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40년대 후반 한국에서 양계초(梁啓超) 정치사상의 재현 -이관구(李觀求)의 『신대학(新大學)』을 중심으로-

        노관범 ( Kwan Bum Noh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1

        이 글은 李觀求(華史, 1885~1953)의 『新大學』을 분석하여 해방 후 한국 민족주의 사상의 일단을 규명한 것이다. 『新大學』은 학술사적인 견지에서 크게 두 가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나는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최후의 『大學』 속편으로 도학적인 경세론을 넘어 근대적인 정치사상을 『대학』의 체제로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우리나라 근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淸末民初 사상가 梁啓超의 저작물에 의존하여 해방 후에 民族과 新民을 키워드로 하는 정치사상을 재차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대학』의 사유 형식과 양계초의 정치사상의 내용이 1945년 이후에도 중단되지 않고 재현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근현대사상사의 이채로운 현상이다. 『新大學』은 양계초의 정치사상에 입각하여 근대 국민국가 수립의 기본 전제를 민족주의 형성으로 간주하였고, 민족주의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국주의 국가 미국과 소련에 의한 남북 분단과 이에 편승한 親美와 親蘇의 사상분열을 극복하고 민족통일을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신대학』은 해방 후의 정치적 상황을 ``僞維新``이라고 요약하였는데, 이는 민족주의의 진정한 정치적 주체로 성장하지 못한 여러 집단들의 정치적 분열과 사상적 반목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신대학』은 양계초가 역설한 新民의 역사적 가치를 바로 이 지점에서 다시 발견하였다. 해방 후 총체적인 ``僞維新``의 풍토를 극복하고 진정한 민족주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한반도의 전체 주민이 새로운 국민 도덕, 새로운 국민 정신, 새로운 국민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는 자각이었다. 이에 따라 양계초의 『新民說』에서 제시한 公德, 自由, 權利思想, 國家思想 등이 새로운 국민 도덕과 국민 정신으로 부각되었고, 그 밖에 『飮氷室文集』에서 소개된 서양의 과학, 철학, 경제학 등이 새로운 국민 지식으로 강조되었다.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way Korean nationalism was theoretically designed in the years of the so called Space of Liberation. The main focus is on the historical character of the now forgotten literature named New Great Learning(新大學) by Yi Kwan Koo(李觀求), who was one of leading social leaders for Korean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dominance in 1910`s. This book was written in the late 1940`s, still in form of draft by author himself, and contains valuable ideas on Korean nationalism for the then Jo-seon people. More importantly, it ha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in view of the reappearance of political ideas of Liang Qi Chao(梁啓超) and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thinking of Great Learning(大學). That means Korean nationalism was still designed on the framework of the works of Liang in 1940`s, the years of the "Space of Liberation" as well as in 1900`s, the years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Once again was Liang`s theory of building national state and making renewed people roared up. His theory was newly read as something like new lights on how to solve the Korean problem, that is military occupation by America and Soviet Russia and political division between pro-American and pro-Russian groups in Korea. In this sense, the New Great Learning can be considered as unique work to display the third way to Korean nationalism based on Liang`s theory away from Russian communism and American capitalism.

      • KCI등재

        근대 초기 개성 문인의 지역 운동

        노관범 ( Kwan Bum Noh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49

        이 글은 1900년대, 1910년대 김택영을 중심으로 결집했던 개성 문인들의 지역사회 운동을 검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1900년대 개성 사회의 신교육운동과 1910년대 개성 사회의 한문학운동을 검토하고 이러한 지역사회 운동의 주요 지역적 주체가 김택영을 중심으로 결집한 개성 문인임을 발견하였다. 이들 개성 문인은 문학과 실업을 병행한 재력가로 당대 개성 사회의 유력한 실업가였다. 구체적으로 1900년대 개성 신교육운동에서 중심적으로 활동한 김택영 관련 개성 문인은 임규영, 최문현, 김진구, 손봉상, 공성학, 김근용 등이었다. 특히 개성인이 세운 개성의 양대 사립학교 배의학교와 맹동의숙을 각각 경영한 임규영과 최문현, 대한협회 개성지회의 설립에 기여한 삼업인 손봉상 등은 모두 개성학회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개성 신교육운동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였다. 1910년대 개성 한문학운동에서 중심적으로 활동한 김택영 관련 개성 문인은 박남철, 최중건, 최문현, 공성학, 김기형 등이었다. 특히 박남철과 최문현은 『신편포은집』(1914), 『천유집고』(1918), 『중경과보속』(1918) 등을 간행하며 지역 전통을 새롭게 현창하는 문화운동을 전개하였고, 1916년 숭양문예사를 설립하고 『숭양집』을 발행하여 개성 한문학운동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였다. 1910년대 개성에서 활동한 주요 실업가는 최문현, 손봉상, 공성학, 김진구-김기형 부자, 김여황-김원배 부자 등으로 이들은 농업, 삼업, 임업, 상업, 공업 분야에서 실업계의 핵심을 구성하고 있었고 김택영과 연결된 개성 문인이었다. 근대 초기 개성 신교육운동과 한문학운동의 핵심 인물들, 그리고 동시기 개성의 주요 실업가들은 공통적으로 김택영을 중심으로 결집한 개성 문인이었다. 이는 유교 전통과 근대 사회의 관계를 새롭게 성찰하는 중요한 사례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Keaseong writers` local movement for new edeucation and Han litera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Main focus is on the Kim TaekYeong[金澤榮]`s Kaeseong writers as the leading figures in this two kind of movements in 1900`s and 1910`s. First, it was Yim Kyuyeong[林圭永], Choe Moonhyeon[崔文鉉], Kim Jinku[金鎭九], Son Bongsang[孫鳳祥], Kong Seonghak[孔聖學], Kim Keunyong[金謹鏞] among Kim Taekyeong`s Kaeseong writers that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local education movement in Kaeseong. Especially, Yim Kyuyeong as the principal of Baeeui school[培義學校], Choe Moonhyeon as the principal of Maengdong school[孟東義塾], and Son Bongsang as the decisive figure to establish Kaeseong affiliation of Daehan Cooperative Association[大韓協會] were all central leaders of local education movement to participate in Kaeseong Education Association[開城學會]. Second, it was Pak Namcheol[朴南澈], Choe Junggeon[崔中建], Choe Munhyeon[崔文鉉], Kong SeongHak[孔聖學], Kim Kihyeong[金基炯] among Kim Taekyeong`s Kaeseong writers that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local Han literature movement in Kaeseong. Especially Pak Namcheol and Choe Munhyeon were all key leaders of local Han literature movement to publish some important works titled “Newly edited anthology of Poeun”[新編圃隱集], “Collection of famous old verses selected by Cheonyu”[天游集古], “A sequal to list of Kaeseong`s successful applicants for Joseon state examination”[中京科譜續], and also to establish Sungyang Publishing Company[崧陽文藝社] to compilate periodical works titled “anthology of Sungyang writers”[崧陽集]. And, Choe Moonhyeon, Son Bongsang, Kong Seonghak, Kim Jinku-Kim Kihyeong(father and son) were leading businessmen in Kaeseong in 1910`s. In conclusion, Kim Taekyeong`s Kaeseong writers in the local Confucian tradition should be evaluated as central figures in the local education movement, local Han literature movement, and the local business circle in Kaeseong in the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한제국기 실학 개념의 역사적 이해

        노관범 ( Kwan Bum Noh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5

        대한제국기의 실학 개념은 조선시대의 유교적인 실학 개념과 20세기 한국의 학술적인 ‘실학’ 개념 사이에 있는 중요한 근대 개념이다. 한국 근대의 역사적 현재성을 담고 있지만 지금은 단절되고 망각된 개념이다. 근대 실학 개념의 역사적 복원 작업은 학술적인 ‘실학’ 개념의 역사적 성찰과 한국 근대개념어의 역사적 통찰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글은 근대적 제도의 형성에 수반된 근대 개념어의 성립이라는 관점에서 대한제국기 대중 매체에 보이는 실학 개념을 분석하되 분석의 초점을 개념의 외연, 개념의 내포, 그리고 개념의 로칼리티에 두었다. 외연의 분석은 한국 근대 실학 개념을 둘러싼 제도적 맥락의 고찰을 중심으로 하였다. 새로운 학제를 수립하려는 국가 교육정책, 새로운 학제에 의해설립된 신식 학교의 신학문 교육, 그러한 신학문의 발원지로서 세계 열강의 교육 기관에서 전수되는 전문적인 학문의 학습 등 다양한 상황에서 실학 개념의 외연이 확장되는 현상을 제시하였다. 내포의 분석은 한국 근대 실학 개념의 학문적 범위와 성격의 고찰을 중심으로 하였다. 근대 교육 기관에서 교수되는 교과 학문 전반이 실학으로 인식 되면서도 근대 문명의 성취와 국가 부강의 실현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자연과학을 중심으로 하는 격치학, 또는 士의 전문학과 農商工의 실업학 등으로 실학 개념의 내포가 응집되는 현상을 제시하였다. 로칼리티의 분석은 한국 근대 실학 개념과 관련된 역사적 장소성으로서 대한제국의 지역성에 유념을 두었다. 동아시아 근대 개념의 도착지로서 대한제국에 晩淸중국과 明治일본으로부터 실학 개념이 유입된 양상을 살펴보았고, 대한제국 사회의 이념적 지형들에서 발현되는 실학 개념의 정치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한국 근대 개념으로서 실학의 역사적 성격이 명확히 드러나기를 바란다. There are three kinds of concepts of Silhak[實學] in Korea. The first one is on the old word in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the second one on the present academic term in the field of Korean study, the last one on the now-forgotten-but-noticeable word in the modern period of Great Han empire. It is important that we can find modern meanings in the concept of Silhak. The modern concept of Silhak can shed new light on the present academic term Silhak, and also pave new way to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general concepts. That`s what this article aims at. This article has three parts, each of which is as follows. The first one is the external approach to the modern concept of Silhak. The word of Silhak was accompanied by the modern educational system in Korea. For example, it was so often mentioned on the announcement of the new national educational policy, and subject-teaching or subject-studying in the new established educational institution in and outside the modern Korea. The second one is the internal approach to the modern concept of Silhak. The word of Silhak was used to indicate the modern academic disciplines for the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And the central meaning of it was pertaining to natural sciences and academic professionalism on agriculture, commerce, and engineering. The last one is the conceptual approach to modern concept of Silhak. In this case, much interest is in the locality of the modern Korea as the place new foreign concepts of Silhak arrive from the abroad in the East Asia, and also as the place new political concepts of Silhak and its conceptualizations come into existence from the ideological struggle between the different values.

      • KCI등재

        金澤榮과 개성 문인

        노관범(Noh, Kwan-bum) 한국고전번역원 2014 民族文化 Vol.43 No.-

        이 글은 188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김택영을 중심으로 결집했던 개성 문인들의 집합적인 존재 양태를 검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조선 말기 김택영이 『初菴集』, 『西原家稿』, 『金氏史補』, 『崧陽耆舊傳』, 『崧陽耆舊詩集』, 『燕巖集』 등을 편찬할 때 그를 도왔던 개성 문인들, 국망 전후 김택영이 『滄江稿』와 『崧陽耆舊詩集』을 간행할 때 재정적으로 후원했던 개성 문인들, 그리고 식민지 시기 김택영을 추모하는 책자 『滄江先生實紀』가 간행될 때 여기에 참여했던 개성 문인들의 규모와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朴文逵 이래 개성 문단의 핵심을 장악했던 19세기 유력한 개성 문인들이 모두 김택영을 중심으로 결집하여 조선 말기 김택영의 문헌 편간 사업에 참여하였다. 둘째, 김택영의 중국 망명 이전 김택영의 문헌 편간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개성 문인들은 크게 김택영이 결성한 黃花社 동인들인 崔中建, 朴載鉉 등과 김택영의 핵심적인 문인들인 王性淳, 林圭永 등이었다. 셋째, 김택영의 중국 망명 이후 『창강고』와 『숭양기구시집』 간행 사업을 후원한 개성 문인들은 20세기 전반 개성에서 문학과 실업을 병행한 자산가들이었다. 넷째, 김택영 사후 『창강선생실기』 편간 사업에 참여한 개성 문인들 중에는 일제식민지시기 개성 성균관에서 활동한 개성 유림들의 비중이 높았다. 다섯째, 김택영의 핵심적인 문인들은 왕성순과 임규영 외에도 김택영에게 少友라는 호칭을 들은 孔聖學과 金謹鏞, 그리고 개성 문인들을 대표하여 김택영에 관한 遺事를 지은 李箕紹로 집약된다. 이들은 김택영에 대한 뚜렷한 후학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김택영을 중심으로 결집한 개성 문인들은 20세기 전반 개성 사회에서 전개된 다양한 지역 운동의 집합적 주체로서 역사적 중요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들의 지역운동은 별고를 기약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way Kaeseong writers were in the history of local literature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period. Much interest lies in the mutual relation of KimTaekYeong[金澤榮], the famous Kaeseong poet and his cooperative hometown writers from 1880’s until 1930’s. It is noticeable that not a few Kaeseong writers helped him compilate important anthologies on the local intellectuals of Kaeseong, for example, Choamjib[初菴集], Seoweonkago[西原家稿], Kimssisabo[金氏史補], Sungyangkikujeon[崧陽耆舊傳], Sungyangkiku shijib[崧陽耆舊詩集]. Among them are important Choe JungGeon [崔中建] and Pak JaeHyeon[朴載鉉], his intimate friends in the literary club called Hwanghwasa[黃花社] and Wang SeongSun[王性淳] and Yim KyuYeong[林 圭永], his excellent pupils. Also, Kaeseong writers gave him financial support when he decided to publish his own work titled Changganggo[滄江稿] and the local poetic work of his hometown writers titled Sungyangkikushijib[崧陽耆舊詩集]. In this case, Kong SeongHak[孔聖學], one of leading businessman in Kaeseong industry of Ginseng, was a very enthusiastic supporter. More impor tantly, Kaeseong writers even commemorated him in the anthology titled Changgang seonsaengshilki[滄江先生實紀] after his death. Especially, his eager followers such as Kong SeongHak, Kim KeunYong[金謹鏞], and Yi KiSo[李箕紹] were leading figures in this kind of local cultural event. After all, Kim TaekYeong’s Kaeseong writers of the classic Han literature can be given histo rical importance as the collective subjects of the socio-cultural community movement in the moder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용법과 어휘 추세―한국문집총간 정집을 중심으로

        노관범 ( Noh Kwan-bum ) 한국실학학회 2020 한국실학연구 Vol.0 No.40

        이 글은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총간을 활용해 조선시대 이용후생의 용법을 분석하고 어휘 추세를 검토한 것이다. 본래 『서경』에 출처를 두는 경학 용어 이용후생은 관습적으로 조선후기 실학의 유파로서 이용후생파를 가리키는 역사적 명칭으로 활용되어 왔다. 더불어 조선말기 동도서기의 철학적 본질로서 조선후기 이용후생론이 소환되기도 했다. 그러나 조선후기 실학의 이용후생파이든 조선말기 동도서기의 이용후생론이든 조선시대 이용후생에 관한 부분적인 이해에 불과하다. 조선시대 이용후생의 용법을 한국문집총간 정집에서 살펴보면 이이에서 곽종석까지 전체 99건의 기사 건수가 검색된다. 연대기 자료에서 이용후생을 검토한 선행 연구는 조선시대 이용후생이 주로 조선후기 정조와 조선말기 고종의 치세에 분포했음을 규명했는데, 이러한 어휘 추세는 문집 자료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이용후생 기사 빈도수 상위 랭킹 문집의 저자는 조선후기의 정약용, 정조, 박지원, 홍양호와 조선 말기의 신기선, 김윤식, 곽종석이다. 이용후생은 정조시기 전까지 대체로 미약했으나 정조시기 북학과 연결되어 본격적으로 발화되었고 고종시기에는 신문물의 수용과 신학문의 진흥을 둘러싸고 적극적으로 언명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이용후생의 사상사는 조선후기 북학과 조선말기 동도서기를 모두 포괄하면서도 이를 넘어서는 장기적인 현상이었다고 하겠다. 이용후생의 어휘 추세를 검토하기 위해 유관 어휘로 실사구시, 개물성무, 명물도수를 선택해 각각을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이용후생과 실사구시의 어휘 추세 비교는 흔히 조선후기 실학의 유파로 경세치용, 이용후생, 실사구시가 거론되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었다. 이용후생과 개물성무, 이용후생과 명물도수의 어휘 추세 비교는 이용후생의 용법 분석 과정에서 개물성무와 명물도수가 이용후생과 긴밀하게 연결된 사례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래프로 구현된 어휘추세를 검토한 결과 실사구시는 이용후생과 친근성이나 상관성을 거의 발견할 수 없었고, 개물성무는 이용후생과 어휘 추세 패턴은 다르나 긴밀한 상관 관계를 읽어낼 사례를 확인하였고, 명물도수는 이용후생과 어휘 추세 패턴이 거의 동일하나 개물성무에 비해서는 이용후생과의 상관 관계를 읽어낼 사례가 부족하였다. 향후 조선시대 한문 문집 자료와 근대 매체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이용후생의 개념사가 더욱 명확해지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reviews the long-term trends in the usage of the word “Iyonghusaeng[利用厚生]” in the Joseon Dynasty, using the Hangukmunjipchonggan[韓國文集叢刊]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韓國古典飜譯院]. Originally, Iyonghusaeng[利用厚生] sourced from 『Seogyeong[書經]』 means the conveniencies of life attained by the promotion of arts and commerce[利用] and the enrichment of living characterized by the abundant comforts and luxuries[厚生], and it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as a historical term referring to the specific school of Korean Silhak[實學]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it is undesirable to have only partial understanding of it in consideration of its long-time linguistic phenomenon in the Joseon Korea. If we look into the usage of this term in the Hangukmunjipchonggan[韓國文集叢刊] collection, a total of 99 articles from Ii[李珥] to Kwak Jong-seok[郭鍾錫] are searched. Prior studies from chronological data found that the term Iyonghusaeng[利用厚生] was mainly disseminated in the reigns of King Jeongjo[正祖] and King Gojong[高宗]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is trend is also evident in the data of personal anthology. The authors of the high-ranking articles on the frequency of Iyonghusaeng[利用厚生] articles are Jeong Yak-yong[丁若鏞], Jeong Jo[正祖], Park Ji-won[朴趾源], Hong Yang-ho[洪良浩], Shin Ki-seon[申箕善], Kim Yun-sik[金允植], and Kwak Jong-seok[郭鍾錫] and so forth. The idea of Iyonghusaeng[利用厚生] began to attract Korean intellectuals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it was frequently mentioned over the acceptance of new culture and the promotion of new learning in the period of King Gojong. In this sense, the history of idea of Iyonghusaeng[利用厚生] needs to be studied in view of the long-term trend from the late Joseon Korea to the modern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 in the usage of Iyonghusaeng[利用厚生], a task was performed to compare it with each of the relevant vocabularies such as Silsagusi[實事求是], Gaemulseongmu[開物成務], and Myeongmuldosu[名物度數]. The comparison of the trend in Iyonghusaeng[利用厚生] and Silsagusi[實事求是] was caused by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which Gyeongsechiyong[經世致用], Iyonghusaeng[利用厚生], Silsagusi[實事求是] were often discussed as a school of Silhak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omparison of the trend in Iyonghusaeng[利用厚生] and Gaemulseongmu[開物成務], and in Iyonghusaeng[利用厚生] and Myeongmuldosu[名物度數] was because some cases were found that Gaemulseongmu[開物成務] and Myeongmuldosu[名物度數] were closely related to Iyonghusaeng[利用厚生]. As a result, we could hardly find any closeness to or correlation with Iyonghusaeng[利用厚生] of Silsagusi[實事求是], and the case of reading a close correlation with Gaemulseongmu[開物成務] and Iyonghusaeng[利用厚生] was confirmed. The trend pattern of Myeongmuldosu[名物度數]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Iyonghusaeng[利用厚生], but there were insufficient cases to read the correlation with Iyonghusaeng[利用厚生] compared to Gaemulseongmu[開物成務].

      • KCI등재

        조선후기 관서 유학사 시론

        노관범 ( Noh Kwan Bum ) 한국사상사학회 2020 韓國思想史學 Vol.0 No.66

        이 글은 조선후기 관서 유학사를 읽는 관점을 시론적으로 검토했다. 첫째, 관서 유학사의 주요 인물 계보를 기록한 글들을 검토해 그 각각의 글에서 소개된 관서 유학자를 계보적으로 인식하고 각 계보의 같고 다름을 서로 비교해서 당대의 서로 다른 관서 유학사 인식을 드러냈다. 둘째, 관서 유학자를 기리는 영예로운 칭호 ‘관서부자’가 관서 유학자와 연결되는 양상을 검토해 관서 유학사에서 ‘관서부자’ 현상이 관서 내부의 전통의 형성인 동시에 관서 외부의 시선의 부과라는 이중적인 성격이 있음을 독해하고 관서 유학사의 흐름이 주요 ‘관서부자’의 출현에 의해 특정한 국면별로 이해될 수 있음을 제안했다. 첫째 논점과 관련하여 주목할 점은 관서 내부이든 관서 외부이든 관서 유학사의 주요 인물로 선우협과 황순승을 공유하는 가운데 이시항, 백경해, 박은식 등 관서 내부인의 글은 선우협 이전 단계 관서 유학의 다양한 지역 전통을 중시하고 선우협 이후 단계에서 관서 유학의 중심 지역으로 청북의 영변을 중시하는 반면, 심기택, 장지연 등 관서 외부인의 글은 선우협을 관서 유학의 출발점으로 간주하고 선우협 이후의 관서 유학 전통을 청남의 평양에서 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관서 유학사 인식에서 세부적으로 청남과 청북, 평양과 지방의 요인이 개입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둘째 논점과 관련하여 주목할 점은 본래 관서부자는 중국에서 주변부 지역의 유학자를 찬미하는 칭호였고 이러한 개념을 적용해 조선에서도 해동공자의 의미로 사용되었기에 관서 유학자와는 무관한 칭호였는데, 관서 유학사의 특정한 역사적 조건 하에서 관서부자와 관서 유학자가 결합하여 관서 지방에서 관서부자가 배출되었다는 사실이다. 조호익(16세기), 선우협(17세기), 강규(18세기), 박문일(19세기) 등은 관서 유학사에서 관서부자의 칭호를 얻은 주요 관서 유학자로서 향후 문제적인 관서 유학자와 그의 시대라는 관점에서 관서 유학사 연구가 심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local Confucian tradition in Pyeong An province in the late Joseon Korea. Pyeong An province, generally regarded as one of the less civilized regions in Korean Confucianism, was actually beginning to give birth to the specific local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gradual growth of its local Confucianism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 there can be found not a few historical sources which include the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Coufucianism in the Pyeong An province. Different Confucian scholars connected to each other were displayed in the specific viewpoint of the linage of those scholars. Yi Sihang(李時恒), Baik Gyeonghai(白慶楷), Pak Eunsik(朴殷植) made much of the diverse local tradition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Yeongbyeon(寧邊) scholars in the northern part of that province. On the contrary, Sim Gitaik(沈琦澤), Jang Jiyeon(張志淵) gave special attention to the Pyeongyang(平壤) Confucian scholars in the Southern part of that province. That was caused by the difference of views between insiders and outsiders of that province. Second, it was the notable phenomenon that the title of Guanxifuzi (關西夫子) came into being within the local tradition in the Pyeong An province. Guanxifuzi, originally meaning “Confucius in the Guanxi, the periphery region of China” in relation with the Chinese intellectual Yang Zhen in the Han dynasty, could be connected to the Korean Confucian scholars in the Korean Guanxi, Pyeong An province since Jo Hoik received that honorable title form the King Seonjo. Jo Hoik(曺好益, 16th century), Seonu Hyeop(鮮于浹, 17th century), Gang Gyu(康逵, 18th century), Bak Munil(朴文一1, 19th century), all of them were the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s to have the title, the Confucius in the Korean Guanxi, Pyeong An province.

      • KCI등재

        연원록에서 사상사로 -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과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를 읽는 방법 -

        노관범 ( Noh Kwan Bum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6

        이 글은 한국유학사 문헌의 통시적인 흐름을 거시적으로 `연원록`에서 `사상사`로의 변화로 독해하고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과 현상윤의 『조선유학사』가 연원록으로서의 유학사를 넘어 사상사로서의 유학사를 성취한 정도를 고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의 유학사 문헌은 주희의 『이락연원록』의 영향을 받아 `연원록`의 형식을 취하였다. 연원록으로서의 유학사란 유학 도통의 전승에 관한 인물 계보 지식을 전달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연원록의 형식으로 이어졌던 유학사 편찬 전통은 근대 초기에 들어와 신문과 잡지의 미디어 공간과 만나면서 변화의 계기를 맞이하였다. 국망 전후 조선 유학에 대한 역사적 성찰이 팽배해지면서 성현 도통의 관념에서 벗어나 자국 유학사를 회고하는 새로운 역사관이 성장하였다. 국망 후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은 연원록의 형식으로 유학자의 언행을 서술했다는 점에서는 연원록을 벗어나지 않았지만 구성적으로는 조선 유교 쇠망사라는 거대한 역사 서사를 창안하는 데 성공하였다. 조선 전기 유학사에 대해서는 정몽주로부터 이황까지 조선 성리학의 도통을 헤아리는 도학사적 관심을 유지하되 조선 후기 유학사에 대해서는 쇠망사의 서사에 어울리게 유학자 편성 단위가 다양해졌다. 반면 해방 후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는 연원록의 형식에서 완전히 벗어나 민족국가 건설기의 정서로 조선 유교 운동사라는 새로운 역사서사를 창안하였다. 유학자와 유학자의 사승 관계에 따라 연결되는 연원의 흐름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유학자의 실천과 운동에 따라 형성되는 사상의 흐름을 보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조선유교연원」이 붙들었던 조선 성리학의 도통관을 완전히 청산하여 시대의 변화에 따른 조선 유학 읽기를 추구하였다. 『조선유학사』는 사상사로서의 유학사를 분명히 선언하였고 실제 내용에서도 사상사로의 유학사를 창출하였다. 이는 한국유학사 분야에서 사상사의 출현이라 이를만한 학술적 사건이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Jang Jiyeon(張志淵)`s Joseon-YukyoYeonweon(朝鮮儒敎淵源) and Hyeon Sangyun(玄相允)`s JoseonYuhaksa(朝鮮儒學史). The main focus is laid on the long-term change in the historiography of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namely “from hagiography of Confucians to history of ideas”. Through this framework these two books were examined as the exemplary literature to show the first appearance of “history of ideas” in modern times from the long tradition of “hagiography of Confucians” in premodern Joseon dynasty. The tradition of “hagiography of Confucians” originated from Chinese Neo-Confucian thinker Chuxi`s IrakYeonweonrok[伊洛淵源錄] had exerted a strong and widespread influence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remodern Korean historiography of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KukjoYuseonrok[國朝儒先錄], Dodongrok[道東錄], DongyuSaurok[東儒師友錄], DohakWeonryuChaneon[道學源流纂言], PaedongYeonweonrok[浿東淵源錄] were all descendants from IrakYeonweonrok[伊洛淵源錄] in this tradition. Not until the downfall and eclipse of Joseon dynasty new kind of historiography came to academic circle with growing awareness of ending of Confucian tradition and beginning of modern era. Jang Jiyeon(張志淵)`s JoseonYukyoYeonweon(朝鮮儒敎淵源) was the first of this kind narrating the decline and fall of Korean Confucianism. It was actually approaching history of ideas still within the traditional form of hagiography of Confucians. Further, Hyeon Sangyun(玄相允)`s JoseonYuhaksa(朝鮮儒學史) invented new historiography by narrating the historical movement of Korean Confucianism. It concentrated on the flow of ideas of Korean Confucians as subjects of historical practice and tried to penetrate into the natural self-development of Korean Confucianism itself in it. In this point it may well be considered as a pathfinder to new kind of academic achievement in modern Korea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