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난황유의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방제효과

        박종호,류경열,이병모,지형진,Park, Jong-Ho,Ryu, Kyoung-Yul,Lee, Byung-Mo,Jee, Hyeong-Ji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3

        점박이응애의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을 개발하기위해 식용유와 계란 노른자를 재료로 한 난황유(COY)를 이용하여 점박이응애 성충에 대한 살비효과를 실험실과 유리온실에서 검정하였다. 해바라기유, 콩기름, 카놀라유, 올리브유를 재료로 한 난황유를 사용하여 살비력을 비교 검정하였으나 식용유의 종류에 따른 살비효과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난황유를 점박이응애에 살포하였을 때 식용유의 농도가 0.1%에서 1%까지 증가할수록 살비율은 17.6%에서 94.1%로 높아졌으며 난황유의 처리 방법도 처리량이 많을 경우 살비력이 더 높았다. 점박이응애의 알을 난황유에 침지 처리했을 경우 살란율은 95%였다. 점박이응애가 발생한 장미재배 온실에 0.3%의 해바라기유로 제조한 난황유를 3회 살포 후 69.0%에서 93.9%의 높은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organic control method of two spotted spider mite(Tetranychus urticae) by using cooking oil and yolk mixture(COY) through evaluating its acaricidal activity in laboratory and green house. In laborator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ricidal activity against T. urticae within the COY including soybean, canola(rape seed), sunflower and olive oil. The acaricidal activity against T. urticae. increased from 17.6% to 94.1% as the COY became concentrated between 0.1% to 1%. The COY acricidal activity was effected by the quantity of treatment according to application methods. The COY dealt with T. urticae eggs presented 95% of the ovicidal activity. In rose greenhouse damaged by T. urticae, the COY(0.3%) was sprayed three times and resulted in the high control value of mites between 69.0% to 89.6%.

      • SCOPUSKCI등재

        전해수를 이용한 들깻잎 중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의 저감화 효과 분석

        김세리(Se-Ri Kim),류경열(Kyoung Yul Ryu),이명희(Myoung-Hee Lee),정찬식(Chan-Sik Jung),윤요한(Yohan Yoon),심현보(Won-Bo Shim),김주희(Ju-Hee Kim),김병석(Byung-Seok Kim),유순영(Soon-Young Yoo),김두호(Doo-Ho Kim),윤종철(Jong-Chul Yun),정덕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4

        본 연구는 들깻잎에 존재하는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전해수의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전해수로의 유기물의 유입과 들깻잎과 전해수의 비율이 전해수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들깻잎에 S. Typhimurium과 S. aureus을 7.0 log10CFU/g 정도로 접종 한 후 25, 50, 75, 100 ppm에서 1, 3, 5분 동안 각각 처리하여 시간과 농도에 따른 전해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기물이 전해수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전해수에 첨가한 유기물 농도는 150, 300, 450, 600 μg/L 수준이었고, 들깻잎과 전해수의 처리비율은 1:10, 1:25, 1:50이었다. 그 결과, S. Typhimurium과 S. aureus 모두 유효 염소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생물 저감효과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두 균주 모두 100 ppm 처리에서 25 ppm 처리에서 보다 전해수의 저감효과가 약 0.7 log10CFU/g 정도 높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 처리 시간에 따른 효과는 없었다 (p>0.05). 또한 전해수 중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S. Typhimurium과 S. aureus의 제어효과는 감소하였다(p<0.05). 유기물 600 μg/L 첨가시 유기물 첨가를 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S. Typhimurium은 1.10 log<SUB>10</SUB>CFU/g, S. aureus는 0.8 log10CFU/g의 전해수 효과가 감소하였다. 들깻잎과 전해수의 처리비율은 1:10으로 처리하였을 때 미생물 저감효과는 S. Typhimurium 0.57 log10CFU/g, S. aureus 0.79 log10CFU/g로 전해수에 의한 미생물저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들깻잎에서 S. Typhimurium과 S.aureus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서는 전해수 처리전에 물 세척을 통하여 흙과 먼지를 제거하고 전해수 농도 100 ppm에서 1분 이상 처리해야한다. 또한 들깻잎과 전해수 비율은 1:25 이상 유지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weakly alkalic electrolyzed water (WEW)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on perilla leaves. The influences of organic matter, inform of bovine serum, and the ratio of WEW to perilla leaves on bactericidal activity of WEW were also examined. Treatment of these organisms with 25, 50, 75, and 100 ppm WEW was performed for 1 min, 3 min and 5 min, respectively. Higher bactericidal activity was observed after a treatment with 100 ppm WEW compared to a treatment with 25 ppm WEW by 0.7 log<SUB>10</SUB>CFU/g.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WEW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bovine serum concentration. At the ratio of 10:1 (WEW: perilla leave), levels of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only reduced by 0.57 and 0.79 log10CFU/g, respectively. It is suggested that the removal of organic debris prior to application of sanitizers and treatment above the ratio of 25:1 (WEW: perilla leave) is needed in order to improve WEW activity.

      • KCI등재

        Trichothecium roseum에 의한 해바라기 분홍빛썩음병 발생 보고

        김상규,허온숙,성정숙,고호철,이주희,백형진,류경열,Kim, Sang Gyu,Hur, On-Sook,Sung, Jung Sook,Ko, Ho-Cheol,Luitel, Binod Prasad,Rhee, Ju-Hee,Baek, Hyung-Jin,Ryu, Kyoung-Yul 한국식물병리학회 2017 식물병연구 Vol.23 No.2

        Pink rot appeared in greenhouse-grown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in Jeonju, Korea. The symptoms appeared as brown discoloration of sunflower head and progressed into stem in advanced stag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al organism of this disease, we isolated a fungus from the infected seeds and maintained the isolated fungal culture o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Conidiophores were simple or branched, 62.5 to $123.1{\mu}m$ long. Conidia were produced in basipetal chains, ellipsoidal to pyriform with oblique and prominent truncate basal scars, two-celled, hyaline and measured $10.2-21.4{\times}7.5-12.6{\mu}m$. The fungus was inoculated to a new sunflower plant and showed the typical blight on the leaves. Study of morphological characters, pathogenicity tests and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isolated fungus is confirmed to be Trichothecium roseum.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ink rot on sunflower caused by T. roseum in Korea. 해바라기 재배포장에서 화뢰 부분이 썩는 증상이 나타났다. 병징은 감염된 화뢰 부분이 갈변되어 줄기로 번져갔다. 감염된 화뢰의 종자에는 주황색의 포자덩어리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병징으로부터 곰팡이를 순수 분리하여 감자 한천배지에 배양한 결과, conidiophores에 포자를 형성하여 흰색에서 분홍빛을 띠었다. Conidiophores는 단순형 또는 분지형으로 길이는 $62.5-123.1{\mu}m$였다. 분생포자는 무색의 격막이 없거나 하나 있는 둥근타원형에서 서양배 모양으로 크기는 $10.2-21.4{\times}7.5-12.6{\mu}m$였다. 이 균은 건전한 해바라기 잎에 접종하였을 때 잎에서 윤문형의 검은색 반점을 형성하였다. 균학적 특징, 병원성 검정, ITS 염기서열 분석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Trichothecium roseum으로 동정되었으며 해바라기 분홍빛썩음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관령 지역 주요 하천 및 도암호의 수질 특성

        박경훈(Kyeong-Hun Park),김병석(Byeong-Seok Kim),윤혜정(Hye-Jeong Yun),류경열(Kyoung-Yul Ryu),윤종철(Jeong-Chul Yun),최준열(June-Yeol Choi),김기덕(Ki-Deog Kim),진용익(Yong-Ik Jin)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6

        대관령 고랭지 농업지대 인근 주요 하천과 도암호의 수질의 이화학성 및 식물성플라크톤의 발생 양상을 조사하여 남한강 상류 수계의 전반적인 수질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암호의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은 6.1 mg L<sup>-1</sup> 이고, 총 인 (Total phosphorous)의 함량은 0.26 으로 호소수 생활환경 기준 Ⅵ등급 보다 높았다. 부유물질은 평균 9.77 NTU로 호수수 생활기준 보다 높았다. 식물플랑크톤의 농도는 7월부터 9월까지 2.0×10<sup>3</sup> cells mL<sup>-1</sup> 이상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여름철 고온과 강우에 의해 영양물질의 대량 유입으로 인해 남조류가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온타리오 퇴적물 기준과 비교해 보면, 도암호의 총 질소 및 총 인의 농도는 LEL과 SEL의 중간 정도 값을 보여 오염이 상당부분 진행되어 체계적인 관리로 오염원을 저감 및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surveyed that water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toplankton incidence of main stream and Lake Doam near to Daegwallyeong agricultural area. Based on above results, it was conducted to get information overall water characteristics in south Han upstream river. COD value of Lake Doam was 6.1 mg L<sup>-1</sup> and T-P (Total phosphorous) from there was 0.26 mg L<sup>-1</sup> which was higher than the value of grade Ⅵ based on lake water living environment standard. Suspended solid was an average of 9.77 NTU which was higher than value of lake living standard.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was over 2.0×10<sup>3</sup> Cell mL<sup>-1</sup> from July to September. It was considered that cyanobacteria were occurred due to massive influx of nutrient material by high temperature and rainfall during this season. Compare to Ontario"s sediment quality guidelines, T-N and T-P was middle value between LEL and SEL in Lake Doam. This value means that contamination in water is seriou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systematic management was needed to reduce and block contamination source.

      • KCI등재

        대관령 지역의 농업환경 모니터링

        박경훈(Kyeong-Hun Park),윤혜정(Hye-Jeong Yun),류경열(Kyoung-Yul Ryu),윤종철(Jeong-Chul Yun),이정주(Jeong-Ju Lee),황현아(Hyun-ah Hwang),김기덕(Ki-Deog Kim),진용익(Yong-Ik Jin)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대관령 농업지역의 연 평균기온은 6.4℃, 1월 평균 기온은 -7.6℃, 7월 평균 온도는 19.1℃이었으며 강수량은 1717.2mm, 안개 현상일수는 133일, 서리 현상일수는 59일 이었고, 특히 6월 8월 사이에 100 mm 이상의 집중 강우가 많았으며, 잦은 안개와 일조시간의 부족으로 병해충의 발생 및 작물생육이 불량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수질모니터링 결과 작물재배시기에 T-N, T-P 등 영양물질의 수질오염도가 높았으며, 7월~8월의 강우에 의한 토양유실로 영양물질의 오염도가 높게 관찰되었다. 배추재배지에서 T-N 농도는 평균 9.4 mg L<SUP>-1</SUP> (7.4~11.3)로 감자재배지의 평균 4.4 mg L<SUP>-1</SUP> (3.1~7.2)의 2배 정도 높았고, T-P의 경우도 배추재배지에서 평균 0.084 mg L<SUP>-1</SUP> (0.061~0.101)로 감자재배지 평균 0.036 (0.019~0.056) mg L<SUP>-1</SUP>의 농도보다 약 2배 정도 더 높았다. 부유물질 경우는 배추재배지가 평균 18.3 mg L<SUP>-1</SUP> (3.0~53.0)로 감자재배지 평균 1.9 mg L<SUP>-1</SUP> (0.5~3.0)로 무려 9배나 높았다. 이처럼, 배추재배지가 감자 재배지보다 수질 오염도가 높은 것은 대관령 지역에서 배추는 감자보다 생육기간이 짧고 또한 피복율도 작기 때문에 토양유실이나 양분유실이 많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경작중에 고랭지 작물재배지 토양을 분석한 결과, 작물별로 토양화학성의 차이는 작았으며, pH는 5.6~6.8사이, EC는 0.67~1.13 dS m<SUP>-1</SUP>, 유기물은 18.0~42.4 g kg<SUP>-1</SUP>, 유효인산은 316~658 mg kg<SUP>-1</SUP>, 치환성 칼륨은 0.41~0.88 cmolc kg<SUP>-1</SUP>, 치환성 칼슘은 3.7~7.1 cmolc kg<SUP>-1</SUP>, 치환성 마그네슘은 1.2~1.9 cmolc kg<SUP>-1</SUP> 범위였다.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n Daegwallyeong Highland, the characters of weather, water, and soil quality were investigated.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was monitored by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at 17 sites. The quality of water for samples were collected monthly at 24 sites depending on landuse styl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forest, grassland, and the major vegetable cultivation areas such as potato, carrot, Chinese cabbage, onion, head lettuce, and welsh onion field. The weather showed the mountain climate, and the average yearly temperature is 6.4℃, the average temperature in January is -7.6℃ and the average temperature in July is 19.1℃, and the change of temperature on the districts of Daegwallyeong is severe. The yearly record of precipitation shows 1717.2 mm. The water quality of crop field was worse than forest or grassland in Daewallyeong highland. In 2005, annual T-N, T-P, SS distribution of Chinese cabbage field showed 7.4~11.3, 0.061~0.1, and 3.0~53.0 mg L<SUP>-1</SUP>. The potato field showed 3.1~7.2 , 0.019~0.056 and 0.5~3.0 mg L<SUP>-1</SUP>, respectively. Being compared of water quality between potato field and chinese cabbage field, it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of Chinese cabbage field was worse than potato field. On farming, the soil of crop cultivation showed pH 5.6 to 6.8, 18.0~42.4 g kg<SUP>-1</SUP> of OM, 316~658 mg kg<SUP>-1</SUP> of Avail. P2O5. The content of cations showed 0.41~0.88 cmolc kg<SUP>-1</SUP> of Exch. K, 3.73~7.07 cmolc kg<SUP>-1</SUP> of Exch. Ca and 1.17~1.90 cmolc kg<SUP>-1</SUP> of Exch. Mg.

      • KCI등재SCOPUS

        딸기과실 표면에서 Eschercia coli DH5a::gfp 증식

        윤혜정 ( Hye Jeong Yun ),박경훈 ( Kyeong Hun Park ),류경열 ( Kyoung Yul Ryu ),윤종철 ( Jong Chul Yun ),김병석 ( Byung Seok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딸기에 E. coli DH5a::gfp 균주를 인위적으로 접촉시켜 배양 온도(10, 15, 20, 25, 30℃), 시간(24, 47, 72, 96시간) 및 접촉횟수(0, 2, 4, 6회)에 따른 미생물의 증식가능성을 살펴보고, 딸기 추출물 함량에 의해 E. coli DH5a::gfp의 증식가능 여부를 측정하였다. 저장온도 및 시간에 의한 E. coli DH5a::gfp의 증식은 25, 30℃에서 24시간 배양후 7.36~7.78 log CFU/g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10~20℃에서는 48시간 후 6.49~8.49 LOG CFU/g로 서서히 증식하였다. 각각의 온도에서 96시간 배양 후 15,25℃조건에서 E. coli DH5a::gfp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1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접촉횟수에 의한 E. coli DH5a::gfp의 증식은 접촉횟수에 상관없이 10, 15℃에서는 E. coli DH5a::gfp의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20℃에서는 접촉횟수 증가에 따라 1.52~3.26 log CFU/g 수준으로 증식하였으나 대조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배양온도가 25, 30℃인 경우 접촉횟수가 6회인 경우 각각 5.17, 5.01, log CFU/g 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딸기 추출액 함량이 미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추출액의 멸균여부에 상관없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서 딸기 추출물 0%인 경우 minimal broth에서의 E. coli DH5a::gfp의 증식은 배양기간 동안 1 log CFU/g증가하는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추출물 함량이 50% 미만인 경우 대조군에 비해 E. coli DH5a::gfp의 증식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50, 25$ 추출액에서 각각 4,5 log CFU/g 증가하였다. To verify the multiplication of microorganisms on the surface of strawberries, the fate of E coli DH5a::gfp at different temperatures, times and strawberry extract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he population of E. coli DH5a::gfp rapidly increased by 7.36~7.78 log CFU/g at 25~30℃ for 24 hr and slowly increased by 6.49~8.49 log (CFU/g at 10~20℃ for 48 hr: However, E. coil DH5a::gfp did not grow at 10~15℃ on the surface of the strawberries regardless of the contact times with the bacterial suspension. E. coli DH5a::gfp reached l.52~3.26 log CFU/g at 20t as the contact frequency increased from two to six times. The contact frequenci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 case of the six-time contact on the surface of the strawberry at 25 and 30t, the E. coli DH5a::gfp increased by 5.17 and Sill log CFU/g. The effects of the strawberry extracts on the growth of E. coli DH5a::gfp showed that sterilization and non-sterilization do not affec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for 96 hr. In die minimal broth, the growth of E. coli DH5a;:gfp increased 1w 1 log CFU/g for 96 hi; In less than 50 percent of the rninimal extracts, the growth rate of E. coli DH5a::gfp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 and increased by 4 and 5 log CFU/g at 50 and 25 percent of strawberry extracts, respectively. Therefore, E. coli DH5a::gfp can multiply and survive on the surface of strawberries when it conies into contact with the fruit extract.

      • SCOPUSKCI등재

        들깻잎과 생산환경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의 독소 유전자와 항생제 감수성 분석

        김세리(Se-Ri Kim),이지영(Ji-Young Lee),이서현(Seo-Hyun Lee),류경열(Kyoung-Yul Ryu),박경훈(Kyeong-Hun Park),김병석(Byung-Seok Kim),윤요한(Yo-Han Yoon),심원보(Won-Bo Shim),김경열(Kyoung-Yul Kim),하상도(Sang-Do Ha),윤종철(Jong-Chul Yun)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는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환경을 대상으로 276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B. cereus를 분리 하였다. 분리된 B. cereus 200주의 toxicity를 평가하고자 독소유전자와 항생제내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균주에서 11개의 서로 다른 독소유전자 패턴은 확인하였으며 5개의 설사형독소와 구토형 독소를 모두 생성할 수 있는 균주는 21%였다. 가장 빈번하게 검출되는 독소유전자는 nheA(100%), enFM(100%), hblA, C, D(66.5%)였으며 EM은 가장 낮은 빈도(21.0%)로 검출되었다. 항생제 내성평가결과 분리된 대부분의 B. cereus는 18종의 항생제 중 10개의 항생제에 대해서는 감수성이었으나 β-lactam계 항생제인 penicillin(100%), ampicillin(100%), oxacillin(94.9%), amoxicillin-clavulanic acid(95.6%), cefazolin(78.2%)과 비β-lactam계 항생제 rifampicin(58.0%)에 대해서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환경에서 분리된 B. cereus의 독소유전자와 항생제내성 패턴은 서로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들깻잎에 오염된 B. cereus에 의하여 설사형 뿐만 아니라 구토형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들깻잎과 생산환경에서 항생제 저항성 B. cereus가 검출되어 의약계뿐만 아니라 농업현장에서도 항생제내성균주 출현을 예방하는 대책이 요구된다. Two-hundred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perilla leaf cultivation areas in Miryang, Korea were investigated for 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Toxigenic patterns of isolates were identified to be 11 groups through toxin gene profiles. 21% of strains isolated from the perilla leaves had both enterotoxin and emetic toxin. Toxin genes entFM (100%), nheA (100%) and hblA, C, D (65.5%)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perilla leaves, whereas EM (21.0%) was less common. Most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10 antibiotics, but they were highly resistant to penicillin (100%), ampicillin (100%), oxacillin (94.9%), amoxicillin-clavulanic acid (95.6%), cefazolin (78.2%), and rifampicin (58.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ood-borne outbreak caused by B. cereus might lead to diarrhea and emetic syndrom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