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마늘 자생지의 임분구조와 식물종의 연관

        김혜진 ( Hye Jin Kim ),윤총원 ( Chung Weon Yun ),도은수 ( Eun Soo Doh ),장준복 ( Jun Pok Chang ),최명석 ( Myung Suk Choi ),양재경 ( Jae Kyung Yang ),박희권 ( Hee Kwon Park ),신학섭 ( Hak Sub Shin ),이서희 ( Seo Hui Lee ),배관호 ( 한국산림과학회 201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forest stand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population from the ecological analysis of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types, importance values, species diversity, interspecific association and community similarity in Ulleung Island and Mt. Hambaek, in which investigated by 48 plots (10 m×10 m). The vegetation studied was classified into 1 community group, 2communities, 2 groups and 3 subgroups for a species unit and divided by 5 units for a vegetation unit. In the Fagus engleriana group (vegetation unit 1, 2 and 3), importance value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herb layer showed relatively higher value than other units. Importance value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herb layer had higher value. In the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most of the species associated positively to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belonged to habitat features of valley area and sub-alpine zone.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the growing environment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population was closely correlated to soil moisture and air humidity.

      • KCI등재

        강화도 마니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특성

        신학섭 ( Hak Sub Shin ),신재권 ( Jae Kwon Shin ),김혜진 ( Hye Jin Kim ),한상학 ( Sang Hak Han ),이원희 ( Won Hee Lee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식생에 대한 기본 정보를 확인하고, 강화도 마니산에있는 산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산림식생의 계층구조와 관련된 식생학적 자료를 축적하는 데 있다. 샘플은 2010 년 8월에서 10월까지 수집된 32개소의 조사구에 대해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방법으로 식생군락을 구분하였고, 중요치 분석을 수행하였다. 식물사회학적 식생분석결과 산림식생은 여러 종들의 구분에 의해 2개 군락, 2개 군, 4개 소군으로 분류되었고, 복잡한 환경인자들에 의해 결정되어진 것으로 사료되는 식생유형은 총 5단위로 나타났다. 5개의 식생유형 중 식생단위1의 중요치는 소나무 54.31 (18.10%)로 나타났으며, 신갈나무 39.21 (13.07%), 식생단위2의 서어나무가 37.29 (12.43%), 신갈나무 89.43 (22.23%), 진달래 63,525 (14.43%)로 나타났다. 식생단위3에서 때죽나무의 중요치 53.97 (13.50%), 당단풍 33.60 (8.40%), 서어나무 26.48 (6.62%), 졸참나무 22.51 (5.64%)로 나타났으며, 식생단위4에서는 서어나무 47.70 (11.92%), 상수리나무 38.40 (9.60%)로 나타났고, 식생단위5의 쉬나무가 80.59 (20.14%), 아까시나무 35.00 (8.74%), 칡의 중요치가 28.63 (7.15%), 떡갈나무 28.20 (7.05)의 순으로 중요치가 나타났다. 이는 1997년 강화도의 기후와 산림생태계 현황(Lee, 1997)에서 온대중부림의 생태적 천이는 소나무에서 참나무류를 거쳐 서어나무류의 순서라는 학설이 거의 입증되었는데, 강화도 마니산의 산림식생은 천이발달의 중간단계로 보고한 바 있는데, 현재의 산림식생은 소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때죽나무군집, 서어나무군집, 쉬나무군집으로 분류되고, 각 식생단위에서 서어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인위적, 자연적 교란이 없는 한 서어나무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nish basic information for forest community ecology and to accumulate vegetational datum related to hierarchy of forest community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forest vegetation in Mt. Mani.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32 releves from August to October in 2010 using phytosociological analysis methodology of Z-M school and importance value analysi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that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5 units in total. Importance value at vegetation unit 1 indicated Pinus densiflora 54.31 (18.10%), Quercus mongolica 39.21 (13.07%), Carpinus coreana 37.29 (12.43%), at vegetation unit 2 Quercus mongolica 89.43 (22.23%), Rhododendron mucronulatum 57.75 (14.43%), Carpinus coreana 47.19(11.80%), at vegetation unit 3 Styrax japonica 53.97 (13.50%), Acer mono 33.60 (8.40%), Carpinus coreana 26.48 (6.62%), Quercus serrata 22.51 (5.64%), at vegetation unit 4 Carpinus coreana 47.70 (11.92%), Quercus acutissima 38.40 (9.60%) and at vegetation unit 5 Evodia daniellii 80.59 (20.14%), Robinia pseudoacacia 35.00 (8.74%), Pueraria thunbergiana 28.63 (7.15%), Quercus dentata 28.20 (7.05%) in the order,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의 식물상

        김혜진 ( Hye Jin Kim ),도은수 ( Eun Soo Doh ),장준복 ( Jun Pok Chang ),최명석 ( Myung Suk Choi ),양재경 ( Jae Kyung Yang ),조현제 ( Hyun Je Cho ),배관호 ( Kwan Ho Bae ),신학섭 ( Hak Sub Shin ),박희권 ( Hee Kwon Park ),이서희 ( Seo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의 소산 식물상을 밝히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총 4차례의 현지조사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3문 2강 32목 64과 142속 181종 2아종 30변종 1품종으로 총 214분류군(taxa)으로 파악되었다. 특정식물종 중 I등급 식물이 15과 16속 15종 2변종 17분류군, Ⅱ등급 식물이 13과 15속 14종 2변종 16분류군, Ⅲ등급 식물이 16과 19속 18종 2변종 20분류군, Ⅳ등급 식물이 20과 23속 19종 4변종 23분류군, Ⅴ등급 식물이 2과 2속 2종 2분류군으로 총 78분류군이었다. 희귀식물은 9과 11속 10종 2변종 12분류군이었으며, 특산식물은 17과 19속 18종 3변종의 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역 내 멸종위기식물은 출현하지 않았고, 귀화식물과 생태계교란식물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생태계가 안정되고, 생태적 위해성의 우려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에는 개다래, 층층나무, 만병초, 마가목 등 계곡성 및 고산성식물종이 주를 이루는 생육환경을 나타내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ra of habitats distributed with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populations in the South Korea.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4 times from March 2009 to June 2010. The flora of studied area was listed as 214 taxa; 64 families, 142 genus, 181 species, 2 subspecies, 30 varieties, 1 forma. According to the specific plant species by classes, class Ⅰ has 17 taxa; 15 families, 16 genus, 15 species, 2 varieties. Class Ⅱ has 16 taxa; 13 families, 16 genus, 15 species, 2 varieties. Class Ⅲ has 20 taxa; 16 families, 19 genus, 18 species, 2 varieties. Class Ⅲ has 20 taxa; 16 families, 19 genus, 18 species, 2 varieties. Class Ⅳ has 23 taxa; 20 families, 23 genus, 19 species, 4 varieties. Class Ⅴ has 2 taxa; 2 families, 2 genus, 2 species. Rare plant was 12 taxa; 9 families, 11 genus, 10 species, 2 varieties. Endemic plant was 21 taxa; 17 families, 19 genus, 18 species, 3 varieties. Endangered plant was not present in study area. It was considered that the ecosystem was probably stabilized for nothing of naturalized species and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there.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environments in the habitats with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we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valley species and subalpine species such as Actinidia polygama, Cornus controversa, Rhododendron brachycarpum and Sorbus commixta.

      • KCI등재
      • KCI등재

        남한지역 향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특성

        신재권 ( Jae Kwon Shin ),김혜진 ( Hye Jun Kim ),신학섭 ( Hak Sub Shin ),정재민 ( Jae Min Chung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산림과학회 201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2 No.4

        Juniperus chinensis forest were classified into 1 community group, 2 communities, 4 groups, 6 subgroups, and 7 vegetation units by phytosociological analysis(the method of ZM schools) with 79 vegetation data in south korea. By NMS analysis it appeared at first axis (13.8%) and second axis (69%) and comprehensive explanatory power was 31%. It was shown clearly in Donggang region, the East sea region and the Ulleungdo region. In INSPAN(Indicator species Analysis) of vegetation unit, 89 species were analyz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result of species diversity, evenness, dominance value, interspecific-competition and other related analyses for vegetation unit, the species diversity of vegetation unit 4 showed the lowest value 0.667, while the value of vegetation unit 6 showed the highest value 1.174. The dominance value of vegetation unit 7 showed the lowest value 0.163 and most vegetation units are on about 0.7, while the value of vegetation unit 1 showed highly above 0.8.

      • KCI등재

        Ⅰ분과 : 백두대간 조침령-신배령 구간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의 군락구조

        이하영 ( Ha Young Lee ),김혜진 ( Hye Jin Kim ),신학섭 ( Hak Sub Shin ),한상학 ( Sang Hak Han ),고승연 ( Seung Yeon Ko ),송주현 ( Ju Hyeon Song ),이중효 ( Jung Hyo Lee ),장경환 ( Kyung Hwan Jang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3

        백두대간 조침령-신배령 구간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영구조사구(100 m × 100 m)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총 50개소의 산림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Z-M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식생유형 분류를 수행하였던바,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이 분류되었으며, 군락단위에서는 물푸레나무군락과까치박달군락으로 세분되었다. 물푸레나무군락은 군단위에서 소나무군과 가래나무군으로 나누어지며, 소나무군은 다시 회나무소군과 머루소군으로 분류되었고, 까치박달군락은 시닥나무군과 사스래나무군으로 각각 세분되어, 총 5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식생단위별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중요치가 2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소나무가 신갈나무보다 상대피도가 50%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간연관 분석결과 크게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이는 식생단위의 식별종 및 표징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소나무림의 흉고직경급별 개체 분포에서 중간직경급에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정규분포를 나타낸 소나무와 이를 제외한 다른 수종은직경이 커질수록 개체수가 감소하는 역 J자형의 분포유형을 나타내어 소나무림에서 신갈나무림으로 교체될 가능성이 크다 판단된다. 반면 신갈나무림에서는 신갈나무를 포함한 다른 수종 모두 역 J자형의 분포유형을 나타내어 신갈나무림은 당분간 안정된 상태로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vegetation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forests located in Jochimryeong to Shinbaeryeong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The survey for 50 plotswas conducted from April 2012 to August 2013 in the permanent plots (100 m × 100 m) using phytosociologicalanalysis. As a result, the vegetations were classified into five vegetation units. In species composition, they wereclassified into Q. mongolica community group divided into 2 community such as Fraxinus rhynchophyllacommunity and Carpinus cordata community, F. rhynchophylla community was subdivided Pinus densiflorgroup (into Euonymus sachalinensis subgroup, Vitis coignetiae subgroup) and Juglans mandshurica group. C.cordata community was subdivided Acer komarovii group and Betula ermanii group. In terms of importancevalue, P. densiflora and Q. mongolica were more than 20% respectively. P. densiflora was found to have thehighest relative coverage.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showed four types which were coincident withdifferential species and character species on the constancy table. Based on the diameter class distribution, P.densiflora forest presented a normal distribution pattern except for other species which showed a reverse Jshapeddistribution pattern, therefore P. densiflora forest would likely be replaced by Q. mongolica forests.While in Q. mongolica forest, diameter class distribution of all species population presented a reverse J-shapeddistribution pattern, therefore Q. mongolica forest could likely remain in the future.

      • 지리산 가문비나무 임분의 식생유형 분류

        한상학,윤충원 ( Chung Weon Yun ),한심희,신학섭 ( Hak Sub Shin ),김혜진 ( Hye Jin Kim ),송주현,이하영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지리산 가문비나무 임분의 산림식생유형분류를 위하여 지리산 가문비나무 자생지 일대 61개소의 산림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한 결과, 6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군락단위에서 가문비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가문비나무군락은 군단위에서 돌양지꽃군과 나도옥잠화군, 부게꽃나무군, 가문비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은 노각나무군, 신갈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었다. 평균상대우점치의 분석결과 가문비나무(27.58), 구상나무(16.32), 신갈나무(9.84), 잣나무(7.62), 사스래나무(7.56), 당단풍(5.07), 마가목(4.88), 철쭉(4.63), 시닥나무(4.37)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고산 침엽수종인 구상나무, 잣나무가 다소 높았으며, 활엽수종 중에서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았고 사스래나무, 당단풍나무, 마가목 등의 순으로 높았다. In this study, for the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of the Picea jezoensis stand in Mt. Jirisan, the type classification of the vegetation structure was performed with Z-M phytosociological method , and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into the Picea jezoensis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n the community unity. The Picea jezoensis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the Potentilla dickinsii group, the Clintonia udensis group and the Acer ukurunduense group in the group unit and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the Stewartia pseudocamellia group. In the result of estimating the importance value based on the classified vegetation unity, it was deemed that the dominance was Picea jezoensis(27.85), Abies koreana(16.32), Quercus mongolica(9.84), Pinus koraiensis(7.62), Betula ermanii (7.56), Acer pseudosieboldianum(5.07), Sorbus commixta(4.88),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4.63), Acer komarovii (4.3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