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冶隱 吉再에 對한 歷代 讚詠詩 檢討(Ⅰ)

        남재철(Nam Jae cheol,南在澈)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2 No.-

        본고는 15세기 前期 太宗朝 朝野 諸賢의 吉再 讚詠詩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朝鮮朝 역대 제현의 吉再에 대한 讚詠詩 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太宗朝 조야 제현의 吉再 讚詠詩 창작은 경상도관찰사 南在의 주도 하에 이루어졌다. 즉 南在가 吉再의 臣節과 孝行을 칭송하는 讚詠詩 몇 수를 짓고, 權近 등을 비롯한 조야의 제현이 이에 화답하여 詩卷을 완성하게 된다. 현재 남아 있는 자료를 통해 살펴볼 때, 이 詩卷에는 南在, 權近을 위시한 30분가량의 작가들이 참여하여 총 53수의 讚詠詩를 남겨놓고 있다. 太宗朝에 이르러 南在, 權近 등이 앞장서고 조야 제현이 뒤를 이어 吉再 讚詠詩 창작에 나섰던 것은 일면 정치적 의도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 태종이 吉再에 대해 우호적 태도를 취하고 權近 등에 의해 吉再에 대한 국가 차원의 포상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면서도, 명분의 부족으로 인해 국가적 포상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에서, 吉再에 대한 국가 차원의 포상을 이끌어 내기 위한 효과적 輿論 형성의 수단으로 吉再 讚詠詩 창작이 이루어졌던 것이다. This essay is to study on some panegyrical poems about Gil Jae created by men of distinction of many generations living in Joseon Dynasty era, focusing on some panegyrical poems about Gil Jae made by men of distinction both in and out of government in Taejong Era, the early 15th century. Some panegyrical poems about Gil Jae was written by men of distinction both in and out of government with the lead of Nam Jae, the governor of Gyeongsang Provinces in Taejong Era. In the process, Nam Jae made some works which eulogize the loyalty to his king and the filial piety towards his parents and then men of distinction both in and out of government including Kwon Geun finished the collection of poem following the creation of Nam Jae. Looking over the existing materials, I found that about 30 poets including Nam Jae and Kwon Geun participated in the creating the collection of poem and 53 panegyrical poems about Gil Jae remain today. It may be the result of political intention to men of distinction both in and out of government including Kwon Geun finished the collection of poem following the creation of Nam Jae. In that period, the king Taejong could not give Gil Jae the national accolade although the king had the amicable attitude toward Gil Jae and some people including Kwon Geun profound the need of national accolade. Some panegyrical poems about Gil Jae was created to make public opinion effectively with the intention to make Gil Jae national accolade.

      • KCI등재

        야은(冶隱) 길재(吉再)에 대(對)한 력대(歷代) 찬영시(讚詠詩) 검토(檢討)(Ⅲ) -숙종(肅宗) 어제시(御製詩) 및 갱진(?進)·차운시(次韻詩) 중심(中心)으로-

        남재철 ( Nam Jae-cheol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5 No.-

        본고는 15세기 전기 태종조 조야 제현의 야은 찬영시 및 15세기 후기에서 17세기 전기 사이 야은 유적지 방문 사림들의 야은 찬영시에 대한 검토에 이어, 국왕의 입장에서 야은의 충절이 크게 추숭되었던 17세기 말엽 이후의 야은 찬영시의 양상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국왕의 주도 하에 이루어진 야은 찬영시 창작은 18세기 초기 숙종에 의해 시작되었다는 점을 밝히면서, 먼저 숙종 어제 야은 찬영시의 존재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 숙종 어제시에 대한 당대 신하들의 갱진시 및 후대에 산출된 차운시의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야은의 절의가, 야은 생전의 양촌의 기록 및 야은 사후 국가적 추숭의 결과물인 『삼강행실도』의 내용에서는 주로 백이·숙제와 같은 불사이군의 충절의 측면에서 강조되어 왔는데, 숙종의 어제시에서는 공명에 아무런 욕심이 없는 엄광과도 같은 은사의 청아한 풍도의 측면에서 강조되고 있다. 국왕의 입장에서 야은의 청아한 은사로서의 절의를 새롭게 부각시켜 칭송함으로써, 벼슬에서 밀려나 은거하고 있거나 은거할게 될지도 모르는 당대 사대부들의 삶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의미를 적극 부여해줌으로써 그들의 충성심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숙종의 어제시에 대해 명곡과 동강은 갱진시를 통해서 자신들을 비롯한 당대 및 후대의 모든 사대부들이 태종·세종·숙종 등의 임금이 야은의 은사로서의 맑은 절의를 포상해준 사실을 듣고서 은사로서의 절의를 절로 흥기하게 될 것이라고 화답하고 있다. 후대에는 순조와 역천, 사미헌과 한주가 숙종 어제시에 차운시로 화답하였다. 숙종·순조, 명곡·동강은 야은의 은사로서의 측면에 주목하고 있는데, 역천·사미헌·한주는 야은의 백이·숙제에 비견되는 불사이군의 충신으로서의 측면에 다시 주목하고 있다. 숙종·순조, 명곡·동강은 국왕 또는 조정의 관료이지만, 역천·사미헌·한주는 재야의 학자라는 점이 이러한 차이를 가져온 것으로 추정이 된다. This essay is to study on some panegyrical poems about Yaeun Gil Jae created by other persons from the late 17th century when the loyalty of Yaeun Gil Jae was eulogized by the lead of a sovereign ruler. At first I examined the aspect and meaning of panegyrical poems made by King Sukjong in 1707, the early of 18th century. In the earlier records of Joseon Dynasty in the 15th century, the fidelity of Gil Jae was emphasized in the aspect of Baeki and Sukje, the loyal brothers of Chinese lore, refusing to serve two dynasties. On the other hands, in the panegyrical poems by King Sukjong, the integrity spirit of Gil Jae was emphasized in the aspect of elegant attitude of a recluse, Eomgwang who was a representative recluse in Chinese history and was disinterested in a successful career. And then I studied the aspect and meaning of panegyrical poems made by high-ranking official, Myeonggok Choe Seokjjeong and Donggang Cho Sangwoo who composed a verse in response to Sukjong`s poems following the rhymes of Sukjong in the same generation and the responding poetry which was created by King Sunjo, Yeokcheon Song Myeongheum, Samyhun Jang Bokchu and Hanju Lee Jinsang in the later generations. They pledged themselves to practice the integrity spirit of recluse influenced by the fact that some kings including Sukjong eulogized Yaeun Gil Jae.

      • KCI등재

        韓國漢詩(한국한시)에 나타난 薩水大捷(살수대첩)과 乙支文德(을지문덕)

        남재철 ( Jae Cheol Nam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4 No.-

        본 논문은 살수대첩과 을지문덕의 교훈으로 인해 중국 측이 수나라 이후 명나라 때까지도 고구려 및 고구려의 계승자인 우리 민족을 군사적인 잠재력을 지닌 무시할 수 없는 강성한 나라로 인식하여 왔다는 점, 아울러 우리 민족도 살수대첩의 영도자 을지문덕을 민족적 자부심의 원천, 그리움의 대상, 영원한 귀감으로 인식하여 왔다는 점을 되새기면서, 한국한시에 나타난 살수대첩과 을지문덕의 양상과 의미를 원명 교체기의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조선왕조 창업이 한창이던 여말선초와 임병양란 이후 민족적 존립의 위기 상황 속에서 국력을 회복해가던 조선 후기로 대별하여 살펴본 것이다. 여말선초에 원명 교체기의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조선왕조 창업에 참여한 權近, 趙浚 등이나, 조선 후기에 임병양란으로 인한 민족적 존립의 위기 상황 속에서 국력을 회복해가던 시기에 활동한 吳光運, 李匡師, 李令翊과 같은 시 인들은 모두 살수대첩과 을지문덕을 시화한 작품을 통해서 우리 민족에게는 살수대첩과 을지문덕의 공적을 되새김으로써 민족적 자부심을 불러일으켜 민족 발전의 자양분으로 삼고자 하였고, 국적을 초월하여 권력자들에게는 무력을 남용하여 망국을 초래한 수나라 양제를 반면교사로 삼아 인의의 도에 기반을 둔 평화로운 세상을 추구하도록 촉구하였다. This essay presupposes the fact that China has regarded our people as the powerful nation which was a successor of the Goguryeo Dynasty and had military potential from the Su Dynasty to the Myeong Dynasty because of the Great Victory at Salsu and General Uljimundeog. And it presupposes the fact that our people has thought Uljimundeog as the origin of national pride, the object of longing and the eternal role model by the war and the general of the leader in the war. Therefore in the essay, I inspected the aspect and meaning of General Uljimundeog and The Great Victory at Salsu both in ‘the closing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beginning period of the Joseon Dynasty’(麗末鮮初) and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some poets named Gwon Geun, Jo Jun in the closing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beginning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hen the Won Dynasty had been changed into the Myeong Dynasty in China. And there were some poets, O Gwangun, Lee Gwangsa and Lee Yeongik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when the national power was being recover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in 1636. The poets were trying to provoke national pride by expressing and symbolizing General Uljimundeog and The Great Victory at Salsu in their poetry. And they tried to make politicians persue the peaceful nation by showing them YangJae, a tyrant in the Su Dynasty as an anti hero who had spoiled his nation by abusing military force to defeat the Goguryeo Dynasty and General Uljimundeog.

      • KCI등재

        살수대첩(薩水大捷)에서의 칠불전설(七佛傳說)과 조선조(朝鮮朝) 한시(漢詩)에의 수용(受容) 양상(樣相)

        남재철 ( Jae Cheol Nam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4 No.-

        이 논문은 살수대첩과 관련한 칠불전설의 면모와 조선조 한시에서의 칠불전설의 시화 양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칠불전설의 자세한 내막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을 통해 문헌에 최초로 나타나는데, 이는 諺傳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삼국사기』에 기록된 살수대첩의 전황과는 다른 이야기이다. 칠불전설은 언전이 아닌 鐘銘의 기록을 통해서도 전승되고 있는데, 이종명의 기록들 역시도 전설의 유전 과정 속에서 만들어진 것으로서, 역사적 사료로서의 성격을 지니는 것은 아니다. 칠불전설의 편린이 한시에 수용된 것은 김시습의 「七翁仲」에서가 최초이다. 임병양란 이전의 시인들은 칠불사 및 칠불 고사를, 안주 지역의 고적이나 역사에 대한 회고의 정을 환기시키는 소재의 하나로 수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임병양란이라는 국가적인 위기 상황에 이르게 되면서, 많은 시인들이 칠불전설을 통해 고구려의 역사를 회고하며 은연중에 고토 회복의 의지를 드러내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어느 순간 칠불사는 을지문덕과 같은 위대한 장수가 다시 한 번 출현하기를 기원하는 민족사의 성지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This essay is focused on the Legend of Seven Buddhas relating to the Sweeping Victory of Salsu(薩水) and on the aspect of expression in the chinese poetry of Choson Dynasty. The detail of the legend found in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has been made by oral transmiss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cord of the Sweeping Victory of Salsu depicted in Samguksaki(三國史記). Although the legend of Seven Buddhas has been transmitted by the record engraved on bell, the record made in the transmission of legend cannot have the meaning of historical material. The part of the legend to be received in chinese poetry of Choson Dynasty has been accepted in the Chilongjung(七翁仲) written by Kim, Siseunp for the first time. Most of poets who lived before Imjinowearan(壬辰倭亂) and Byeongjahoran(丙子胡亂) regarded the Seven Buddhas` Temple and the Legend of Seven Buddhas as the historical site in Anju(安州) region and poetic material that reminds the historical event. However many poets who suffered the great two wars, the national crisis expressed their volition to restore their lost land by means of the legend relating it to the history of Goguryeo(高句麗). Through that course, Seven Buddhas` Temple has been transformed as the national and sacred place where people want national hero as Eulgimundeok(乙支文德) to be born.

      • KCI등재

        한문학을 통해 되돌아보는 삼한통일(三韓統一)의 역사(Ⅱ) : 조선 시대 한시에 나타난 신라의 삼한통일을 중심으로

        남재철 ( Nam Jae-cheol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4

        이 글은 조선 시대 한시에 나타난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의 삼한통일에 대한 인식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삼한통일의 주체가 고려 시대에는 대부분 태조 왕건으로 한정되어 나타났는데, 조선 시대에는 신라의 태종 무열왕, 김유신, 문무왕 등으로 확대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는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 이루어진 신라에 대한 재조명 작업과 관련되어 있다. 조선조 지식인들이 신라의 업적 중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것은 단연 삼한통일이었다. 조선조 지식인들은 태종 무열왕이나 문무왕이 김유신과 같은 훌륭한 인재를 등용하여 군신 간에 화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삼한통일의 대업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고 보았다. 그리고 삼한통일의 진정한 영웅, 신라 시대 최고의 인물은 단연 김유신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김유신은 삼한통일의 업적으로 인해 민간전승의 설화 속 주인공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유자 지식인들에게도 영검한 신앙의 대상으로까지 숭앙을 받았다. 김유신의 삼한통일은 민족사 오천 년의 제일이자 우리 민족과 중국의 역사를 통틀어서도 미증유의 업적으로 인정을 받았다. 정리하자면 조선조 지식인들이 보기에 태종 무열왕이나 문무왕이 훌륭한 인재를 등용하여 군신 간의 화합을 통해 삼한통일의 대업을 이룰 수 있었고, 그러한 인재 중에서도 최고의 인물은 다름 아닌 민족의 영웅 김유신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조선조 지식인들의 인식에는 실상 자신들이 활동하던 시대에도 태종 무열왕이나 문무왕과 같은 임금이 나와서 김유신과 같은 인재를 등용하여 군신 간에 화합을 통해 태평성대를 구가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반영되어 있다. This essay is to inspect the conception aspect of the intellectuals in Joseon dynasty about the unification of three Hans by Shilla dynasty. The prime mover of the unification has been considered as only King Taejo Wang Geon in Goryeo dynasty, but the mover has been considered as not only King Taejo Wang Geon of Goryeo but also King Taejong Muyeol, General Kim Yusin and King Munmu of Shilla dynasty in Joseon dynasty. That is related with the revaluation of Shilla dynasty made in Joseon dynasty. It was the unification that the intellectuals in Joseon considered as the best achievement of Shilla. They thought that King Taejong Muyeol and King Munmu had picked up the great person like Kim Yusin so the three persons could made the cooperation by sovereign and subject and unified three Hans. Therefore they thought that the true hero of unification and the best man in Shill is Kim Yusin. Kim Yusin has become the main character of folklore legend by the achievement of unification, furthermore trusted as the object of holy religious belief even by Confucian intellectuals. The unification by Kim Yusin has been accepted as the unprecedented achievement in our and Chinese five thousand history. In conclusion, Joseon intellectuals thought that King Taejong Muyeol and King Munmu had picked up the great person and through the cooperation by sovereign and subject, the three persons could unified three Hans. The best man of great persons and subjects is none other than Kim Yusin. And the intellectuals hoped that magnificent king such as King Taejong Muyeol and King Munmu showed up and the king picked up the great persons like Kim Yusin to make the peaceful period through the cooperation by sovereign and subject in Joseon dynasty when they lived.

      • KCI등재
      • KCI등재

        신라옥적(新羅玉笛) 고증(考證)

        남재철 ( Jae Cheol Nam ) 東方漢文學會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7

        본 논문은 한·중의 옛 문헌과 한국의 한시 작품 속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신라의 `玉笛`과 관련된 몇 가지 사실들을 고증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신라 때에 만들어졌다는 `萬波息笛`과 `玉笛`은 예나 지금이나 동일한 물건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지만, 문헌 기록을 통해 고증해보면 두 물건은 별개의 물건임이 확인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물건을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은 俗說을 통해서 `萬波息笛` 이야기가 `玉笛` 이야기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원래 `玉笛`은 `玉`을 재료로 천연적인 대나무 모습을 그대로 모사하여 만든 것인데, 길이는 한 자 아홉 치이다. 원래는 伽倻에서 만들어진 것이 新羅로 전해졌을 가능성이 큰 악기이다. 구멍 수는 문헌에 6개 혹은 7개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는데, 아마도 指孔 6개에 吹孔 1개가 뚫려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玉笛`은 원래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경주에 보관되어 오다가, 1552년에 화재로 인해 불에 타서 심하게 훼손되었다. 그런데 일반적인 기록에는 임진왜란 때에 왜인들이 훼손하였다는 식으로 소개하여 하나의 정설로 굳어져버린 것으로 이해된다. 화재로 인해 훼손된 부분은 어느 시점에선가 쇠를 이용해 보완하여 원래의 모습대로 수리되었다고 한다. 속설에서 `玉笛`은 오로지 한 사람만 불 수 있고 원래의 연주자가 죽은 뒤에야 새로운 연주자가 나온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玉笛`의 물리적 구조가 소리를 내기에 워낙 까다롭게 되어 있어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玉笛`이 鳥嶺을 넘어가게 되면 더 이상 소리를 내지 않는다는 다소 신이한 이야기도 있는데, 이는 연산군이 경주의 `玉笛`을 징수하여 서울로 옮겨 보관하게 하려 했던 사건과 연관하여, 경주의 악공들이 `玉笛`을 뺏기지 않으려고 의도적으로 만들어낸 이야기가 세인의 입에 오르내리며 하나의 속설로 굳어졌다고 여겨진다. This essay is to demonstrate historically some facts relating to `the jade flute(玉笛)` of `Silla(新羅)` in many old Korean poems. `Manpasikjeok(萬波息笛)` and `jade flute` which were made in Silla Dynasty are sometimes regarded as the same thing, but we can check two thing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looking through old documents. The original `jade flute` were made in jade imitating the shape of natural bamboo. It was 57.58cm long. It must have been brought from `Gaya(伽倻)`. It can be conjectured that it had six finger hole and a mouth hole. It was damaged by fire in 1552. The theory that Japanese damaged it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an be misunderstood. It was restored with iron almost perfectly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re has been mysterious legend that only a man can play the jade flute and only after the old player die, the new jade flute player can show up. The legend may be made by the structure of the jade flute which the only proficient mater from his childhood can play. There is a strange story that the jade flute doesn`t make any sound when it passes `Jo-Ryeong(鳥嶺)`. However it was manipulated by some special reason.

      • KCI등재
      • KCI등재

        자유주제 : 隋代(수대)의 文學(문학) 作品(작품) 속에 보이는 高句麗(고구려) -?무향료동랑사가(無向遼東浪死歌)?를 중심으로-

        남재철 ( Jae-cheol Nam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2

        본 논문은 遼東에서의 麗隋 戰爭과 관련하여 隋나라의 농민 叛軍 지도자 王薄이 지은 「無向遼東浪死歌」라는 작품을 발굴하여 새롭게 소개하며 그 구체적 양상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2장에서는 「無向遼東浪死歌」의 작자와 창작 배경이 北宋시대 사마광의 『資治通鑑』 이래로 한·중의 역사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전승되어왔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중 역대 문헌 속에 기록되어 있는 「無向遼東向遼東浪死歌」 관련 내용들을 전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어 3장에서는 王薄이 지은 「無向遼東浪死歌」의 실제 작품 내용이 南宋 시대 초반의 『類說』과 明末·淸初의『隋史遺文』 등의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양상을 정리하며 작품의 구체적 양상과 의미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無向遼東浪死歌」에는 수나라 백성들의 고구려에 대한 극도의 공포감이 잘 반영되어 있다. 또한 고구려에 대한 공포감에 휩싸인 백성들을 적극 선동하여 자신들의 세력으로 포섭하고자 하였던 수나라 농민 반군 지도자의 정치적 계략이 잘 나타나 있다. 그러므로 요동에서의 여수 전쟁의 문학적 반영 양상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해서는 고구려에서 산출된 「遺于仲文」, 수나라 핵심적 지배 계층에 의해 산출된 「紀遼東二首」, 수나라 피지배 계층에 의해 산출된 「挽舟者歌」 뿐만 아니라, 수나라의 지배 체제를 전복하려던 농민 반군 지도자에 의해 산출된 「無向遼東浪死歌」 또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가치가 있다고 본다. This essay is to discover,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poem, Muhyangryo dongrangsaga(「無向遼東浪死歌」) made by Wang Bak. He was a peasant rebel leader of Sui Dynasty and made the work against Ryeo-Sui War, the war between Goguryeo and Sui Dynasty happened in Ryodong Penninsula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He persuaded Sui people not to be dragged to Ryodong Penninsula as a soldier and die through the poem. In chapter Ⅱ, I tried to explain how the author and creation background of Muhyangryodongrangsaga has been transmitted in Korean and Chinese history since Jachitonggam(『資治通鑑』) was made by Samagwang in North Song period. For the study, I inspected the materials related to Muhyangryodongrangsaga written in a variety of books of all times in Korea and China. In chapter Ⅲ, I established how the actual contents of Muhyangryodongrangsaga had been expressed in books such as Ryusul(『類說』) in South Song period and Susayumun(『隋史遺文』) in the period from the late Ming Dynasty to the early Qing Dynasty. Through this study, I analysed the concrete aspect and meaning of the work. In Muhyangryodongrangsaga, the extreme fear of Sui people toward Goguryeo is reflected very well. And political strategy of a peasant rebel leader who was trying to persuade the people to make them his side is expressed clearly. Therefore not only Yuwoojungmun(「遺于仲文」) of Uljimunduk, a Goguryeo general, Giryodongisu(「紀遼東二首」) made by the important governing class of Sui Dynasty and Manjujaga(「挽舟者歌」) by the common people of Sui Dynasty but also Muhyangryodongrangsaga, made by a peasant rebel leader to overthrow the governing system of Sui Dynasty have the worth to be used as a valuable source for the profound analys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