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대장직장암 수술 후의 대장선종의 발생 양상

        나병규 ( Byung Kyu Nah ),김선문 ( Sun Moon Kim ),이엄석 ( Yeum Seok Lee ),양현웅 ( Hyeon Woong Yang ),서승원 ( Seung Weon Seo ),성재규 ( Jae Kyu Sung ),이병석 ( Byung Seok Lee ),정현용 ( Hyun Yong Jeong ) 대한소화기학회 200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4 No.4

        Background/Aims: After colorectal cancer surgery, colonoscopic surveillance should be done for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secondary canc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group with high risk of developing colorectal adenoma after curative surger

      • KCI등재

        쥐의 결장운동에서 Neuropeptide Y의 작용기전

        나병규 ( Byung Kyu Nah ),전원중 ( Won Joong Jeon ),유일영 ( Il Young You ),채희복 ( Hee Bok Chae ),박선미 ( Seon Mee Park ),윤세진 ( Sei Jin Youn ),고병성 ( Byung Sung Ko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2

        목적: Neuropepetide Y (NPY)는 다양한 생리작용이 있으나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흰쥐의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운동에서 NPY의 작용과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상장간맥동맥을 포함하여 분리한 흰쥐 결장에서 NPY를14 pM, 70 pM, 140 pM과 280 pM을 단계적으로 동맥으로 투여하여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내압을 측정하였다. 운동성은 각 농도 별 약물 투여 시 운동지수를 계산하여 %변화로 표시하였다. 약물투여에 의한 억제 실험은 근위부와 원위부에 각각 140 pM의 NPY 투여 때와 비교하였고 먼저 atropine, tetrodotoxin (TTX), propranolol, hexamethonium과 phentolamine 각각을 관류시킨 후 NPY를 같이 투여하면서 운동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NPY(14 pM, 70 pM, 140 pM, 280 pM)를 투여할 때 근위부 결장에서 수축반응은 각각 28.5±28.2%, 48.4± 34.3%, 122.9±97.3%, 68.2±28.1%이었으며, 원위부 결장에서는 각각 44.9±25.9%, 103.8±72.0%, 237.1±131.0%, 93.0± 63.9%로 기저치에 비해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에서 모두 수축반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NPY의 농도가 높을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수축 강도는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원위부에서 근위부보다 수축반응이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NPY(140 pM)에 의해 증가되는 결장운동은 atropine, TTX, propranolol전 처치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었지만, phentolamine과 hexamethonium 전 처치에는 억제되지 않았다. 결론: NPY는 흰쥐 결장운동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이러한 결장 평활근 수축 촉진 작용은 무스카린 수용체를 통한 콜린동작성 신경 또는 베타 아드레날린동작성 신경의 영향 하에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ond/Aims: Neuropepetide Y (NPY)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several gut functions, but the neuronal action of NPY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mechanism of action of NPY on motility in the proximal and distal rat colon. Methods: Rat colon with an intact superior mesenteric artery was isolated. After a basal period, NPY was administered at concentrations of 14 pM, 70 pM, 140 pM, and 280 pM. Intraluminal pressures were monitored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The contractile response was expressed as a percent change of motility indices over the basal level. After a pre-infusion of atropine (AT), tetrodotoxin (TTX), propranolol, hexamethonium, and phentolamine, NPY was infused at a concentration of 140 pM, and pressures were monitored. Results: NPY increased the colonic motility at concentrations of 14, 70, 140, and 280 pM in the proximal colon (28.5±28.2%, 48.4±34.3%, 122.9±97.3%, 68.2±28.1%, respectively) and in the distal colon (44.9±25.9%, 103.8±72.0%, 237.1±131.0%, 93.0±63.9%, respectivel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nhancing effect of NPY (140 pM) on colonic motility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pretreatment with atropine, propranolol, and TTX. However, the effect of NPY was not inhibited by hexamethonium or phentolamine. Conclusion: NPY increases colonic motility. The enhancing effect of NPY on colonic motility may require cholinergic input via muscarinic receptors or adrenergic input via beta-receptors. (Korean J Med 75:186-193, 2008)

      • KCI등재후보
      • SCIESCOPUSKCI등재

        흰쥐 결장운동에서 Substance P의 작용기전

        최재홍 ( Jae Hong Choi ),나병규 ( Byung Kyu Nah ),배상석 ( Sang Seok Bae ),최기원 ( Ki Won Choi ),채희복 ( Hee Bok Chae ),박선미 ( Seon Mee Park ),윤세진 ( Sei Jin Youn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1

        목적: Substance P (SP)는 장관에서 작용이 다양하며 운동에 미치는 기전은 명확하지 않다. 관류가 유지되고 혈관 및 신경이 보전된 상태의 흰쥐의 결장을 이용하여 SP가 결장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위치에 따른 차이 및 그 작용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장간막동맥을 포함하여 분리한 흰쥐 결장에서 SP를 10 pM, 50 pM, 100 pM과 200 pM을 단계적으로 동맥을 통해 투여하며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내압을 측정하였다. 운동성은 각 농도별 약물 투여 시 Motility index를 계산하여 % 변화로 표시하였다. 억제 실험은 근위부는 100 pM과 원위부는 200 pM의 SP 투여 때와 비교하였고, 먼저 atropine, propranolol, tetrodotoxin, hexamethonium과 phentolamine 각각을 관류시킨 후 SP를 같이 투여하면서 운동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10 pM, 50 pM, 100 pM과 200 pM의 SP를 순서대로 투여할 때 근위부결장에서 수축반응은 각각 32.0±8.3%, 78.1±22.4%, 107.7±35.5%와 63.9±25.8%이었고, 원위부 결장에서 수축반응은 각각 52.0±12.3%, 170.1±64.0%, 273.0±47.4%와 277.3±49.6%이었다. SP의 수축자극 작용은 근위부 결장에서는 atropine, tetrodotoxin과 propranolol에 의해서, 원위부 결장에서는 atropine과 tetrodotoxin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결론: SP는 흰쥐 결장 운동을 증가시키며, 그 작용은 근위부보다 원위부에서 더 강력하다. SP는 근위부 결장에서는 콜린성 및 아드레날린성경로를 통해 작용하며, 원위부 결장에서는 주로 콜린성 경로 를 통해 작용한다. Backgr ound/Aims: The mechanism by which substance P (SP) stimulates colonic motility has not yet been fully elucidated. The study objective was to investigate the action mechanism of SP on isolated rat colon. Methods: An isolated, vascular rat colon was perfused with Krebs` solution via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After a basal period, SP was administered at concentrations of 10 to 200 pM, and the intraluminal pressures were monitored. After pre-infusion of atropine, tetrodotoxin, propranolol, phentolamine and hexamethonium, SP was infused and the pressures were monitored. The motility changes were expressed as percentage changes of motility index over basal period. Results: SP increased the colonic motility at concentrations of 10 pM, 50 pM, 100 pM and 200 pM at the proximal colon (32.0 ±8.3%, 78.1±22.4%, 107.7±35.5% and 63.9±25.8%, respectively), and at the distal colon (52.0±12.3%, 170.1±64.0%, 273.0±47.4% and 277.3±49.6%, respectively). In the proximal colon, the stimulating effect of SP was inhibited by atropine, tetrodotoxin and propranolol, and, in the distal colon, by atropine and tetrodotoxin. Conclusions: SP stimulates rat colonic motility, and the stimulating effect is more potent at the distal colon. The action of SP, being mediated via cholinergic and adrenergic input and at the proximal colon, is mediated mainly by cholinergic input at the distal colon. (Kor J Neur ogastr oenter ol Motil 2004;1:63-71)

      • SCIESCOPUSKCI등재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장 점막 비만세포

        최재홍 ( Jae Hong Choi ),나병규 ( Byung Kyu Nah ),임정묵 ( Jung Muk Leem ),배상석 ( Sang Seok Bae ),최기원 ( Ki Won Choi ),채희복 ( Hee Bok Chae ),박선미 ( Seon Mee Park ),윤세진 ( Sei Jin Youn ),성노현 ( Ro Hyun Sung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1

        목적: 과민성 장 증후군은 임상적으로 매우 흔한 질환이지만 아직까지 그 원인이나 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못한 상황이다. 비만세포는 장관 신경과 평활근의 기능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매개체를 가지며 장관 신경과 근육과도 상호작용을 하여 과민성 장 증후군의 병인에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저자들은 비만세포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의 대장 점막에서 정상 및 염증성 질환 환자에 비해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과민성 장 증후군의 아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는 충북대학교 병원 내과에서 진료 받은 환자들 중 Rome II 진단 기준에 합당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는 16명, 정상 대조군 8명, 염증성 대조군은 5명이었다. 모든 환자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고, 맹장, 상행, 하행 결장과 직장 부위에서 생검을 하였다. 비만세포는 트립타제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 염색법으로 관찰하였고, H&E 염색을 통하여 중성구, 림프구, 형질세포와 호산구의 수를 측정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비만세포수는 하행 결장에서만 과민성 장 증후군(15.2±4.0)에서 정상 대조군(10.9±2.7)과 염증성 대조군(11.0±2.9)보다 유의하게( p=0.02) 높았으며, 다른 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만세포를 제외하고는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다른 염증세포의 침윤이 증가해 있지는 않았다. 과민성 장 증후군의 증상의 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어 맹장 부위에서의 비만세포수가 변비형(21.3±3.4)과 통증형(22.7±2.5)이 설사형(14.6±4.2)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결론: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다른 염증성 및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하행 결장의 점막에서 비만세포의 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과민성 장 증후군의 증상별 아형에 따른 비교에서는 변비형과 통증형이 설사형 보다 맹장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비만세포가 병인에 관여하며 증상의 아형별에 따라서 그 관여정도가 차이가 존재할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 ound/Aims: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is ubiquitous but the pathophysiology remains poorly established.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role of mast cells (MC) as they release variable mediators and have receptors for neurotransmitt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MC were increased in the colonic mucosa of IBS patients compared to controls. Methods: Biopsy was done from the cecum, ascending colon, descending colon and rectum of 29 patients: 16 IBS, 8 normal, and 5 inflammatory controls. Tissue was stain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a monoclonal antibody for human mast cell tryptase for MC, and H&E stain for other inflammatory cells. Results: MC count of IBS patients at the descending colon (15.2±4.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ither normal controls (10.9±2.7) or inflammatory controls (11.0±2.9). In a group of patients with IBS, MC count at the cecu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stipation-predominant subtype (21.3±3.4) and the pain-predominant subtype (22.7±2.5) than the diarrheapredominant subtype (14.7±4.2). Conclusions: Patients with IBS have higher MC count than controls, and MC count in constipation-predominant IBS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diarrhea-predominant IBS pati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C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IBS. (Kor J Neur ogastr oenter ol Motil 2004;1:57-62)

      • KCI등재
      • KCI등재

        원발과 담관 화농간농양의 임상 특성 비교

        최혜영 ( Hye Young Choi ),천갑진 ( Gab Jin Cheon ),김영돈 ( Young Don Kim ),한군희 ( Koon Hee Han ),김광석 ( Kwang Seok Kim ),나병규 ( Byung Kyu Nah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4

        목적: 원발과 담도관 화농간농양의 임상 양상을 확인하여 두 군의 특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에서 2004년까지 5년간 병원에서 화농간농양으로 치료받은 119명의 환자를, 82예의 원발과 21예의 담관 화농간농양의 두 군으로 나누어 증상, 신체검사 소견, 검사실 소견, 세균 검사, 동반 질환, 농양 특징, 치료 방법과 치료 성적, 합병증과 예후를 후향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양 군 간의 임상 증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농양의 특성에서는 크기 외에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담관군에서 원발군에 비해 농양의 직경이 5 cm 미만인 경우가 더 많았다 (48% vs. 16%, p=0.004). 원발군보다 담관군의 농양 배양 양성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100% vs. 69%, p=0.006), 특히 E. coli는 농양(28% vs. 75%, p=0.014)과 혈액 배양(23% vs. 4%, p=0.035) 모두에서 담관군에서의 양성률이 높았다. 양 군 간의 사망률 차이는 없었으나, 합병증과 재발을 동반하지 않은 임상 호전율은 담관군에 비해 원발군에서 높았다(92.7%vs. 66.7%, p=0.001). 결론: 원발과 담관 화농간농양군을 비교해 볼 때, 양 군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임상 특성을 나타내나, 담관군이 원발군에 비해 크기가 작았고, 높은 농양 배양 양성률을 보였으며, 합병증과 재발을 동반하지 않은 임상 호전율이 낮게 나타났다. Back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cryptogenic and biliary pyogenic liver abscess by comparing the clinical aspects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Of 119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2000 to 2004, 82 subjects with cryptogenic liver abscess and 21 with biliary abscess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clinical symptoms. The characteristics of abscess were similar except the size of abscess. The size of abscess less than 5 cm in diameter was more common in billiary group than in cryptogenic group (p=0.004). Compare to cryptogenic group, biliary group had more positive culture test from abscess (100% vs. 69%, p=0.006). Especially, E. coli isolated from abscess culture (28% vs. 7%, p=0.014) and blood culcure (23% vs. 4%, p=0.035) were more common in biliary group than in cryptogenic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rtality between the two groups (biliary vs. cryptogenic: 4.8% vs. 0%, p=0.204). However, the rate of clinical improvement was higher in cryptogenic group than in biliary group (92.7% vs. 66.7%, p=0.001). Conclusions: Biliary liver abscess had similar clinical characteristics to cryptogenic origin. Biliary liver abscess had smaller abscess size and more positive abscess culture rates than cryptogenic abscess. Improvement rate without complication and recurrence was higher in cryptogenic group than biliary group.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238-244)

      • 화농성 간농양의 원인균 및 치료의 최근 변화

        나병규,김연수,문희석,박기오,김선문,이엄석,양현웅,서승원,김석현,이병석,김남재,이헌영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4

        목적: 최근의 간농양 환자들의 임상상, 원인 및 치료에 대해 분석하여 기존의보고와 비교함으로써 변화의 유무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6년 3월부터 2001년 9월까지 5년간 본원에 입원하여 화농성 간농양으로 치료를 받은 94예를 대상으로 연령, 성별, 증상, 신체검사 소견, 검사실 소견, 세균학적 검사, 동반질환, 감염경로, 농양의 특징, 치료법, 합병증 및 예후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60±14세였으며 남자가 55명 여자가 39명으로 남녀 비는 1.4:1이었다. 남자에서는 5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여자인 경우는 60대에서 빈도가 가장 높았다. 임상증상은 발열(79.8%), 오한(43.6%)이 신체검사 소견으로 발열(53.2%), 상복부 압통(44.7%)이 흔하였다. 농양이 단발성인 경우가 85.1%이었고. 우엽에만 있었던 경우가 70.3%이었다. 84예 중 67예에서 배양이 되어서 78.8%의 양성율을 보였고 단일 균주였으며 Klebsiella pneumoniae 44예(65.7%), E. coli 11예(16.4%)였다. 동반질환은 당뇨병이 14예, 악성 종양이 10예(간담도계 7예, 간세포암 2예, 직장암 1예), 담낭 절제술을 시행 받았던 예가 2예, 간경변증 1예, 만성 신부전 1예, 다낭성 신증 1예 및 막성사구체 신염 1예였다. 원인을 찾지 못했던 예가 70예(74.5%)로 가장 흔하였으며, 상행성 전파가 20예(21.3%), 혈행성 3예(3.2%) 및 직접 전파된 경우가 1예(1.1%)였다. 경피적 배액술을 시행한 경우가 69예(73.4%), 경피적 흡인술을 시행한 경우는 15예(16.0%), 경피적 배액술과 경피적 흡인술을 같이 시행한 경우는 2예(2.1%), 항생제 치료만을 시행한 8예(8.5%)였다. 경피적 배액술을 시행한 예중 6예(8.7%), 경피적 흡인술을 시행한 예중 2예(13.3%), 항생제만 쓴 경우는 1예(1.3%), 총 9예(9.6%)에서 사망 도는 가망이 없어서 퇴원하였다. 호흡기 합병증이 23예(24.5%)로 가장 흔하였고 급성 신부전이 4예, 복막염은 3예, 농양의 파열이 2예, 치료적 시술이 필요한 답즙낭 발생이 2예 및 횡경막하 농양의 발생이 1예에서 있었다. 결론: 최근의 화농성 간농양에서 Klebsiella pneumoniae가 가장 흔한 균이며 일차적인 치료로는 경피적 배농술(경피적 도관 배액술, 경피적 흡인 천자)을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Aims: With the advance of antibiotics and the development of newer imaging techniques, marked changes in etiology,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of liver abscess have been reported.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data related to 94 patients with pyogenic liver abscess. Results: Of the 94 patients in the study group,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4:1 and the peak incidence of liver abcess was in the 7th decade. About three quaters (74.5%) of the abcesses were of unknown origin. The predominant location was in the right lobe (70.3%). Single lesion was found in 80 patients and multiple lesions in 14 patients. Pathogens were identified in 67 patients, of which Klebsiella pneumoniae (65.7%) and E. coli (16.4%) were the most common. The modalities of treatment were percutaneous drainage with antibiotics (73.4%), percutaneous aspiration with antibiotics (16.0%), or antibiotics alone (8.5%). The case fatality rate, mainly from associated underlying diseases, was 9 cases (9.6%). Associated diseases were diabetes mellitus (14.9%) and malignancy (10.6%). Conclusions: Our study revealed that the most common organism was Klebsiella pneumoniae an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and/or catheter drainage were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ies for pyogenic liver abscess. Prognosis was determined by the underlying condition.(Korean J Hepatol 2003;12:275-283)

      • 장중첩증을 동반한 맹장 지방종 1예

        홍의실,나병규,김민옥,유일영,채지영,채희복,윤세진,이상전,송형근,박길선,정현용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2 충남의대잡지 Vol.29 No.2

        대장 지방종은 주로 우측 결장에 호발하고 특히 회맹판 부위와 맹장 부위에 호발한다. 또한 50~60대에 빈도가 높고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장중첩증이 높게는 40~50%에서 보고되고 있어 성인 장중첩증의 원인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성인 장중첩증 및 장폐쇄의 중요 원인인 악성 종양과 임상 양상이 유사하여 감별진단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반복적인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맹장의 4×5㎝의 점막하 지방종이 말단 회장부위와 반복적인 장중첩중이 발생했던 1례를 부분 절제술로 치료하여 양호한 임상 경과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Lipomas are one of the most common benign nonepithelial tumors of the colon which are often detected incidentally by radiologic investigation or on operation. These tumors are usually without specific symptoms. Colonic lipomas occur most often in the right colon, particularly in the ileocecal valve and the cecum. Most patients are asymptomatic. but tumors larger than 2 cm tend to produce a change in bowel habit. abdominal pain. rectorrhagia and complications including luminal obstruction or intestinal intussusception. Diagnosis can be made by colonoscopy abdominal CT. MRI, or barium enema. We report a case of lipoma of the cecum that originated in the submucosa and presented as a intussusception in a 50-year-old woman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