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태계 단원의 발전적 내용구성이 환경보호 가치내면화에 미치는 영향 : 5학년 1학기를 中心으로

        김학배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86 科學數學敎育年報 Vol.3 No.-

        본 연구는 생태계 단원을 재구성 적용하여 환경보호의 가치 내면화를 위한 실천연구이다. 이론적인 배경에서 생태계의 질서유지를 위한 환경보호 교육의 실천, 환경보호 교육의 중요성, 범위와 대상, 방향을 밝히고 가치 내면화를 위한 지도방법과 정의적 특성의 내면화 방법, 가치 내면화를 위한 학습전개 요령을 추구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연구실행 목표를 해결하였다. 1. 실행목표 1의 실천 : 발전적인 환경보호 지도사항을 설정하고 교재를 재구성 조직화 한다. 교과 일반목표와 4ㆍ5ㆍ6학년 목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교과서에서 취급되어야 할 환경보호 교육목표를 설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환경보호 개념내용에 의거 관련도를 분석하여 5학년의 자연과 구조도를 작성하고, 환경보호 지도내용 및 관계를 파악하였고 다음에는 지도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도내용을 토대로 환경보호 교육내용을 추출, 지도내용과 관련지도 관련여부를 검토하여 교재를 재구성하고 조직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지도 일정표를 수립하였다. 2. 실행목표 2의 실천 : 환경보호 의식을 바르게 가치 내면화 할 수 있는 교수 - 학습 활동안을 구안 적용한다. 환경보호의 가치를 내면화 하려면 먼저 이에 알맞은 교수과정이 구안 되어야 하겠다는 판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교수과정을 구안하였다. 이론면에서 밝힌 탐구모형을 중심으로 언어 개념이나 정의적인 교육성과를 얻기 위해 탐구 과정과 가치탐구 과정을 구안 하였으며 구안 과정은 각 교수과정의 특징, 공통점, 차이점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 알맞도록 구안하였다. 구안된 교수과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탐구학습에 따른 기초기능이 신장되어야 한다고 보고 본 연구자는 사고의 촉진에 도움을 주는 발문을 조직화하였고 아동들에게 토의, 협의 기회를 많이 주어 의사소통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였다. 가치 내면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환경보호 학습장을 16절 갱지에 등사하여 전국 환경보호 수범사례, 학교생활, 가정생활, 전반에 걸쳐서 아동자신이 보고 들은 것과 느낀 것을 정리하도록 하여 환경보호 가치 내면화에 기여하였다.

      • 시계수제한성을 갖는 실시간 시스템의 신뢰도 모델링

        민병조,김학배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8 논문집 Vol.30 No.1

        A real-time system is characterized by its timing constraint which accounts for system inertia against temporal controller-failure(s) and depends intrinsically on the plant dynamics and the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do not only build a semi-Markov model to evaluate the probability of system failure for the system embedded with the deadline information but also propose a path-space approach to derive both upper and lower bounds of system reliability significantly reducing computing complexity without loss of much accuracy, which is verified by the tightness between both of the bounds derived in numerical examples.

      • 패킷 스위칭 메쉬 네트�p에서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고장포용라우팅 알고리즘 설계

        문대근,김학배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8 논문집 Vol.30 No.2

        In the increasing use of multicomputer systems for reliability-critical applications, the fault-tolerance routing is important for high performance because faults in the network can prevent the delivery of messages. In designing the fault-tolerant routing algorithm, we encounter a major difficulty in complexity of various faulty environments in network.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to genetic design of an optimal routing algorithm for mesh network using Genetic Algorithm(GA). We prohibit packets for returning to the node that they have stayed in previous instance, and the genetic algorithm is used to simultaneously evolve the algorithms with this strategy and increase the performance.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suggested approach, some examples are sim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aulty nodes.

      • KCI등재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에서 설명하는 희론(戱論)의 일체성(一體性)과 반야(般若)

        김학배 ( Kim Hag - Bae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8 禪文化硏究 Vol.24 No.-

        희론은 일반적으로 무익한 말 또는 허망분별로 설명한다. 희론의 구조는 서로 모순되거나 대립관계에 있는데, 경전이나 논서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매개로 하여 진리를 들어낸다.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에서도 희론을 통하여 반야(般若), 공(空) 등의 진리를 설명한다. 그 희론은 ‘A卽非A’와 ‘A卽非A, 是名A’ 인데, 이 두 형식에서 A와 非A는 모순관계에 있다. 이 모순된 형식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는 많이 있지만, 여기서 논의할 선행연구는 초기 유식과 중관학의 관점으로 한정한다. 초기 유식과 중관학에서 모순관계를 설명하는 희론은 ‘亦有亦無’로 표현은 같지만, 드러나는 진리를 설명방법은 서로 다르다. 초기 유식의 논서에서 A와 非A는 서로 다른 시간에 존재하지만, 일체의 관계로 본다. A와 非A가 같다는 관점에서 일체로 보는 것은 아니다. 공, 무상, 분별하지 않는 인식작용 등의 공통된 관점에서 일체로 본다. 반면에 중관에서는 A와 非A는 동시에 존재하고, 불가분의 관계이다. 진리가 드러나는 것은 A와 非A의 모순이 논파되는 것과 동시에 드러나는 파사현정의 논리로 설명한다. 그러나 타떼가와 무사시(立川武藏)는 희론에는 모순이 없다고 하고, 희론을 형식논리에 따라 해석한다. 그 결과 『금강반야바라밀경』의 희론에는 반야의 논리는 드러나지 않는다고 한다. 스즈키 다이세츠(鈴木大拙)는 ‘A卽非A, 是名A’에 대하여 즉비논리라고 이름하고, 여기서 반야가 드러나는 것을 초기 유식 관점에서 설명한다. 그러나 선행연구 중에는 ‘A卽非A, 是名A’를 긍정, 부정, 다시 긍정하는 순서에 따라 개별적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스즈키의 견해와 다르다. 스즈키는 ‘A卽非A’에서 A와 非A는 일체의 관계를 형성하고, ‘A卽非A’와 ‘是名A’의 관계는 동등한 것으로 설명한다. ‘A卽非A, 是名A’에 대하여 『중론』의 삼제(三諦)에 맞추어 설명한 견해도 있다. 그것은 A, 非A, 是名A를 가(假), 공(空), 중(中)에 따라 맞춘 설명이다. 하지만 대부분 『중론』에서 드러나는 진리는 ‘A卽非A’의 형식에서 파사현정의 논리에 따라 설명한다. 즉 ‘A卽非A’에서는 진리를 직접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진리에 대한 표현도 ‘A卽非A, 是名A’에서 ‘是名A’처럼 A나 非A와 관련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A卽非A, 是名A’를 파사현정의 논리로 설명하는 것은 부적합하다. 만약 ‘是名A’를 진리에 대한 설명으로 보게 된다면, 파사현정에서 드러나는 진리와 ‘是名A’에서 드러나는 의미가 중복된다. 그러므로 ‘A卽非A, 是名A’보다는 ‘A卽非A’가 『중론』의 논리로 설명하기에 적합하다. 반면에 초기 유식의 관점에서는 ‘A卽非A’와 ‘A卽非A, 是名A’ 모두에 설명할 수 있다. 이것은 A와 非A의 모순을 설명하는 방법에 따른 차이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점에서 본다면, 『금강반야바라밀경』의 희론은 중관학보다는 초기 유식의 관점이 잘 적용된다. Desana(戱論) is generally described as a useless word or vain discrimination. The structure is a contradiction or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It is also revealed the truth by means of this relationship in Sutra or sastra. In the same way the vajracchedika - parajnaparamita - sutra (『金剛般若波羅蜜經』) also explains the truth of prajna(般若), sunya(空), etc. Desana in the form of expression has ‘A is not - A’ and ‘A is not - A, its name is A’, and here ‘A’ and ‘not - A’ are in a contradiction. In the early Vijnaptimatrata(初期唯識) and Madhyamaka Studies(中觀學), desana considers ‘both being and beingless(亦有亦無)’ which is explaining a contradiction is expressed as in the same way, the method of explaining the revealed truth is different. In sastra of the early Vijnaptimatrata, ‘A’ and ‘not - A’ exist at different times, but they see as relations of ‘a single substance(一體)’, and is looked on it from a common point of view, such as sunya(空) or an undiscerning cognitive action. Logic of A = not - A(卽非論理) is also explained from this point of view. On the other hand, in Madhyamaka Studies ‘A’ and ‘not-A’ exist at the same time and is inseparable. Truth is explained as a logic of ‘refuting false and disclosing the correct(破邪顯正)’, which is when the contradiction between ‘A’ and ‘not - A’ is broken truth is come out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formal logic in Madhyamaka - sastra(『中論』), Tatekawa Musashi (立川武藏) interprets the theory and he said that the logic of prajna is not revealed in prapanca(戱論) of the vajracchedika - parajnaparamita - sutra. There are views which are matched with a threefold truth(三諦) of Madhyamaka - sastra about ‘A is not - A, its name is A.’ However, the truth of Madhyamaka - sastra is explained in the form of ‘A is not - A’ according to the logic of ‘refuting false and disclosing the correct’, and the term ‘its name is A’ is unnecessary. Truth is not relevant to this expression of ‘A’ or ‘not - A.’ Therefore, ‘A is not - A, its name is A’ is not suitable for explaining with the logic of Madhyamaka - sastra. On the other hand, in a standpoint of the early Vijnaptimatrata, ‘A is not - A’ and ‘A is not - A, its name is A’ can be explained. This is seen as a difference between ‘A’ and ‘not - A’ methods of explaining a contra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