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 근대 불교의례 연구

        김춘호,金春鎬(Kim, Choon Ho)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5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12

        廢佛毁釋の大きな試練を経験した近代初期日本の仏教界では、急変する現実を直視しながら、時代の要請に応じて佛教の近代化を急いで推進するべきであるという自覚が拡散される。特に仏教の積極的な社会参加 と教理の合理化、 呪術的な側面の除去などは仏教近代かの中心的課題 であり、また宗憲および宗制の制定・整備を通して近代的な教団組織を構成することも仏教近代化の核心的な要素であった。 仏教儀礼もこのような日本佛教の近代化の課程で再整備される。中央の本山を頂点においた統一的な本末寺構造およびその運営規則としての 宗憲·宗制が制定され、近代的な教団組織の基盤を造り、その課程で集団内の単一的な儀礼体系の統一および再整備が要請されたのである。本研究では、 明治政府の宗教政策と教団の近代化に素早く対応し、近代的な儀礼体系を完成していた日本曹洞宗の事例を通して、佛教の近代化課程において儀礼体系がどのように定立されていき、 またその中に反映された時代的な特徴はどのようなものであるかについて考察し た。日本曹洞宗の近代儀礼はまず、伝統的に宗祖道元の教えに対する実践軌範として提示されてきた「瑩山淸規」,「椙樹林淸規」,「僧堂淸規」,「小淸規」などを根幹にしている。その構成はもちろん内容のほとんどがこれらの清規に基盤しているのである。 そのような基盤の上に、曹洞宗の近代儀礼は、両本山の盟約を通し て、近代的な単一集団として再出発した教団に一つの統合儀礼体系を提供することで、教団の統合とアイデンティティー、結束力の増進に役割した。󰡔明治洞上行持軌範󰡕の例文に、その目的を'一定した行持法式' の定立においている点からもこのような事は明確に現れる。そして、儀礼の中で神仏習合的な要素の縮小と天皇関連儀礼の新設および補強を通して、天皇が直接に治める近代日本的な帝国建設に走っていた明治政府の宗教政策に福応し、僧侶の結婚という世俗的で脱戒律的な時代風潮を積極的に反省している。つまり、日本曹洞宗の近代儀礼は、伝統的な教義体系、教団の現実的な要請、日本の近代という地域性および時代性を一つに含んだ複合体で あったのである。 폐불훼석의 커다란 시련을 겪은 근대 초기 일본의 불교계에서는 급변 하는 현실을 직시하고 불교 스스로가 시대적 요청에 부흥하여 서둘러 근대화되어 한다는 자각이 확산된다. 특히, 불교의 적극적인 사회참여, 교리의 합리화, 주술적 측면의 제거 등은 불교근대화의 중심과제였고, 더불어 宗憲 및 宗制의 제정·정비를 통한 근대적 교단조직을 구성하는 것 역시 불교근대화의 핵심요소였다. 일본불교의 근대화과정 속에서 불교의례 역시 재정립된다. 중앙의 본산 을 정점으로 한 통일된 본말사 구조가 정립되고, 그 운영규칙인 종헌·宗 規들이 제정되면서 근대적 교단조직의 기틀이 잡혀갔고, 그 과정에서 종 단내의 의례체계는 단일화 및 근대적 모습으로의 재정비가 요청되었던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지정부의 종교정책과 교단의 근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며, 근대적 의례체계를 완성해 갔던 일본 조동종의 사례를 통해, 불교의 근대화과정에서 의례체계가 어떻게 정립되며, 또 그 안에 반영된 시대적 특징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일본 조동종의 근대불교의례는 우선, 전통적으로 종조 道元의 가르침에 대한 실천규범으로 제시되어 왔던 「瑩山淸規」,「椙樹林淸規」,「僧堂淸規」,「小淸規」등을 근간으로 한다. 즉, 의례의 전체적인 구성은 물론 내용의 대부분이 이들 전통 청규에 기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기반 위에 조동종의 근대의례는 양대본산(永平寺와 總持寺)의 맹약을 통해 단일종단으로 재출발한 교단에 하나의 통일 의례체계를 제공함으로써 교단내의 통합과 정체성의 확립, 교단 구성원 간의 결속력 증 진 등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신불습합적 요소의 축소와 천황관련 의례의 신설 및 보강을 통 해, 신격화된 천황이 직접 다스리는 일본적 제국 건설에 매진하였던 메이 지정부의 종교정책에 부응하고 있다. 또한 결혼의례의 신설을 통해 승려 의 결혼이라는 세속적이며 脫戒律的 시대풍조를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즉, 일본 조동종의 근대의례는 전통적 교의체계, 교단의 현실적 요청, 일본의 근대라는 지역성 및 시대성 등을 하나로 함축한 복합체였던 것이다.

      • KCI등재

        매개변수해석을 통한 신개념 복공판의 최적단면 제안

        김춘호,이성태,김인식,심태무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5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9 No.2

        이 논문에서는 기존 복공판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이 제안된 신개념 복공판에 대한 안전성 검토와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매개변수해석을 실시했다. 고려된 모든 해석변수와 단부 보강위치 및 크레인 하중에 대해 계산된 강재의 응력이 허용응력 이내의 값을 보여주어 모든 경우가 구조적으로 안전한 복공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조적 안정성과 경제성을 고려했을 때 최적의 복공판은 판의 크기가 크고 두께가 얇은 “3,000×2,000×6t”로 결정하였으며 보강은 단부 내측을 보강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기존 복공판대비 단위면적당 강재량을 36%정도 감소시켜 경제적으로도 우수하며, 복공판 개소가 적어 시공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지하철 및 지하차도복공구조체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to overcome disadvantages of existing lining boards, the parametric studies to evaluate safety and verify performance of newly suggested lining boards was performed. Since the calculated stresses of steel plates are lower than the allowable stress for considered all analytical variables, end reinforcement locations, and crane rail load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uggested lining board is structurally safe. Where, “3,000×2,000×6t” was select to be optimized cross-section and the reinforcement from the end to 200mm to the internal direction looks like the best case. In addition, the suggested lining board is economical since the steel amount per unit area compared to existing lining board is reduced by 36% and it can apply to the lining structural system of subway and underpass since construction speed is past due to the less installation number of lining boards.

      • KCI등재

        정토신앙에서 '회향'에 대하여

        김춘호 한국정토학회 2021 정토학연구 Vol.35 No.-

        Can the merit and virtue built up through praying lead to the rebirth into the Pure Land (往生) of others? It is a question of whether a person can transfer his/her own merit (善果) to others. The typical concept of offering merit and virtue others in Buddhist tradition is called the merit transference(廻向). It is also the core concept of the Mahayana Buddhism, which emphasizes the practice the Bodhisattva Path (菩薩道), and the Pure Land Belief, which relies on Amitabha’s original vow (本願), is also based on this merit transference. This study intended to discuss how merit transference is described specifically in the Pure Land Belief. It confirmed that the logic of prajna globe (般若空) and causal relation (緣起) is working as the basic doctrinal principle of the merit transference before examining the merit transference in the Pure Land Belief in earnest. It also confirmed the circular characteristic of the merit transference where the person, to whom the merit is transferred, re-transfer the merit to another through joy (隨喜). The sutra of the Pure Land Belief also emphasize the merit transference. Most of all, the 20th and the 22nd vows out of 48 vows mention merit transference. However, it emphasizes merit transference as one of the ways to be reborn into the Pure land unlike Prajna Sutra or Avatamsaka Sutra that emphasize merit transference as the prerequisite for the fulfillment of Buddha’s way. Merit transference becomes more concrete and systematized in the Pure Land Belief by high priests. Vasubandhu (世親, 400-480) emphasized the altruism in the Pure Land Belief by choosing the Gate of Merit Transference (廻向門) as one of the Five Gates of Recollection (五念門) that the followers of the Pure Land Belief shall practice. Damran (曇鸞, 476-542) succeeded to this and divided and systematized merit transference into Outgoing Merit Transfer (往相) and Returning Merit Transfer (還相) to complete the basic framework of the Pure Land Merit Transference. Dojak (道綽, 562-645) explained and emphasized the five virtues of the merit transference, and Sondo (善導, 613-681) succeeded to the view of merit transference of Damran, and so on and emphasized resolution (決定) and sincerity (眞實心) as the person who practices merit transference. Hounen (法然, 1133-1212) introduced the concept of non-merit transference (不迴向) and saw that the prayer already includes merit transference and is the right practice (正行) for non-merit transference and that miscellaneous practices (雜行) are in need of merit transference. Sinran (親鸞, 1173-1262) defined the main agent of merit transference as Amitabha (阿彌陀佛) for ordinary people cannot have such a lofty spirit as merit transference. 자신의 염불 공덕으로 다른 이도 왕생(往生)할 수 있을까? 자신에게로 향한 선과(善果)를 타자에게로 돌릴 수 있는가라는 물음이다. 불교의 전통에서 이러한 공덕전환의 대표적인 개념이 회향이다. 보살도(菩薩道)의 실천이 강조되는 대승불교의 핵심개념이기도 한데, 아미타불의 본원(本願)에 의지하는 정토신앙 역시 이러한 회향이 바탕이 된다. 이글은 정토신앙에서 회향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를 논구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논문에서는 본격적인 정토신앙의 회향을 살펴보기 앞서, 회향의 기본적인 교학적 원리로서 반야공(般若空)과 연기(緣起)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향의 대상이 되는 자는 수희(隨喜)를 통해 또다시 타자에게로 그 공덕을 돌리는 회향의 순환적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토경전에서도 회향이 중시된다. 아미타불의 48원 중 제20원 제22원에서 회향이 언급되고 있다. 다만 회향이 불도의 완성에 필수조건으로서 강조되는 반야경전이나 『화엄경』 등과는 달리, 여기에서는 왕생의 한 가지 방법으로서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정토신앙에서 회향은 정토조사들에 의해 더욱 구체화되고 체계화된다. 세친(世親, 400-480)은 정토행자가 행해야 할 오념문(五念門)의 하나로 회향문(廻向門)을 위치시킴으로써 정토신앙에서 이타성을 강조한다. 담란(曇鸞, 476-542)은 이를 계승하는 한편, 회향을 왕상(往相)과 환상(還相)으로 나누어 체계화함으로써 정토회향의 기본 틀을 완성시킨다. 도작(道綽, 562-645)은 회향의 5가지 공덕을 설하며 이를 강조하고 있고, 선도(善導, 613-681)는 담란 등의 회향관을 계승하면서 회향하는 자의 마음가짐으로서 결정(決定)과 진실심(眞實心)을 강조한다. 호넨(法然, 1133-1212)의 경우 불회향(不迴向)의 개념을 사용하여, 염불은 회향이 이미 포함된 것으로서 불회향의 정행(正行)이며, 다른 잡행(雜行)은 회향이 필요한 것으로 보는 것이 특징이며, 신란(親鸞, 1173-1262)은 회향이라는 수승한 마음은 범부로서 가질 수 없는 것이므로 회향의 주체를 아미타불(阿彌陀佛)로 규정하는 것이 특징적이라고 하겠다.

      • KCI등재

        산업부산물을 혼합하여 제작한 3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

        김춘호,김남욱,Kim, Chun Ho,Kim, Nam Wook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4 資源 리싸이클링 Vol.23 No.3

        Nowaday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and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enlargement and diversification of concrete structures are being tried. At the same time, the hydration heat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large structures lead to thermal crack, which is occurs causing a problem that durability degradation. In this paper, in order to study the durability and reducing hydration heat of concrete according to the types of cement, that is ordinary portland cement, fly ash cement mixed with a two-component, ternary blend cement mixed with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and low heat cement concrete are produced, and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using property, durability and hydration characteristics, ternary blend cement is appeared to be the most excellent in durability and reduction of hydration heat, and it was determined suitable for construction of mass concrete and requiring durability. 현재 산업 및 토목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화 및 다양화가 시도되고 있으나 대형 구조물의 시공 시 발생하는 수화열은 온도균열을 유발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한다. 본 논문은 시멘트의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의 내구성능 및 수화열 저감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보통포틀랜드시멘트, 플라이애쉬를 혼합한 2성분계 시멘트,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를 혼합한 3성분계 시멘트 및 저발열 시멘트를 각 각 사용하여 제작한 콘크리트의 물성, 내구성능 및 수화특성 등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3성분계 혼합 시멘트가 내구성능 및 수화열 저감 효과에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매스 콘크리트 및 내구성능이 요구되는 구조물 축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 KCI등재

        고대 일본의 사리신앙

        김춘호 韓國佛敎硏究院 2014 불교연구 Vol.40 No.-

        본고에서는 사리신앙이 어떠한 모습으로 고대 일본인들에게 받아들여지며, 아스카시대의 사원들에게 사리신앙이 어떠한 지위와 성격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먼저, 고대 일본에서 사리신앙은 불교의 수용과 흥륭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고 있다. 그것은 584년 9월, 소가노 우마코(蘇我馬子)가 불사리를 시험해보고 불교에 귀의하는 모습에서 잘 타나난다. 이와 같이 사리신앙이 불교의 수용과 흥륭의 직접계기가 되고 있는 것은 중국의 강승회와 손권의 고사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동아시아 사리신앙의 보편적 특성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스카시대에 건립된 사원들의 가람배치를 통해 이들 사원에서 사리신앙이 차지하는 중요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현재 가람배치가 확인되는 약 80여 곳의 사원 대부분에서 불탑은 금당과 대등한 위치를 점하며 사원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즉, 불탑과 금당을 사원 중심의 좌우에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서로 대등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호류지식(法隆寺式)과 홋기지식(法起寺式) 가람배치가 전체의 57%, 불탑을 사원의 전면에 배치하고 그 뒤에 금당을 배치하는 시텐노지식(四天王寺式)이 16%를 차지하고 있어서 80% 이상의 아스카시대 사원이 사리신앙을 사원의 중심신앙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아스카데라(飛鳥寺), 수후쿠지(崇福寺), 호류지(法隆寺), 야마다데라(岐阜県山田寺), 나오하이지(縄生廃寺) 등의 아스카시대 사리장엄 사례들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 시기 사리장엄들 속에는 고분의 매장품과 같거나 비슷한 유물들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그러한 배경으로서 불교전래 이전부터 일본에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었던 조령신앙이라는 기층문화 위에 사리신앙으로 대표되는 불교가 수용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meanings of Sarira to ancient Japanese, and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arira belief to temples of Aska(飛鳥) period. First, Sarira belief served as a direct opportunity for acceptance and prosperity of Buddhism in ancient Japan. It was well presented in the image of Soga Umako(蘇我馬子), who was converted to Buddhism after examining Buddhist Sarira in September, 584. Likewise, Sarira belief becoming the direct opportunity for the acceptance and rise of Buddhism was also shown in folklores of Kang Seunghoe(康僧會) and Son Kwon(孫權),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common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Sarira belief. Second, importance of Sarira belief at temples was studied by seeing layout of temples that were built in Ask period. As a result, most of about 80 temples where temple layout is current seen had a stupa in the center of a temple, standing on an equal footing with the main building of a temple. In other words, 57% of all the temples had Horyuji(法隆寺) and Hokiji(法起寺) styles layout, which is arranging the pagoda and the main building of a temple on the left and right side by side. 16% of all the temples had Sitennoji(四天王寺) style layout, which is placing a pagoda at the front of a temple and the main building behind. Thus, it is presumed that over 80 % of temples in Aska period accepted Sarira as their main faith. Lastly, as shown from Sarira containers in Aska period including Askadera(飛鳥寺), Suhukuji(崇福寺), Horyuji(法隆寺), Yamadadera(岐阜県山田寺) and Naohaiji(縄生廃寺), many remains that are the same as ancient tombs' buried remains or similar to them have been found in Sarira containers of the period. It can be pointed out that Buddhism represented by Sarira was accepted on the basic culture of Ancestor belief(祖靈信仰) that was deeply rooted in Japan before introduction of Buddhism as a background of Sarira belief.

      • KCI등재

        탄성저장관을 활용한 에폭시 주입공법의 현장 적용성에 관한 연구

        김춘호,이호진,김경민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2 No.6

        본 연구는 기계주입 방식으로 간단히 재충전 할 수 있는 TPS 공법을 사용하여 실제 건설현장에 적용한 후 콘크리트 균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음파 속도의 경우 TPS 공법을 사용하였을 시 주사기 공법에 비해 평균 약 36 mm/sec로 초음파가 빠른 속도로 통과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주입깊이의 경우 주사기 공법에서는 부분 충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TPS 공법의 경우 강한 주입 압력으로 모든 배합에서 보수재가 100% 충전되는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압축강도의 경우는 TPS 공법 사용 시 평균 16.8 %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구조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주사기 공법에 비해 TPS 공법을 사용하였을 시 균열부위에 주입재가 밀실하게 충전되어 강도 증진으로 인한 품질 향상 및 확인창 설치로 인한 균열보수제의 거동이 확인 가능하다. 또한, TPS 공법 시공구간 532 m에 대하여 약 5일의 공사 기간이 단축됨에 따라 시공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 보수공법으로 사용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crete on cracks after applying to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using the TPS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be easily charged by the mechanical injection method. To summarize the results, the following It i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ultrasonic velocity, it can be seen that the ultrasonic wave passes rapidly at an average of about 36 mm / sec as compared with the syringe method when using the TPS method, and in the case of the injection depth, the syringe method In the case of TPS construction method, it showed an excellent tendency that 100% of the water retentive material was charged with all the formulations under a strong injection pressure. In the case of compressive strength, it was shown that the average was increased by 16.8% at the time of using the TPS construction method, and it was found to be structurally superior. Taken togeth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behavior of the crack repairing agent by improving the quality by improving the strength and confirming the window installation by filling the injection material into the closed space at the crack site when using the TPS method compared with the syringe metho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construction time will be improved 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about 5 days for the TPS construction method construction section 532 m, and usability will be expanded by the crack repair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