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스에 나타난 여성스포츠선수 관련 이슈의 변화: 키워드네트워크 활용

        조은혜 ( Eunhye Jo ),김수연 ( Suyeon Kim ),김혜진 ( Hyeoi Jin Kim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1 스포츠사이언스 Vol.39 No.2

        이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여성스포츠선수와 관련된 뉴스기사 키워드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20년간 일어난 이슈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21년까지 보도된 2,550개의 뉴스를 수집하여 2001년부터 2005년까지를 1구간, 2006년부터 2010년까지를 2구간, 2011년부터 2015년까지를 3구간, 2016년부터 2021년까지를 4구간으로 구분한 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자료처리는 Ms-Excel과 Netminer 4.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키워드들의 빈도분석, 연결중앙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여성스포츠선수 관련 주요 키워드로는‘여성’, ‘여성스포츠선수’, ‘김연아’, ‘마리아샤라포바’, ‘노는언니’ 등으로 나타났다. 시계열적 관점에서 분석한 여성스포츠선수에 대한 뉴스 이슈의 변화에서는 뉴스의 수가 증가하였다는 것 외 내용에서 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내에서 중복적으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스포츠선수‘미쉘위’, ‘소렌스탐’, ‘세레나윌리엄스’, ‘김연아’ 선수의 연봉, 영향력 있는 선수 선정, 수상 등에 대한 뉴스가 다수 보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김연아’ 선수를 중심으로 한 ‘패션’, ‘드레스’, ‘화제’, ‘광고’ 또는 여성스포츠선수가 출연하는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노는언니’, ‘예능’, ‘박세리’, ‘한유미’, ‘노는브로’등 스타성에 대한 내용의 기사가 보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여성스포츠선수와 관련된 기사들의 키워드가 경기결과 보다는 스타성, 인기종목에 한정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ane and Maxwell의 연구결과가 언론에 영향을 미쳤듯이 이 연구의 결과 또한 언론에서 보도되고 있는 여성스포츠선수들에 대한 뉴스 키워드를 변화시키길 기대해본다. This study aims to utilize keyword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the news article keywords related to female sports players and confirm changes in issues through them. To this study, 2,550 news reports were collected from 2001 to 2021.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arried out after dividing four sections: section 1 (2001-2005), section 2 (2006-2010), section 3 (2011-2015), and section 4 (2016-2021). Data processing utilized Ms-Excel and Netminer 4.2 programs to analyze the frequency of keyword and degree centralit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Essential keywords related to female sports players include ‘female', ‘female sports players', ‘Yuna Kim', ‘Maria Sharapova', and ‘playful sister'. The change in news issues for female sports players analyzed from a time-series perspective showed no change in content other than the increase in the news. Identical results within keyword network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any news reports on female sports players ‘Michelle Wie West’, ‘Annika Sorenstam’, ‘Serena Williams’ and ‘Yuna Kim’ their annual salary, selection of influential players, and awards are reported. Second, articles on star quality such as ‘Fashion', ‘Dress', ‘Talent', ‘Advertising' or entertainment programs featuring female sports players, such as ‘playful sister', ‘Entertainment', ‘Pak Se-ri', ‘Han Yumi' and ‘playful bro' are reporte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keywords of articles related to female sports players are limited to sports stars and popularity rather than match results.

      • KCI등재

        노인에서 DXA 단주파수 사지분절 생체전기저항법의 사지근육량의 추정식 개발

        김혜진 (Hyeoi-Jin KIM),김철현(Chul-Hyun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노인에서 DXA를 준거로 하여 생체전기저항법의 사지근육량 추정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노인 189명 (70~94세)을 대상으로 DXA에서 사지근육량을 측정하였고, 사지근육량의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해 단주파수사지분절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하여 50kHz 생제전기저항 변인을 측정하였다. 추정식 개발을 위해 내적 교차타당도 절차에 따라서, 총대상자 186명을 추정식개발군 162명, 교차타당도 검사군 66명을 나누어, 회귀식 개발 탐색과 타당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개발단계의 추정식에서 결정계수는 91.4%, 추정오차는 1.13kg ASM, 오차변이 6.4%, 다중공선성은 2.50~4.79였다. 교차타당도에서 추정 사지근육량(17.4±3.47kg)은 측정 사지근육량(17.3±3.58kg)과 차이가 없었으며(p = .388), 이때 결정계수 92.%, 총오차 1.02kg ASM, 오차변이 6.0, 잔차 대 평균사지근육량의 상관도는 유의하지 않았다(p = 0.085). 또한 개별오차는 85.7%였다. 이 결과 최종 추정식은 ASM = 0.345H²/R–2.431sex+0.079W+1.717; R²=0.914, SEE = 1.09kg, CV = 6.0%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BIA를 기반한 사지근육량을 추정하는 공식을 타당하게 개발하였으며, 이 공식이 한국의 노인에게 적용할 때, 집단대상과 함께 개인별 측정 분야에 적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50kHz-segmental-BIA-based prediction equation for estimating the appendicular muscle mass comparable to DXA in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of this study, the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was measured by DXA for 189 elderly people (70-94 years old), and a 50kHz bioimpedance parameters (R, Xc, Z, R index, Z index)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internal cross-validation procedure, the total of 186 subjects were divided into 162 estimation equation development groups and 66 cross-validation testing groups, and regression development exploration and feasi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In the estimation equation at the development stag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91.4%, the estimated standard error was 1.13kg ASM, confidence variation was 6.4%, and VIF was 2.50 ~ 4.79. The estimated appendicular muscle mass (17.4±3.47kg) in cross-validity study was not different from the measured appendicular muscle mass (17.3±3.58kg) (p = .388), wher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92.4%, total error 1.02kg ASM, confidence variation 6.0. The correlation between residual and mean appendicular muscle mass was not significant (p = .085). Also, the individual error was 85.7%. As a result, the final estimation equation is ASM = 0.345H²/R – 2.431sex + 0.079W + 1.717; R² = 0.914, SEE = 1.09kg, CV = 6.0%. In conclusion, an equation for estimating the BIA-base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was developed appropriately, and when this equation is applied to the elderly in Korea,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be applied to individual measurement fields as well as population measures.

      • KCI등재

        SPA에 의한 신체활동 에너지소비량 평가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

        김혜진(Hyeoi Jin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2 No.3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심혈관계 질환 및 비만을 예방하는 등 건강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신체활동 에너지소비량을 추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자기보고법에 의한 신체활동 측정이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자기보고법이 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이유는 Ainsworth 등(2000)에 의해 신체활동목록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y)이 개발되면서 에너지소비량 계산이 용이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신체활동목록은 605개의 방대한 활동내용에 대한 MET 값이 제시되어 있지만 정확하게 에너지소비량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신체활동내용을 단위별(앉아있기, 노래하기, 걷기)로 기억해야하기 때문에 피험자의 인지적인 문제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김혜진(2008)은 기억에 대한 인지적인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의 신체활동목록을 수정하여 장소와 목적별로 에너지소비량을 추정하는 신체활동목록(SPA)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혜진(2008)에 의해 개발된 신체활동내용 조합(SPA) 목록을 기초로 컴퓨터에 의한 자료입력과 출력(에너지소비량 계산)을 자동화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장소별 신체활동 목록(SPA)은 중학생의 평상시 활동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장소와 장소에 노출된 목적으로 구분되어 있다. 신체활동장소는 집, 학교, 학원, 밖, 기타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장소에 노출되는 목적이 전체 32개로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신체활동목록은 자기보고법에 의한 신체활동 측정시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신체활동 연구, 운동처방 등 다양한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를 기반으로 자동화된 프로그램은 다양한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활동 내용 입력의 오류를 줄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비용 측면에서도 효율성이 높다. 또한 컴퓨터에 입력된 자료는 에너지소비량을 비롯해 다양한 분석을 언제든지 빠르게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ADSPA 프로그램은 기본정보와 신체활동 장소를 입력하는 입력창 2개와 신장, 체중을 활용한 BMI 판정결과와 장소별 에너지소비량을 나타낸 기본결과와 장소별, 목적별로 에너지소비량을 나타낸 결과보기 창, 그리고 지난 일주일간의 에너지소비량을 보여주는 요일별 결과보기 창 3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신체활동 에너지소비량을 평가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후속연구를 통해 인터넷이나 GPS, GIS 등을 활용한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Obesity and physical inactivity are two health issues affecting young people. Reference data for physical activity level and activity-related energy expenditure are need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activity on childhood health, growth, and development. Self-report recall questionnaires used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expenditure. The introduction of Ainsworth`s physical activity compendium for energy expenditure has led to the practical use of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physical activity in field. However, this compendium that is composed of 605 items of METs for physical activities requires recoding physical activities by units such as sitting, singing, and walking. Because of its sophisticated units of physical activity, It fails to report participant`s recognition.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sophisticated unit recognition, this study developed SPA which estimate physical activity by locations and working patter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computerized energy expenditure automatic scoring program (Activity Diary using Set of Physical Activity: ADSPA) for assessing physical activity records. The ADSPA program may reduce the labor-intensive scoring for data analyses and shorten the amount of researcher`s time and effort. Also ADSPA program will be successfully used as a major research tool for physical activity research to large population in an effective manner.

      • KCI등재

        체성분도표를 이용한 남자 엘리트 운동선수와 성인의 체구성과 체질량지수의 위계적 차이

        김혜진(Hyeoi Jin Kim),김철현(Chul Hyun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2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4 No.2

        비만과 관련된 연구나 현장에서는 체지방 측정을 대신하여 체질량지수(BMI)가 지방을 나타내는 지수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체질량지수는 체지방뿐만 아니라 제지방과도 비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성분 도표를 활용하여 신체활동 수준이 다른 성인들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성분 분포를 확인하고 체성분 도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23세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일반성인 184명과 선수경력이 6년이상인 운동선수 144명, 전체 328명의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체질량지수를 얻었으며, DXA(dual X-ray energy absorbtiometry)를 이용하여 체지방, 제지방 등의 신체구성 성분을 측정하였다. 집단간 신체구성의 차이는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체성분도표의 두 집단에 대한 체지방률의 분포에 대한 차이는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한 연령의 두 집단에 대한 인체계측과 신체구성에 대한 결과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인은 동일한 연령대의 운동선수 보다 체질량지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나, 실제 지방량을 나타내는 변인인 체지방량(FM), 체지방지수(FMI), 그리고 체지방률(PBF)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p<0.01). 또한 체질량지수를 동등하게 한 후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체성분을 분석한 결과에서 체지방률, 체지방,제지방, 체지방지수, 제지방지수 모두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신체구성 도표에서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체지방지수, 제질량지수의 분포를 탐색적으로 유용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The quantitative fat mass (FM), fat-free mass (FFM) and percent body fat (PBF) have been separately used for body composition status, although the optimal physical performance of athletes needs not only an amount of FM and PBF but also an amount of FFM. Profiles of body composition for elite athletes have not been discussed. To show body components visually as a quantitative measure, a chart based on the fat-free mass index (FFMI, FFM/height square) and fat mass index (FMI; FM/height square) can be appli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body composition profiles with physical training and sport event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address visual profiles athlete`s body composition on a graphical chart called the body composition chart. A sample of 328 subjects (144 elite athletes, 184 control) aged 18 - 39 years was studied to determine body composition by DXA. Among the body components, FFMI and FMI were put on an x- and y-axis in a body composition chart, where FMI, FFMI, PBF, and BMI (= FMI + FFMI) were visually analyzed together.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thletes and male controls in FFM, FM, FFMI, FMI, and BMI (p<0.001) even though the body weight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like (p=0.562). All of the body components of athletes were different from them of controls (p<0.01). In the body composition chart, body components were separately distributed by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e migration of body components from athletes and age-sex-BMI-matched controls can be expressed distinguishing all body components including FFMI, FMI, and PBF vividly and quantita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e distribution of FFM and FM are characteristically delineated on the body composition chart, demonstrating clear exercise-induced body-component differences. The body composition chart can vividly evaluate the profiles of body composition for elite athletes.

      • KCI등재

        남녀 아동의 성장기별 생체전기임피던스벡터와 위상각 분포

        김혜진(Hyeoi Jin Kim),김철현(Chul Hyun Kim),정소정(So Chung Chu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2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4 No.1

        이 연구는 소아청소년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위상각과 생체전기임피던스벡터의 수준과 위치를 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위상각과 생체전기임피던스벡터가 소아청소년의 성장수준과 성별에 따른 신체구성 및 체형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만 6세에서 14세의 건강한 소아청소년 1,270명을 동원하여 신체계측과 생체전기저항법을 측정하여 인체저항과 리액턴스를 측정하였으며, 임피던스 및 위상각과 그래프 상에 임피던스벡터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BMI분포 중 67백분위 이상에 대한 임피던스벡터는 유의하게 최좌측 좌표에 분포하였고, BMI 33백분위수 이하는 임피던스벡터의 포물선이 최우측 좌표에 위치하였다. 이와 동시에 위상각은 BMI의 증가와 함께 유의하게 증가했다. 성장기에 따른 여아와 남아의 임피던스 벡터와 위상각은 6~8세에서는 남·여 간의 유사하게 나타났고, 9~11세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좌측에 위치하였으며, 12~14세에서 여아의 임피던스벡터는 남아보다 좌측 좌표에 위치하였다. 이때, 위상각은 6~8세에서 남아가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가졌고 연령이 증가한 9~11세에서 보다 증가하였으며, 12~14세에서 여아와 남아 간의 수준은 유사한 수준으로 회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BIVA와 위상각은 성장에 의한 체형과 체세포의 증가를 구분하여 소아청소년의 신체구성을 평가 할 수 있었다.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gives resistance (R) and reactance (Xc). R and Xc normalized by body height (H) can be plotted as a bivariate vector (R/H versus Xc/H). R and Xc can also give phase angle. Vector BIA and phase angle is useful for studying the determinants of body composi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ge or growth of children on BIA results including R, Xc, Z, and phase angle and its relevance to body-composition analysis in a large database of impedance vector distribution stratified by age, sex, and body mass index (BMI) for identifying the possibility to use BIVA and phase angle for children`s growth curve. We recruited 1,279 children aged 6 to 14. First, these children were divided by three groups according to BMI tertile value. Impedance vectors and phase angle were analyzed based on three BMI groups. These children were also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6-8year group, 9-11year goup, 12-14year group). Impedance vectors and phase angle were analyzed based on three age groups by sex. As results, the impedance vector distribution pattern was influenced by sex, BMI, and age, with shoter vectors in males than females (p<0.001) and shorter vectors with increasing BMI (p<0.001). Phase angle grad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BMI (p<0.001). However, phase angle were larger in men than in women until 11 years old. Phase angle in female aged 12 to 14 years become similar to that in male aged 12 to 14 ye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edance parametes, BIVA, and phase angle can predict children`s growth and body composition. We could recommend that BIVA pattern can be developed for growth curve of children and adolescent.

      • KCI등재

        장소별 신체활동내용조합(SPA) 목록 활용을 위한 타당도 증거

        김혜진(Hyeoi Jin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09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는 김혜진(2008)에 의해 개발된 신체활동내용조합(SPA) 목록의 후속 연구로써 장소별 신체활동 목록(SPA)의 타당도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중학교 학생, 남자 13명(체중: 50.38±7.96, 신장: 160.98±7.50), 여자 17명(체중: 53.41±8.35, 신장: 160.10±5.26), 전체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체활동 에너지소비량을 측정하기 위해 하루 동안(아침 8시 30분부터 다음날 아침 8시 30분까지) 동작가속도계(Armband, AMP)를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각각 활동을 단위별로 매 활동시마다 기록(record)하도록 하였다. 다음 날 아침 동작가속도계를 회수한 후 활동별 회상(recall)방법과 장소별 회상방법에 의해 신체활동 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검사내용에 기초한 타당도 근거, 반응과정에 근거한 타당도 근거, 다른 변수에 근거한 타당도 근거 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통계패키지 프로그램 SPSS 14.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유의도 수준은 a=.05에 설정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신체활동 장소별 목록의 내용에 기초한 타당도 근거는 이원분류표를 제작해 전문가들의 판단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분석결과 목록은 신체활동 장소와 목적, 내용 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소별 회상(신체활동 장소별 목록)을 통한 피험자들의 반응은 신체활동 기록에 의한 반응과 비슷한 수준으로, 신체활동 내용에 대한 반응이 80%이상 일치하며, 전문가들에 의해 반응과정이 타당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장소별 회상(신체활동 장소별 목록)과 회상, 동작가속도계(AMP, ARM) 간의 관계를 규명한 수렴타당도는 중간정도로, 각 방법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각 방법간의 에너지소비량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준거방법인 기록과 장소별 회상(신체활동 장소별 목록) 방법의 공인타당도는 매우 높게 나타나, 신체활동 장소별 목록을 이용해 신체활동 에너지소비량을 추정하는 것은 매우 타당한 방법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개발된 장소별 신체활동 목록은 청소년들의 주말이나 휴일 등의 모든 신체활동 내용을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추후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을 폭넓게 반영할 수 있는 장소와 활동내용별 MET 값이 계속해서 추가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alidate physical activity compendium for set of physical activity place develop to Kim(2008). Site-specific activities were utilized for development of a recall questionnaire and validated by accelerometer from 30 middle school children (13 males and 17 fe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The contents validity of compendium of energy expenditure on site-specific physical activity was analyzed by expert`s logical theory. The contents of compendium included site, purpose, patterns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ese were considered valuable. The convergent evidence that explore association between recall of site-specific physical activity, time-course physical activity, and accelerometer is degree of middle. These method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mean values between the three methods. Considering concurrent validity acceptable, utilizing energy expenditure from site-specific physical activity could be useful and informative.

      • KCI등재

        정량적 지표기반 핸드볼 경기수행의 승패 평가모형

        김혜진(Hyeoi Jin Kim),박종률(Jong Lyoul Park),박재현(Jea Hyeon Park),조은희(Eun Hee Cho)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정량적 지표를 이용하여 핸드볼 경기수행의 승패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핸드볼 경기에서 기록되는 일차 기록을 가공하여 득점력, 공격력(속공과 지공), 수비력, 골키퍼 방어력 등의 이차 기록을 개발하여 핸드볼 경기수행의 승패에 따른 경기내용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내용은 ``팀 평가지표``, ``개인 평가지표`` 그리고 ``골키퍼관련 지표``를 정의하고, 정의된 각 지표들의 핸드볼 경기에 적용하여 승패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과정은 두 개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단계는 핸드볼 경기지표를 정의하고 일차 지표와 이차 지표를 구분하였고, 이 과정에서 5명의 핸드볼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완전합의 방법으로 경기의 주요 지표를 탐색하였다. 내용타당도와 구인타당도의 확인과정을 통하여 개발된 경기지표가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이 연구에서 개발된 핸드볼 경기관련 지표를 실제 경기자료에 적용하여 경기수행의 승패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1년과 2012년에 수행된 핸드볼코리아리그 원자료를 기준으로하여 경기수행의 승패에 따른 핸드볼 정량적 지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의사결정균형나무 분석을 적용하였으며 CHAID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axmum tree depth는 3으로 설정하였고 최소 사례수는 parent 노드에서 5 그리고 child 노드에서 2로 설정하였다. splitting과 merging의 유의도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결론적으로 핸드볼 경기에서 승리를 위한 최적의 모형은 방어율이 35.29% 이상이면서 득점성공률이 56.40% 이상이면 91.11%, 위치별 가중방어 실점 균형지수가 12.6% 이상인 경우에는 100% 승리한다. 반대로 골키퍼 방어률이 23.5% 이하인 경우 100% 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quantitative-index evaluation model for handball performance. Especially this study provides the handball-player evaluation scales and team evaluation scales with goal score, offensive capacity (fast break, slow break), defensive capacity, goalkeeper defense from composing the raw data of handball activities during the game.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index evaluation standards was composed of two phases. The first phase was to define the handball performance that can classify the first index and the second index by exploring the primary indices on handball game activities with consultation of handball experts and measurement experts. At the second phase, performed the application of the quantitative-performance indices to the 2011-2012 Korea Handball Championship and set the norm reference standards on handball-performance indices. Through the quantitative-performance indices, answer tree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outcome of game. In conclusion, the fittest model of winning in handball game was the composition of 35.29% of the goalkeeper defense rate with 56.40% of the goal success rate implying the absolute winn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교 신체활동 환경지표에 따른 평가기준의 타당도

        김혜진(Hyeoi Jin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5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김혜진(2013)에 의해 개발된 ‘청소년의 신체활동 환경평가를 위한 학교환경 지표’를 활용하여 중학교의 신체활동 환경을 측정하고 학교환경에 따른 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지표별 가중치를 근거로 학교별 신체활동환경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둘째, 신체활동 환경점수에 따른 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1개 중학교 226명(남학생 104명, 여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환경점수와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다. 환경지표를 점수화하기 위해 확장된 Angoff방법(전문가 5인)에 의해 0-3점으로 등급을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기준을 바탕으로 지표별 배점을 산출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SPSS 21.0을 이용하여 신체활동 환경 등급에 따른 신체활동량의 차이(일원변량분석)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지표별 배점은 0.5-15.2점으로 ‘신체활동프로그램’ 영역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여부’ 지표가 가장 낮은 점수를 가지며, 가장 점수가 높은 지표는 ‘학교체육시설’ 영역의 ‘체육관 시설 여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학교별 환경 영역에서는 체육교사영역이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고 있으며, 체육시설의 점수가 가장 낮다. 셋째, 환경 등급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신체활동프로그램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영역에서 성별에 따라 신체활동량은 차이가 있다. 결론적으로 학교환경 지표를 활용해 학교별 신체활동 환경을 평가한다면 학교현장의 신체활동 환경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proceeded as a follow-up study of “Development of PA indexes based on school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s for adolescents” by Kim(2012).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physical activity through using developed physical activity indexes.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study, First, as the basis for weighting of indexes, score was calculated. Second, Students`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scoring Third, we checked school environment factor, which influences students` physical activity most. To do this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for three days including P.E classes by using pedometer. We didn`t classify schools by regions but grading of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score of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 showed a big difference between schools from 48 to 90, the average is 68.4. Average of factor was sports facility 23.03, P.E teacher 25.10, education curriculum 8.62, sports club 3.54, physical activity program 3.36, sports support 4.73. These scores were converted into 100, divided grade, assessed qualitatively. Though P.E teacher index was assessed “excellent”, Sports club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 were assessed “weakness” Also, the results of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showed that boys in “excellent, normal” school represents significantly higher than “weakness” students statistically. It was proved that girls in “normal” school are higher than “excellent” school. However, It showed little difference than boys. Through this, it will be helpful to know the environment of physical activity in schools, finally to find ways to improve students`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 KCI등재후보

        신체활동 장소별 활동내용조합(SPA)에 근거한 신체활동목록 개발

        김혜진(Hyeoi Jin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08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0 No.2

        이 연구는 자기기입에 기초한 기록(records)을 통해 일일 활동을 녹음한 후 활동 장소에 따른 목적별 신체활동 목록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 중학생(남자 29명, 여자 30명, 전체 59명)들로 선정하였으며, 활동단위별 (앉아있기, 서있기, 공부하기, 운동 등)1일 녹음(기록)을 이용하여 신체활동 장소별 목록을 개발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장소와 목적별로 활동내용을 구분하여 정리하였으며,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장소별 에너지소비량과 조합된 METs 값 등을 계산하였다. 또한 중학생의 신체활동 에너지소비량(장소별)을 추정하기 위해 통계패키지 프로그램 SPSS 1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중학생의 에너지소비량이 가장 많은 장소는 학교이며 가장 적은 장소는 기타 장소이다. 신체활동 장소, `학교`에서는 이론수업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만 운동장에서 놀기가 에너지소비량이 가장 높다. 또한 `밖`에서는 운동에 가장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한다. 따라서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것보다는 짧은 시간이라도 많은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도록 조장하여야 한다. 또한 기존 신체활동 목록의 MET를 이용한 에너지소비량과 새로운 신체활동 장소별 목록의 MET를 이용한 에너지 소비량은 차이가 없으며,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신체활동 장소별 목록을 사용해 중학생의 에너지소비량을 추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Reference data for physical activity level and activity-related energy expenditure are need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activity on childhood health, growth, and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energy expenditure based on site-specific physical activities by gender, day, time of day, and days of week wit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 middle school children and validate this questionnaire. observation studies were conducted by self-cassette-recoding during one week from 59 middle school children (29 males and 30 females) and data were divided into site-specific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energy expenditure of middle school children at school was highest among all sites, and at other place (shopping center, restaurant) lowest. After school children spent the most time of day to study. This physical activity, however, lead in lower energy expenditure per time. Meanwhile, spending the time to health care was higher energy expenditure per time. In school, playing on the class of physical education was the highest source of energy expenditure per time, even though the duration of playing on the ground was lower. The new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y based on sites was compatible with the classic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y, leading into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This fact suggested assessment of the site-specific physical activity for energy expenditure is us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