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터에 강건한 딥러닝 기반 프로파일링 부채널 분석 방안

        김주환(Ju-Hwan Kim),우지은(Ji-Eun Woo),박소연(So-Yeon Park),김수진(Soo-Jin Kim),한동국(Dong-Guk Han) 한국정보보호학회 2020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0 No.6

        딥러닝 기반 프로파일링 부채널 분석은 신경망을 이용해 부채널 정보와 중간값의 관계를 파악하는 공격 방법이다. 신경망은 신호의 각 시점을 별도의 차원으로 해석하므로 차원별 가중치를 갖는 신경망은 지터가 있는 데이터의 분포를 학습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의 완전연결 층을 GAP(Global Average Pooling)로 대체하면 태생적으로 지터에 강건한 신경망을 구성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ChipWhisperer-Lite 전력 수집 보드에서 수집한 파형에 대해 실험한 결과 검증 데이터 집합에 대한 완전연결 층을 사용하는 CNN의 정확도는 최대 1.4%에 불과했으나, GAP를 사용하는 CNN의 정확도는 최대 41.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Deep learning-based profiling side-channel analysis is a powerful analysis method that utilizes the neural network to prof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de-channel information and the intermediate value. Since the neural network interprets each point of the signal in a different dimension, jitter makes it much hard that the neural network with dimension-wise weights learns the relationship. This paper shows that replacing the fully-connected layer of the traditional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ith global average pooling (GAP) allows us to design the inherently robust neural network inherently for jitter. We experimented with the ChipWhisperer-Lite board to demonstrate the proposed method: as a result, the validation accuracy of the CNN with a fully-connected layer was only up to 1.4%; contrastively, the validation accuracy of the CNN with GAP was very high at up to 41.7%.

      • 지속성 진통작용 물질인 Capsaicinoids의 흰쥐 척수내 Substance P 함량 및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김해영,손여원,이상섭,이승기,Kim, Hai-Young,Sohn, Yeo-Won,Lee, Sang-Sup,Lee, Seung-Ki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90 한국생화학회지 Vol.23 No.2

        강력한 지속적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capsaicin은 작용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dorsal spinal cord와 dorsal root ganglia에 작용하여 신경전달물질이라 생각되는 substance P(SP)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므로 지속적인 진통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제시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psaicin과, 그 analogue로 capsaicin과는 달리 신경 독성이 거의 없는 6-paradol이 척수내 신경조직에 존재하는 SP 농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및 SP-mRNA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들 capsaicinoids의 진통 효과와 SP-생합성에 미치는 영향과의 상관관계를 규명코자 하였다. 생후 6주된 Sprague-Dawley male rat에 6-paradol(80, 500, 1000 mg/kg) 또는 capsaicin(80 mg/kg)을 ether 마취상태에서 피하주사하고 3시간, 1일, 5일 후에 척수내 SP 함량을 radioimmunoassay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3시간부터 vehicle 투여군에 비해 capsaicin과 6-paradol 투여군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SP 함량 감소를 보였고, 그 효과가 5일까지도 유지되었다. 또한 이들 약물의 SP-유전자 전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slot blot hybridization 방법으로 SP-mRNA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capsaicin 투여군에서는 SP-mRNA 농도가 3시간에 유의적으로 61%로 감소하였으나 1일 후에 90%로 회복되었다. 그러나 6-paradol(1000 mg/kg) 투여군에서는 3시간에는 유의적 감소를 보이지 않았고 1일 후에 49%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capsaicinoids 투여 후 초기의 척수내 SP 함량의 감소는 신경조직으로부터의 SP 유리에 따른 것이고, 그 다음의 지속적인 SP의 신경세포내 감소현상은 감각신경에서의 SP 생합성과정 중 SP-mRNA 합성단계에서의 억제효과 때문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We aim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psaicinoids on the cellular concentration of substance P(SP) and substance P-mRNA in rat spinal cor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act that long-lasting analgesic, capsaicin caused depletion of SP from primary afferent neurons in dorsal root ganglia. After administration of 6-paradol (80, 500, 1000 mg/kg) or capsaicin (80 mg/kg) in rats, the cellular concentration of SP and its mRNA in spinal cord were analyzed by radioimmunoassay and slot blot hybridization analysis respectively. 6-Paradol, like capsaicin, reduced in dose-dependent manner the content of SP in rat spinal cord. Additionallv, SP-mRNA concentration was also reduced to 61% of the control level at 3 h after capsaicin administration and was restored to the control level after 1 day. In 6-paradol treated group, substance P-mRNA concentration was not detectably reduced at 3 hours but significantly reduced to 49% of the control level at 1 day after 6-paradol treatment. These results support for the previous notion suggesting that the action mechanism of capsaicinoid analgesia may be primarily based on the depletion of SP from primary afferent neurons.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capsaicinoid analgesics may play a role at the transcription level of SP synthesis in rat spinal neurons.

      • SCIESCOPUSKCI등재

        지속성 진통작용 물질인 Capsaicinoid 의 흰쥐 척수내 Substance P 함량 및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김해영,손여원,이상섭,이승기 ( Hai Young Kim,Yeo Won Sohn,Sang Sup Lee,Seung Ki Lee,Seung Ki Lee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90 BMB Reports Vol.23 No.2

        We aim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psaicinoids on the cellular concentration of substance P(SP) and substance P-mRNA in rat spinal cor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act that longlasting analgesic, capsaicin caused depletion of SP from primary afferent neurons in dorsal root ganglia. After administration of 6-paradol (80, 500, 1000 ㎎/㎏) or capsaicin (80 ㎎/㎏) in rats, the cellular concentration of SP and its mRNA in spinal cord were analyzed by radioimmunoassay and slot blot hybridization analysis respectively. 6-Paradol, like capsaicin, reduced in dose-dependent manner the content of SP in rat spinal cord. Additionaliv, SP-mRNA concentration was also reduced to 61% of the control level at 3 h after capsaicin administration and was restored to the control level after 1 day. In 6-paradol treated group, substance P-mRNA concentration was not detectably reduced at 3 hours but significantly reduced to 49% of the control level at 1 day after 6-paradol treatment. These results support for the previous notion suggesting that the action mechanism of capsaicinoid analgesia may be primarily based on the depletion of SP from primary afferent neurons.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capsaicinoid analgesics may play a role at the transcription level of SP synthesis in rat spinal neurons.

      • 밤나무 꽃과 잎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 검색 -제2보. 항균활성 검색-

        김해영,조규성,Kim, Hae-Yeong,Cho, Gyu-Seo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한국농화학회지 Vol.46 No.3

        밤나무의 밤꽃과 밤잎의 항균활성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를 80% methanol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다. 용매분획별 수율은 밤꽃에서 ethylacetate 1.94%, methanol 4.75% 및 water 7.81%였고, 밤잎은 ethylacetate 2.24%, methanol 5.03% 및 water 8.47%였다. 밤꽃과 밤잎의 methanol 분획 추출물은 Gram양성 및 음성의 모든 균주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ethylacetate 및 water 분획 추출물은 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60\;{\mu}g/disc$ 이상에서 항균력이 인정되었다. Bacillus. subtilis에 대한 생육저해 효과는 control에 비하여 밤꽂과 밤잎 추출물은 모두 낮은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각 추출물은 모두 배양 15시간까지는 현저히 낮은 생육저해를 보이다가 그 후는 약간 높아졌다. 밤꽃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생육저해효과를 보인 반면에, water 추출물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생육저해를 보였으며, 밤잎 추출물은 각 추출물에서 거의 비슷한 생육저해를 보였다. 밤꽃과 밤잎의 methanol 분획 추출물을 B. subtilis에 각각 500 ppm씩 처리한 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아니한 경우는 전형적인 Bacilli의 형태를 보였지만, methanol 분획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는 세포의 형태가 일그러지고 손상을 입은 형태를 보였다. Chestnut (Casranea crenata S. et Z.) leaves and flowers were extracted with 80% m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with ethylacetate, methanol and wate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in each fraction were investigated. Methanol fraction of the chestnut leaves and flower showed strong antimicrbial activities against both of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The ethylacetate and water fraction, however, showed only weak antimicrobial activities whe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occurre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chestnut leaves and flowers against 5 strains of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were at $60\;{\mu}g/disc$. The extracts of the chestnut leaves and flowers inhibited the growth of Bacillus subtilis at 0.5% (w/w) concentr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traction methods on the B. subtilis,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as used. The B. subtilis was damaged when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chestnut leves and flowers were at 500 ppm.

      • KCI등재

        백서 재생간조직의 낙산탈수소효소 A-유전자 발현의 전사활성

        김해영,이승기,Kim, Hae-Young,Lee, Seung-Ki 대한약학회 1988 약학회지 Vol.32 No.4

        Transcriptional rate of lactate dehydrogenase A-gene(LDH-A) during the prereplicative phase of regenerating rat liver was determined by in vitro run-off transcription assay.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nscription rate of LDH A-gene increases between 12 hours and 15 hours peaking at 13 hours after partial hepatectomy of rat liver. The increased rate of LDH A-gene transcription was interfered after DL-propranolol treatment intraperitoneally injected twice at 1 hour and 8 hours after partial hepatectomy indicating that the transcriptional control of LDH A-gene expression may be mediated by beta adrenergic receptor and cAMP as a second messenger. And also was it shown that the temporally increased rate of LDH A-gene transcription was maximum one hour after the second cAMP-surge which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initiation of DNA replication during regeneration of rat liver. And the transcriptional rate of LDH A-gene was decreased to the basal level at the time period when the hepatocytes proliferate rapidly suggesting that the induced LDH Aisozyme may be required for the initiation of DNA replication during regeneration of rat liver. These data may be supporting for the hypothesis suggesting that the induced LDH A-isozyme during the pre-replicative phase of regenerating rat liver may play bifunctional roles as a glycolytic enzyme and a helix destablizing protein as well.

      • SCIEKCI등재

        쌀전분(澱粉) 분해물(分解物) 분석(分析)에 의한 세균성(細菌性) ${\alpha}-Amylase$의 작용(作用) 특성(特性)

        김해영,박관화,Kim, Hae-Yeong,Park, Kwan-Hwa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86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29 No.3

        쌀의 생전분(生澱粉) 상태와 호화전분(糊化澱粉) 상태에 대한 전분분해효소의 작용특성과 이용방법(利用方法)을 조사하기 위하여 생전분과 호화전분에 세균성 ${\alpha}-amylase$ 및 glucoamylase를 처리하고, 생성되는 당의 종류를 정량하였다. 생전분에 ${\alpha}-amylase$를 작용시켰을 때에는 glucose(45%), maltese(33%), maltotriose(19%), maltotetrose 이상의 당류(3%) 등의 순서로 생성되었고, 호화전분에 작용(作用)했을 때에는 maltotriose(31%), maltose(31%), maltotetrose 이상의 고당류 (22%), glucose (15%)의 순서로 생성(生成)되었다. 한편 glucoamylase를 처리하였을 때에는 생전분과 호화전분에서 다같이 주로 glucose가 생성되었다. 전자현미경으로 분해된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생전분은 ${\alpha}-amylase$에 의하여 pinhole이 생성되고 전분입자의 표면침식이 잘되있고, 호화전분은 입자의 중앙부위에 공동(空洞)이 생성(生成)되었다. 이상의 결과(結果)로 보아 세균성 ${\alpha}-amylase$는 생전분 입자의 표면에 작용하여 말단기부터 glucose 및 maltose 단위로 분해하며 호화된 전분입자에는 임의의 장소에서 전분을 가수분해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roduct specificity of Bacillus ${\alpha}-amylase$ on raw rice starch has teen studied by using HPLC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alysis of starch degradation products digested by ${\alpha}-amylase$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raw and gelatinized rice. The hydrolysis of raw rice starch resulted in formation of more glucose and maltose than those of gelatinized starch. SEM revealed characteristic enzyme degradation patterns. Hollow curvatures were observed in gelatinized starch, indicating the substrate is hydrolyzed in the interior of the starch chain by Bacillus ${\alpha}-amylase$. In contrast, raw starch were hydrolyzed from the end of the substrate, resulting in pinholes over the surface of the starch granules.

      • SCIEKCI등재

        5'-Untranslated Region 에 존재하는 Iron Responsive Element 에 의한 Ferritin 합성조절

        김해영,정인식,이중림 ( Hae Yeong Kim,In Sik Chung,Jung Lim Lee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8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1 No.3

        The expression of ferritin involved in iron metabolism is regulated at the translational level by the interaction of iron regulatory protein with iron-responsive element(IRE) in the 5`-untranslated region of ferritin transcript. To identify the role of structural element utilized for translational regulation of ferritin, we studied the effects of mutations in the ferritin IRE by measuring IRP binding activity and translational activity. Our data suggest that the cytosine at bulged position of IRE within ferritin is important for the formation of RNA secondary structure involved in translational regulation.

      • KCI등재

        기획논문 -대소헌 조종도의 행적과 사상 : “촉석루중삼장사(矗石樓中三壯士)” 시(詩)의 사적(事蹟)에 관하여

        김해영 ( Hae Young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8 No.-

        이 글은 임진년(1592) 오월 진주성 촉석루에서 김성일, 조종도, 이로(혹은 곽재우)가 남강에 투신하여 죽음을 결행하려 했던 사건과 관련되어 지어진 시에 관해 언급한 여러 기록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삼장사에 관한 사적을 기록한 글로는 「從遊諸賢錄」(성여신 찬), 「鶴擧言行錄」(최현 찬), 「矗石樓詩懸板」(오숙 찬), 「大笑軒事蹟略閭表碑」(찬자 미상), 「矗石詩樓註」(김응조 찬), 「大笑軒行狀」(한몽삼 찬), 「讀祠祀三壯士疏」(하세웅 찬), 「鶴擧年譜」(이재 찬), 「松巖李先生行狀」(조선적 찬) 정도가 『용사일기』가 印刊되기 이전의 기록으로 살펴진다. 이들 자료에는 대부분 삼장사시의 지은이를 김성일로 기록하고 있으나, 시의 작자를 다른 사람인 것으로 기술한 경우도 있고, 남강에 투신하여 죽음을 결행하려 했던 사실을 언급하면서도 시를 지었다는 사실에 대한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 것도 있다. 1762년 간행된 이로의『용사일기』는 동일 저자가 지은「문수지」와는 달리 삼장사시의 작자가 김성일이고, 그와 함께 당시 현장에 있었던 인물을 조종도와 이로로 기술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로 사후 백수십 년이 지난 뒤 이 책이 출간된 배경에는 삼장사 사당의 건립과 관련해서 현실적인 이해 관계가 문중 간에 얽혀 있었다. 인간된『용사일기』는 이로가 찬한 원래의 초본에 적지않은 첨삭이 가해졌기에 출간 당시부터 문제가 되었으나, 『용사일기』의 출간에 뒤이어 한몽삼의 글이 수록된『대소헌문집』이 간행되어 이-삼장사설을 뒷받침하였고, 비슷한 시기에 현풍 곽문에서는 『망우집』을 중간하여 곽-삼장사설을 주장하게 되면서 이후 양측의 주장이 심각히 대립하였다. 『망우집』의 발간으로 점화된 삼장사 시비에 관여하여 가장 정밀한 수준에서 이-삼장사설이 옳음을 논증적으로 밝힌 이는 대산 이상정이었다. 아상정이 찬한『촉석루시사적』은 학봉이 초유사로 함양에 도임한 때로부터 이후 진주성에서 촉석루시를 짓까지『용사일기』의 기록을 위주로 김성일, 조종도, 이로, 곽재우 4인의 행적을 발췌해서 정리하고, 이에 대해 이상정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여 이-삼장사설이 옳음을 논증한 내용이다. 이상정은 무엇 보다도 촉석루시의 작성 시점이 조종도가 의령에서 돌아온 직후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조종도가 의령에서 돌아왔을 때 곽재우는 이미 진주를 떠나 의령으로 돌아와 있었으며, 대신에 이로가 진주에 있었다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촉석루시사적』의 간행 이후 촉석루 삼장사에 관해서는 이-삼장사설이 통설의 지위를 차지한 듯이 보인다. 이후에도 삼장사 사적에 관한 이견(異見)이 간간히 표출되었으나 마침내 근년에 진주성에 삼장사 비를 세우면서 이-삼장사설의 내용이 ‘촉석루중삼장사기실비’의 비면에 새겨지게 되었다. 이로써 촉석루 삼장사시는 김성일이 지었고, 당시 시를 짓는 현장에는 조종도와 이로가 함께 있었다는 것이 실효적 사실로 자리잡아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Historical records have showed different stories about the poem which described the incident that three brave scholars decided to die or their country and threw themselves into the Nam River from Chokseongnu Pavilion in May in the year of Imjin, 1592.Most of the historical documents indicated that Kim Seongil made the poem, but a few documents argued a scholar other than Kim Seongil (김성일) did it, or others just wrote about the incident without mentioning the poem. Many documents disagreed over who were with Kim Seongil on the scene: whether they were Jo Jongdo (조종도) and Lee Ro (이로) or Jo Jongdo and Gwak Jaewoo (곽재우). 『1592-93 Diary』, published in 1762 by Lee Ro, caused a great sensation because it was recorded that Jo Jongdo and Lee Ro were with Kim Seongil on the scene. This book was published one hundred and decades after Lee Ro had died and the purpose of its publica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shrine for the three brave scholars. The publication of 『1592-93 Diary』 stirred controversy because it had included many corrections on Lee Ro′s original version. But 『The Collection of Jo Jongdo』. Which supported the fact that Lee Ro was actually on the scene, was published following 『1592-93 Diary』. In the meantime, Gwak′s family in Hyeongpung province argued that Gwak Jaewoo was one of the three brave scholars through 『The Collection of Gwak Jaewoo′s Works』 referring to the opinions of Choi Hyun (최현) and Kim Eongjo (김응조), which led to the serious conflict between the two families of Lee and Gwak. It was Lee Sangjeong (이상정) who scrutinized argument in 『The Collection of Gwak Jaewoo′s Works』and critically analyzed the book based on the clear evidences. He firstly foucused on the fact that it was when Jo Jongdo just returned to Jinju from Uryeong that ‘Chokseongnu Pavilion Poem’ was made. He also demonstrated that Gwak Jaewoo was in Uryeong, not in Jinju when Jo Jongdo was back to Jinju. Instead, Lee Sangjeong claimed Lee-Ro was in Jinju. Since 『Story about Choseongnu Pavilion Poem』by Lee Sangjeong was published, it has come to be the commonly-held opinion that three brave scholars on Choseongnu Pavilion were Kim Seongil, Jo Jongdo, and Lee Ro. Though a few other scholars have voiced different opinions about who belonged to ‘Three Brave Scholars’, the record that Kim Seongil, Jo Jongdo, and Lee Ro were the ‘Three Brave Scholars’ was finally inscribed on the monument erected in Jinjuseong Casle a few years ago.

      • 담관낭종 -대한소아외과학회회원 대상 전국조사-

        최금자,김대연,김상윤,김성철,김신곤,김우기,김인구,김재억,김재천,김해영,김홍주,박귀원,박우현,박진영,백홍규,서정민,송영택,오수명,유수영,이두선,이명덕,이석구,이성철,박영식,이태훈,정상영,Choi, Kum-Ja,Kim, D.Y.,Kim, S.Y.,Kim, S.C.,Kim, S.K.,Kim, W.K.,Kim, I.K.,Kim, J.E.,Kim, J.C.,Kim 대한소아외과학회 2003 소아외과 Vol.9 No.1

        본 조사 결과는 32개 병원의 39명의 회원에 의해 수술받은 환자 348명의 기록과 회원 37명의 설문 응답자를 분석한 것으로 많은 수의 기록지가 내용이 불충분하거나 일치되지 않은 기술로 인해 자료로서의 한계가 있었다. 특히 췌담관합류 이상에 대한 기록 중 약 절반이 미상으로 기록된 것에서 알 수 있드시 자료가 매우 미흡하였고, 담관낭종의 유형을 정하는 것 예후 인자 및 산 전 진단된 담관낭종의 수술 적기등에 대하여도 회원마다 견해 차이가 있으나 심도있는 토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결과를 외국의 통계 분석과 비교하는 것 보다는 회원들의 향 후 진료와 연구에 참고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하며, 회원들이 동일한 등록지를 작성하는 전향적 연구로 우리나라 담관낭종에 대한 분류, 췌담관 합류이상, 예후 인자들에 대한 재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A nationwide survey on choledochal cyst was undertaken among 39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The members were requir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nd the case registration form for each patient during the five year period of 1997 to 2001. Three hundred and forty eight patients were registered from 32 institutions.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per surgeon was one to two every year.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3.4. The age of patients on diagnosis was $49.0{\pm}44.4$ months. The geographic distribution was 34.8% in Seoul and Kyoungki-do, 33.3% in Kyoungsang-do, 17.9% in Cholla-do, and 8.5% in Choongchung-do, in order of frequency. The three common clinical presentations were abdominal pain (63.8%), vomiting (35.3%), and jaundice (29.1%). Only seven patients (2%) presented with classic triad, and 25 patients were diagnosed by antenat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Todani Classification, 238 patients (7l.3%) were type 1, 3 (0.9%) type 11, and 93 (27.8%) type IV.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hree important associated conditions were choledocholithiasis in 45 patients (15.1%), liver fibrosis (Grade 1-4) in 35, and previous operative procedure for biliary diseases in 10. Associated anomalies were observed in 13 patients (3.8%). Three hundred thirty nine (98.8%) of 343 lesions were treated by Cyst excision and Roux-Y hepaticoiejunostomy. One hundred seventy-six patients had an anomalous arrangement of the pancreatobiliary ductal system (APBD): APBD was not in 92 patients, biliary duct joined to the pancreatic duct in 51, and pancreatic duct joined to the biliary duct in 26. There were 8.5% early, and 7.7% late phase operative complications. The major complications were bleeding, anastomotic leakage, and acute pancreatitis. The combination of acute abdomen and choledochal cyst may suggest spontaneous rupture.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late intrahepatic bile duct stones, long term follow up after cyst excision and hepaticojejunostomy is required. The optimal time of surgical interven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situation of routine use of antenat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This is the first review of the choledochal cyst in Korea and provides baseline data for future comparisons.

      • 담도폐색증 - 대한소아외과학회회원 대상 전국조사 -

        최금자,김성철,김신곤,김우기,김인구,김재억,김재천,김해영,김현학,박귀원,박우현,송영택,오수명,이두선,이명덕,이석구,이성철,정상영,정성은,정풍만,최순옥,최승훈,한석주,허영수,홍정,황의호,Choi, Kum-Ja,Kim, S.C.,Kim, S.K.,Kim, W.K.,Kim, I.K.,Kim, J.E.,Kim, J.C.,Kim, H.Y.,Kim, H.H.,Park 대한소아외과학회 2002 소아외과 Vol.8 No.2

        설문 문항에 따라 심도 있는 토의가 진행된 내용을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문항 1의 영아 황달 환자의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에 대한 토론에서 복부초음파검사가 과거에는 담즙정체 환자에서 선별검사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나 1992년 부터 일부에서는 좀 더 확실한 진단 방법으로 이용하려는 견해가 있음이 소개되었다. 또한 Triangular cord sign (TC sign)은 문맥 앞쪽에 있는 삼각형이나 띠 모양의 반사성 (echogenecity)을 나타낸다는 것과 이 반사성은 간문맥섬유화 종괴를 조영하는 것으로 이 반사성 두께가 2.5mm면 담도폐색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고 하는 TC sign에 근거한 진단방침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아직은 충분히 검증된 방법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견해도 함께 제시되었다. 문항 8의 간문맥 부위의 시야를 좋게 하기 위한 토론에서는 소아의 복부는 좌우 옆으로 발달이 되어 간의 현수인대와 간의 좌우 삼각인대 (triangular ligament)와 낫인대 (falciform ligamnet)를 잘라내면 간이 쉽게 배 밖으로 나오게 돼며, 수술 시야가 양호해 진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피부 절개선을 간의 가장자리 보다도 한 횡지 위 쪽으로 넣는 것과 간을 너무 당기면 하대정맥에 각이 져서 순환허탈이 올 수 있다는 점이 주의사항이라고 하였다. 문항 9 portal fibrous mass 의 절제범위에 대한 토론에서는 양쪽 외측에서 담즙 배출이 많이 되므로 가능하면 양쪽 외측으로 많이 나가야 되며 좌우 간동맥 안쪽으로 절제하고 뒤쪽은 문맥 분기 뒤쪽의 정상 간 표면이 나올 때까지 절제한다는 의견이 있었고, 외측으로 가는 범위는 혈관 밖에까지 가는 것이 좋으며 혈관 위에는 문합이 불가능하므로 장이 혈관을 overriding하도록 장을 그냥 씌우면 된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반면 좌우 간동맥 사이의 간표면에서 절제하는 정도만 해도 최선이며 무리하다 오히려 간동맥에 손상을 주변 담도의 혈류가 차단되어 세담관 증식에 장애가 된다는 의견도 있었다. 확장절제를 위해 좌.우 간문맥 두번째 분지까지 절제하면 절제면이 약 3 cm 크기가 되고 그 부위에다 넓게 장문합을 하며, 절제 깊이는 간실질까지 들어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fibrous mass 기저부를 일부 남기면서 간표면을 따라 조심스럽게 절제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를 위해 retractor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간문맥 제2분지까지 접근 가능하므로 가능한 한 깊이 절제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으나 한편 담도폐색증에서는 혈관기형이 많이 동반되어 혈관손상 위험이 있으므로 몇 번째 분지까지 절제하여야하는가 보다는 위험하지 않을 정도로 외측으로 갈수 있는 데까지 가는 것이 좋다는 의견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Kasai 수술의 목적 'cure' 내지는 'improvement' 되는 것이라고 본다면, Kasai술식에서 fibrous mass를 공격적으로 절제해서 효과적인 담즙배액을 성취할 수 있는지, 또는 장기간 추적조사에서 정말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비교하여야 하므로 아직은 충분히 검정되지 않은 의견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도 제시되었다. 문항 13의 담도폐색증 수술 후 통상적으로 처방하는 약제의 복용기간은 회원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즉, Ursodeoxycholic acid (우루사)는 한달에서 부터 2년까지 또는 더 오랜 동안 처방한다는 의견도 있었고, systemic antibiotics도 2주에서 2년까지 처방 기간이 다양하였으며, 스테로이드는 대부분 2 - 3주 사용하고 있다고 하였다. 본 조사 결과는 18개 병원에서 21년 동안 대한소아외과학회 A survey on biliary atresia was made among 26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The members were requir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nd a case registration form for each patient during the twentyone-year period of 1980-2000. Three hundred and eighty patients were registered from 18 institutions.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per surgeon was one to two every year.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3. The age of patients on diagnosis with biliary atresia was on average $65.4{\pm} 36.2$ days old. The national distribution was 32.8% in Seoul, 25.3% in Gyoungki-Do, 21.6% in Gyoungsang-Do, 9.27% in Choongchung-Do, etc. in order. The most common clinical presentation was jaundice (98.4%) and change of stool color (86.2%) was second. Two hundred eighty (74.7%) of 375 patients were operated by 80 days of age. Three hundred thirty six (9 1.9%) of 366 patients were operated on by the original Kasai procedure, and 305 (84.3%) of 362 patients were observed by bile-drainage postoperatively. The overall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was 18.5% and the overall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was 6.8%. The associated anomalies were observed in 72 cases (22.5%). One hundred ninty five (64.7%) of 302 patients have been alive in follow-up and 49 (25.1%) have survived over 5 years without problem after operation. Ascending cholangitis, varices and ascites affected survival significantly, and the important long-term prognostic factor was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