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적 신화로부터 예술로 - 에른스트 카시러의 관점에서 본 타인의 삶

        김화임 ( Kim Hwa-im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1

        영화 『타인의 삶』은 독일의 통일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영화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 영화는 정치적 문제에 초점이 두어져 있기 보다는 주인공 비슬러의 인간적 변모에 있다. 비밀경찰 슈타지로 활동하던 비슬러는 그의 감시 대상을 통해 체제와 거리감을 취하게 되고, 더 이상 체제의 복무자로 남지 않는다. 영화 초반부 비슬러는 외부적 힘에 좌우되는 꼭두각시에 불과할 뿐, 어떠한 자발적인 판단력과 행동의 소유자도 아니다. 그의 삶은 단조롭고, 인간관계 역시 척박하다. 그러나 작가 드라이만을 감시하면서 따듯한 인간관계를 접하고, 브레히트의 시를 읽으며, 베토벤의 소나타를 듣는다. 영화의 주제는 곧 예술을 통한 인간의 인간화라고 할 수 있다. 카시러는 제3세계에 대한 비판과 관련하여 `정치적 신화`를 문제 삼았다. 그러나 그의 `정치적 신화`는 현대 사회 일반 및 동독 사회를 들여다보는 데에도 주요한 잣대가 될 수 있다. 카시러에게 `예술`은 정치적 신화와 구별되는 대안적 세계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카시러의 시각에서 비슬러의 인간적 변모를 살펴본다. Die Verwandlung der Hauptfigur Wieslers steht im Zentrum des Films Das Leben der Anderen. Zu Beginn des Films wird Wiesler durch eine außere Kraft angestoßen. Allmahlich handelt er freiwillig, und gegen Ende des Films besitzt er eine innere Freiheit, abgesehen von der Offnung der Mauer und der politischen Vereinigung. Viele Kritiker sind sich daruber einig, dass eine verklarende Humanisierung der Stasi im Zentrum des Films steht. Hierbei kommt der transformativen Kraft der Kunst und Literatur eine gewichtig Rolle zu. Obwohl dieser Artikel ebenfalls hiervon ausgeht, liegt mein Interesse darin, die Ideologie, die durch Wiesler verkorpert wird, im Zusammenhang mit dem Mythos, be-sonders den politischen Mythen von Ernst Cassirer aufzuzeigen. Nach Cassirer beabsichtigen politische Mythen die totale Destruktion der personlichen Freiheit. Einen Ausweg, diesem entkommen zu konnen, sieht er aber in der Kunst. Die vorliegende Arbeit setzt sich zum Ziel, die Auffassung Cassirers durch den Film zu beweisen.

      • KCI등재

        지속가능성(Nachhaltigkeit) 개념의 형성사 -18세기 독일 산림학 이론과 실제에서의 의미내용을 중심으로

        김화임 ( Hwa Im Kim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1

        지속가능성 개념의 역사를 논의할 때 많은 연구자들은 “성장의 한계”가 발표되었던 1972년을 기점으로 삼으나, 독일어권 연구자들은 18 세기 초 칼로비츠(Hans Carl von Carlowitz)의 산림학으로까지 거슬러 올 라간다. 이와 관련하여 그로버(Ulrich Grober)의 문화사적 시각에서의 연구가 두드러진다. 그러나 그로버에 의거할 때, 지속가능성 개념은 칼 로비츠의 독자적 산물만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칼로비츠는 그랜드 투 어를 통해 유럽 여러 나라들의 산림학 및 산림정책을 섭렵한 바 있었 으며, 그의 산림학 저서는 영국의 에벨린(John Evelyn)이 1664년에 썼던 『숲』(Sylva)과 프랑스 태양왕 루이 14세 당시, 콜베르(Jean Baptiste Colbert)에 의해 주도된 산림정책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18세기 유럽의 산림 담당자들에게 ‘나무’는 당시 경제 문제 해결의 중요한 원천이었다. 독일도 그 예외가 아니었다. 경제자원이었던 나무 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것이 산림학의 과제였던 것이다. 여기에서 ‘보 존’, ‘신중한 경영전략’, ‘비축’, ‘보호’, ‘산림경영’이라는 단어들이 등 장하며, 마침내 칼로비츠에게서 ‘조심스럽게/관리될 수 있게/배려하면서’ 등의 뜻을 지닌 ‘pfleglich’라는 단어에 이어 ‘지속가능한’(nachhaltig) 이라는 단어가 주조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념의 형성 과정과 함께, 그 속에 함의된 내용을 살펴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또한 18세기 산림학에서 지속가능성 은 인문학적 사유와 사회과학, 자연과학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었다는 데에 대해서도 주목하고자 한다. Although Hans Carl von Carlowitz in Germany is considered to be the father of ‘sustainable yield’ forestry,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coined by him cannot be acknowledged as his own individual creation. It is because Hans C. v. Carlowitz had widely studied forestry and forest policies of many European countries through what was called the Grand Tour. From the viewpoints of forest managers in the 18 th century, “trees” were the major resources of coping with the economic crisis in Europe at that time. Germany was no exception. The foremost concern of forestry therefore was to protect and manage trees as economic resources. Under the circumstances appeared such terms as “preservation,” “careful management strategy,” “stockpile,” “protection,” and “forest management” and, finally, Hans C. v. Carlowitz came up with the concept of “careful” and “sustainable.” Of course, the term “sustainable” in forestry of the 18 th century is not synonymous with that of the contemporary times. The long-term perspective for resource management, care for posterity, and humanities-based thoughts are some of the noteworthy issues that shed much light on promoting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oday.

      • KCI등재

        1.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타우리스 섬의 이피게니에>에 대한 현대적 관점에서의 재해석

        김화임 ( Hwa Im Kim ) 한국브레히트학회 201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0 No.30

        괴테의 작품, <타우리스 섬의 이피게니에>에 관한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는 "휴머니즘 이상의 구현" 혹은 "자율성의 드라마"라는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때 여주인공 이피게니에가 중심에 있었고, 토아스 왕은 그녀의 적대자의 위치로만 내몰렸다. 동시에 그가 왜 야만인이며, 왜 그의 나라가 야만국이라고 불리는 지에 대해서는 거의 의문이 제기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토아스와 그의 나라가 야만인, 야만국이 된 이유를 ``다수자``와 ``소수자``라는 권력 관계의 결과물이라는 데서 출발한다. ``다수자``와 ``소수자``라는 개념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카프카. 소수문학을 위하여>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을 차용하고 있다. 이피게니에는 ``규범``을 대변하는 인물이며, 세계가 문명화된 나라와 비문명화된 나라로 구분되어 있다는 관점을 취한다. 그 뿐만 아니라 비문명화된 나라는 문명화된 나라로부터 배워야 한다는 생각이다. 토아스는 이른 바 ``신화적 소수자``로서 이피게니에에게 종속된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개념에 따를 때, 작품에서 이피게니에와 그리스가 실제 권력을 지니고 있는 셈이다. 계몽주의 이념을 문제로 삼은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역시 일정 정도 들뢰즈와 가타리의 시각을 공유하고 있다. 두 사람은 인간의 해방에 기여코자 하는 계몽주의자들의 합리성 개념이 자연을 종속 시키고, 결국에는 인간 자체의 종속을 요구한다고 말한다. 즉 이성은 지배와 종속을 목표로 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토아스가 ``야만인``으로 불리는 것 역시 보다 선진적인(혹은 이성적인) 문화를 통한 타문화의 억압을 보여주는 사례로 간주된다. 아도르노에 의하면 오히려 토아스가 휴머니즘의 담지자가 되어야 한다. 그는 이피게니에의 귀환을 위해 ``관용과 선``을 베푸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토아스는 자신의 욕구까지 제어해야 한다. 드라마, <타우리스 섬의 이피게니에>는 상호문화성과 관련하여 지금도 자주 거론되는 텍스트에 속한다. 본 연구는 기필코 ``고향``으로 귀환하고자 하는 이피게니에의 시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토아스의 열린 시각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Mein Hauptinteresse liegt nicht darin, eine kleine oder mindere Literatur zu behandeln. Dem Konzept von Deleuze und Guattari zufolge konnte das Drama, Iphigenie auf Tauris, nicht dazu gezahlt werden, sondern eher zur großen Literatur. Was mich nun interessiert, ist, dass sie den Begriff der Mehrheit und Minderheit nicht numerisch, sondern ihn unter dem Machtverhaltnis verstehen und hierin etwas variabel sehen. Auch das oben genannte kritische Argument von Adorno und Horkheimer scheint in gewissem Sinne mit dem Konzept von Deleuze und Guattari vergleichbar zu sein, wenngleich sie deren Begriffe nicht gebrauchten. Vor allem Adorno scheint bei Thoas eine Negation der aufklarerischen Idee zu suchen. Im Gegensatz zu Thoas reprasentiert die Person Iphigenie im gewissen Sinne den burgerlichen Held. Adorno und Horkheimer halten den Protagonisten der Odyssee fur einen Prototypen des burgerlichen Helden. Der habe fur die Herrschaft uber die Gefahren des unzivilisierten Meeres mit einer Verleugnung der eigenen Anteile von seiner Natur Vergutung gezahlt und auf solche Weise die Herrschaft uber die Natur erlangt. Gleichwohl beruht seine Herrschaft auf Verzicht und auf der Fahigkeit, sich den Bedurfnissen der Natur zu widersetzen. Hierauf beziehend halte ich Iphigenie eine fur die Mehrheit vertretende Figur.

      • KCI등재
      • KCI등재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아리스토파네스 수용

        김화임 ( Kim Hwa-im ) 한국브레히트학회 202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 No.50

        본 연구는 슐레겔 Friedrich Schlegel이 초기에 쓴 「그리스 희극의 미적 가치에 대하여」(1794)를 주된 대상으로 삼고 있다. 슐레겔은 여기에서 그리스 희극, 특히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일반에 대해 논하고 있다. 슐레겔은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을 바쿠스 축제, 즉 디오니소스 축제와 연관시킨다. 희극을 축제와 직접적으로 연관시키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 이래의 고전적인 희극 모델에 대한 대항 모델, 즉 반 계몽주의의 희극 모델을 구상하는 차원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그의 구상이 희극 이론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지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그라이너 Bernhard Greiner의 “승격”의 희극과 “비하”의 희극을 그 잣대로 삼을 것이다.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에서 슐레겔이 주목하는 또 다른 요소는 ‘파렉바제’이다. 파렉바제는 서사극적 구조 형식을 띠고 있다. 서사극은 20세기 여러 작가들 및 연출가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되었는데, 슐레겔에게 그것은 어떤 의미로 수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Im Zentrum dieser Arbeit steht die Aristophanes-Rezeption bei Friedrich Schlegel. In seinem Aufsatz Vom ästhetischen Werte der griechischen Komödie wurde Aristophanes nicht nur rehabilitiert, sondern gleich zum größten Komödienautor überhaupt erklärt. Hier entwickelt Schlegel eine Theorie der Komik, die ein deutliches Gegenmodell zum überkommenen Verlachkonzept der Aufklärung darstellt. Und er entwirft die alte griechische Komödie als eine Form des Karnevals. Das Lachen wird hier nicht mehr als eine soziale Strafe für einen Verspotteten aufgefasst, sondern in Form einer ‘reinen Freude’ vor allem als eine herausgehobene Erlebensform der Lachenenden selbst. Bei Aristophanes war die Parabase ein bestimmtes dramatisches Institut, gebunden an den Chor und seine Funktionen. Sie ist das, was die dramatische Illusion unterbricht, was den eptischen Grundsatz einer Vergegenständlichung des Bühnengeschehens einführt. Dies hielt Schlegel für wichtig, weil er darin eine Form der unendlichen Reflexion und Selbstaufhebung sah. Dadurch zeigt Schlegel eine neue Komödie eigener Art, die im Widerspruch gegen die Aufklärungskomödie steht. Für Schlegel geht es aber ganz allein um die Kunst und um ihre selbst erkämpfte Autonomi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하우프트만의 『외로운 사람들』에 나타난 자살 모티브

        김화임 ( Kim Hwa 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61 No.-

        서양문학에서 자살은 오래 전부터 중요한 모티브 중의 하나였다. 독일의 자연주의 작품에서도 자살이 빈번한 모티브로 등장하고 있다. 독일 자연주의의 대표적인 극작가에 속하는 하우프트만의 『외로운 사람들』에도 자살 모티브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인공 요하네스의 자살을 다각적인 차원에서 살펴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먼저 요하네스의 자살은 뒤르켐 의미의 ‘이기적’ 자살로 분류될 수 있다. 그는 가족, 친구 등 어떤 사회에도 통합되지 못한 ‘개인주의자’이다. 또한 그의 죽음은 정신분석학적 의미에서의 해석도 가능하다. 프로이트는 공격충동이 초자아에서 발원한다고 하였는데, 요하네스에게 아버지의 위상은 두드러진다. 더 나아가 요하네스는 경제적 문제를 해결해야 할 집안의 가장이다. 그런데 그는 그 문제를 회피하려고만 한다. 그러한 태도는 그가 그로 인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요하네스의 자살 동기는 현대인들의 그것과 비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In western literature, suicide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tives. Also, we can see frequent use of suicidal motives in the German’s naturalism works. Suicidal motive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 Lonesome people >> by Hauptmann, a representative playwriter of German naturalism. This paper focuses on describing multiple perspectives of suicidal motives of Johannes, the main character. First, the suicide by Johannes can be interpreted as Durkheim’s “egoistic” suicide. Second, his death can be categorized by Freud’s psychoanalysis. Third, the realistic problem, which is economical stress, influenced his suicide.

      • KCI등재

        자궁절제경술을 이용한 자궁내유착증의 치료 예후에 대한 임상고찰

        병원(Byong Won Kim),신성희(Sung Hee Shin),정석(Suk Jung),홍선웅(Sun Woong Hong),대화(Dae Hwa Kim),기광수(Kwang Soo Kee),임헌정(Hun Jung 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본원 불임클리닉에 불임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에, 자궁난관조영술상에서 비정상적인 자궁내막소견을 보인 자궁내유착증환자에게 자궁절제경술을 시행하여 이의 효과적인 치료결과와 자궁내유착증의 재발생 빈도 그리고 이의 예방법의 유용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45명의 자궁내유착증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이를 중앙부 유착, 변연부 유착, 그리고 다발성 유착으로 구분했으며, Storz사 제품의 26F Resectoscope를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하였고 재유착을 예방하기 위해서 자궁내 피임장치을 삽입하거나, 소아용 폴리카테타를 삽입하였으며, 자궁내막 상피화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Conjugated estrogen(Premarin) 5mg을 30-50일간 투여한후 medroxy progesterone acetate(Provera) 10mg을 10일간 투여하여 소퇴성출혈을 유발시킨후 자궁 난관촬영술을 시행하여 수술 전후의 자궁내 상태를 비교하였다. 결과: 계속적인 추적관찰이 이루어진 41명에서 자궁난관조영술상 수술전 병변이 소실된 경우가 21명, 개선된 경우가 12명, 큰 변화가 없거나 재발된 경우가 8명으로 81%의 높은 치료율을 보였다. 41명중에서 재유착의 예방을 위해서 소아용 폴리카테타를 삽입한 경우는 20명으로 이중 5명(25%) 에서 재발을 하였고, 자궁내 피임장치를 삽입한 경우는 21명으로 이중 3명(14%)에서 재발을 하였다. 추적관찰환자중 15명에서 임신이 되었고 이중 10명은 만삭분만을 하였고 3명이 초기 자연유산이 되었으며 1명은 자궁외임신으로 복강경하 난관절제술을 시행했으며 1명은 임신이 진행중이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볼때 자궁내유착증의 치료에 자궁절제경술이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되며, 수술 후 자궁내 재유착의 예방을 위해서 자궁내 피임장치를 삽입한 경우가 소아용 폴리카테타를 삽입한 경우에 비하여 재유착의 발생율이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으나, 향후 더욱 많은 예에 대한 연구와 면밀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s: From February 1995 to April 1998, those patients who had visited for evaluation of infertility, shown abnormal endometrial pattern on hysterosalpingography underwent resectoscopic operation. We evaluated about its therapeutic effect, recurrence rate of uterine adhesion and effectiveness of its assisted method. Method: We have reviewed 45 cases of intrauterine adhesion, classified as a central type, marginal type and multiple type. We used 26F resectoscope made in Storz for operation and inserted Lippes loop or pediatric foley catheter for prevention of readhesion. For promoting reepithelialization, conjugated estrogens(premarin) 5mg daily for 30 - 50 days were given and then 10mg of medroxyprogesterone acetate(provera) were added daily for the last 10 days. We evaluated the uterine cavity condition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by using hysterosalpingography. Result: In 45 cases, 41 cases were followed up postoperatively. 21 cases were markedly improved, 12 cases were improved and 8 cases were not improved or recurred on hysterosalpingography. In 41 cases, for prevention of readhesion 20 cases were used pediatric foley catheter and 5 cases(25%) were recurred. 21 cases were used Lippes loop and 3 cases(14%) were recurred. Pregnancy outcome was as follows;15 cases were pregnant and 10 cases delivered a viable infant, 3 cases aborted spontaneously, 1 case was ectopic pregnancy and laparoscopic salpingectomy was done, 1 case was ongoing pregnancy. Conclusion: This report suggests that resectoscopic operation is very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intrauterine adhesion(therapeutic rate of 81%) and that the use of Lippes loop seems like to have the less recurrence rate than the use of pediatric foley catheter in prevention of postoperative readhesion, but more experience and further follow-up are necessary to obtain more detailed conclusions.

      • KCI등재

        현대 예술 및 문화 : 문화경영의 "문화적 전환 cultural turn" -의미생산으로서 문화경영

        김화임 ( Hwa Im Kim ) 한국브레히트학회 2011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0 No.24

        In Deutschland ist das Kulturmanagement seit knapp zwei Jahrzehnten an den Hochschulen etabliert. Obgleich es im Vergleich zu England und den U.S.A spater begann, ist seine theoretische und praxisbezogene Entwicklung eigentumlich und schopferisch. Diese Arbeit richtet ihre Aufmerksamkeit auf den "Cultural Turn" des Kulturmanagements, das eine Richtung in den letzten Entwicklungen darstellt. Sie pladiert auf ein Verstandnis des Kulturmanagements, das sich von der Orientierung an betriebswirtschaftlich inspirierten Sichtweisen verabschiedet und die Dynamik der Kultur selbst scharft. Das Kulturmanagement in diesem Sinne versteht sich nicht mehr als bloße okonomische Steuerung, sondern als Fertigung in Fragen kultureller Bedeutungsproduktion. Ein wesentlicher Antrieb fur diese Ausrichtung ist der Leistung der Kulturwissenschaften zu verdanken. Besonders seit den neunziger Jahren erfuhr die Kulturphilosophie von Ernst Cassirer in Deutschland eine intensive Rezeption und ist eine Mode geworden. Diese Rezeption des Kulturbegriffs von Ernst Cassirer trug zu einer Neubestimmung des Kulturmanagements bei. Cassirer verstand Kultur als ein Ensemble von "aktiven Ausdrucksformen". Und seine Annahme, "Sinnerzeugung durch Symbolisierung", wurde als die Moglichkeit der Kultur aufgefasst, die Welt durch eine kulturelle Formgebung uberhaupt erst zum Gegenstand machen zu konnen. Im Sinne von Cassirer sind Symbolisierungen "Weisen und Richtungen der Objektivierung". Der "Cultural Turn" des Kulturmanagements geht von dem Kulturbegriff aus. Hier handelt es sich um ein Verstandnis, wonach Kultur nicht als Produkt, sondern als Produktion betrachtet wird. Darauf beziehend vertritt man die Meinung, dass es keine steuerbaren Kulturen gibt. Auch das Kulturmanagement muss den Aspekt symbolischer Gestaltung fur die kulturelle Bedeutungsproduktion beachten. Und die Aufgabe des Kulturmanagers liegt darin, kulturelle Bedeutungsproduktion optimal zu unterstutzen und zu vermittel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