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인 태아의 얼굴신경 말초가지의 분포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

        김종중(KIM Jong Joong),정주현(CHUNG Ju Hyun),문정석(MOON Jeong Seo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3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6 No.2

        한국인 태아 3예의 얼굴신경을 관찰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David 분류법에 의한 얼굴신경분지 형태를 TypeⅠ 29% Type Ⅱ 32.5% TypeⅢ 17.6% Type Ⅳ 17.6% Type Ⅴ 26.5% Type Ⅵ 29% 이었다. 2.얼굴신경의 볼가지는 59%가 귀밑점샘관위로 뛰고 있었다. 3.얼굴신경의 권골가지와 볼가지의 결합은 마우 다양하였다.

      • KCI등재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고양이 중간뇌에서 Calbindin D-28k 와 Parvalbumin을 함유한 GABA의 분포상에 관한 연구

        김종중(Jong-Joong Kim),정상봉(Sang-Bong Jeong),남훈(Nam-Hoon Kim),안계훈(Gye-Hoon Ahn),정윤영(Yoon-Young Chung),문정석(Jeong-Seok Moon),장인엽(In -Youb Chang),홍순(Hong-Soo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00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3 No.2

        간추림 고양이 중간뇌에서 calbindin D-28k (CB) 와 parvalbumin (PV), 그리고 gamma-aminobutyric acid (GABA) 의 분포상과 세포의 형태 및 크기를 관찰하고, 동일세포 E 안에서 이들의 공존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 하였다. CB, PA 및 GABA 에 대한 특이성을 지난 단세포군항체를 이용한 면역세포화학적 염색을 하여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적색핵, 흑색질, 눈돌림신경핵, 청색핵에서 CB-IR, PV-JRGABA-IR 세포를 가장 많이 관찰할 수 있었다. 2 적색핵에서는 PV-IR 세포가, 흑색질에서는 CB-IR 세포가 더 많이 출현하였다. 3. PV-IR 과 GABA-IR 이 통일세포에 공존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CB-IR, PV-IR, GABA- IR 세포의 세포체의 형태는 방추형, 타원형, 원형이었고 그 크기는 15-20 μm 이었으며 세포의 모양을 흩극, 이극, 뭇극신경원이었다.

      • KCI등재

        Immunoelectronmicroscopical Study on the Axonal Coexistence of Serotonin and Substance-P of Fetal Nerve Tissue Transplantation into the Transected Spinal Cord of Rats

        김종중(Jong Joong Kim),장인엽(In Youb Chang),정윤영(Yoon Young Chung),문정석(Jeong Seok Moon),윤상필(Sang Pil Yoon),배영훈(Young Hoon Bai) 대한체질인류학회 1999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2 No.1

        흰쥐에서 척수를 절단한 후 태생기의 serotonin 과 substance-P를 함유한 솔기 핵의 이식 후 척수의 형태학적 재생 및 기능을 연구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적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 흰쥐에서 serotonin과 substance-P 양성반응 신경섬유들이 척수내의 등쪽회색질 기둥의 I, Ⅱ층과 중심 관 주변에 분포해 있었다. 2. 척수를 절단한 아래부위에서는 serotonin과 substance-P 양성반응 신경섬유는 관찰할 수 없었다. 3. 척수를 절단한 후 태형 13~15일 된 태 생기 솔기 핵을 이식한 쥐에서 절단부위 아래에서 serotonin과 substance- P 양성반응 신경세포와 섬유를 관찰할 수 있었다. 4. 이식한 태생 기 솔기 핵은 serotonin과 substance- P 양성반응 신경섬유가 절단부위 아래에서부터 숙주의 신경조직과 연접되어 등쪽회색질 기둥의 I,Ⅱ 층과 흉수와 요수의 운동신경 원층인 배쪽회색질기둥의 IX 층, 그리고 자율신경의 신경 절이 전신경원이 함유되어 있는 중간 및 그 세포기둥부위에 집중적으로 출현하였다. 5.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세포질 내에는 수많은 사립체, 과립세포질세망, 골지복합체, 신경미세섬유가 출현하였으며 많은 신경연접을 관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개 후각망울에서 칼슘결합단백질인 Parvalbumin과 Calbindin D-28k 면역화학반응 양성신경세포에 관한 연구

        김종중(Jong-Joong Kim),정윤영(Yoon-Young Chung),반영수(Young-Soo Phan)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5

        개의 후각망울에서 parvalbumin과 calbindin D-28k에 대한 고도의 특이성을 지닌 단세포군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세포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parvalbumin 양성신경세포와 calbindin D-28k 양성신경세포의 분포상과 세포의 크기 및 형태에 대하여 관찰한 결과 parvalbumin 양성신경세포와 calbindin D-28k 양성신경세포는 후각망울망상층에서 가장 많이 관찰할 수 있었으며 과립세포층, 승모세포층, 후각신경토리층의 순서로 많이 출현하였다. 후각망울 각 층에서 관찰된 parvalbumin 양성신경세포와 calbindin D-28k 양성신경세포는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제1형은 세포가 비교적 크며 (35~40μm) 매우 강한 염색성을 보였고, 제2형은 세포가 중간정도 크며 (25~35 μm) 중등도의 염색성을 보였으며, 제3형은 세포가작고 (20~25 μm) 약한 염색성을 보였다. 후각망울의 회백질안에서 후각토리를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승모세포와 과립세포, 그리고 토리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후각망울 각 층에서 parvalbumin 양성신경세포가 calbindin D-28k 양성신경세포에 비해 더 많이 출현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중염색을 한 결과 동일표본에서 parvalbumin 양성신경세포와 calbindin D-28k 양성신경세포를 확실히 구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한 세포안에 두 양성신경세포가 공존하는 것은 확인할 수 없었다. 후각망울 각 층에서 관찰된 parvalbumin 양성신경세포와 calbindin D-28k 양성신경세포는 홑극신경원, 양극신경원, 뭇극신경원이었으며, 세포체는 원형, 타원형, 삼각형, 방추형 등이었다. We have studied the distribution of calcium-binding proteins parvalbumin (PV-IR) and calbindin D-28k (CB-IR) immunoacitivity in the mongrel dog olfactory bulb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nd the avidin-biotin immunoperoxidase method. The possible coexistence of both markers was determined by segmental hist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double labelling of the same section. In the olfactory bulb of mongrel dog, PV-IR and CB-IR were mainly located in the external plexiform layer, and a few scattered in the glomerular layer, mitral cell layer, and glanule cell layer in the order of thier existence. In addition, three neuronal types were observed in the glomerular layer and external plexiform layer border. Horizontal cells and vertical cells of Cajal were also observed after both PV-IR and CB-IR labeling. Distict groups of PV-IR and CB-IR, differing in size, shape, dendritic branching pattern, and staining intensity, were distinguished in the all layers of the olfactory bulb. Specific neuronal populations were positive for both PV-IR and CB-IR markes. No cell colocalized both stains in the mongrel dog olfactory bulb. The number of PV-IR were more than abundant in olfactory bulb compared to the CB-IR cells. The PV-IR and CB-IR postitive cell somata were round, oval, spindle and polygonal in shape, and they were unipolar, bipolar and multipolar in type. The diameters of the somata of the PV-IR and CB-IR neurons were 20~40 μm, respectively. Also dendrites of the these neurons were densely arrayed in arborization.

      • KCI등재

        광주직할시 첨단과학단지 뚝뫼 무덤에서 출토된 사람뼈에 관한 체질인류학적 연구

        김종중(Kim Jong Joong),정주현(Chung Ju Hyun),문정석(Moon Jeong Seok),장인엽(Chang In Youb),정윤영(Chung Yoon Young),흥중(Kim Heung Joong) 대한체질인류학회 199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7 No.1

        간추림 산월동 뚝뫼 무덤에서 사람뼈 1례를 계측한 결과 체질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산월동 사람뼈는 출토된 유물들에 근거하여 조선시대 전기로 추정된다. 2. 산월동 사람뼈의 키는 163~165cm정도이며 나이와 성별은 50대 후반의 여성으로 추정된다. 3 머리치수는 77.09mm로 mesocephaly형에 속한다. 4 길이-높이치수는 83.51mm로 hypsicrane형에 속한다. 5 너비-높이치수는 108.3mm로 Acrocephaly형에 속한다. 6 눈치수는 95.0mm로 Hypsiconch형에 속한다. 7 상완골은 비교적 가는형이며 뼈몸통은 원통형이었다. 8 대퇴골은 현대한국인과 같이 platyer형에 속한다. 9 치아는 교모도가 2.5point였다.

      • KCI등재

        손상된 척수에 이식한 사람배꼽혈액이 척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종중(Jong-Joong Kim),정윤영(Yoon-Young Chung)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3

        최근 각광받고 있는 성체줄기세포로 잘 알려진 사람배꼽혈액세포(hUCB)는 태아를 출산할 때 산모의 배꼽이나 태반에 서 쉽게 얻을 수 있으며 뇌졸중을 포함한 신경성퇴행질환과 혈우병, 팡코니증후군 각종 암, 면역계통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자원이 풍부한 세포로서 동물은 물론 사람에게도 직접 이용하여 좋은 성과를 얻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척수를 인위 적으로 손상 (SCI)시킨 후 hUCB세포를 꼬리정맥을 통하여 주입하여 척수기능의 회복상태를 확인하고자 본 실험을 시도 하였다. 흰쥐 25마리를 5개의 실험 군 (LO, LO±hUCB, SCI 1±hUCB, SCI 5±hUCB, SCI)으로 나누었다. SCI는 55 g 정도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특수하게 제작한 정맥 집게 (clip)를 이용하여 척수를 압박 손상시켰다. hUCB세포를 주입시킨 후 1, 2, 3주 간격으로 맨눈관찰 (open field), 철망경사오르기 (grid incline), 뒷다리펴기 (leg extention), 발가락펴기 (toe spread)를 실시하였다. hUCB양성반응세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형광염색과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였다. SCI 실험 군에서 hUCB세포가 신경아교세포와 신경세포로 분화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LO와 LO±hUCB 실험 군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다. 행동평가에서 맨눈관찰, 철망경사오르기, 뒷다리펴기, 발가락펴기는 SCI 5±hUCB 실험 군이 다른 실험 군에 비 하여 척수 기능이 매우 향상되었으며 SCI 실험 군에서는 3주가 지나도 행동은 향상되지 않았다. 이는 척수를 손상시킨 후 곧 바로 hUCB세포를 주입하는 것보다는 5일 후에 주입하는 것이 척수기능을 회복시키는데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척수 손상 후 5일에 hUCB세포를 주입한 실험 군이 행동평가는 물론 면역형광염색과 조직화학염 색에서도 가장 좋은 양상을 보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Many approaches have been adopted to restore func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CI). These have included transplantation of fetal neurons, neuronal progenitor cells, or glial cells, or transplantation of transfected cells which produce a variety of substances. The use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 cells (hUCB cells) has recently been reported to alleviat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troke injury. We report here that hUCB cells delivered intravenously in rats with compression injury of the spinal cord increase the rate behavioral recovery. Tweny-five ra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laminectomy only, laminectomy±hUCB cells, SCI±hUCB cells devlivered at one day post-injury, SCI±hUCBcells delivered at 5 days post-injury, and SCI only). SCI was produced by compressing the spinal cord for one minute with an aneurysm clip calibrated to a closing pressure of 50 gms. Rats were assessed behaviorally at one, two and three weeks using the BBB behavioral scale, inclined platform, and extension and toe spread tests. Following behavioral testing, spinal cords from these rats wer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to identify hUCB cells. Spinal cords from SCI±hUCB cells animals contained hUCB cells in the area of SCI: No hUCBcells cells were found in noninjured areas of spinal cord from these animals or in animals in which only a laminectomy was performed. Rats in the SCI±hUCBcells 1 day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covery of motor function as compared to the SCI±hUCB cells 5 day group and laminectomy groups. By three weeks, SCI±hUCB cells anima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UCBcells cells may be beneficial in reversing the behavioral effects of SCI.

      • KCI등재

        Effect of BMI1 Knockdown on Cell Proliferation, Apoptosis, Invasiveness, and Migration of U251 Glioma Cells

        Dong-joon Kim(동준),Yong-hyun Jun(전용현),Dong-hyun Kim(동현),Jong-Joong Kim(김종중) 대한체질인류학회 201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8 No.2

        BMI1 유전자는 크로마틴 사일런서를 보존시켜 주며 정상 및 암 줄기세포의 단계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polycomb-repressive complex 1 (PRC1) 단백질의 한 종류이다. 이번 실험에서, siRNA를 이용한 BMI1 유전자 발현 억제가 사람신경교종세포주인 U251에서 종양세포의 침투, 이동 및 세포사멸과 같은 종양작용과 종양진행과 관련된 세포 신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BMI1 유전자 발현 억제는 cleaved PARP와 caspase-3의 활성화와 항세포사멸 단백질, survivin, XIAP, Bcl-xL, Mcl1 단백질들의 발현감소를 통해 세포사멸을 증가시켰다. 또한 BMI1 발현억제는 세포 침투 및 이동 능력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Akt/FOXO1/3a 신호단백질들의 인산화작용의 감소 역시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BMI1 유전자의 발현억제가 U251 신경교종세포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키고, 침투 및 이동을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현상들은 사람 신경교종세포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Akt신호체계와 연관이 있음을 시사한다. BMI1 belongs to the polycomb-repressive complex 1 (PRC1) family of genes that are conserved chromatin silencers. These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both the normal and cancerous stem cell stat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siRNA-mediated BMI1 knockdown on tumor cell properties such as invasion, migration, and apoptosis, as well as on cell signaling pathways responsible for tumor progression in the human glioma cell line, U251. Knockdown of BMI1 induced apoptosis by activating cleavage of PARP and caspase-3. It also decreased the expression of anti-apoptotic proteins, survivin, XIAP, Bcl-xL, and Mcl1. Additionally, BMI1 knockdown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invasion and cell migration ability. BMI1 knockdown also de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Akt/FOXO1/3a signaling proteins. Our results suggest that BMI1 knockdown induces apoptosis and decreases cell invasion and cell migration. Moreover, we believe these phenomenona are associated with decreased phoshorylation of Akt signaling proteins, which contributes to cancer progression.

      • KCI등재

        흰쥐 대뇌겉질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α와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생후 발달에 관한 연구

        정윤영(Yoon-Young Chung),남훈(Nam-Hoon Kim),김종중(Jong-Joong Kim),문정석(Jeong Seok Moon),박영란(Young-Lan Park),류소연(So-Yeon Ryu),현곤(Hyun-Kon Kim)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생후 발달중인 대뇌겉질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와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이들 각각을 함유하는 신경세포 뿐 아니라 두 가지 단백질을 동시에 함유하는 신경세포를 구분하여 각 세포의 발달 양상을 조사하였다. TGF-α 면역반응 양성 세포는 출생 시에 이미 분자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에서 관찰되었으며 생후 20일에 마루겉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TGF-α 면역반응 양성 세포의 염색 강도와 수는 생후 15일에서 20일 사이에 가장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생후 20일경에 성숙 흰쥐의 세포 양상과 유사하였다. EGFR 면역반응 양성 세포는 출생한 날에는 등쪽 안배모양겉질에서만 출현하였으며 생후 3일에 이마겉질, 마루겉질, 뒤통수겉질, 관자겉질 등에서 소수 나타났다. EGFR 면역반응 양성 세포는 생후 90일, 즉 성숙 흰쥐의 마루겉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성숙 흰쥐의 IV, V, VI층에서 EGFR 면역반응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세포들은 이마겉질과 마루겉질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다가 가쪽의 섬겉질로 이행하면서 감소하였고, 생후 10일과 그 이후에 성숙 흰쥐의 세포 양상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EGFR 면역반응의 출현시기와 분포위치 등은 서로 다른 겉질 영역의 기능적 활동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TGF-α와 EGFR에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신경아교세포는 관찰할 수 없었다. TGF-α과 EGFR 면역반응은 대부분 신경세포에서 관찰되었고 TGF-α와 EGFR를 공유하는 세포도 모두 신경세포였다. TGF-α와 EGFR 공유신경세포는 생후 3일에 대부분의 대뇌겉질에서 관찰되었으며 생후 10일까지는 대부분 미성숙한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출생한 날을 제외하고 생후 발달중이거나 성숙 흰쥐 모두에서 대뇌겉질 신경세포에 TGF-α와 EGFR이 광범위하게 발현되었으며 대부분 EGFR 함유 신경세포가 TGF-α를 분비하는 세포였다. 한편 TGF-α와 EGFR 함유 신경세포의 생후 출현시기 및 세포 형태의 발달상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이는 정상적으로 발달중인 대뇌겉질에서 TGF-α가 생후 연령별로 여러 가지 다른 조절 기전에 의해 EGFR을 활성화하여 신경세포에 작용함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immunoreactivities were examined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ra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TGF-α-immunoreactive cells were found at birth in all cortical layers except the molecular layer. TGF-α-immunoreactive cells were most abundant in the parietal cortex at P20. The intensity and number of the TGF-α-immunoreactive cells increased at postnatal days 15 or 20 (P15-P20). Mature patterns of TGF-α-immunoreactive cells were achieved at P20. EGFR-immunoreactive cells appeared only in dorsal endopiriform cortex at P0. The first EGFR-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in the neocortex at P3. These cells were most abundant in the parietal cortex at P90. In adult, the most prominent EGFR immunoreactivity occured in layer IV, V and VI. These cells were numerous in the frontal and parietal cortex, diminishing laterally towards the insular cortex. Adult patterns were reached on and after P10. The time of appearance and localization of EGFR immunoreactivity correlated with functional activity in the different cortical areas. No clear labelling of glial cells with TGF-α and EGFR antibodies was found. TGF-α and EGFR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majority of neurons in the postnatal developing and adult cerebral cortex of the rat. Also double-immunohistochemistry with antibodies to TGF-α and EGFR showed co-localization of TGF-α and EGFR in neurons of the cerebral cortex. Co-localization of TGF-α and EGFR was first detectable in most cortices at P3. By P10, these neurons showed immature neuronal features. The present results showing TGF-α and EGFR immunoreactivity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postnatal developing (except P0) and adult cerebral cortex, mainly localized in neurons. And TGF-α and EGFR co-localize in most neurons, thus indicating that most EGFR-containing cells are TGF-α-synthesizing cells. In addition to difference of time of appearance and mature neuronal pattern suggest that TGF-α has the capacity of activating the EGFR in the normal postnatal developing cerebral cortex, therefore, TGF-α and EGFR may interact within cortical neurons through many different mechanism according to postnatal age.

      • KCI등재후보

        흰쥐 대뇌겉질의 생후발달에 따른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면역반응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정윤영(Yoon Young Chung),홍순(Hong Soon Kim),김종중(Jong Joong Kim),문정석(Jeong Seok Moon)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4

        TGF-α는 중추신경계의 증식과 분화뿐 아니라 신경세포의 유사분열 후 생존과 분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지금까지는 주로 뇌 전체를 부위별로 분류하여 TGF-α의 발현과 분포를 포괄적으로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생후 발달중인 흰쥐의 대뇌겉질에서 TGF-α 면역반응성을 영역별, 층별로 구분하여 자세히 조사하였다. 흰쥐 대뇌겉질에 서 TGF-α 면역반응은 생후 연령에 따라 각각의 겉질 영역에서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출생한 날에는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가 미각영역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I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층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출생한날과 생후 5일에 마루겉질의 II층과 III층에서 약하게 표지된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가 나타났다. 생후 10일의 입쪽 마루겉질에서는 일차몸통감각영역과 이차몸통감각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두 영역간의 분포에 차이가 있었으며 꼬리쪽의 마루겉질에서는 II층에서 VI층까지 광범위하게 양성 신경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생후 15일에서 생후 90일까지는 강하게 염색된 신경세포들이 마루겉질 전체에 걸쳐 I층을 제외한 II층부터 VI층까지 양성 소견을 보였다. 과립형 뇌들보팽대 뒤영역에서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가 처음으로 출현한 시기는 생후 15일이었다.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의 염색강도와 그 수는 생후 20일에 가장 증가하였고 생후 30일에 감소하였다.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의 형태학적인 모양은 생후 20일경에 성숙해졌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대뇌겉질에 분포하는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가 대뇌겉질의 생후 발달 과정 초기에 출현는 것으로 보아 뇌의 다른 부위에서 TGF-α 면역반응이 발생 초기부터 일찍 출현한다는 것과도 관련이 있으며, 성숙 흰쥐뿐 아니라 생후 발달중인 흰쥐 대뇌겉질을 포함한 뇌의 여러 부위에서 광범위하게 TGF-α 면역반응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GF-α가 대뇌겉질의 생후 발달 과정에서 뇌세포의 생존과 성장을 조절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 induces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CNS) as well as the survival and differentiation of postmitotic CNS neuron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TGF-α expression throughout brain reg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GF-α immunoreactivity in the neocortex of the ra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in detail. TGF-α immunoreactivity in the neocortex of the rat followed very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postnatal ages and cortical areas. In the newborn rat, TGF-α-immunoreactive neurons were found in all cortical areas except the gustatory area. Especially, In the parietal cortex, weaklylabelled TGF-α-immunoreactive neurons appeared in layers II and III from P0 to P5. Areal difference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omatosensory area was observed in the rostral parietal zone at P10, but TGF-α-immunore-active neurons distributed in layers from II to VI in the caudal parietal zone. From P15 to P90, heavily-labelled neurons appeared in layers from II to VI throughout the parietal cortex. In the granular retrosplenial area, TGF-α-immunoreactive neurons first appeared at P15. The intensity and number of the immunoreactivity of TGF-α-containing neurons increased during the first 20 day of postnatal life but dramatically decreased at P30. Mature patterns of TGF-α-immunoreactive neurons were achieved at P2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GF-α immunoreactivity in the neocortex may be related to the early appearance of TGF-α immunoreactivity in many other brain regions, and suggest that TGF-α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brain of rat and TGF-α may play a role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of the cerebral cort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