕수,고숙주,김도익,조경철,김현우,김효중 全南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2015 農業科學技術硏究 Vol.50 No.-

        This study has been made in order to examine the physical control effect against fungus gnat (Bradysia agrestis Sasakawa; Diptera: Sciaridae) by using a yellow sticky trap and material with which substrate was covered in hydroponic squash in Gwangyang, Jeonnam from March to October 2014. With regard to the control method, the substrate was covered with a black and white film, and a part in which a seedling would be planted was cut out. And if a customized yellow sticky trap was inserted so that the substrate in the cut-out part was not exposed after planting the seedling, the invasion of an adult could be prevented, and no larva appeared in the substrate for the whole growing period. It took 8 hours per 10a to cover the substrate and to install the yellow stick trap.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not being covered, it took 88 hours to make an effort at chemical control for the growing period. In case of being covered with black and white film, the number of fruits per plant was larger by 7 in comparison with not being covered. The temperature inside rhizosphere was lower by approximately 1℃, and diurnal variation was small. Thus, the temperature was stable. It was possible to apply this method if mulching was performed at the same time in growing in soil as well as hydroponic crops such as paprika, cucumber, and strawberry.

      • 다래에서 주요 해충 발생동향 및 유기농업자재 선발

        마경철,최덕수,고숙주,김도익,김효정,이진희,김현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04

        다래(Actinidia arguta)는 국내에 4종 2변종이 자생하고 있고, 약 30ha 정도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데, 재배 초기단계여서 병해충과 관련된 연구는 전무하다. 주로 껍질 채 생과 위주로 소비되기 때문에 친환경 방제법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전남지역 다래에 발생하는 해충으로는 19종이 조사되었는데, 당근뿌리혹선충, 녹응애류 1종, 차응애, 볼록총채벌레,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뽕나무깍지벌레, 식나무깍지벌레, 솜깍지벌레, 목화진딧물, 거품벌레류 1종, 끝검은말매미충, 갈색날개매미충, 애매미충류 1종, 대마도줄풍뎅이, 담배거세미나방, 잎벌류 1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 녹응애, 볼록총채벌레, 썩덩나무노린재, 뽕나무깍지벌레, 애매미충, 담배거세미나방, 갈색날개매미 충 등은 방제가 필요하였으며, 갈색날개매미충의 경우 일찍 산란된 난괴가 상처유합조직 발달이 빠른 다래 가지 조직내에 묻혀 알이 죽는 경우가 49% 정도였고,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였다. 다래 해충에 대한 유기농업자재 처리결과 담배거세미나방의 경우 고삼+ 차추출물, 마늘유+시트로넬라유가 효과적이었으 며, 녹응애는 고삼+계피추출물, 님추출물 등 4종이 우수하였다. 뽕나무깍지벌레 부화 유충에 대한 유기 농업자재 처리효과는 고삼+계피추출물 등 2종에서 방제효과가 높았으며, 월동기 기계유유제를 이용한 방제효과는 주간부 처리시 껍질을 제거하고 살포해야 효과적이었다. 한편, 과일 외관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애매미충과 볼록총채벌레에 대한 유기농업자재 선발은 추가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 호남지역 시설재배작물 뿌리혹선충 발생현황

        마경철,최덕수,고숙주,김도익,김현우,김상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국내 시설과채류재배는 박과와 가지과를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재배연한이 경과함에 따라 연작장해 발생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작장해 요인 중 하나인 뿌리혹선충은 작물의 수량감소와 품질을 저하시키는 세계적인 문제 해충으로 방제가 매우 어렵고 특히 시설재배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현재 참외 등 국내 시설과채류재배에서 뿌리혹선충의 피해가 확산되고 있어 발생분포지역의 정밀조사와 방제대책수립이 시급하다. 따라서 지역별 ․ 작물별 발생분포를 D/B화하여 윤작작물, 저항성품종선발 등 방제자료로 활용하고자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라남북도 주요 시설재배지에서 박과 5종 207점, 가지과 3종 82점, 장미과 1종 6점, 뽕나무과 1종 9점, 아열대작물 10종 30점, 기타작물 13점 등 총 347점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전체적으로 37.5% 포장이 뿌리혹선충에 감염되었는데, 박과 30.4%, 가지과 42.7%, 뽕나무과 55.6%, 아열대작물 60.0%, 기타작물 46.2%가 감염되었다. 또한 PCR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한 결과 4종의 뿌리혹선충이 조사되었고 M. incognita > M. arenaria > M. hapla 순이었다. M. javanica는 열대시금치 1개 포장에서만 검출되었고 유충밀도가 4,536마리/100cm3로 매우 높아 식물체가 고사하였으며 앞으로 추가적인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