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Blinding-Based Scalar Multiplication Algorithm Secure against Power Analysis Attacks

        김창균,하재철,문상재,Kim, Chang-Kyun,Ha, Jae-Cheol,Moon, Sang-Ja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 2007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17 No.3

        Most existing countermeasures against classical DPA are vulnerable to new DPA, e.g., refined power analysis attack (RPA), zero-value point attack (ZPA), and doubling attack. More recently, Mamiya et al proposed a new countermeasure (so-called BRIP) against RPA, ZPA, classical DPA and SPA. This countermeasure, however, also has a vulnerability of scalar multiplication computations by exploiting specially chosen input message. Therefore, to prevent various power analysis attacks like DPA and new SPA, we propose an enhanced countermeasure by developing a new random blinding technique.

      • KCI등재
      • KCI등재

        AFLP 마커를 이용한 단양쑥부쟁이 개체군의 유전다양성 보전을 위한 최소개체군의 크기산정

        김창균 ( Chang Kyun Kim ),김호준 ( Ho Joon Kim ),최홍근 ( Hong Ke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멸종위기식물인 단양쑥부쟁이(Aster altaicus var. uchiyamae)의 개체군을 대상으로 유전다양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개체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단양쑥부쟁이가 분포하고 있는 네 지역에서 각각 유전다양성 및 유전적 분화도를 분석하였다. AFLP(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변이의 분석결과, 총 4개의 프라이머 조합에 대해서 936개의 밴드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934개의 밴드(99.8%)가 다형성을 보여주었다. 단양쑥부쟁이 개체군 내에서 유전다양성(PPB = 45.3%, h = 0.104, I = 0.168, hs = 0.108)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개체군 간 유전적 분화도(GST = 0.075, θB = 0.079)는 낮은 수준이었다. AMOVA(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분석 결과에서도 전체 유전적 변이 중 91%가 개체군 내에서 보이는 반면, 9%는 개체군 간 변이에 기인한것으로 나타났다. 단양쑥부쟁이 개체군에서 보이는 유전적 특성은 개체군 간의 빈번한 유전자 이동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최대화 전략법에 의하여 경기도 여주일대의 3개 개체군을 대상으로(굴암, 도리섬, 삼합) 개체군 내 최소개체수를 산정한 결과 도리섬개체군에서는 17개체, 삼합개체군에서는 16개체, 굴암개체군에서는 11개체로 파악되었다. 단양쑥부쟁이 개체군의 최소개체수에 대한 정보는 효율적인 현지 외 보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수 있다.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is on the list of endangered species in Korea. Using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markers, we investigated the genetic diversity within and among four populations (Guram, Dori Island, Samhap, and Danyang) of A. altaicus var. uchiyamae. We also present the collecting strategies that most efficiently capture the genetic diversity of A. altaicus var. uchiyamae. Four AFLP primer combinations produced a total of 936 bands, of which 934 (99.8%) were polymorphic. A high level of genetic diversity (PPB = 45.3%, h = 0.104, I = 0.168, hs = 0.108) was recognized within the populations of A. altaicus var. uchiyamae. A low degree of genetic differentiation (GST = 0.075, θB = 0.079) was detected among the populations. In addition,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AMOVA) showed that genetic variation was greater within populations (91%) than among populations (9%).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 rate of gene flow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present populations of A. altaicus var. uchiyamae. According to maximization strategy, 17, 16, and 11 individuals captured all of the genetic variation in Dori Island, Samhap, and Guram population, respectively. The determination the minimum population size of A. altaicus var. uchiyamae in terms of the genetic information is critical and thereby gain reliable decision support for ex situ conservation of the endangered species, A. altaicus var. uchiyamae.

      • 금산사 미륵전 벽화에 대한 고찰

        김창균(Chang Kyun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6 불교와 사회 Vol.8 No.-

        금산사 〈미륵전〉은 외부는 3층이나 내부는 한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로서, 각층마다 ‘대자보전’ ‘용화지회’ ‘미륵전’이라는 다른 이름의 편액이 걸려있다. 장엄 역할의 미륵전 벽화는 법당 출입 창호가 있는 1층과 2·3층 정면을 제외하고 외부 1·2·3층 포벽 및 중방벽에 거의 빠짐없이 그려져 있는데, 위치에 따라 소재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각 층별 그림의 주제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단, 2·3층은 건물 구조상 내부에 그림을 그릴 수 없게 되어 있는데 비해 1층은 내부 포벽에도 그림이 그려져 있어, 1층의 경우는 이를 포함하여 고찰해보았다. 이와 더불어 각 층별 위치별로 그림솜씨가 약간 다름이 파악되었는데, 이는 곧 시기를 달리 하여 그려졌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미흡하나마 벽화에 대한 편년 또한 시도해보았다. 〈미륵전〉 1층의 경우에는 불도들이 직접 기도하는 공간으로서 내부 포벽에도 나한도를 비롯한 묵죽도와 묵란도, 수묵산수와 화조도 등이 그려져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중방벽은 건물 정면을 제외한 동·남·북 3면에 많은 그림이 그려져 있다. 〈미륵전〉은 『미륵하생경』의 ‘용화삼회’를 바탕으로 하는 미륵하생신앙을 확립하기 위하여 점찰교법을 펼치는 공간인 만큼 큰 의미는 하나일 수 있겠다. 그러나 각 층마다 각기 다른 이름의 편액이 걸려 있어 층에 따라 성격이 다르며 그림 또한 그에 걸맞게 그려졌다. 즉, 〈미륵전〉은 도솔천에 거주하는 자씨보살께서 석가불이 열반한 이후 이 세상에 내려와 화림원의 용화수 아래에서 3회에 걸친 법회를 연후 깨우침을 얻어 미륵부처가 된 다음 중생들을 제도한다는 하생신앙의 완성처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미륵전 내외 벽화의 경우 비록 시기적으로는 후대에 조성되었다고 할지라도 어느 정도나마 각 층별에 따른 성격을 파악하는데 자료적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고, 포벽과 중방벽의 위치별 그림의 표현기법 및 양식특징에 따라 편년설정이 가능했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Maitreya Hall(彌勒殿) in Geumsan-sa Temple is a building comprised of one storied on the inside and three storied on the outside. Hung on each floor are three inscribed boards of the floors’ titles : Daejabojeon(大 慈寶殿), Yonghwajeehoe(龍華之會), and Mireukjeon(彌勒殿). The Murals Painting of Maitreya Hall are drawn on the entirety of its walls, also known as shell walls, found between the pillars of the roof, and on the main walls, also known as middle walls, standing underneath the eaves, except for those on the front sid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loors where the entrance windows and doors are placed. The material of the murals seems to differ by location, so this study examines the subject and contents of each floor’s paintings. However,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floor appears to be impossible to paint due to its architectural structure, and thus remains unpainted, whereas that of the first floor is painted. The paintings on the first floor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ainting techniques on each floor slightly differ, which demonstrates that the murals were drawn in different time period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record the chronology of the murals, albeit in acknowledgement of its limitations. The first floor of the Maitreya Hall is a prayer room for temple-goers. The shell wall adorns a painting of Buddha’s disciples, and black-andwhite ink paintings of bamboos, orchids, landscapes, birds and flowers. Many murals are drawn on the east, south, and north sides of the middle wall, except that which is on the front side of the hall. Maitreya Hall serves one important purpose: to practice Jeomchalgyobeop( 占察敎法; Buddhist fortunetelling), in order to establish a belief based on Mireuk Hasaeng-gyeong(彌勒下生經) scriptures that Maitreya will come down to the world, become Buddha, and save humankind. However, the floors have different titles and inscribed boards that signify different characters, and the paintings are drawn to match each floor’s character. In other words, Maitreya Hall represents the completion of faith that after Sakyamuni’s nirvana, Bodhisattva will come down to the world from the sky, hold three ceremonies under Yonghwa Tree(龍華樹) in Hwarim Garden(華林園), reach nirvana, become Maitreya, and redeem humankind. In the case of mural paintings inside and outside of the Maitreya Hall, even if these were constructed at a later period, their significance as data lies in figuring out the characters of each floor level to a certain extent. This study also holds significance that the recording of chronology is possible based on the technique and form of Murals Painting on different locations of shell and middle walls.

      • KCI등재
      • KCI등재

        실내 라돈의 오염량 감소에 관한 연구

        김창균(Chang-Kyun Kim),최종학(Jong-Hak Choi),강정호(Jeong-Ho K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6 방사선기술과학 Vol.29 No.2

        실내 라돈 오염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2005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6개월간 연구한 결과 가장 쉽고 효과적인 방법은 방의 창문을 자주 열어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즉, 환기를 이용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활성탄이 공기 중의 라돈에 대해서도 흡수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증명되었기 때문에 창문을 열 수 없는 경우에는 실내에 활성탄을 비치함으로서 실내의 라돈 오염량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으나 방의 크기에 따라 비치해야하는 활성탄의 양이 어느 정도가 가장 효과적인가는 앞으로 더욱 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ways to reduce the quantity of indoor radon contamination. The study was done from July, 2005 until December, 2005. It was found out that the easiest and most effective way to do that is to open the windows as often as possible and let the indoor air flow outside. When it is not possible to ventilate a room, the indoor radon contamination quantity can reduced by providing activated charcoal in the room. It has been proved that activated charcoal can absorb the room in the air. We need more activated charcoal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room. A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activated charcoal that will work most effectively.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제3기 [순조(純祖)-순종대(純宗代)] 괘불화(掛佛畵)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김창균 ( Chang Kyun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조선시대 후반기 제3기는 순조-순종대인 1801년부터 1910년에 이르는 시기로서 근대화와 더불어 서양문물의 유입과 민중봉기로 인한 사회적 혼란기로서, 1800년대 후반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불화승들이 20세기 전반까지도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조선시대 말기 불화 화단을 이끌어오고 있다. 괘불화나 일반 불화의 경우 1930년대 이후 현대화 경향으로 인한 질적 하락이 뚜렷하다고 판단되어 연구 범위를 1920년대까지로 설정하여 寺勢와 기술력이 집중된 부처 주제의 괘불화만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로 삼아, 시기별/주제별 현황과 지역별 현황을 살펴본 다음 주제별에 따른 괘불화의 내용과 도상을 분석해보고, 불화 조성에 참여하였던 이 시기 괘불화 화승유파 및 유파별 화풍에 대해 살펴보았다. 19-20세기 괘불화의 경우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불교에 의지하려는 경향과 왕실의 안녕 기원 목적의 석가불과 아미타불 주제의 괘불화가 많이 조성되는데, 현세의 이익과 내세의 극락 왕생에 대한 희망과 바람이 크게 작용한 때문이라고 짐작된다. 특히 20세기에 들어 주변강국들의 외침으로 인해 혼란해진 사회 흐름에 따라 아미타불 주제의 불화가 많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와 같은 경향은 후불화에도 반영되어 다량의 아미타불도가 그려지는 것과 상통한다고 하겠다. 주제면에 있어서도 약사불도가 등장하고, 삼세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석가불을 주존으로 현세에는 무병장수하고 죽어서는 극락왕생을 희구하는 사상이 어느 시기 못지않게 팽배했음이 짐작된다. 또한 화승유파를 분석해 본 결과 19-20세기 괘불화와 후불화(기타 불화 포함)의 경우 경기지역 몇몇 화승들을 제외하고는 화승들 간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음으로 보아 17-8세기에 비해 후불화와 괘불화 화승간의 구분이 보다 확실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록 괘불화의 양이 수적으로 풍부하지 못하고 경기지역에 편중된 지역간의 불균형, 화승들의 한정된 교류로 인해 충분한 연구는 되지 못했다고 하겠으나 장차 괘불화를 포함한 19-20세기 불화 연구에 작은 디딤돌이나마 되었으면 한다. The third stage of the late Joseon period from 1801 to 1910 (from King Sunjo`s to King Sunjong`s days) is socially chaotic due to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nd popular uprising along with modernization. Distinguishing themselves since the 1800s, some Buddhist monk painters led the realm of Buddhist painting in the last period of Joseon with their continuous activities eve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time before 1930 as it is believed that quality inclination was remarkable in Buddhist Banner Paintings and common Buddhist paintings due to the tendency of modernization since the 1930s. After examining the temporal, thematic, and local conditions with Banner Paintings of Buddha themes, on which temple attention and techniques were intensely paid, as its subjec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ents of iconographies, and explored factions of monk painters of Buddhist Banner Paintings at that time that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uddhist paintings and their painting styles. In the 19th∼20th centuries, due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many Buddhist banner paintings with the themes of Sakyamuni and Amitabha for the purpose of the peace of the royal family and the tendency of dependence upon Buddhism were created. This was especially because hopes and wishes for the worldly interest and afterlife euthanasia greatly worked. In particular, it is conjectured that many Buddhist paintings with the theme of Amitabha were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otic social trends due to invasions by surrounding powerful nations by the 20tthcentury, and such a tendency appeared in Buddhist Rear Paintings and was consistent with the creation of lots of Amitabha paintings. Also on the side of themes, considering the emergence of Medicine Buddha and the increase of Three-World Buddha paintings, we can conjecture that the philosophy of aspiring to mundane good health and long life, and afterlife euthanasia more prevailed in this period than in any other periods, with Sakyamuni as the main Buddha.

      • KCI등재

        조각승 `희장(熙藏)`유파와 금산사 대장전 목조석가불좌상

        김창균 ( Kim Chang-ky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7 강좌미술사 Vol.48 No.-

        본 연구는 김제 금산사 대장전 봉안의 목조석가불좌상에 대한 정밀조사를 계기로 조선시대 17세기 전반(前半) 충청 · 전라 · 경상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해 온 `청헌` 유파에 대한 파악을 통해, 대장전 석가불좌상의 조성화사와 조성연대를 밝혀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대장전 석가불좌상의 경우 첫째, 17 세기 전반 충청 및 경상지역을 중심으로 활약하였던 `현진` 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청헌`유파의 작품이라는 점이 파악되었으며, 둘째, `청헌` 유파 중에서도 특히 조각승 `희장` 유파에 의해 조성된 상들과 얼굴 형태 및 오른쪽 어깨와 무릎 위 대의자락 표현 등의 양식특징이 거의 유사한 점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로는 `희장` 이시주자로 참여한 전라북도 군산 동국사 소장 `응매` 작 소조석가불좌상과도 거의 흡사한 양식특징을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어 대장전 석가불좌상은 `희장` 작품일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대장전 석가불좌상 하부의 `갑신사월시역팔월일필(甲申四月始役八月日畢)` 이라는 기록과 관련하여 `희장` 이 책임을 맡아 조성한 기년명 불상조각과의 양식 비교를 통해 조성연대를 추정해본 다음, 조각승 `희장` 의 활동시기를 새롭게 밝혀보았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Occasioned by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wooden seated Shakyamuni Buddha statue enshrined in the Daejangjeon Hall at the Geumsansa Temple in Gimje, the present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reator of the statue and the date of its creation by arriving a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eongheon school that had been active in the provinces of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regard to the seated Shakyamuni Buddha statue in the Daejangjeon Hall, firstly, it was found to be the work of the Cheongheon school that was influenced by Hyeonjin, who was active in the Chungcheong and Gyeongsang region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Secondly, within this Cheongheon school,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statue bore a very close resemblance in style to the statues made by the monk sculptor Huijang`s group, especially in the shape of their faces and the ways in which their are draped over their right shoulder and . Thirdly, the earthen seated Shakyamuni Buddha statue made by `Eungmae` in the Dongguksa Temple, Gunsan, North Jeolla Province also displays very similar stylistic features. Since Huijang participated as a donor in the making of the earthen statue, this strengthens the possibility that the wooden Buddha statue in the Daejangjeon Hall is the work of Huijang. Moreover, the date of the wooden Buddha statue in the Daejangjeon Hall may be inferred via the epigraph“Gapsin sa-weol si yeok pal-weol il pil (甲申四月始役八月日畢)”recorded on its lower part, and through stylistic comparison with other Buddha statues with inscribed dates created under Huijang`s direction. Through this process new light is shed on the monk sculptor Huijang`s period of activity, and herein l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 KCI등재

        기록문화재(記錄文化財)를 통(通)한 조선시대미술(朝鮮時代美術)의 도상해석학적(圖像解釋學的) 연구(硏究) 특집(特輯) : 조선 후반기 제1기(光海君-景宗代) 불화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김창균 ( Chang Kyun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구 한국미술사연구소) 2012 강좌미술사 Vol.38 No.-

        조선시대 불교는 개국 초 세력이 크게 위축되었으나 승려들의 救國에 대한 희생과 실학자들과의 교유, 內佛堂 및 願堂 창건과 佛經引出, 上寺禁法 폐지와 佛事 시행, 追福水陸齋 설행 등을 통한왕실과 귀족의 崇佛과 信佛로 흥기의 싹이 텄으며, 후기에 들어 교리와 염불신앙이 조계종(禪宗)에 통합되는 새 불교가 일어나 사원의 중건과 재창건 등이 행해지고 불교미술 역시 양적 팽창을 가져오게 된다. 특히 조선조 후반기 제1기는 光海君-景宗代(1609-1724)로서 전반기(1392-1608)와영-정조대(1725-1800) 이후 불화를 연결해주는 가교역할을 하여, 후반기 불교회화 중 차지하는 비중이 지대하다. 후반기 제1기의 불화는 괘불도 33점과 후불도 14점 등 47점이 전해져 온다. 이에 대해 광해군-효종대와 현종-경종대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첫째, 두 시기 모두 주제면에서는 영산회도가 가장 많이 조성되었으며, 구도면에서도 앞 시기가 안정된 반면 후반은 보다 동세가 엿보이는 구성법 사용이 파악되었다. 둘째, 존상의 얼굴 및 머리(肉계) 모양, 신체 형태와 손 모양, 광배 형태 등에 있어 앞 시기가 부드럽고 자연스러우며 원만한데 반해, 후반은 다소 경직성이 엿보이는 시기별변화를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셋째, 전반기는 맑고 밝은 색채와 간단한 문양을 채용하여 세선 위주의 섬세한 필선을 구사함으로써 자연스럽고 세련되었으며 투명하고 밝은 느낌이 있는데 비해, 후반에는 보다 복잡해진 문양을 채택하여 다양한 색채를 사용하고 굵은 직선 위주의 필선 구사로 경직된 면이 파악되나 화려해지는 경향을 엿볼 수 있었다. 현종-경종대인 후반에 들어서 비로소 등장하는 후불도 역시 괘불도와 괘를 같이 하며, 영산회도 위주에 세부 양식적인 면에 이르기까지 후반부 괘불도의 영향을 살필 수 있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ough the power of Buddhism largely shrank since the foundation of Chosun, the mood of prosperity comes into buds as the royal family and the nobility had faith for Buddhism in tandem with Buddhists` sacrifice for national salvation, exchanges with Silhak scholars, construction of intramural temples and royal shrineswithin the palace, publication of Buddhist bibles, abortion of Sangsageumbeop, and Bulsa Seolhaeng, Chuboksuryukjae Seolhaeng. Furthermore, as a new strand of Buddhism rose by the late Chosun Dynasty, which integrated creeds and invocative faiths with Jogyejong(Zen Buddhism), numerous Buddhist projects including remodeling and reconstruction of many temples were carried out and henc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Buddhist art was also brought about. Especially, the first part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e period of Kings from Gwanghae-gun to Gyeong-jong(1609~1724), a period playing the role of bridge connecting the Buddhist drawings in the days of Kings Yeong-jo and Jeong-jo(1725~1800) with those in the first half of the Chosun Dynasty(1392~1608), had extremely great importance in the Buddhist paintingin the second half of the Chosun Dynasty. 47 Buddhist drawing pieces in total, including 33 banner paintings and 14 rear paintings, in the first part of the late Chosun Dynasty have been handed down. As a result of the study with the banner paintings and rear paintings divided into those in the period of Kings from Gwanghae-gun to Hyo-jong and those in the period of Kings from Hyeon-jong to Gyeong-jong, first, Yeongsahoedo paintings were overwhelmingly created on the side of theme in both of the two parts of the period. And the paintings in the first part are stable on the side of composition while use of more dynamic method of composition has been founded from the drawings in the second part. Second, as for the forms of Buddha`s face and head(Yukgye), body appearances and hand morphologies, and the forms of the halo, we have found some changes by times in that the drawings from the first part are specifically soft and smooth, while those from the second show a bit of rigidity. Third, as for the use of colors, patterns, and drawing lines, the paintings from the first part are natural and elaborated, and give transparent and bright feelings as they adopt clear and bright colors and simple patterns and freely use delicate drawing lines mainly including fine lines, whereas the drawings from the second part adopt stronger and more diverse colors and complicated patterns and freely use thick sold lines, which strike us as rigid but having a tendency toward splendor. This study has some significance in that it has generally found out that the rear paintings, having firstly occurred toward the second part, the period of Kings from Hyeon-jong to Gyeong-jong, have been much influenced by those from the first part with their concentration on Yeongsanhoedo and on the side of their detailed mod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