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경(越境)과 반경(半徑)

        김주리(Kim, Jue-lee)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1

        본고는 월남 여성 지식인이라는 분열된 정체성이 가져오는 서사의 균열을 포착함으로써 <월남전후>의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한다. 임옥인의 장편소설 <월남전후>는 함경북도 길주와 혜산진을 배경으로 1945년 8월 해방 직후부터 이듬해 3월까지 지식인 여성 김영인의 체험을 그린 소설이다. <월남전후>의 서사는 장소로서의 반경에 대한 욕망과 공간으로의 월경에 대한 공포(또는 희망) 사이에서 분기한다. <월남전후>에서 해방기의 일상은 ‘내 것’에 대한 끊임없는 지향, 반경의 확정에 대한 지향과 ‘내것’에 틈입하는 외부의 점령과 장악에 대한 공포로 구성된다. 해방기는 또한 반경 사이의 넘나듦, 월경을 통해 주체와 타자의 경계를 허물고 분열된 주체를 구성하는 시공간이 되기도 한다. <월남전후>에서 지식인 여성의 월남은 가족-친족의 경계에서 지식-야만의 경계로 이동(월경)하는, 경계를 넘나드는 분열된 주체의 경험과 관련된다. 지식인 여성의 월남 과정에서 경계의 내부에서 외부로 밀려난 가족에 대한 죄의식과 홀로 월남하여 신산한 현실에서 살아남아야 했던 생존의 경험은 <월남전후>에서 광기와 히스테리로 죽어가는 여성을 묘사하는 서사적 균열로서 나타난다. This study aims to reexplicate the meaning of 〈Before and after coming from North Korea〉 through understanding the narrative break which was brought from a divided identity as a settler coming from North Korea woman intelligent. 〈Before and after coming from North Korea〉 shows a intelligent woman, Yeong-in Kim"s experiences from 1945.8.15 to March 1946 at Gilju and Hyesanjin of North Korea. This narrative divides between desire for a radius as a familiar place and fear(or hope) for a transgression to unknown space. In this works, the everyday life at the liberated age is composed of an continuous intention to "mine", "my radius" and of a fear for outward occupation, hold that breaks into "mine", "my radius". And also the liberated age becomes a time and space in which a divided subject is composed through a transgression that breaks the border from my radius and the other"s. In this works, the experience of a intelligent woman"s coming from North Korea is related the experience of a divided subject"s transgression that moves from a border of family-relative to a border of educated-uncivilized class. Because of her sense of guilty for her family and her sufferings for survival at the age, an intelligent woman"s experience of coming from North Korea brings on a narrative breaks like that describes dying women in madness and hysteria.

      • KCI등재후보

        매저키즘의 관점에서 본 김유정 소설의 의미

        김주리(Kim Jue-lee) 한국현대문학회 200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0

        This study aims to rethink Kim, Yu-jeong's works from the view of masochistic desire which penetrates the origin of his works. In his novels, domination and violence has a close connection with desire. Masochistic desire is that of the son-slave who wants to be dominated by the mother-master. This provokes laughter through punishing the father which hides in son with mother's whip. Kim Yu-jeong denied patriarchal master(rule, system, capitalism) with the image of violent father and elder brother as depicted in the autobiographical novels like Elder brother, Partner of life. He punishes violent patriarchal master in his insight through researching a good oral mother in old whore, Park, Nock-ju. He affirms ideal mother who supports with prostitution and raises a child, like Del-byeong-i in Gypsy in Chosun, A pot, who dominates and teaches mans through having sex without ownership in rules of a temporary contract. Through the desire of being slave who is dominated with a good oral mother, Del-byeong-i, Kim, Yu-jeong connected the aesthetics of laughter and that of violence. The shape of woman-master and man-slave forms special aesthetics with a close connecting of violence and desire in A camellia and Spring.

      • KCI등재

        식민지 지식 청년의 표상과 결핵

        김주리(Kim Jue Le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1

        본고는 1910~20년대의 소설에서 지식청년의 표상과 결핵의 관련성을 밝히고 그 의미를 분석하려 한다. 일제강점기에 질병은 세균과 유전, 전염 같은 근대 의학 지식으로 재구성되며, 결핵은 섭생의 질환에서 세균의 침입으로 인한 전염병으로 재인식된다. 나도향의 『환희』 와 같은 소설에서 결핵은 근대 문명에의 매혹과 결부되며, 자본주의 사회의 속물성에 감염된 청년에 대한 처벌로서 형상화된다. 또한 결핵은 식민지 사회의 열악함과 지식 청년의 불우함과 결부되며, 결핵으로 죽어가는 청년의 모습은 소설 속에서 천재의 요절로 형상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화는 나도향의 소설에서 보듯 식민지 근대의 미숙함과 결부된다. 천재의 요절을 섣불리 부르짖는 20년대 소설에서 결핵은 근대의 낭만적 비극이 아니라 식민지의 환멸 희극으로 서사화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meaning and connec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intelligent and tuberculosis in Modern Korean Novels. After the age of enlightenment, A disease recomposed with modern medical knowledges like bacteria, heredity and contagion. And Tuberculosis was reperceived from a disease needs care for health to a contagious disease with bacteria. In the works like Na, Do-hyang"s 「Ecstasy」, tuberculosis is associated with the attraction of the modern civilization so it is described as a punishment to the youth who got contaminated with the snobbery of capitalism society. And tuberculosis is associated with the poverty of the colonial society and the misfortune that the colonial intelligent have, so a young intelligent tuberculosis patient is described like an early death genius. But this description is associated with an immature modernity of colonial society, so tuberculosis is narrated not as a romantic tragedy of modernity but as a disillusionment comedy of colony in the novels that praises an early death genius at 1920s.

      • KCI등재
      • KCI등재

        연애와 건축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과 이태준의 <별은 창마다> 고찰-

        김주리 ( Jue Lee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7 No.-

        본고는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과 이태준의 <별은 창마다>에서 연애와 건축의 관련성을 논의하고, 남성의 설계가 아니라 여성의 실행력에 따라 이루어지는 건축의 의미를 돌아보고자 한다. 두 소설에서 재벌가 여성과 기술관료 남성 간 계층의 차이를 넘어 연애를 가능케 하는 것은 취미와 교양에 대한 공감과 호감이다. <별은 창마다>에서 여주인공의 연애가 기술관료 남성의 꿈을 전유함으로써 이루어진다면, <사랑의 수족관>에서 연애는 기술관료 남성의 회의주의를 구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연애와 건축의 꿈을 긴밀히 결합하는 부르주아 여성 교양인의 사업은 ``과학으로서의 토목``과 구분되는 ``이상으로서의 건축``이 된다. 남성의 건축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개발, 파괴에 연결될 뿐 내부 공간, 거주의 의미를 담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남성 주인공의 합리성에 입각한 건축 논리와 달리 여주인공들이 기획하는 건축물은 그 속을 살아가는 인간의 사적 욕망과 공적 사명감을 결합하고 있기에 거주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사적 욕망(연애)의 성격을 결코 폐기하지 않는 공적 이상(건축)이 여주인공의 교양에 입각해 가능해질 때, <별은 창마다>와 <사랑의 수족관>에서 건축은 파시즘적 정복의 파괴와 개발 논리 너머에서 인간적인 거주의 가능성을 환기하는 것으로 자리하게 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love and architecture in <Aquarium of love> and <Stars light on every window> and to explain the meaning of construction made not by a man`s design but by a woman`s action. In these novels, the possibility of love that a plutocrats woman and a technocrat man overcome difference of their class is located the sympathy on their tastes and educations. While the heroine`s love is formed with her dream which possessed from the technocrat man`s dream in <Stars light on every window>, the other heroine`s love is formed with her fantastic desire that she can relieve the technocrat from skepticism in <Aquarium of love>. These Bourgeois wemen`s projects are not ``an engineering as a science`` but ``an architecture as an ideal``, which close connect the love and the architecture. These men`s design has limitations because it just leads to destruction and does not contain the inner-space, meaning of dwelling. Apart from the man`s design based on the rationality, the heroines` projects has some possibility to dwelling because it connects a human`s private desire for love and public sense of mission. Because the heroine`s education makes realize the public ideal for social architecture with containing private desire for love, the heroine`s project suggests some possibility for ideal dwelling that can overcomes the logic of conquest and destruction in Fascism situation.

      • KCI등재

        1910년대 과학, 기술의 표상과 근대 소설

        김주리(Kim, Jue-lee)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9

        본고는『신문계』,『청춘』,『학지광』등을 바탕으로 1910년대 과학과 실험 담론이 전개되는 양상을 밝히고 1910년대 문학 속 과학의 표상에 대해 해명하려 한다. 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상황에서 과학 이론이나 실험, 신기술을 다룬 과학 담론은 교양으로 암기하는 지식이거나 엽기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읽을거리로 존재한다. 보통 지식 수준의 교양으로서 전달되는 과학이라는 표상과 관련될 때, 1910년대 소설에서 과학 기술은 다소간 계몽적이며 낙관적인 전망 가운데 형상화된다. 특히 1915년 물산공진회 이후 경성을 배경으로 한 서사에서 신지식층 청년 주인공은 과학 기술 습득과 발명 및 공업진흥에의 요구를 통해 낙관적 미래를 열어 보인다. 벽종거사의 「경성유람기」와 이상춘의 「기로」는 과학기술을 새로운 지식과 문물의 총아로 바라보고 그 습득을 촉구하는 이야기로 이루어진다. 1910년대 상황에서 과학 기술에 대한 장려와 공업 발전에 대한 촉구는 식산흥업을 통한 민족 부흥의 논리와 연관성을 갖지만, 근대 과학 기술을 숭고한 대상으로 바라보며 피식민의 정치적 문제를 문명 발전의 교육적 문제로 바꾸어놓은 신지식층 청년의 이해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1910년대 지식 청년층에게 근대 과학의 신기술은 1900년대 계몽지식인에게 놀라움을 주었던 ‘종소리’나 ‘기적소리’가 아니라 ‘폭약의 소리’로 다가왔다. 그러나 과학 기술의 원리 일반과 실험, 관찰, 추리의 방법조차 1910년대의 상황에서는 지면을 통한 상상의 대상일 뿐 실제적인 현실감으로 다가오는 대상은 아니었다. 이에 따라 식민지 조선의 상황에서 실험실이란 최신 과학 기술과 신비가 결합되는 공간으로, 실험하는 인간과 실험실 자체가 신비롭고 기묘한 대상으로 형상화된다. 이광수의 『개척자』는 이처럼 신비롭고 기묘한 장면으로서 화학 실험실을 보여주며 최신 과학 기술에 대한 발명 욕망이 피식민 지식 청년을 어떻게 죽음과 광기로 몰아가는지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discourses of science and experiment and to explain the relations the discourses and the novels at 1910s with the magazines likes <Sinmungye>, <Cheongchun> and <Hakji-gwang>. In the situation of the Choseon colony 1910s, the discourses on new theory of science, experiment, technology was a reading for culture or a reading for curious stimulation. In the case that the discourses on science regards as a normal culture(common sense), the scientific technology presents an educational and optimistic vision in the novels of 1910s. Especially in the novels about Kyeongseong after exhibition at 1915(<Travels to Kyeongseong>, <A crossroad>), the new-educated youngman hero shows an optimistic vision for future with learning science and technology and with demanding to development of industry. This vision which a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regards as a sublime objects has a limit that it change the political problem of colony for the educational problem of civilization. The educated youngman in 1910s realized a new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with the sound of bomb, while the educated man in 1900s realized it with the sound of bell or sound of whistle. But in situation of 1910s, both the scientific theories and the methods like experiment, observation and reasoning were just objects for imagination not objects for reality. So a laboratory represented a mysterious space in that the latest science unites with a magical mystery. Yi, Gwangsu"s <A pioneer> represents a chemical laboratory as a space of curious mystery and shows how a colonial educated youngman goes to mad and die because of his desire for a new scientific invention.

      • KCI등재

        월남 여성 지식인의 내면과 박순녀의 소설-상실한 고향 서사를 중심으로-

        김주리 ( Kim Jue-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6 No.-

        본고는 해방기에 고향을 떠나 단신으로 월남한 여성작가 임옥인과 박순녀를 대상으로, 그들 소설에 나타난 고향 상실의 표상을 애도와 우울의 관점에서 대별하고자 한다. 임옥인의 <월남전후>, <이슬과 같이> 등에서 고향은 죽음과 무덤, 파괴된 육체의 이미지로 집약되며, 고향에서의 이탈은 생의 의미와 인간다움이 자리하는 장소를 향한 탈향이다. 임옥인의 소설에서 상실한 고향은 폐결핵으로 죽어간 소년처럼 사랑하는 대상의 죽음으로 환기되기에 또다른 사랑의 대상을 발견함으로써 애도에 도달한다. 이와 달리 <로렐라이의 기억>과 <검비아내의 소녀>, <유섬언니> 등 박순녀 소설에서 상실한 고향은 폐결핵으로 죽은 언니, 곧 ‘나’와 동일시되는 존재로 나타난다. 언니를 잃은 상실감은 자신이 언니를 죽게 했다는 죄의식으로 이어져 우울한 주체의 내면으로 자리한다. 상실한 고향을 애도하고 남한에서의 안주를 꿈꾸는 임옥인과 달리 박순녀에게 있어 상실한 고향은 자신과 동일시되는 존재의 상실로 간주되기에 죄의식과 자기비하의 우울을 자아낸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Lim, Ok-in and Park, Sun-nyeo as a coming south woman writer and to divide the representation of lost hometown into condolence and melancholy in their novels. The hometown is narrated a different and negative space that shows the image of death, grave and a broken body, so a heroine’s escape from hometown heads for a place in which the meaning of life and humanity exists in < Before and after a coming south > and < Like dewdrops > etc.. Also the lost hometown is evoked the death of one’s dear person so it reach condolence with finding another dear person. Apart from this, the lost hometown is alternated with the death of a sister who is identified with a heroine in Park, Sunnyeo’s novels like < The memory of Lorelei >, < A girl at Geombianae > and < My sister Useom >. The sense of loss is connected to a sense of guilt that herself derives sister’s death so she feels continuous melancholy. Apart from Lim, Ok-in who condolences the lost hometown and dreams a dwelling in South korea, the lost hometown is regarded with the loss of a person who is identified with oneself so it derives melancholy from the sense of guilt and self abasement in Park, Sun-nyeo’s novels.

      • KCI등재

        제국 텍스트의 번안과 식민지 독자의 감수성

        김주리(Kim, jue-l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3

        본고는 <호토토기스>에 대한 축역과 변형을 통해 서사를 재구성한 <유화우>가 가진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유화우>의 서사적 변형에는 식민지 독자의 신소설적 서사패턴에 대한 지향, ‘낡고 익숙한 것’에 대한 욕망이 개입한다. 번역 <불여귀>와 번안 <유화우>의 큰 차이로 유학생 주인공의 설정, 서시모와의 갈등과 악비 춘섬의 존재, 해피엔딩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불여귀>에서 나약하지만 우아하고 세련된 일본인 귀족여성 주인공은 <유화우>에서 조신하면서도 당당한 미모의 조선인 유학생으로 대체된다. <유화우>에서 건강의 문제는 신소설 독자에게 익숙한, 순결을 둘러싼 갈등에 포섭된다. 부부애를 중심으로 고부갈등을 드러내는 <불여귀>와 달리 <유화우>에서 서시모와의 갈등은 신구갈등으로 집약된다. 공적 가족관계의 탄생을 그리는 <불여귀>의 비극적 서사와 달리 <유화우>는 비극으로 끝나지 않는다. <유화우>는 제국 주체로의 편입과 근대 가정에 대한 욕망의 좌절을 그리며 식민지 봉건 가문과의 융화와 복귀 소동을 그린다. 부모 자식, 부부 사이에 서로를 속이는 소동극이 원작의 비극을 대체함으로써 제국의 텍스트는 식민지 독자의 감수성을 담게 된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meaning of <Ryuwhau> which reduced-translates and transforms the narrative of <Namiko>. It intervenes in this transform of the narrative that the reader"s intention to the narrative pattern of New-Novel, to the desire of something old and familiar in that age. The difference between original work <Namiko> and <Ryuwhau> is a heroine established a student studying abroad, discords with a stepmother-in-low and a bad slave, happy ending etc.. In <Ryuwhau>, the heroine is established a beautiful, careful of herself and decent student studying abroad from Choseon while the heroine of <Namiko> is established a Japanese noble elegant and polished. In <Ryuwhau>, the heroine"s health problem is connoted to the conflict with her chastity so the heroine was familiar to the most reader in colony. While the conflict between a mother-in-low and a daughter-in-low is showd around the married love in <Namiko>, the conflict between a stepmother-in-low and a stepdaughter-in-low is showed as a conflict between the old and the new in <Ryuwhau>. As an Imperial text, <Namiko> shows the Nationalism like the victory of Japan militarism and the loyalty to the Empire. Different with this tragedy of nationalism which described with a public relationship family and a strong Imperial Japan in <Namiko>, the narrative of <Ryuwhau> is never a tragedy. <Ryuwhau> shows a colonial man"s fail of desire to being a imperial subject and having a sweet-home, and shows a happening that the hero reconciles with the feudal family in colony. Through a sentimental comedy that shows a cheat happening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usband and wife alternates the original tragedy, the text of Empire could be traslated to a text of Colony coincided with the most colonial reader"s susceptibility

      • KCI등재

        제국 텍스트의 번안과 계몽의 식민성

        김주리(Kim Jue-lee)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5

        본고에서는 일본 고전 라쿠고(落語) 텍스트 가운데 하나인 「시바하마(芝浜)」를 번안한 안국선의 「인력거꾼」과 윤백남의 「몽금」을 대상으로 '제국의 원전 공연물'이 '식민지의 번안 기록물'로 각색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분석하려 한다. 세 텍스트는 가난한 노동자와 그의 아내, 음주와 나태에 대한 경계, 갑작스런 행운을 둘러싼 소동, 주인공의 개심과 성공이라는 이야기구조를 공유한다. 하지만 제국의 연행 텍스트를 식민지의 기록 텍스트로 번안 각색하는 과정에서 「몽금」과 「인력거꾼」은 원전의 해학적인 분위기를 일정한 정도로 비극적이거나 엄숙한 분위기로 바꾸고 있다. 그들은 가난한 노동자의 우연한 행운을 노동에 입각한 자산 획득의 과정에 편입시킴으로써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깨우침을 주는 데 치중하고 있다. 생계조차 힘든 상황을 타개하는 과정에서 「시바하마」는 성실의 가치와 함께 장사꾼으로서의 수완을 강조한다. 전반부의 비극성과 후반부의 해학성으로 구성되는 「몽금」에서는 상황 타계과정에서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하지 않고 생선장수에서 3년 만에 유기전 주인으로 급격하게 변신하는 비현실적 결말을 제시한다. 결말에서 가정의 화락함을 강조하는 두 텍스트와 달리 「인력거꾼」에서는 금주와 성실을 지켜가는 남편의 모습을 강조한다. 양반 출신으로 자본가로 전신하기보다 육체노동자 되기를 고집하는 피식민인의 모습을 보여주는 「인력거꾼」은 제국의 서민 공연물을 식민지의 계몽적 읽을거리로 번안하는 과정에 개입하는 식민성의 문제를 환기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from an Imperial original play to a Colonial adaptational document and the meaning about Japanese Rakugo text Sibahama and two adaptation texts of it, An, Guk-seon's A rickshaw man and Yun, Baek-nam's Gold in a dream. These three texts own the same story factor like a pool laborer and his wife, warning of drinking and laziness, happening of a chance good luck, the hero's reform and success etc.. But in the courses of adaptation from an Imperial play text to a Colonial document text, Gold in a dream and A rickshaw man has changed comic mood that the original text has to tragic or solemn mood in some degree. They attach importance to giving moral and enlightening instructions with emphasizing not a chance good luck but legal course of having fortunes. In the courses of having fortunes, Sibahama emphasizes both the value of sincerity and a trader's ability. Otherwise, Gold in a dream composed the tragic factor at the first half and the comic factor at the second half, it does not show definite courses of change and so presents the end lacks reality, that the hero had succeeded suddenly. Apart from other two texts that emphasize the peace of a home at the end, A rickshaw man emphasizes the hero's sincere and non drinking pose at the end. This work shows a colonial man who sticked to not become a bourgeois but stay a laborer and so it awakes the problem of colonialism in the courses of adaptation from an Imperial common play to a Colonial enlightening docu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