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단열갱폼이 동절기 보양난방비에 미치는 영향

        남경용 ( Nam Kyung-yong ),김성덕 ( Kim Seong-deok ),최석 ( Choi Suk ),이영도 ( Lee Young-do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9 No.1

        This study is a mock-up experiment prior to field application of insulated gang form. In order to investigate concrete Heating cost in winter, pre-comparison was made before application.

      • 2 Simple Planetary Gears 방식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의 성능해석

        남경표(K.P.Nam),고대경(D.K.Ko),이승종(S.J.Yi) 한국자동차공학회 1997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7 No.6_1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2 simple planetary gears type automatic transmission has been carried ou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verall system including engine, torque converter, clutch, planetary gears, shift transient characteristics and road load. The equations of motion are derived from the dynamic model. An integrated computer simulat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to analyze the powertrain performance of the vehicle with the 2 simple planetary gears type automatic transmission.<br/>

      • 다발형 써모사이폰을 적용한 APR1400 격납건물 피동냉각계통 개념설계

        남경호(Gyeong-Ho Nam),박준석(Jun-Seok Park),김상녕(Sang-Nyung Kim)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As we can see in the case of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the integrity of containmen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a nuclear power plant. Because of this, various concepts, such as the Passive Containment Cooling System(PCCS), are in the process of research to ensure the integrity of the containment. In this study, the PCCS was designed in the form of a assembly where several Two-Phase Closed Thermosyphons(TPCT) comes together to form one adiabatic region by grafting TPCT, to minimize the number of penetrations on the top of the dome of the containment as well as to remove the decay hea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cted heat transfer phenomena and to confirm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ing heat transfer coefficient when applying the TPCT assembly of Multi-Pod Heat Pipe(MPHP) to the APR1400.

      •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WLAN에서의 Fast Handoff를 위한 선택적 스캐닝기법

        남경식(KyungSic Nam),송주석(JooSeok Song)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WLAN의 사용에 있어서 끊임없는 연결성을 보장해주는 것은 Quality-of-Service(QoS)를 요청하는 응용프로그램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WLAN은 핸드오프를 진행하는 동안 긴 지연시간을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WLAN의 핸드오프의 절차중에서 Access Point(AP)를 차는 시간을 줄여 성능을 향상 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고 있는 시스템 구조는 추가적인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현재 네트워크의 상태정보를 다른 노드에게서 받아와서 지연시간을 단축시키는 구조이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실험결과는 핸드오프 지연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사유주체의 주이상스와 정신분석 상담의 한계

        남경아 ( Nam¸ Kyung-ah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4 가톨릭철학 Vol.0 No.22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정신분석학은 그 고유한 방식의 상담을 통해 신경증 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그는 신경증의 원인을 언어에 고착된 주체의 의식에서 찾는다. 그리고 사유주체가 사유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정함으로써 신경증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는 증상을 가진 주체가 또 다른 차원의 증상을 다시 경험한다는 점 다시 말해 신경증이 완치될 수 없다는 점에서 라캉의 정신분석 상담이 한계를 가진다고 본다. 그리고 필자는 그 이유를 주체 사유의 분열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라캉이 해명한 주체 분열의 구조는 한편에서는 기표에 대한 집착의 무용성을 역설해주지만, 증상의 재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을 시사하고 있기도 하다. 상실되고 있는 것에 주목한다면 분열되고 있는 사유는 무용한 것임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기표를 결코 떠날 수 없는 “말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에게 있어 실재를 경험할 수 있는 유일한 순간은 분열의 순간뿐이다. 따라서 인간은 상실을 감내하고서라도 분열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운명 속에 있는 존재이다. 이는 라캉이 말하는 주이상스의 구조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필자는 주체의 분열을 상담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대상으로 간주할 수 없다고 본다. 더불어 분열하는 주체, 곧 증상을 가진 주체를 ‘주체성을 회복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는 것에도 반대한다. 오히려 주체는 분열할 수밖에 없는 구조 안에서 언어 바깥에 위치한 모종의 차원을 경험하기 위해서 무의식적으로 분열을 선택한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주체가 행한 일종의 ‘주체적인 결단’으로 보아야 마땅할 것이다. The psychoanalysis of Jacques Lacan expects that it can cure a neurotic patient by the psychoanalytic counseling. Lacan seeks a cause of the neurosi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stalled the language. In addition, he says that the split subject can be relieved from the neurosis by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thinking with subjectivity. However, I think the psychoanalysis of Lacan has a limitation because the subject who has a symptom suffers from the other symptoms again; the neurosis can never be completely cured. Moreover, I think that the cause of it can be found in the thought of the split subject. The structure of split subject explained by Lacan stresses uselessness of obsession over the signifier, meanwhile it also suggests why the symptom reoccurs again. The split thoughts of subject must be useless if we pay attention to something being lost, but we, human beings as the ‘speaking beings’ can only experience the realm of the “Real” when we face the moment of split. Thus human being have no option but to choose the way of split although he has to endure the alienation: this is the same to the structure of jouissance. In this sense, I think that we can not regard the split subject as a subject who has a symptom which can be overcome by counseling. In addition, I gainsay that the psychoanalysis regards a subject who suffers from a symptom as an object who has to recover his subjectivity. Rather, the subject unconsciously chooses the way of split to experience a certain dimension which is located the outside of language; it is appropriate for us to regard this as a kind of autonomous decision.

      • KCI등재후보

        성인의 분노표현 방식과 뇌졸중 위험 요인

        남경아 ( Kyoung A Na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성인의 분노표현 방식과 뇌졸중의 위험 요인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행된 본 연구에서 먼저 대상자의 분노표현 방식은 분노통제 정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분노 억제, 분노표출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분노표현 방식의 정도를 조사한 Park 등(2006)의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일관되게 분노통제, 분노억제, 분노표출 정도의 순이었다. 분노통제는 상황에적절하고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도록 분노반응을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Kim & Chon, 1997)을 말하므로 분노통제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대상자들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방향으로 응답했을 가능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노표현 방식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이 40세 이하인 경우가 41-50세인 경우에 비해 분노억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연령과 분노표현방식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Angerer 등(2000)의 결과에서 연령과 분노억제 간에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분노표현 방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남자의 경우 분노표출 정도와 분노통제 정도가 여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난 Lee 등(2006)의 결과와는 일관되지 않는다. 성별이나 연령등과 같은 인구학적 특성과 분노표현 방식의 관련성은 기존의 연구들과 일관적이지 않은 결과들이 나타났는데, 이는 분노표현 방식이 사회적인 행동이기 때문에 인구학적 특성보다는 사회문화적 특성들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정은 대학졸업 이상인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분노통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나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이 대학졸업 이상인 Thomas, Nelesen와 Dimsdale (2004)의 연구에서는 분노통제 정도가 가장 높았으나, 교육 연한이 14년 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인 Bitton, McGarvey와 Viali (2006)의 연구에서는 분노통제 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 등에 근거하여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뇌졸중의 위험 요인과 분노표현 방식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알코올을 섭취하는 경우 분노억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 남성 건강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Mona 등(2003)의 연구에서 알코올 섭취가 높은 경우 분노표출 정도가 높은 결과와는 일관되지 않는다. Mona 등(2003)의 연구에서는 분노표출만을 조사하여 분노억제, 분노표출, 분노통제를 모두 조사한 본 연구와의 결과와는 직접 비교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분노행동이 알코올 중독 행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Kwon & Seong, 2006; Song, 2005)을 볼 때 알코올 섭취와 분노표현방식과의 관계가 규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뇌졸중 환자의 경우 알코올 음주력이 일반집단에 비해 높다고 보고한 Cheong 등(2001)의 연구나 Bu, Ko, Jung, &Park (2001)이 여성 음주자에게 뇌졸중 발생률이 높다고 보고한 결과를 고려할 때 알코올 섭취와 분노표현 방식, 뇌졸중의 위험 간의 관계에 대한 좀 더 정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분노표출 정도가 높은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면, 여가시간이 7시간 이상인 경우가 3시간 이하인 경우에 비해 분노표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경우, 체질량지수가 23 이상인 경우, 복부둘레가 위험기준 이상인 경우, 이완기 혈압이 85 mmHg 이하인 경우에 분노표출 정도가 높았다. 이는 체질량지수와 복부둘레의 위험성을 제외한다면 분노 표출 정도가 높은 경우는 비교적 건강행위를 하는 집단의 특성과 유사하다. 이러한 결과는 체질량지수나 복부둘레 등은 항상 직접적으로 스스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위험 수준이라고 느끼는 대상자 본인이 건강행위를 시도하게 된 경향을 반영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들 대상자들은 문제해결에 대해 비교적 적응적으로 대응하는 건강한 집단일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이들이 분노표출 정도가 높다는 것은 적절한 분노표출이 건강한 대응과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분노표현 방식과 혈압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 이완기 혈압이 85 mmHg 미만인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분노표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노표현 방식에 따른 혈압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국내의 다른 연구들(Lee et al., 2006; Park et al., 2006)의 보고 와는 달리, 외국에서 보고된 최근의 연구들(Bishop, Ngau, & Pek,2008; Hogan & Linden, 2005; Ohira, et al., 2000)에서 분노표출 정도와 혈압 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들과 일관된다. 특히 Bishop, Ngau와 Pek (2008)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부정적인 정서를 표현하는 것이 억압적인 문화적 규범이 있는 사회에서 분노표출은 카타르시스 효과를 가지게 되어 적응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고, 식이장애 환자의 분노표출 정도에 대해 조사한 Miotto, Pollini, Restaneo, Favaretto & Preti (2008)는 식이장애 환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분노를 표현하는 정도가 낮다고 하면서 이러한 양상이 병리와 관련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즉 분노표출이 건강과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분노억제가 뇌졸중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대상자의 뇌졸중 위험 요인의 개수에 따라 구분한 세 집단(2개 이하, 3-4개, 5개 이상) 간에 분노표출과는 상반되는 분노표현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분노억제 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뇌졸중 위험 요인이 5개 이상인 집단이 2개 이하인 집단에 비해 분노억제 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위험 요인에 해당되는 경우의 대부분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일관되게 분노억제 정도가 높은 결과와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다시 말하면 분노억제 정도가 높은 경우 뇌졸중의 발생 위험이 증가될 수 있는 기전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보여진다. 본 연구는 일반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뇌졸중 발생의 위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분노표현 방식의 유형을 탐색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나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진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이 발생되지 않은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뇌졸중의 유형에 따라 분노표현의 양상을 비롯하여 관련요인들의 영향정도가 다를 수 있으나, 그 차이가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분노표현 방식을 조사하고 분노 정도는 조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분노정도와 뇌졸중의 위험요인과의 관계가고려되지 않은 제한점을 갖는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위험요인 중 체중, 허리둘레, 혈압 등을 자가 보고에 의존하였다. 이로 인하여 자료의 정확성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노표현 방식과 같은 가치가 포함된 심리사회적 측정 변인에 대해 응답자들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응답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연구대상자의 반응편중(response bias)이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추후연구를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조사한 뇌졸중의 위험 요인은 개념적인 사용이므로 심혈관계 질환 등의 위험 요인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질환들의 위험 요인과 관련되는 분노표현 방식을 규명하는 추후연구들을 통하여 뇌졸중에 특이한 분노표현 방식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뇌졸중 고위험 대상자를 대상으로 분노표현 방식과 뇌졸중발생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 분노억제와 분노통제보다는 분노표출과 뇌졸중 위험 요인과의 관계가 전반적으로 더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노억제와 분노통제가 유사한 기능을 가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Ohira 등(2000)의 일본인을 대상으로 분노표현 방식의 도구를 요인 분석한 연구에서 분노억제의 항목이 분노통제로 분류된 결과를 고려할 때 서구사회에서 개발된 분노표현 방식 도구가 우리에게 문화적으로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분노표현 방식의 세 유형, 즉 분노통제와 분노억제, 분노표출 간의 균형에 대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노표현 방식 간의 점수 양상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Park 등(2006)의 결과와도 유사하여, 다른 유형의 균형양상을 갖는 집단들의 분노표현 방식과 뇌졸중 위험 증가와의 관계를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As anger may be strongly related to strok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ression style (anger-in, angerout, anger-control) and risk factors for stroke to investigate the possible attribution of anger expression style to stroke incidence. Methods: The cross sectional study design was employed. The 291 participants signed consent forms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anger expression style scales and risk factors for strok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The highest score among anger expression styles of the participants was from anger-control. Participants with higher mean value of angerout were current non-smokers, doing regular exercise, having scores above 23 in Body Mass Index, having scores above 90 cm (male) or 80 cm (female) in abdominal circumference, and having scores below 85 mmHg in diastolic blood pressure. Participants with more than 5 risk factors to stroke had the highest score of anger-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anger expression style was psychological risk factor for stroke. Further studies to differentiate the anger expression style contributing to the risk of stroke are needed with a longitudinal study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