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상(李箱)의 글쓰기와 정사(double suicide)

        노지승 ( Ji Seung Roh ) 겨레어문학회 2010 겨레어문학 Vol.44 No.-

        Lee Sang`s narrative text can be said as a type of Japanese `I-Novel`(私小說) which are generally based on the crisis of writer`s real Life. Lee Sang wrote narrative texts based on his own Love and sexuality. From this point of view, a motifs that man and woman try to commit a double suicide or man suggest to woman a double suicide can be a dramatic and critical moment of his Life. However, contrary to Japanese writers who were the model in Lee Sang`s writing, the motif of double suicide in Lee Sang`s text was transformed in individual and social context. In the 1920`s and 1930`s, a double suicide was represented as a expression of Love that cannot be realized. Therefore a double suicide was a symbol of romance and eternal Love. This characteristic had strengthened in the 1930s just because speedy and incontinent Love by modern boys and girls was the trend in the 1930`s. In the Lee Sang`s text, man who Loves modern girl is tortured by the fact that he cannot own her Love exclusively. He suggests to the girl a double suicide just in order to test her Love. Even though he can only ascertain that they fail in committing double suicide, he always hide his desperate emotion and disappontment in order to hold a dominant in relation with a girl. As a conclusion, a double suicide in Lee Sang`s text isambiguous. It is what he wants desperately but he pretends that he doesn`t want that. For this reason, the proposals of double suicide are expressed not by Lee Sang`s own Language but by other Japanese writer`s(Osamu Dazai and Ryunosuke Akutagawa)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

        문학교육에서 바라본 전쟁의 기억과 체험 : 전후 소설에 나타난 남성 정체성의 문제와 문학교육적 함의 -서기원,손창섭 소설을 중심으로-

        노지승 ( Ji Seung Roh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0 문학교육학 Vol.33 No.-

        This paper is trying to research the crisis of masculinity in novels of Seo Kiwon and Son Changsup and its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If the post-war period novels are read through keyword ``gender``, a new interpretational prospect can be opened. Especially for novels of Seo Kiwon and Son Changsup who belong to new generation writers after Korean war, their novels are questioning the male subjectivity and showed how it collapse. Even though these novels have something in common, there are different directions between novels in questioning masculinity. One is a way that Seo Kiwon`s novels pursue the self reflective masculinity criticizing the violence of military masculinity through a intellectual hero. The other is a way that Son Changsup`s novels describe incompetent heros who lack the masculinity totally. In such ways, post-war novels show that gender identification is not steady at all but make some troubles with persons. Therefore these novels can provide various viewpoint about male subjectivity and masculinity especially for Korean male readers who have many schema about the military and Korean war by being transformed through various contextualizations.

      • KCI등재

        특집논문 : 제도로서의 "독자" ; 식민지 시기, 여성 관객의 영화 체험과 영화적 전통의 형성

        노지승 ( Ji Seung Roh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0

        식민지 시기 여성 관객의 존재는 여러 문헌을 통해 부분적으로 확인되지만 여성들의 영화 체험을 포착하는 데는 많은 난점이 존재한다. 여성 관객은 식민지기에 있어서 그냥 `관객`으로 통칭되었거나 혹은 가부장제적인 통제의 대상임으로 인해 담론의 장에서 주변적인 대상으로 치부되었기 때문에 여성 관객의 존재 의의를 언급한 담론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특히 1910년대부터 1920년대 후반까지 여성 관객의 존재가 공식적으로 매우 부정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러한 자료가 갖는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이 논문은 여성 관객의 영화사적 존재 의의와 그 영화 체험을 재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2장은 일단 여성의 영화관 출입과 관련된 사회적 편견이 1920년대 후반까지 끈질지게 반복되어 재생산되고 있음을 다루었다. 그러나 강도 높은 비난들은 1930년대에 이르면 영화보기가 근대적 취미 생활로 완전히 승인되면서 차츰 희석되거나 약화됨을 볼 수 있다. 여성 관객의 영화 체험의 의미가 아주 부분적이지만 의미화 되기 시작한 것도 이러한 `비난`이 약화되는 것과 동시적이다. 1920년대 후반까지 신문과 잡지와 같은 공적 담론에서 여성의 영화관 출입에 대해 대개 비판일색이기는 했지만 `조선 영화`에 있어서 여성적인 취향-특히 여성의 불행을 다룬 서사들이 많았다. 여기에는 특히 실제 관객층의 하나였던 `기생` 집단이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논문의 3장은 실제 관객으로서 혹은 기생 서사(narrative)의 주인공으로서 기생이 가십거리이기는 했지만 어떻게 조선 영화의 서사구성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박기채 감독의 <무정>(1939)은 이러한 기생 서사의 계보를 잇고 있으며 이러한 기생 서사는 단지 기생 관객들의 심리적 보상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기생 서사가 사회적으로 광범위하게 소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4장은 여성 관객에게 있어서 영화 체험이 어떠한 심리적 양상을 띠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 장에서는 조선 영화뿐만 아니라 외국 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반응도 분석의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관객들은 주로 동일시의 메커니즘에 의해 허구 속에 자신을 대입시킴을 알 수 있는데 그러나 그 서사는 기생 서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주로 여주인공의 고난과 역경을 토대로 한 것이었다. 당시의 여성 관객들-가부장제 사회에 있어서 타자로 취급받는 기생과 마찬가지로 욕망을 통제 당하는 여학생, 가정 주부도 `상실`의 서사를 통해 역설적으로 쾌락을 얻고 있다고 언급하는 것도 큰 무리는 아니다. 2장과 3장이 거시적인 차원에서 공적 담론에 표상된 여성 관객들을 분석함으로써 여성 관객이 영화적 전통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상과 영향력을 밝히고자 했다면 4장은 여성 관객의 내밀한 영화 체험을 통해 영화가 그녀들에게 줄 수 있는 판타지의 정체를 다루고자 했다. 4장은 기존의 연구에서 아직 다루어지지 않았던 영역이다. 여성 관객의 영화 수용의 심리적 양상은 앞서 언급했듯이 여성의 영화 체험이 주류 이데올로기와의 관련 속에서 위치하고 있는 바를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is research is analysing the historical and social meaning of female spectators in colonial period. On colonial period, it is very difficult to reveal their experiences just because they were represented negatively in main discourse and they were treated as outsider. Even though these difficulties, this study tried to reconstruct the experiences of female spectators and the meaning of them in cinematic history. In chapter2, this study reveals the prejudice that female spectators were unsound persistently had been maintained until late 1920s. However this criticism and bias were weakened gradually. It was same time that women`s watching movies became recognized as fairly modern hobby. In chapter3, this study also reveals that unlike the public discourse, Chosun films reflected female taste in narrative. Especially group of gisaeng was very important spectators in that period. So there were so many movies that reflect their taste. Chapter 4 is analysing the psychological aspects that female spectator could experience, watching movie. The consolation and compensa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with heroines who were suffering from unhappiness were the main psychological aspects that they could have. It can be said that female spectators including not only gisaeng but also female students, housewives who were regulated by a patriarchy had gotten the similar pleasure though watching movie.

      • KCI등재

        〈自由夫人〉을 통해 본 1950년대 문화 수용과 젠더 그리고 계층

        노지승(Roh Ji Seung)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7

        이 논문은 소설 그리고 영화 〈자유부인〉 텍스트의 수용자들의 계층적 특징과 젠더 그리고 이러한 계층과 젠더에 기반하여 이들이 텍스트를 수용하는 방식을 추적하고자 했다. 소설 〈자유부인〉은 세간의 관심과 인기를 끌기는 했지만 허영심 강한 ‘오선영’의 타락을 묘사함으로써 전후의 풍속 변화에 대한 보수적인 남성 독자들의 비판적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보수적인 담론의 대리자에게 있어서 소설 〈자유부인〉은 전후의 문화 변동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욕망에 충실한 등장인물을 그렸기 때문에 매우 불편한 텍스트였다. 소설 〈자유부인〉에 대한 비판은 ‘문학’이 전통적, 사회적으로 계몽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던 현실을 잘 보여준다. 이에 비해 영화 〈자유부인〉 텍스트는 소설 〈자유부인〉보다 훨씬 자유롭게 전후의 문화 변동을 그려내고 있다. 그러나 영화 〈자유부인〉은 보수적인 시선과 적절한 타협을 하고 있다는 점은 강조될 수 있다. 남녀가 얼싸안고 춤을 추는 장면들은 이러한 보수적 담론의 생산자들이 보기에 불편한 텍스트였을 테지만 뺨을 얻어맞고 집으로 돌아온 오선영의 모습에서 그들은 어떤 안도감을 느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덕적 징벌은 영화 〈자유부인〉의 일면적이고 부분적인 특징에 불과하다. 이 영화는 기혼 여성들의 쾌락적 측면을 더욱 강화시킴으로써 여성 관객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 〈자유부인〉은 특히 가정을 통해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는, 중간 계층 이상 여성들의 일탈의 판타지를 따르고 있다. 영화가 소설보다 이렇게 여성의 요구를 잘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은 소설에 비해 계몽이나 사회비판의 압력에서도 비교적 자유로웠기 때문이다. 영화 〈자유부인〉에 드러난 욕망의 주체인 ‘중간 계층 이상의 기혼 여성’들은 1950년대에 있어서 가정이 주는 안락함을 누리면서 동시에 가정 내부의 불평등 문제를 거론하면서 기혼 여성의 ‘외출’을 정당한 권리로 주장하기 시작한 집단이다. 1950년대에 이르러 여성들의 이러한 권리가 문제되기 시작한 것은 바로 예의 ‘민주주의’에 대한 사회적 당위가 ‘남녀평등’에 대한 인식을 부분적으로 가져왔기 때문이다. 여성들에게 영화 관람은 이러한 사회적 의제를 문화적 욕구로서 표현하는 행위이기도 했다. 소설 〈자유부인〉과 영화 〈자유부인〉에 관련한 논란들은 이러한 1950년대의 사회적 분위기와 깊이 연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ains about gender and classes of the readers and spectators of novel and movie 〈Madame Freedom〉 and the way that they read and see it. The middle and upper classes readers and spectators were likely to read or see Madame Freedom(‘自由夫人'). Even though the popularity of Madame Freedom, Novel Madame Freedom was criticized by the men who didn't like cultural changing in the postwar period because the serial novel in the newspaper described the housewife's degenerateness. However the movie Madame Freedom was relatively free from the reproach though the movie based on that novel followed the desire of middle class women and reflected their pleasure. At this time, movies were very popular entertainment of the women. Therefore movie Madame Freedom could reflect the demand of women differently with the novel Madame Freedom. The difference between novel and movie in story can prove that. The married women belonging to middle class who had many good points as long as they were within home, began to demand their rights in their home and in the relation to their husbands. Going out and seeing the movie of housewives in the middle class, was the action that expressed the cultual demand connecting with this social agenda.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scourse on the novel and movie connote the conflicts between the men and their wives.

      • KCI등재

        1950년대 후반 여성 독자와 문학 장의 재편

        노지승(Roh Ji-Seung)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0

        1950년대 여성 독자들은 다음과 같은 사회문화적 변동을 배경으로 의미화되었다. 첫째 여성의 문자 해독률은 매우 높아져 미디어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많아졌다. 두 번째 일반적으로 지식인 수효는 증가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여성들은 고등 교육에 접근할 기회가 여전히 적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반적이고’ ‘표준적인’ 지식인(남성)들의 독서 경향과는 상대적으로 고등 교육을 받지 못한 여성의 독서 취향이 확실히 구별되기 시작했다. 세 번째는 여성들의 취미 활동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매우 넓어졌다는 데 있다. 특히 여성의 취미 영역에 있어서 1950년대는 댄스와 영화 관람이 그 취미 영역으로 유의미하게 부각되었고 이러한 여가 활동과 ‘독서’라는 비교적 오래된 취미 활동이 경합을 벌여야 하는 시대였다. 이는 남성보다도 여성의 여가에 있어서 매우 뚜렷한 특징이다. 여성지 『여원』의 독자층 분석은 비단 여성지 독자층뿐만 아니라 문학의 주된 수요자로서의 여성 독자의 분화양상을 보여주고 그럼으로써 전체 문학의 판도변화를 암시적으로 보여준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하나의 부류는 순수 문예 작품을 좀 더 보기를 원하는 여성들이며 다른 하나는 문학적 열정은 훨씬 적으면서 연재소설을 더 재미있어 하는 유형의 독자다. 1950년대 중반보다 50년대 말로 갈수록 이러한 이원적 경향은 뚜렷하게 드러나는데 이러한 이원적이고 배타적인 경향은 당시의 문단 상황을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 『현대문학』을 중심으로 한 문협 정통파들에게 당시 대중소설의 득세는 그다지 위협적인 요인이 될 수 없을 정도로 이들 문예지를 중심으로 한 ‘순수’ 문학과 연재소설을 중심으로 한 ‘대중’ 문학은 이원적이고 배타적인 구도 속에서 놓여 있었다. 이는 대표적인 여성지 『여원』에서도 마찬가지로 두 종류의 고학력/저학력 독자, 고급 문학/ 대중문학 독자 그리고 가정주부/여대생 이원화된 독자층을 갖고 있었다. 이들 두 층위의 독자들 중에서 『여원』이 주력했던 대상은 고학력-대중문학 독자-가정주부로 이 두 가지 층위의 독자들 사이에서 적절한 타협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1950년대에 있어서 여성독자들이 문학을 통해 독자집단의 힘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은 ‘상업적’이라고 비판받던 신문과 잡지의 연재소설을 통해서였다. 여성들의 대중소설 읽기는 부정적인 사회 현상으로 취급되면서 더욱 강력한 소문의 효과를 낸 것은 사실이다. 한편으로 많은 여성들을 관객으로 흡수했던 영화의 힘도 이 당시에 문학의 장을 긴장시키면서 대중적 수요에 더욱 민감하게 만들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meaning of the female readers and its influences on the field of literature. In late 1950, there were three kinds of characteristics about social-cultural background. First, the women who could read had been increased rapidly. Therefore, women became the meaningful group in cultural consumption. Second, the female taste about reading became differentiated from the 'general' or 'male' taste markedly at the same time. For this reason, even though the female readers became increased, the criticisms about women's reading also became increased and more reinforced. The last one, the movie boom in late 1950s became the most powerful stream in culture. Therefore the popular literature, specially a serial novel in periodicals became connected with movie. These characteristics were the results or the causes of female taste and female reading. Especially, the rise of the popular and the movie boom were the main results of the female consumer in culture. But the female reader who have taste in pure or high levelled literature, also became increased. The women's magazine Yeowon was the typical example which could show the different kinds of the female readers. Those were high levelled readers who would like to read pure literature and the lower levelled readers who had taste in popular literature. In case of the editors of Yeowon, they negotiated between two groups properly. This negotiation proved next things simultaneously. Even though the female readers was relatively powerful in popular literature just because of movie boom which was connected with serial novels, the readers of high levelled literature seemed undisturbed. Similarly this situation, conservative literary group named Moonhyup(文協) jeongtong-pa(正統派) who had the strong power in the field of literature, remained aloof from this movie boom and popular literature.

      • KCI등재

        주제 근대 전환기 한국 고전문학의 대응 20세기 열녀 담론과 한국 영화에 나타난열녀 표상의 의미

        노지승 ( Ji Seung Roh )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ways that the visual representations were formed through the discourses on virtuous women and Korean movies which have virtuous women motifs in the 20th century. Especially in Korean movies of the late twentieth century, virtuous women were represented problematically as young women with beautiful bodies and sexual desire, as oppose to the discourses in the colonial times of the early 20th century. In colonial period, Confucianism that forced young widow to be a virtuous woman was strongly criticized. On the other hand, modern intellectuals discovered and considered the feature of the romantic love and sacrificial motherhood as the modern values that were inherent in the stories on virtuous women. 20th Century Korean movies described virtuous women as the results of the upper-class men`s monopoly of sex and reproduction. The narratives of these movies were designed by the desire of lower-class men. In Bound by Chastity Rule(烈女門) directed by Shin Sangok in 1962, lower class man named Sungchil who falls love with young widow was described as a rebellious man believing in the modern values. In another movies which were produced in 1980s, lower-class men`s desire designed the narrative as the fantasy that they can revenge themselves on upper-class men(兩班) by being a sex partner of upper-class virtuous women.

      • KCI등재

        1910년대 후반 소설 형식의 동인(動因)으로서 이상(理想)과 욕망의 의미

        노지승(Ji Seung Roh) 한국현대소설학회 2006 현대소설연구 Vol.- No.3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aning of desire and ideal of novels in the late 1910s. Most protagonists in the novels is tormented by their doudts about the lack of ability in realizing their ideal, not ideal itself. This self-condemnation by inner monologue shrinks not only their actions but also narrativity in the novels. Instead, the sexual desire of male characters, which finally can plot in the novels, enables them to raise some events. In <逼迫>, narrator-I who have gotten western eduation and thoughts, is suffering from the delusion that everyone reproaches him for his enervation. This novel is made up of his inner monologues that exhibit this delusion. In <슬픈 矛盾>, narrator also exhibits his mental anguish through the inner monologue in the same way. Usually he doesn`t stop his inner monologue until he takes a role in rescuing a girl in danger. This event, gaining masculinity, suggests that he will have a love affair and he can be a agent of story. Similiarly, in <無情>, protagonist, Lee Hyung-sik, is invloved in a love triangle, so he hesitates in choosing girl. Finally he chooses sun-hyung, a daughter of a man of wealth. He has a illusion that his choice has its roots in his illuminating will and ideal. This illusion makes a leap in the plot.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지 독자와 서사 읽기의 즐거움

        노지승(Ji Seung Roh) 한국현대소설학회 2009 현대소설연구 Vol.- No.42

        This paper aims to determine the way of female communication and to describe female`s taste for narratives. Also it will discuss the pleasure female readers get from reading narratives such as novels or non-fictions. To reach this aims, the paper is going to analyze the women`s magazine, Yeo-Sung(女性), which was published in 1930s. There was much interaction between literary producers(writers) and consumer(readers) through women`s magazine, more than other media form. It is because, in the case of women`s magazine, the editors have to be more conscious about female readers` taste for narratives. The study would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non-fiction is the favorite narrative form of female readers. Actually, a certain narrative can become a non-fiction through a special device such as using the first-person narrator or real name. Diary and letters, which use these devices, also can belong to non-fiction. Editors of Yeo-Sung(女性) tended to carry diary or letters of unknown readers or professional writers. By reading non-fiction narratives, such as diary or letters, women readers can get intensive fantasy as if they are one of the characters in the narratives. They sympathize with the other women, thinking that the story is a `real` thing. Another conclusion is each novel, which was written by a professional writer, reflected and satisfied directly or indirectly the desires of two different female groups-women of upper classand women of lower class. While female students and house wives belonged to upper class, waitressesand(女給) and gisaengs(妓生), who were neglected in society, belonged to lower class women. They consisted the readers of Yeo-Sung(女性). Through the experience of reading novels, female readers could get pleasures depending on their own class but editors of Yeo-Sung(女性) carried the narratives that were suitable for general women`s preference. Therefore, the difference or conflict between two groups of female readers wasn`t a conspicuous t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