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큰느타리의 교배관련 유전자의 동정 및 기능분석

        류재산,박보경,김민근,김희대,최용조,김경희 한국버섯학회 2016 버섯 Vol.20 No.1

        Pleurotus eryngii has recently become a major cultivated mushroom; it uses tetrapolar heterothallism as a part of its reproductive process. Sexual development progresses only when the A and B mating types are compatible. Such mating incompatibility occasionally limits the efficiency of breeding programs in which crossing within loci-shared strains or backcrossing strategies are employed. Therefore, understanding the mating system in edible mushroom fungi will help provide a short cut in the development of new strains. We isolated and identified pheromone and receptor genes in the B3 locus of P. eryngii and performed a functional analysis of the genes in the mating process by transformation. A genomic DNA library was constructed to map the entire mating-type locus. The B3 locus was found to contain four pheromone precursor genes and four receptor genes. Remarkably, receptor PESTE3.3.1 has just 34 amino acid residues in its C-terminal cytoplasmic region; therefore, it seems likely to be a receptor-like gene. Real-time quantitative RT-PCR (real-time qRT-PCR) revealed that most pheromone and receptor gen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xpression in monokaryotic cells than dikaryotic cells. The pheromone genes PEphb3.1 and PEphb3.3 and the receptor gene PESTE3.3.1 were transformed into P5 (A3B4). The transformants were mated with a tester strain (A4B4), and the progeny showed clamp connections and a normal fruiting body.

      • 새송이버섯 신품종과 재배기술

        류재산 한국버섯학회 2011 버섯 Vol.15 No.1

        이산화탄소는 버섯의 발이를 촉진하고 갓의 생성을 억제해서, 담자포자를 가지는 주름(gill)의 발달을 억제하여 버섯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본 실험에서는 새송이버섯의 생육에 가장 적합한 이산화탄소농도를 구명하려고 1,600, 2,400, 3,200ppm 이하의 농도에서 버섯생육 실험하였다. 방임처리구에서 수확율은 방임조건 1,600, 2,400, 3,200ppm에서 각각 98.6, 99.3, 93.8%로 2,400ppm이 가장 우수하였고, 병당 무게에서도 2,400ppm이 가장 우수한 102.5g이 수확되었다. 품질은 2,400ppm이 6.1, 1,600ppm에서 5.5로 111% 우수하였다. 솎음처리구에서 품질은 1,600, 2,400, 3,200ppm에서 9.4, 9.5, 8.0로 2,400ppm이 가장 높았다. 병당 수확량은 1,600, 2,400, 3,200ppm에서 각각 90.7, 98.2, 77.3g 이어서 방임처리구와 마찬가지로 2,400ppm에서 많은 수확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방임과 솎음처리구의 최적 이산화탄소 농도는 2,400ppm으로 사료된다. 상대습도에서의 자실체 생육특성 중 품질은 I, II, III 처리구에서 각각 8.5, 7.6, 8.2 이었다. 무게는 84.6, 82.5. 90.1g 여서 III 처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생육시기별 변온이 자실체 생육특성에 미치는 효과는 품질은 I, II, III 처리구에서 각각 7.5, 8.3, 8.0 이어서 II 처리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애린이3의 길이는 94mm로 기존품종인 새송이2호의 103.8보다 9.4mm 적었으나. 무게는 75.4g으로 기존품종의 73.8g보다 많았다. 애린이3의 품질은 6.2로 기존품종의 5.5보다 높았고, 대두께도 37.8mm로 비교 품종중 가장 두꺼웠다. 신품종에 대한 버섯형태는 매우 양호 5, 우수 5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갓과 대의 색택에 대한 의견도 매우양호 7, 우수 1, 양호 3으로 평가되어 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신품종 애린이3에 맞는 최적배지조합을 구명하기 위하여 9개의 배지를 혼합하여 30개의 조합을 구성하여 재배실험을 수행하였다. 농가에서 원하는 조기수확성과 품질, 수확량을 주요한 평가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수확소요일에 있어서 애린이 3은 조합2에서 13.3일에 수확하여 가장 빠른 수확일을 기록하였다. 다른 조합에서도 애린이3이 기존의 큰느타리2호에 비해 1일 이상 빠른 수확일을 보였다. 배지종류에 따라 애린이3에 좋은 것과 큰느타리2호에 유리한 조합도 있었다. 조합 16에서 애린이3이 수확소요일이 큰느타리2호에 비해 2일 가량 빨랐고 수확량에 있어서도 85g으로 큰느타리2호의 66g보다 29% 높았다.

      • KCI등재

        큰느타리(새송이)버섯 갓색깔에 관여하는 유전적 인자 구명

        류재산 한국버섯학회 2007 한국버섯학회지 Vol.5 No.3·4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은 느타리버섯과의 백 색부후균이며 동 과내에서는 유일하게 산형과식물 (Umbellifers)의 뿌리에 약하게 기생하는 생태학적인 특 성을 가지고 있다. 원산지는 유럽대륙의 대서양쪽 서쪽지 역인 프랑스와 독일, 지중해연안의 비교적 좁은 지역으로 반건조한 스텝기후지역에서 잘 자라며, 동부지역으로 카 자흐스탄과 인도에까지 분포한다. 갓의 크기는 4∼5㎝ 정 도이고, 대는 3∼10㎝ 정도이며, 담자포자는 8∼11×4∼ 5㎛이다. 갓색깔은 연한 크림색에서 짙은 갈색까지 다양하 다. 큰느타리버섯의 갓색깔에 관하여는 연구된바가 없지 만 소비자들이 버섯을 선택할 때 가장 관능적으로 먼저 와 닿는 것도 갓의 색깔이다. 이러한 이유로 버섯의 갓색깔은 소비자의 기호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버섯의 갓 색깔에 미치는 유전전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교배와 분석을 통하여 관련된 유 전자를 찾고자 하였다. 갓색을 기준으로 선택한 하나의 어 버이 계통에서 단포자를 채취하여 자식을 실시하고, 갓색 을 색도계로 측정한 명도(Lightness)를 기준으로 모본보 다 명도가 더 낮고 더 높은 계통을 선발하고 자식을 3세대 에 거쳐서 진행하였다. 자식 3세대 계통의 단포자를 채취 하여 각각 gDNA를 추출하여 random primer로 각각의 색 에 특이한 band를 pGEM-T vector에 cloning하고 서열 분석하고 blast-x를 통하여 기능을 추정하였다. 흰색과 검은색과 양계통의 교배 F1의 갓색을 나타내는 L(명도)는 각각 56.3, 69.6, 50.2로 갓색깔의 유전자는 불 완전 우성의 유전양상을 나타내었다. 검은색 계통(자)과 흰색 계통(아)을 selfing을 하여본 결과 다음 세대에서도 거의 모든 계통이 동일하게 같은 갓색깔을 발현함으로 이 들 두개계통은 갓색깔 유전자 locus가 homozygote한 상 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 계통과 자계통을 crossing 시켰을 경우 갓색깔은 L 값이 60.2로 진한계통의 56.3과 연한계통의 69.6의 중간값에 가까워서 갓색깔 유전자는 불완전우성이라고 사료된다. 대부분의 primer가 특이적인 밴드양상을 보여주지 않았지만 일부 primer는 흰색과 검 은색에 특이적인 밴드를 동시에 보여주어 동시에 분석이 가능한 것도 있었다. 아, 자 계통은 동일한 어버이에서 유 래되어서 genome 상의 많은 부분이 유사하겠지만 갓색깔 과 gill의 분화정도가 확연히 차이가 나서 mating type보다 특이 밴드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갓의 흑, 백색에 특이하게 증폭되는 밴드를 cloning 하여 서열 분석을 하였다. 검은색 과 흰색계통에서 특이 밴드를 흰색에서 10개, 검은색에서 12개 분리하여 cloning 하고 서열분석을 한 결과, 대부분 의 서열이 기존에 밝혀졌던 서열과의 유사성이 높지 않았 다. 버섯의 갓색깔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서열은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receptor type K를 암호 화 하는 clone이다. 버섯의 색깔에 관련된 연구는 현재 양 송이의 갓색깔을 유전분석과 marker 탐색이 유일한 논문 이다. 색깔은 유전학적으로 복잡하고 다른 것과 비교하여 이용가치에 비해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되어 연구가 진 행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양송이 갓색의 연구가 보여주듯 갓색이 세균병에 대한 저항성과 연관이 되어 있고, 갓색의 각종 색소가 항산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기능적인 측면의 강화와 저항성 버섯품종을 육성할 수 있는 측면에 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 산느타리버섯의 품종별 재배특성

        류재산,이용국,오민지,최종인,Ryu, JS.,Lee, Y.K.,Oh, M.G.,Choi, J.I.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교육개발센터 2020 현장농업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al resear Vol.22 No.2

        국내에서 육성된 산느타리버섯 8품종을 병재배 방식으로 재배특성을 조사하였다. 8품종의 자실체 형태는 전체적으로 갓직경이 크고 대는 짧은 형태였다. 대는 편심생으로 갓에 결합되어 있다, 자실체의 길이가 가장 긴 품종은 여름2호(72.8mm)이고 가장 짧은 품종은 여름1호(33.8mm)이다. 대의 두께는 여름2호, 호산의 순서로 두겁고 15.5mm, 12.8mm 였다. 갓의 직경은 45.8-62,3mm로 약산이 가장 작고 여름2호가 가장 큰 갓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무게(수확량)은 여름2호가 80.7g으로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였고 여름1호가 35.5g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가장 갓색이 밝은 품종은 여름2호로 55.6이었고 호산도 54.1이었다. 특징적으로 갓색이 가운데 부분은 엷은 편이었으며 가장자리가 더 진하게 착색되었다. 평균적 발이소요일과 생육소요일은 각각 4.6일과 8.0일이어서 발이 후 3.4일 만에 수확을 완료하였다. Pleurotus pulmonarius 8 cultivas, domestically bred, were cultivated and evaluated for cultural properties.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8 cultivars were big diameter of pileus and short stipe. Stipe was eccentrically combined with pileus. The longest length of stipe was Yeoleumneutali 2ho(72.8mm) while shortest cultivar was Yeoleumneutali 1ho(33.8mm). The diameter of pileus ranged 45.8-62,3mm, Yaksan was the smallest one and Yeoleumneutali 2ho was largest cultivar. Yield was largest in Yeoleumneutali 2ho(80.7g) whereas smallest was in Yeoleumneutali 1ho(35.5g). The highest L value was in Yeoleumneutali 2ho and Hosan. Lightness was not even around pileus but thicker in rim area and thinner in center of pileus. Average period of pinheading and harvest were 4.6 and 8.0 days thus only 3-4 days after pinheadng were required for harvest.

      • KCI등재

        RGB LED 광원이 느타리류의 자실체 특성에 미치는 효과

        류재산,나경숙,김정한,이정우,권희민 한국버섯학회 2023 한국버섯학회지 Vol.21 No.3

        Light plays an important role in fruit-body development and morphology during Pleurotus spp. cultivation.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light color on fruit-body properties, we evaluated the fruit-body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spp. varieties cultivated under blue, red, and purple LED light sourc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overall fruit-body shape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olor of the LED light. The fruit-bodies of mushroom cultivated under blue and purple light were generally similar to the mushroom shapes typically produced, while those of mushroom cultivated under green light were abnormally shaped, probably due to the absence of effective light source. The average cap lightness of mushrooms cultivated under blue, green, and purple LED lights was 57.0, 57.4, and 59.4, respectively. The average cap lightness of all varieties except Wonhyeong1ho and Hwang-geumsantari cultivated under the three LED light sour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cap redness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LED lighting and variety. Only Gonji7hoM, the cap color mutant of Gonji7ho, showed negative cap redness values under all three LED light sources. Among the eight varieties excluding Gonji7ho, the highest cap redness was observed when cultivated under the blue LED. The average harvest weight of the varieties cultivated under purple, blue, and green LED light were 68.0, 58.3, and 50.1 g, respectively. The yield of Gonji7ho, the mushroom variety with the highest yield, cultivated under blue, green, and purple LED light were 92.8, 77.1, and 98.6 g, respectively. The earliness when grown under the purple, blue, and green LED lights were 5.3, 5.8, and 5.8 days, respectively. Among the varieties, six, three, and two cultivars showed the shortest earliness under the purple, green, and blue LED, respectively. The fruit-body lengths were 66.4, 51.8, and 46.8 mm when cultivated under green, purple, and blue lights, respectively.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producing mushrooms with traits demanded in the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