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협동학습의 원리와 수업적응방안

        김향지 한국발달장애학회 2001 발달장애연구 Vol.5 No.1

        There exist a number of difficulti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involved in regular classrooms to participate i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performing the cumcular goal. it is necessary for them to be accepted in that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as agroup member rather than to be neglected or pushed out from the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will understan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cooperative learning for the inclusiv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and prepare an instruction and adaptation plan with its additional considerations which help those children perform their responsibilities and roles i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of cooperative learning in inclusive education are defined as Cooperative leaming(CL) is good for all students; CL is part of comprehensive school reform; and means teachers' belief in cooperation. Second, the principles of cooperative leaning for inclus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defined as CL means establishing a cooperative classroom ethic; CL facilitates teaching meaningful content; CL depends on supportive heterogeneous group; CL requires structures that ensur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ll students; and CL provides opportunities for ongoing evaluation.The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conclusion are as follows.First, for successful results of cooperative learn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it requires an environment created in classrooms, schools and our whole society which allows natural accep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they are with their diversityand difference. Second, for a successful cooperative learning pla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nstruction adaptation of them, it needs cooperation between general teacher s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eferably, instruction of assistant teacher system shouldbe considered. Third, there should be future follow-up studies about the cooperative learning practices in our education scene. 일반학급에서 발달장애아동이 협동학습에 참여하여 교과과정상의 목표를 수행하는 경우, 장애아동들이 소외되거나 밀려나는 존재가 아닌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당당히 활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을 위한 협동학습의 신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장애아동들이 자신의 책임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업계획과 적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서 협동학습의 신념은, 모든 학생에게 이로운 것이며, 포괄적인 학교개건의 부분이며, 교사들의 헙력에 의한다는 믿음이다. 둘째,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을 위한 협동학습의 원리는, 협동적인 교실 윤리가 수립되어야하고, 유의미 학습을 촉진하며. 지원적인 이질집단으로 구성되며, 모든 학생들의 참여 활동이 보장되고, 진보에 의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결론에 따른 제언으로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협동학습이 성공하려면, 우리사회, 학교, 교실에서장애아동에 판한 다양성과 이질성이 있는 그대로 존중되는 풍토의 조성이 필요하며, 협동학습의 계획과 수업 적응을 위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과 보조교사제도의 도입도 적극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 협동학습 실제에 대한 실증적인 후속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아동 교육의 심리사회적 접근

        김향지 한국발달장애학회 2009 발달장애연구 Vol.13 No.2

        이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교육에 있어서 심리사회적 접근을 살펴봄으로써 장애아동 교육에 대한 이해의 관점을 넓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장애아동의 심리사회적 접근을 개인적 측면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탐색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장애 반응 과정에 대한 이해와 그를 다루기 위한 다양한 영역과 전문가의 투입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장애아동이 주류화 된 삶에서 차별 없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우리 사회의 지원시스템 즉, 교육, 상담, 의학 등의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계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는 그가 생활하고 있는 사회 환경의 맥락적 관점에서 고려하는 생태학적인 접근이 시사 하는 바가 크다. 최근 우리사회의 변화 가운데 하나로 다양한 문화를 가진 장애아동이 증가 하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특수교육은 문화와 언어적 배경의 다양성에서 온 특수아동을 위한 특별한 수정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술치료 연구」에 게재된 장애아동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고찰

        김향지,이근매 한국미술치료학회 2008 美術治療硏究 Vol.15 No.1

        In this study, among the theses appeared from 1994 to 2006 when ‘Korean Journal Art Therapy’, for the 69 theses related to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rough analysis about study contents and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ways of the study of the art therapy for special needs children. The conclusion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ported trend of the study according to each year of publication, the average publishing rate from 1994 to 2006 is 25%. Second, in the trend by study subject related to each year of publication, there were the most studies related to behavior problems, emotion and psychological areas of the children, and the studies related to systems, policies, recognition and perception appeared low. This result is considered giving the help finding effectiveness of the art therapy about the special needs children, it requires constant seeking for study activities of wide range. Third, if we see the trend of the children for the study according to each year of publication, it showed that the study related to the special needs children who have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emotion and behavior occupied 66%. This result is assumed that its application about the special needs children in sensitivity is not easy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the area, the art. Fourth, if we see the trend of study patterns according to each year of publication, case studies occupy 63% of the whole study. This is thought as needing various attempts by study patterns applying art activities in the study related to the special needs children later on. 본 연구는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 학술지인 ‘미술치료 연구’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1994〜2006년까지 장애아동 관련 69편의 논문들을 양적 분석을 통하여 장애아동 미술치료 연구의 발전적 방향과 질적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연도별 게재율,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대한 동향을 빈도, 백분율에 의한 기술적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에 따른 게재 동향은 평균 게재율이 25%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연도별 연구주제의 동향은 아동의 행동문제와 정서 및 심리영역 관련 연구들이 가장 많았고, 제도 및 정책, 인식 및 지각 관련 연구는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장애아동 미술치료에 대한 접근의 효율성을 찾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연구주제의 다양화에 대한 필요성을 의미한다. 셋째, 연도별 연구대상아동의 동향을 보면 지적 및 정서‧행동발달 장애아동 관련 연구가 66%로 나타났다. 이것은 미술이라는 분야의 특성 상 감각장애아동에 대한 적용이 쉽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연도별 연구유형의 동향을 보면 사례연구가 전체 연구의 63%를 차지한다. 이것은 추후 장애아동 관련 연구에서 미술활동을 적용한 연구유형 및 설계의 다양화된 시도가 있어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대상자 선정·배치 현황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담교사의 인식과 개선 요구

        김향지 한국발달장애학회 2019 발달장애연구 Vol.23 No.3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and comprehensive issues in current process of selec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through interviews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the relevant field and aims to establish improvement measures for effective support. The major questions of the study are: First, How do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dicated to selec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perceive their role and work environment?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about job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dicated to selec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nd, Third, what are the demands for improve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dicated to selec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dicated to selec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took their job without any preparation and are confused whether they are teachers or administrators due to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 Second, despite the fact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dicated to selec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re unsupported and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lack of professionality, confusion from inadequate regulation related to the disabled, improper test environment, and absence of a system, they feel their job is a worthwhile experience.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dicated to selec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put forth their demands including better labor conditions for teachers to enhance qualitative efficiency of their work, expanded training opportunities to develop professionality, one-stop system collaboratively supported by diverse areas, and expanded eligibility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to cater for all students that require support. 이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 선정·배치의 전반적이고 포괄적인 쟁점 사안들에 대해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선정 절차와 배치 현황을 살펴보고 효율적 지원을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특수교육대상자 선정·배치 관련 업무 전담교사로서의 역할과 근무 여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특수교육대상자 선정·배치에 대한 전담교사의 업무 경험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특수교육대상자 선정·배치 업무에 대한 전담교사의 개선 요구 사항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방법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배치를 전담하는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된 질문으로 심층면담을 하였고 자료 분석은 비교분석법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자 선정·배치 전담교사들은 준비 없이 업무를 맡게 되었고, 과도한 행정업무로 교사인지. 행정가인지에 대한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자 선정·배치 전담교사들은 업무 수행에서 진단·평가에 대한 전문성 부족, 장애영역 관련 규정 미비로 인한 혼란, 검사 환경의 부적절성, 시스템 부재로 인해 지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보람 있는 근무 경험으로 생각하고 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 선정·배치와 관련하여 전담교사들은 업무의 질적 효율성 제고를 위해 교사의 처우 개선, 전문성 고양을 위한 연수 기회 확대, 다양한 분야가 협력하여 지원하는 원스톱시스템 구축, 지원을 요구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혜택이 주어지는 대상자 범위 확대 등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 통합교육을 위한 또래교수 전략 탐색

        김향지,정봉도 大邱大學校 障碍人綜合硏究所 1998 再活科學硏究 Vol.14 No.1

        새로운 교육운동의 하나인 통합교육의 철학은 장애아들이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 당당히 활동 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장애아의 학업적, 사회적 기술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 되고 있는 또래 교수는 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의의와 절차에 관한 것들이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또래교수의 의미와 원리, 그 모형과 절차에 관한 전반적인 조망을 함으로써 통합교육에서 장애아를 위한 유용한 교수전략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래 교수는 성인 교사가 중심이 되는 교사중재와 달리 또래가 가르치는 역할을 담당하는 또래중재의 유형으로 교사수업의 보조적 자료로 활용 할 수 있고, 지도하는 학생과 지도받는 학생모두에게 자아존중감, 교육적 동기유발, 학교적응 등이 조성될 수 있으므로, 장애아의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형성과 일반아동과의 우정을 형성하는 정서적 통합이 또래교수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inclusion, which is one of new educational movements, is to make children with disablities fairly act as a member of communities. Peer tutoring, considered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be a possible way for the inclusion to be sucessful. However, its meaning and procedure have not yet been systematiz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build up the groundwork of a useful tutoring strateg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on by entirely examining the meaning, principle, model and procedure of peer tutoring. Peer tutoring is a type of peer intervention where peers, not adult teachers, play a teaching role, which can be used as an anxiliary material for teacher's classes. As both teaching and learning students can be self-respect, motivation and adaptability to school, in the process of peer tutoring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can from a positive to self-respect and make an emotional inclusion to from friendship with general children.

      • KCI등재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문제행동과 소근육운동에 미치는 효율성 사례연구

        김향지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19 No.3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that art activities programs have on behavior problems and fine motor skills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ed. Specifically, the paper sought to determine the effect of art activities programs as a method of enabli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ed to invigorate their fine motor skills to have writing ability -the basis of school educational courses-, and of facilitating their behavioral development to have adaptation abilities in daily life. The research came out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rt activities programs help correct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ed. Second, art activities programs improve fine 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ed. These results imply that art activities programs need to be further availed of as one of curricula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ed.

      • KCI등재

        특수교육 재정운영 실태분석 : 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동향을 중심으로

        김향지 한국특수아동학회 200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3 No.-

        특수교육의 질과 장애아동의 질적 삶을 추구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 가운데 중요한 하나가 교육재정의 운영일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특수교육재정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특수교육의 최근 동향과 경향을 탐색함으로써 적합한 특수교육재정 운영 체제 개발을 위한 본질적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특수교육 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동향 및 우리나라 특수교육재정 실태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연구의 결과 특수교육재정 운영에서 고려되어야 할 방안은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의 지원 확대, 발전 계획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에 따른 재정 확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장애아동의 집단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 서비스를 위해 중앙과 지방정부의 재정 할당이 필요하고 재정지원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장애아동을 위한 서비스의 적절성, 초기 예방 비용을 통한 재정 절감 효과 지원의 유형과 강도, 제도 변화에 따른 비용 이점, 자원을 배분하는 구성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조정 등이 특수교육재정 운영을 위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For the pursuit of quality special education and quality lif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 should be an understanding of the essentials to development of the system fi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acknowledgement of recent trend of special education influential in financial decisions. This study examines the major trends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realities of Korean special education finances and suggests some considerations in implication of special education finances as follows. Many special education studies put emphasis on the expanded support and development plan, and for which finances securing plan should be prepared. For education service meeting the change in the population chang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nancial assignment to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d extension of financial support should be arranged. Consideration of application of special education finances should include such factors as the fitness of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st cut effect through early preventative care expenses, type and intensity of support, cost effectiveness according to system change. resource distribution member education, and program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