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무성적평정 및 교원능력개발평가 점수가 교원 성과상여금 등급 결정에 미치는 영향

        김희규,주영효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수업 및 생활지도를 잘 하는 교원이 우대받는 교원 평가 체제 구축 관점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동료교원평가, 학생만족도, 학부모만족도) 및 근무성적평정(동료교원 다면평가, 교장+교감평정 점수 합계) 점수가 교원 성과상여금 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원적 교원평가제도의 연계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사 381명의 2012-2013 교원평가 평정 결과를 수집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기술통계량에 있어서 교원 성과상여금 등급이 높은 경우 교원능력개발평가 및 근무성적평정 점수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분석 결과 동일 평가 내 점수들은 상관관계가 전반적으로 높지만 교원능력개발평가 점수와 근무성적평정 점수는 상관관계가 낮았다. 셋째, 판별분석 결과 본 연구가 설정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및 근무성적평정 점수 관련 일곱 개의 독립변수는 교원 성과상여금 등급 구분에 충분한 설명력과 예측력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 가운데 교원 성과상여금 등급을 구분해 주는 변수는 근무성적평정 점수 합계, 근무성적평정 동료교원 다면평가 점수, 근무성적평정 교장+교감평정 점수 등 근무성적평정 관련 점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수업지도와 학생지도 중심의 교원평가제 연계 및 평가 영역 단일화를 위한 정책 과제 및 방향으로 평가 영역별 평가 요소 및 지표와 평가자 단일화 선행, 근무성적평정 점수 및 교원능력개발평가 점수를 중․장기적 측면에서 성과상여금 등급 결정 반영에 대한 고려 필요, 단계적인 통합 평가시스템으로의 개선․발전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교육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의 대안으로서의 학습조직

        김희규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2 교육논총 Vol.20 No.-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학교교육의 이상형이라 불리는 학습조직이론을 대안적 관점에서 조명해 보는데 있다. 오늘날 학교교육은 행정관리 체제라는 고전적 조직 개념에서 탈피하지 못한 채 과거의 행태를 답습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시대의 조류에 비추어 볼 때 학교는 교실 수업과 교원들의 학습을 통한 통합적인 환경체제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 대한 기존의 패러다임과 이에 따른 한계를 분석하여 기존의 학교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대안으로 학교교육의 이상형이라 불리는 학습조직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다. 아울러 교단을 학습조직화 하는데 필요한 핵심 요인들을 관련 문헌을 통해 추출하고, 나아가 학습조직 관점에서의 학교교육의 방향 모색과 학습조직화가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장애학생의 교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효율화 방안

        김희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의 교과교육에 대한 당위성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교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의 적용 방안과 실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장애 학생들에게는 학생의 장애 특성을 고려한 재구성하고 조정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적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간의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은 장애의 특성을 고려하고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수업과 통합적 교수 학습 활동 그리고 창의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선정하여 활용해야 한다. 또한, 장애학생들의 교과교육 평가과정에서는 평가절차의 수정과 아울러 준거참조평가, 목표지향적인 평가, 대안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그들의 발달 가능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긍정적으로 보는 발전적 평가관을 바탕으로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 특수교육 교사의 교과 지도 역량 강화 방안

        김희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교과교육 실행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특수교육 교사들의 교 과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를 위해서 특수교육 교사의 자질 과 교과 수행 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특수교육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은 여러 학자들과 연구 에 의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교원양성체제 개선방안에서 제시한 신규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관한 일반기준과 미국 CEC의 신규 특수교육 교사를 위한 기준에서 요구하고 있는 특수교 육 교사로서의 자질과 전문성에 대해 살펴보고, 특수교육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성 중 기본적 으로 특수교육 교사는 일반교사와 마찬가지로 교과교육 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함 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수교육 교사의 교과 지도 역량 강화 방안으로는 첫째, 특수교 육 교사 양성과정의 개선, 둘째, 특수교육 교사를 위한 교과교육에 대한 현직 연수 강화, 셋째, 특 수교육과 일반교육 전문가 간의 협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present problems and issues of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Teache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should be establish an authority in their subject's instruction. To keep highly qualified competency in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teacher's professionality should be demonstrated in teaching the subject content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one of suggestions is change of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y.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in-service education of instructional contents and teaching skills in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y.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required skill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perform their jobs and to provide in-service education based on the skills. Third, last suggestion is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special educators and the general educators.

      • KCI등재후보

        장애학생들의 국어과 교과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김희규 한국통합교육학회 2012 통합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국어과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대해 알아보고, 특수교육 교사 양성과정과 현직 연수과정에서의 국어과 교과교육 과목 수강이 특수교육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교사들의 국어 교과에 대한 교수효능감은 보통 이상이었으나 높은 수준의 교수효능감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특수교육 교사의 교직 경력에 따른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6-10년의 경력 교사가 1-5년 경력 교사와 11년 이상의 경력 교사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1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가장 낮은 교수효능감을 나타내었다. 셋째, 특수교육 교사 양성과정과 현직연수 과정에서의 국어과 교과교육 과목 수강 유무에 따른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차이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특수교육 교사 양성과정과 현직연수 과정에서의 국어과 교과교육 과목 수강한 특수교육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높은 교수효능감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effects of register for Korean Language subject's education course on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special education teacher majored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in university. The conclusion of present study was as follows. 1st, the score of three factors in KLTE was distributed between from 3.50 to 3.77(total score 3.64). This result was lower than 4.0 what is the positive score. The highest score was classroom management efficacy score, and the second score was student participation efficacy score and the lowest score was teaching strategy efficacy score. 2nd, after analyzing of the difference in KLTE according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t indicate that teaching experience difference couldn't be the tool to predict teacher efficacy. 3rd, after analyzing of the effects of register for Korean Language subject's education course(pre-service and in-service program) on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ut,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took the Korean Language subject's education course offered by their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teaching efficacy than those who were not took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