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관리자에 대한 조직 내 성희롱 영향요인과 그 결과에 대한 연구

        김향아,권혜원 한국여성학회 2019 한국여성학 Vol.35 No.1

        In this article we focus our analytical attention on the elements of organizational context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crease or reduce the possibilities of sexual harrassment. For this, this study uses the 2016 Women Managers Panel Data to analyze the effects of sex composition, women representativeness, the relative power and authority of women managers, and the discriminatory HR practices and culture on women’s sexual harrassment experience. The results show that women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sexual harassment in organization where they are over 40% of total constituencies.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of sexual harrassment also decrease when women have relatively more power and formal authority. Hence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experience of sexual harrassment in organizations is less likely when women overcome the token status. More significan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fact that the power and authority of women in decision making are essential in reducing the likelihood of sexual discrimination and harrassment. This research also tries to explore the impact of work-related variables on sexual harrassment. The findings show that both the discriminatory HR practices and unsuppori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crease the likelihood of women’s sexual harrassment experience. Lastly, this research analyzes the impact of sexual harrassment on work-related outcomes, and provide evidence for its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Thus, the experience of sexual harrassment are not only detrimental for the survivor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but are also harmful to the organizational outcomes. These empirical findings call for the need of organiza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to exterminate sexual harrassment in the organizations. 이 연구는 직장 내 성희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맥락과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어떤 상황에서 성차별과 성희롱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며, 어떠한 조직적 요인들이 성차별과 성희롱의 위험과 발생률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2016년 실시한 6차 여성 관리자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조직 내 성별구성(sex composition), 조직 내 여성대표성, 여성 관리자의 상대적권력과 공식적 권한, 인적자원관리 관행에서의 성차별과 조직문화가 성희롱 피해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 내 여성비율이 전체 구성원의 40%이상이면 여성 관리자의 성희롱 경험이 줄어들었으며, 여성의 조직 내 상대적 권력과 공식적 권한이 클수록 여성 관리자의 성희롱 피해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여성 관리자들이 수량적 대표성을 띠는 차원을 넘어서서 조직 내 유리천장을 극복하고 의사결정의 실질적 권력과 공식적 권한을 갖는 것이 조직 내 성차별, 성희롱 가능성을 줄이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또한 이 연구는 직장 내 성차별 성희롱에 대한 조직 맥락과 직무환경 관련 변수들의영향력을 강조하고자 하였는데, 분석 결과 성차별적 인적자원관리 관행과 비지원적(unsupportive) 조직문화가 성희롱 발생가능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그와 같은 가설과 주장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직장 내 성희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변수들을 규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성희롱 피해 경험이 조직성과에 미치는영향을 규명하는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성희롱 피해 경험이 많을수록 구성원들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이 감소하고 이직의도가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희롱 경험이 피해자 개인의 심리적 육체적 건강의 손상과 고통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조직성과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는 직장 내 성희롱 성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조직적 차원의 정책과 제도, 실천적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남녀 노인의 우울 변화궤적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김향아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노인복지연구 Vol.7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ed for different depression prevention strategies for male and female elderly by analyzing trajectories of elderly depression by gend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jectory of change. For this study, 1,825 elderly people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using the data from the 1st~12th year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 Latent growth mixture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epression change trajectories among the elderly. When the model with optimal fitness was identifi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binomial/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jectory identified from the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depression change trajectories among the male elderly were decrease and maintenance, and those among the female elderly were increase, high-level decrease, low-level decrease, and maintenance. Among the male elderly, health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predicted depression change trajectory, whereas among the female elderly, health, family income,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esteem predicted the trajectory. Based on theses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social welfare for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according to gender. 본 연구는 노인 우울의 다양한 변화궤적을 성별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변화궤적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남녀 노인에 대한 우울 예방 전략을 세분화할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조사 1~1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노인 1,8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노인의 우울 변화궤적을 분석하기 위하여 잠재성장혼합모형을 사용하였다. 최적의 적합도를 가지는 모형이 확인되면 모형으로부터 확인된 각 궤적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이항/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 노인의 우울 변화궤적은 감소형과 유지형의 궤적집단으로, 여성 노인의 우울 변화궤적은 증가형, 고수준 감소형, 저수준 감소형, 유지형의 궤적집단으로 나타났다. 남성 노인의 경우, 건강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가 우울 변화궤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노인의 경우, 건강 만족도, 가족의 수입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 자아존중감이 우울 변화궤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에 대한 사회복지차원의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