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장 국어 교육의 반성과 지향 - 개정 7차 교육과정의 적용에 부쳐 -

        류성기 ( Ryu Seong-gi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8 No.-

        현재 우리 교육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을 개정하여 개정 7차 교육과정을 만들어 이를 현장 교육에 시행하려 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국어 교육 현장을 평가해 보고, 앞으로 어떻게 국어 교육을 실현해 나갈까 탐색해보고자 한다. 첫째, 우리의 현장 교육 지향이 너무 개인 중심적이고, 지식 습득 위주의 학습으로 가고 있거나 갈 가능성이 농후하다. 교육 이념이 홍익인간인데 더불어 살아가는 정신의 바탕 위에서 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장 국어 교육의 많은 부분은 활동을 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하다. 그래서 비효과적인데, 학습자 중심의 활동적 수업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실 수업은 대부분 대화로 이루어진다. 질문과 대답이 그 주가 된다. 사고력이 넘치는 교실이 되기 위해서는 ‘학생 질문-학생 대답’의 수업 대화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생의 학생 칭찬의 대화는 사고 활동이 원활하게 해 준다. 넷째, 토의, 토론 교육을 강화하여 합리적 사고를 갖게 하고, 수용하게 해 주는 언어문화를 이루어가는 국어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다문화의 세계가 되어 가고 있다. 다문화 가정의 자녀를 위한 다문화 문식성의 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국어 교육이 언어 현장에서의 국어 교육으로까지 이루어져 실제성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So the 7th curriculum was revised and will be soon put in force in primary school. At this time I would like to see the phenomenon in Korean class in primary school. And I look into the problems in teaching Korean and talk about effective direction of those. 1. Teachers should try to teach students not for making individual interest but for making community interest. 2. By now teachers instructed the students in calm situation, so the students studied bored. The class should be interesting and student-centered. 3. The instruction is consisted of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So question and answer is the most important means. In several means ‘Student's question and student's answer’ is the most effective way. And teacher's praise makes the students think vividly. 4. To make the students think rationally teachers should teach them debate and discussion. So make them think rationally. 5. Teachers make the korean class students understand and accep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o they can live with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

      • KCI등재

        말하기 듣기 교과서 개발 방안 탐색-말하기 듣기(1-3학년) 교과서 단원 구성을 중심으로-

        류성기 ( Ryu Seong-gi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4 No.-

        이 연구는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른 말하기 듣기 교과서를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탐색해 본 것이다. 말하기 듣기 교과서는 첫째, 상생, 창의력 신장, 탐구 능력 신장, 문화 창조, 도구적 활용 능력 신장, 학습 목표 및 모형 지향적 단원 구성의 교과서가 되어야 한다. 둘째, 한 학기 말하기 듣기 교과서 단원 구성은 정보 전달, 사회적 상호 작용, 설득, 정서의 언어 현상과 이를 종합한 언어활동에 바탕을 두고 대단원을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각 대단원은 두 개의 소단원으로 구성하고, 각 소단원은 3차시로 구성하는데, 1차시는 기본 학습, 2차시는 적용 학습, 3차시에는 보충, 심화 학습을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한 단원의 내용 구성 체제는 기본 학습과 적용 학습은 교수·학습 모형 및 학습법을 적용한 구성을 하고, 보충과 심화 학습은 수준별 선택 학습을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단원 내용 구성 시에는 학습 분량의 최적화, 학습 방법의 다양화, 말하기 듣기 학습에 중점을 둔 교과서, 학습 절차를 중시한 교과서, 다양한 매체 및 제재의 교과서, 부록으로 학습 자료 제공 등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교과서를 개발하는 방법은 다양하나 학교 현장의 맥락에 바탕을 두고 교사들이 잘 활용할 교과서를 제작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When we make Speaking and Listening Textbook we should regard some points as below. 1. The textbook should be made by creative method, cultural method, instruction model. And learner should be regarded as a person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2. The units should be organized by language situ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exchange, social reciprocal action, persuasion, emotion expression situation. 3. The quantity of one unit consists of three lessons. And contents of the units can be organized by basic principal learning method, basic principal application study and supplementation or intensification study. 4. It is good for basic and application lessons to be organized by several instruction models and learning methods. 5. When we consist of the contents we think about the studying quantity, the diversification of learning method, learning process, several material and ets. There are several kinds of method in the developing textbook. But the textbook is based on the school contextual situation. If the textbook is not based on the school contextual situation the textbook do not have any meaning.

      • KCI등재

        초등 국어 교육에서의 단계적 토론 교육 방법

        류성기 ( Seong Gi Ryu ) 한국화법학회 2012 화법연구 Vol.0 No.20

        초등학교에서의 토론 교육 방법을 학년 단계적 관점에서 탐구하여 보았다. 첫째, 인지 발달 과정, 교육과정, 교과서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본 결과 초등학교 2학년부터 약한 수준의 토론적 사고가 가능하며, 2~5학년에서는 상대방을 배려한 토론까지 가능하고, 5~6학년에서는 구체적인 근거 자료에 바탕을 둔 토론까지 가능하다. 둘째, 초등학교에서는 1~3학년에서 ``토론 기초 다지기``, 4~5학년에서 ``토론 기본 닦기``, 5~6학년에서 ``형식적 토론하기`` 활동을 할 수 있겠다. ``토론 기초 다지기`` 활동은 ``다양한 까닭 찾기``, ``잘못된 까닭 말하기`` 등의 활동과 유사 토론을 활용할 수 있고, 4~5학년에서는 ``의견 비교하기`` 활동과 ``토론하기`` 활동 등을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5~6학년에서는 ``형식적 토론하기`` 활동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사회가 좀더 발전적인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사고에 바탕을 둔 사고를 할 필요가 크게 제기되는데, 이러한 사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토론 교육이 이루어져 초등학교 때부터 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 researched the teaching method of the debate in primary school. The first, by the process of acknowledgement development, curriculum, primary school korean textbooks we can teach the weak debate from the second class, And in the 2~5 grade classes the students can debate respecting the opponents, in the 5~6 grade classes the students can debate on the basis of several concrete materials. The second, according to upper content, the students can lesson ``the fundamental debate method`` in the 1~3 grade class, ``the standard debate method`` in the 4~5 grade class, ``the professional debate method`` in the 5~6 grade class, For the developing country our people should think reasonably, So we need much debate education, Because the debate can make us reasonably, For this purpose we should teach the debate much from the primary school.

      • KCI등재

        국어학 : 표준어 간섭 및 방언에 대한 의식으로 인한 경남 함양 방언 문법 형태의 변화 연구

        류성기 ( Seong Gi Ryu ) 배달말학회 2014 배달말 Vol.55 No.-

        함양 방언의 대명사로는 1인칭 단수는 ‘나, 내’가, 복수로는 ‘우리, 즈이, 내들’이 쓰였다. 그런데 ‘내는, 내한테’는 거의 안 쓰이게 되었고, ‘저, 제’ 형태가 활발하게 쓰이게 되었다. 2인칭 단수는 ‘니, 너, 네, 자네, 당신’이쓰이고, 복수 형태로 ‘너, 느, 너그, 너들, 너그들’이 쓰였다. 이 중 이인칭복수 형태 ‘느, 너그, 너들, 너그들’과 같은 형태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재귀대명사는 ‘이녁, 지’도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의문대명사는 ‘누, 뭐/머, 무신/먼’이 있었으나 ‘무신/먼’도 안 쓰이게 되었다. 지시대명사 ‘이거,그거, 요것/요거, 저거’, ‘여/여게, 거, 저/저게’가 쓰였다. 10대에서는 모두 표준어와 같게 되었다. 둘째로 조사를 보면 격조사는 대부분 표준어의 격조사와 같으나 주격조사‘-께서’, 관형격조사 ‘-의’, 부사격조사 ‘-에게/께, -으로서, -와/하고’가 방언형에 없다가 60대 또는 10대부터 쓰이고 있다. 대신 ‘-매이로, -만치’는 10대에서는 안 쓰인다. 셋째로 종결어미와 경어법 형태는 명령형 종결어미에서는 아주높임체가없고, 청유형에서는 예사낮춤 형태가 없고, 의문형, 서술형, 감탄형에서는 예사높임과 아주높임 형태가 없었으나 60대 이후부터 ‘-십시오, -세요’와 같은 형태가 모두 쓰이게 되었다. 넷째로 연결어미에서는 대등적 연결어미는 ‘-고, -ㅁ시, -도, -다, -고, -면’등이 쓰이고, 종속적 연결어미는 ‘-어서, -인데, -걸랑, -(으)ㄹ라고, -ㄹ수록,-듯이, -어/아서, -먼, -니, -러, -라고’ 형태가 쓰이고 있다. 보조적 연결어미‘-아/어, -고, -게’가 쓰인다. 그러고 인용 연결어미는 ‘-꼬, -고’가 쓰인다. 그러나 10대에서는 방언형 ‘-걸랑, -라고, -꼬’는 안 쓰이게 되었다. 다섯째로 시제는 표준어와 같으나 종결형 형태에서 미래 형태 ‘-겠-, -리-’는 쓰이지 않고, 대신 ‘-ㄹ 끼다’ 형태가 쓰였다. 이러한 시제 형태는 ‘-ㄹ것이다’로 바뀌어 사용되고 있다. 여섯째로 부정 표현은 짧은 부정인 ‘안, 못’ 부정과 ‘-지 말다’ 부정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60대 이후에는 방언형에 없던 ‘-지 않-’, ‘-지 못-’ 부정도 쓰이게 되었다. 일곱째로 사동접미사에는 ‘-이-, -이우-, -기-, -히-, -리-, -우-, -구-, -추-, -애-’가 있다. 피동접미사에는 ‘-이-, -기-, -히-, -리-’가 있다. 표준어와 같다. 여덟째로 보조용언으로 함양 방언에서 표준어와 비슷하나 방언형에 없던‘-어 가다, -어 오다, -어 내다, -어 갖고, -지 못하다, -지 않다’ 형태가 60대 이후부터 활발하게 쓰이게 되었다. 아홉째로 부사 형태 중 ‘쪼깨만, 한거석, 제와/보도시, 절로, 까딱하면, 백지’ 등이 60대에서는 0-30% 정도 쓰이게 되었다. 10대에서는 0-10% 정도 쓰이게 되었다. 대신 ‘그냥, 매우’는 안 쓰였으나 60대, 10대 모두에서 100% 사용되고 있다. 열째로 10대에 비해 노인들은 사투리에 대한 비하감을 많이 갖고 있다. 표준어를 배우는 곳은 10대 초반은 학교와 텔레비전이고, 60대 이상은 대부분 텔레비전의 영향을 받고 있다. 1. The first personal pronoun of Hamyang dialect ``na, nae, uri, zeui, naedeul``were used, but ‘nae`` of ``naeneun, naehante`` wasn`t used. But ``jeo, je`` wereused actively. The second personal pronoun of Hamyang dialect ``ni, neo, ne,jane, dangsin`` and ``neo, neu, neogeu, neodeul, neogeudeul`` were used. But ``neu, neogeu, neodeul, neogeudeul`` ``were scarcely used. 2. A postposition is same as the standard word. But ``kkeseo, -eui, -ege/kke,etc were not used in the past but were used now. 3. Final ending and honorific system in imperative final ending, there arenot the most honorific morpheme ``-sipsio`` and the honorific morpheme ``-seyo``. But people from 60s use both ``-sipsio and -seyo``. 4. In the field of connective endings, equivalent ending is used as ``-go, -msi,-do, -da, -go, -myeon`` etc. And subordinate connective ending is used by``-eoseo, -inde, -geolrang, -(eu)llago, -lsurok, -deusi, -eo/aseo, -meon, -ni, -reo,-rago``. Auxiliary connective ending is used as ``-a/eo, -go, -ge``. Quotedconnective ending is used as ``-kko, -go``. But people in their 10s, they don``tuse the dialect like ``-geolrang, -rago, -kko``. 5. The tense is same as the standard word, but future tense such as -gess--li- can not be used. Instead of those, ‘-l geosida’ can be used. This form oftense is being used after changed to ``-ㄹ 것ida``6. ``an, mot`` negative expressions and ``-ji malda`` are negative expressions areused. People in their 60s use ``ji an-, -ji mos-‘ forms which were not in thedialect. 7. Causative suffix is formed as ‘-i-, -iu-, -gi-, hi-, -ri-, -u-, -gu-, -chu-, -ae. And ``-i-, -gi-, -hi-, -ri- are passive suffix. They are same as the standard word. 8. The auxiliary verbs of Hamyang are simslariar to standard word. But ‘-eogada, -eo oda, -eo naeda, -eo gadgo, -ji mothada, -ji anhda’ which are absentin the past are used actively from 60s in the Hamyang dialect. 9. The adverbs such as ``jjokkaeman, hangeoseok, jewa/bodosi, jeolro, kkattakhamyeon, baekji`` are used 0-30% percent of people in their 60s. 0-10%percent of teenagers use them. 100 percent of people in their 10s, 60s usegeunyang, maeu. 10. Old people belittle the dialect compare to teenagers. Young people learnthe standard word at school and via television. The age of about late 60s aremost influenced by television.

      • KCI등재

        남학생과 여학생 대화 언어의 생태와 지도 방법

        류성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2 No.-

        남자와 여자의 대화 언어 내용 및 방법은 다르다. 이는 남자와 여자가 선천적으로 다르게 타고난 뇌 기능 때문이다. 남자와 여자의 뇌에는 언어 기능을 담당하는 부위가 있는데, 이 부위가 서로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정보 전달 대화, 설득 대화, 친교 대화, 정서 대화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초등학생들에게도 설득 대화를 제외하면 동일하게 나타났다. 정보 전달 대화는 남학생은 일에 대한 대화로 꼭 필요한 경우에 말하지만, 여학생은 인간 관계에 대한 대화로 꼭 필요치 않더라도 비교적 잘 이야기하는 편이다. 친교는 남학생은 일 또는 놀이를 하면서 나누고, 여학생은 인간 관계에 대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하면서 나눈다. 정서 대화를 할 때에는 언어나 행동이나 표정을 지으면서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남학생의 경우가 여학생의 경우보다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편이다. 남학생과 여학생 대화에 이러한 차이점이 있는가 하면, 설득 대화의 경우에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논리적 설득을 선호하고 있고, 관심과 이해와 공감을 받을 때 쉽게 설득될 수 있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대화를 지도하는 방법은 첫째로 남학생과 여학생의 사고 특성을 알도록 하고, 둘째로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대화 특성을 알게 한다. 셋째로는 남학생과 여학생간에 대화 활동하기를 한다. 그리고 넷째로는 평가하기를 한 후, 다섯째로 다시 대화하기를 지도한다. 이러한 지도 과정은 선형적으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시에는 어느 과정에서든지 협의하기 활동을 통하여 되먹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Men and women,s dialog contents and methods are different. It is because the language function of men and women,s brain is different. The similar phenomenon came out in primary schoolboys and schoolgirls. In information transmission dialog he talks about affair but he does not talk much. But she talks about human relationship and talks much. For friendship he deeds affairs and games but she talks about human relationship. In feeling dialog he and she talk with reactions. The reactions are language, action and look. But schoolboys react less than schoolgirls. In persuasion dialog it is different with adult. Primary schoolboys and schoolgirls use logical language. The teaching method of primary schoolboys and schoolgirls, dialog is like next method. First teacher must teach the difference of schoolboys and schoolgirls, thought. Second teacher teaches the difference of schoolboys and schoolgirls, dialog characteristics, namely the difference in dialog contents and methods. Third schoolboys and schoolgirls dialog in really. Fourth teacher and students assess the dialog operation. Last schoolboys and schoolgirls act again. If there were an error part in this learning course teacher teaches the part again.

      • KCI등재

        듣기 집중 능력 신장 방법

        류성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6 No.-

        집중력이란 ‘정해진 시간 내에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기 조절 및 통제를 하며 생각과 행동을 유지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집중력은 누구나 훈련을 통하여 강화될 수 있다. 듣기 교육에 있어서 이러한 집중력이 필요한 이유는 듣기가 ‘일정한 담화 조건 속에서 청자가 화자의 발화 내용(의미)을 이해하고, 비판하고, 감상하는 행위’여서 고도의 집중력과 학습 능력을 필요로 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듣기 집중력 향상을 위해서는 몸, 마음, 학습 자세와 환경을 바르게 해야 하고, 각 자세마다의 여러 가지 기법들을 활용한 4단계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한다. 1단계는 집중력 기반 조성 단계, 2단계는 집중력 기초 활동 단계, 3단계는 듣기 집중 학습 훈련 단계, 4단계는 듣기 집중 학습 활동하기 단계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에 의하여 반 전체 및 개별 대상자에 따른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반 전체 학생들은 적용 전에는 ‘조금 부족한 수준의 집중력’에 해당하였는데, 4단계까지 적용한 후에는 ‘보통 수준의 집중력’으로 한 단계 상승효과를 볼 수 있었다. 집중력이 떨어진 몇몇 학생들도 ‘상당히 부족한 수준의 집중력’에서 시작하여 4단계까지 적용한 후에는 ‘조금 부족한 수준의 집중력’으로 되었다. Concentration ability is 'the ability which control and continue thought and action to solute a task in an appointed hour' In the listening education the ability is needed because the listening is the action which understand, criticize, feel the contents what speaker say. For the elevation of the ability, students have correct body, mind, learning attitude and surroundings and use the several techniques in each one. There is a four step program. The first step is the step making a foothold of concentration ability. The second step is the step doing a fundamental action for concentration ability. The third step is the step drilling the concentration listening learning. The fourth step is the step doing the concentration listening learning. I applied this program to the second grade students of the Mukkey elementary school. After the application the total numerical analysis of the class went up one step and some special students also went up by one step. I believe this program is good for student listening concentration ability and hope to use gener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