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농성 간농양의 원인균 및 치료의 최근 변화

        나병규,김연수,문희석,박기오,김선문,이엄석,양현웅,서승원,김석현,이병석,김남재,이헌영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4

        목적: 최근의 간농양 환자들의 임상상, 원인 및 치료에 대해 분석하여 기존의보고와 비교함으로써 변화의 유무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6년 3월부터 2001년 9월까지 5년간 본원에 입원하여 화농성 간농양으로 치료를 받은 94예를 대상으로 연령, 성별, 증상, 신체검사 소견, 검사실 소견, 세균학적 검사, 동반질환, 감염경로, 농양의 특징, 치료법, 합병증 및 예후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60±14세였으며 남자가 55명 여자가 39명으로 남녀 비는 1.4:1이었다. 남자에서는 5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여자인 경우는 60대에서 빈도가 가장 높았다. 임상증상은 발열(79.8%), 오한(43.6%)이 신체검사 소견으로 발열(53.2%), 상복부 압통(44.7%)이 흔하였다. 농양이 단발성인 경우가 85.1%이었고. 우엽에만 있었던 경우가 70.3%이었다. 84예 중 67예에서 배양이 되어서 78.8%의 양성율을 보였고 단일 균주였으며 Klebsiella pneumoniae 44예(65.7%), E. coli 11예(16.4%)였다. 동반질환은 당뇨병이 14예, 악성 종양이 10예(간담도계 7예, 간세포암 2예, 직장암 1예), 담낭 절제술을 시행 받았던 예가 2예, 간경변증 1예, 만성 신부전 1예, 다낭성 신증 1예 및 막성사구체 신염 1예였다. 원인을 찾지 못했던 예가 70예(74.5%)로 가장 흔하였으며, 상행성 전파가 20예(21.3%), 혈행성 3예(3.2%) 및 직접 전파된 경우가 1예(1.1%)였다. 경피적 배액술을 시행한 경우가 69예(73.4%), 경피적 흡인술을 시행한 경우는 15예(16.0%), 경피적 배액술과 경피적 흡인술을 같이 시행한 경우는 2예(2.1%), 항생제 치료만을 시행한 8예(8.5%)였다. 경피적 배액술을 시행한 예중 6예(8.7%), 경피적 흡인술을 시행한 예중 2예(13.3%), 항생제만 쓴 경우는 1예(1.3%), 총 9예(9.6%)에서 사망 도는 가망이 없어서 퇴원하였다. 호흡기 합병증이 23예(24.5%)로 가장 흔하였고 급성 신부전이 4예, 복막염은 3예, 농양의 파열이 2예, 치료적 시술이 필요한 답즙낭 발생이 2예 및 횡경막하 농양의 발생이 1예에서 있었다. 결론: 최근의 화농성 간농양에서 Klebsiella pneumoniae가 가장 흔한 균이며 일차적인 치료로는 경피적 배농술(경피적 도관 배액술, 경피적 흡인 천자)을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Aims: With the advance of antibiotics and the development of newer imaging techniques, marked changes in etiology,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of liver abscess have been reported.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data related to 94 patients with pyogenic liver abscess. Results: Of the 94 patients in the study group,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4:1 and the peak incidence of liver abcess was in the 7th decade. About three quaters (74.5%) of the abcesses were of unknown origin. The predominant location was in the right lobe (70.3%). Single lesion was found in 80 patients and multiple lesions in 14 patients. Pathogens were identified in 67 patients, of which Klebsiella pneumoniae (65.7%) and E. coli (16.4%) were the most common. The modalities of treatment were percutaneous drainage with antibiotics (73.4%), percutaneous aspiration with antibiotics (16.0%), or antibiotics alone (8.5%). The case fatality rate, mainly from associated underlying diseases, was 9 cases (9.6%). Associated diseases were diabetes mellitus (14.9%) and malignancy (10.6%). Conclusions: Our study revealed that the most common organism was Klebsiella pneumoniae an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and/or catheter drainage were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ies for pyogenic liver abscess. Prognosis was determined by the underlying condition.(Korean J Hepatol 2003;12:275-283)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쥐의 결장운동에서 Neuropeptide Y의 작용기전

        나병규 ( Byung Kyu Nah ),전원중 ( Won Joong Jeon ),유일영 ( Il Young You ),채희복 ( Hee Bok Chae ),박선미 ( Seon Mee Park ),윤세진 ( Sei Jin Youn ),고병성 ( Byung Sung Ko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2

        목적: Neuropepetide Y (NPY)는 다양한 생리작용이 있으나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흰쥐의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운동에서 NPY의 작용과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상장간맥동맥을 포함하여 분리한 흰쥐 결장에서 NPY를14 pM, 70 pM, 140 pM과 280 pM을 단계적으로 동맥으로 투여하여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 내압을 측정하였다. 운동성은 각 농도 별 약물 투여 시 운동지수를 계산하여 %변화로 표시하였다. 약물투여에 의한 억제 실험은 근위부와 원위부에 각각 140 pM의 NPY 투여 때와 비교하였고 먼저 atropine, tetrodotoxin (TTX), propranolol, hexamethonium과 phentolamine 각각을 관류시킨 후 NPY를 같이 투여하면서 운동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NPY(14 pM, 70 pM, 140 pM, 280 pM)를 투여할 때 근위부 결장에서 수축반응은 각각 28.5±28.2%, 48.4± 34.3%, 122.9±97.3%, 68.2±28.1%이었으며, 원위부 결장에서는 각각 44.9±25.9%, 103.8±72.0%, 237.1±131.0%, 93.0± 63.9%로 기저치에 비해 근위부와 원위부 결장에서 모두 수축반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NPY의 농도가 높을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수축 강도는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원위부에서 근위부보다 수축반응이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NPY(140 pM)에 의해 증가되는 결장운동은 atropine, TTX, propranolol전 처치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었지만, phentolamine과 hexamethonium 전 처치에는 억제되지 않았다. 결론: NPY는 흰쥐 결장운동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이러한 결장 평활근 수축 촉진 작용은 무스카린 수용체를 통한 콜린동작성 신경 또는 베타 아드레날린동작성 신경의 영향 하에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ond/Aims: Neuropepetide Y (NPY)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several gut functions, but the neuronal action of NPY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mechanism of action of NPY on motility in the proximal and distal rat colon. Methods: Rat colon with an intact superior mesenteric artery was isolated. After a basal period, NPY was administered at concentrations of 14 pM, 70 pM, 140 pM, and 280 pM. Intraluminal pressures were monitored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lon. The contractile response was expressed as a percent change of motility indices over the basal level. After a pre-infusion of atropine (AT), tetrodotoxin (TTX), propranolol, hexamethonium, and phentolamine, NPY was infused at a concentration of 140 pM, and pressures were monitored. Results: NPY increased the colonic motility at concentrations of 14, 70, 140, and 280 pM in the proximal colon (28.5±28.2%, 48.4±34.3%, 122.9±97.3%, 68.2±28.1%, respectively) and in the distal colon (44.9±25.9%, 103.8±72.0%, 237.1±131.0%, 93.0±63.9%, respectivel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nhancing effect of NPY (140 pM) on colonic motility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pretreatment with atropine, propranolol, and TTX. However, the effect of NPY was not inhibited by hexamethonium or phentolamine. Conclusion: NPY increases colonic motility. The enhancing effect of NPY on colonic motility may require cholinergic input via muscarinic receptors or adrenergic input via beta-receptors. (Korean J Med 75:186-193, 2008)

      • SCOPUSKCI등재

        대장직장암 수술 후의 대장선종의 발생 양상

        나병규 ( Byung Kyu Nah ),김선문 ( Sun Moon Kim ),이엄석 ( Yeum Seok Lee ),양현웅 ( Hyeon Woong Yang ),서승원 ( Seung Weon Seo ),성재규 ( Jae Kyu Sung ),이병석 ( Byung Seok Lee ),정현용 ( Hyun Yong Jeong ) 대한소화기학회 200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4 No.4

        Background/Aims: After colorectal cancer surgery, colonoscopic surveillance should be done for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secondary canc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group with high risk of developing colorectal adenoma after curative surger

      • 포스터 발표 : 대장 ; 대장암 수술후의 대장선종의 발생양상

        나병규 ( Byung Kyu Na ),양현웅 ( Hyeon Uoong Yang ),서숭원 ( Soong Won Seo ),성재규 ( Sung Jae Kyu ),이병석 ( Byung Seok Lee ),정현용 ( Hyun Yong Jeong )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02 No.-

        〈목적〉 대장 직장암의 근치수술후 대장내시경 검사를 이용한 추적 검사를 통해 대장 선종의 발생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대장직장암 환자에서의 대장선종 발생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1년 2월가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대장직장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중 수술전가 수술후에 대장내시경을 받았던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과〉 남자는 80명, 여자는 50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위 내로 파열된 출혈성 췌장 가성낭종 1예

        김영돈,나병규,황정원,홍현일,윤성규,한군희,최혜영,김광석,안재홍,천갑진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5 Clinical Endoscopy Vol.31 No.4

        Pancreatic pseudocyst is a well-known complication of pancreatitis. However spontaneous perforation and/or fistularization is rare. Perforations into the free peritoneal cavity, stomach, duodenum, colon, portal vein, pleural cavity, and through the abdominal wall have been reported. Rupture of pseudoaneurysm or bleeding pseudocyst following pancreatitis is a severe complication that can lead to massive gastrointestinal bleeding. Especially, rupture of a bleeding pseudocyst into the stomach combined with splenic artery pesudoaneurysm is very rare. We experienced a case of massive bleeding from pancreatic pseudocyst with pseudoaneurysmal rupture into the stomach which was controlled nonoperatively by splenic artery coil embolization and conservative treatment. We report the case with the literatures review. 췌장 가성낭종은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주변 장기로의 자연적인 천공이나 췌장루의 발생은 드물다. 천공은 복강이나 위, 십이지장, 대장, 간정맥, 흉강, 그리고 복벽을 통해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위나 소장에 발생한 천공은 배액이나 수술을 하지 않고 치료한다. 췌장염의 합병증인 가성동맥류나 가성낭종의 파열은 드물지만 심각한 상부위장관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비장 가성동맥류를 동반한 췌장 가성낭종이 위벽으로 파열되어 대량의 상부위장관 출혈을 일으킨 예는 국내에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비장 가성동맥류를 동반한 췌장 가성낭종의 파열에 의한 상부위장관 출혈을 동맥류 코일색전술 및 보존적 치료로 호전시킨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원발성 대동맥-십이지장루 1예

        윤성규,나병규,한군희,김영돈,황정원,홍현일,이승찬,김현승,장진근,천갑진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4 Clinical Endoscopy Vol.29 No.6

        Aortoenteric fistula is a rare and life-threatening cause of upper gastrointestinal hemorrhage. Fistulas may be classified as primary or secondary. Secondary aortoenteric fistulas usually occur at the suture line following arterial reconstruction with prosthetic material and developed in 0.5∼2.4% of the patients. The incidence of primary fistulas was reported in 0.04∼0.07% in a large autopsy series and is 0.69∼2.36% in patients with abdominal aortic aneurysm. Atherosclerosis is now the dominant cause. The mortality rate of patients with primary aortoduodenal fistula (ADF) is extremely high, principally because the diagnosis is difficult and seldomly established before the massive bleeding results in emergency operation or death. This occurs predominantly in the third and fourth parts of the duodenum. Symptoms of ADF consist of flank pain or abdominal pain, hematemesis, melena, and an abdominal mass. ADF is curable, if diagnosed and treated with surgical intervention before the onset of lethal massive hemorrhage. We report a case of primary ADF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s. 대동맥-장관루는 드문 질환으로, 상부 위장관 출혈을 주소로 하는 경우, 다량 출혈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 대동맥-장관루는 원발성 또는 이차적 원인에 의한 것으로 구분된다. 이차적 대동맥-장관루는 대부분 인공 삽입물을 이용한 대동맥 재건술에서 봉합선을 따라서 발생하며 0.5~2.4%까지 그 빈도가 보고되고 있다. 이와 달리 원발성 대동맥-장관루는 부검에서 0.04~0.07%, 그리고 복부 대동맥류가 있는 경우 0.69~2.36%가 발견되며 동맥 경화증이 주요한 인자이다. 원발성 대동맥-장관루의 치사율은 매우 높은데, 대량 출혈 전에 진단하기가 어려우며 대량 출혈로 인한 응급수술을 요하기 때문이다. 원발성 대동맥-장관루는 대부분 십이지장의 3구역, 4구역에서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측부통 또는 복통, 토혈, 흑색변, 그리고 복부 이물감 등이 있다. 대량 출혈이 있기 전에 외과적 치료가 선행된다면 원발성 대동맥-장관루는 치료할 수 있다. 흑색 변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원발성 대동맥-장관루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