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남 신안군 우이도 풍식력에 대한 연구

        김종연 ( Kim Jong Ye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6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6 No.4

        전남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리에는 약 50m 높이의 등반형 사구가 존재한다. 이 대사구는 하계와 동계에 각각 남-북 방향으로 탁월풍의 풍향이 바뀌는 환경에서 전사구의 모래가 비산되어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의 주된 기반암은 백악기의 유문암 또는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알려져 있다. 자갈 또는 기반암 면이 바람에 따라 운반되는 퇴적물질에 의한 마식으로 형성된 풍식력이 등반 사구가 형성된 곡지의 능선 부분에서 발견되었다. 연구지역의 등반 사구의 경우 풍식력이 곡지를 따라 능선 방향으로 가속되는 계곡을 따라서 발견된다. 능선 부분의 암석 노출부에는 유문암과 유문암질 응회암이 나타난다. 풍식 찰흔과 풍식면은 노출된 유문암의 표면에 나타나며 찰흔의 방향은 풍향과 일치한다. 유문암질 안산암의 경우 피트, 플루트, 그루브가 관찰되는데 비하여 풍식면은 일부 광택면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찾아보기 어려웠다. 한편 풍식릉과 풍식면이 유문암과 응회암에서 기원한 자갈에는 발달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피트, 플루트 그루브가 관찰된다. 풍식릉은 직선이나 톱니형의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미루어 보아 이지역의 풍계가 단순함을 알 수 있다. 이 풍식 지형들은 원인이 아직 명확하지 않은 전사구에서 능선 부분으로의 모래 공급 감소로 인하여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 모래 공급이 안정적인 경우 이 풍식 지형들은 모래에 의하여 하면서 매몰될 것으로 보인다. There is a climbing dune about 50m high at Wooyidori, Docho myun, Shinan gun, Jeollanamdo. This dune is known to be formed by scattering the sand of the transfer zon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wind direction of the fine wind changes in the south-north direction in summer and winter. The main bedrock in this area is known as rhyolite or rhyolitic tuff in the Cretaceous. Ventifacts, which is formed by the abrasion of gravel or rock mass by the transporting sand or silt particles, were found in the ridge part of the crust where the climbing dune was formed. In the case of climbing dunes in the study area, ventifacts are found along the valley, which rises along the ridge along the crust. Rhyolite and rhyolitic tuffs appear in the rock exposed part of the ridge. Wind striation and facets appear on the surface of exposed rhyolite, and the direction of the strikes coincides with the wind direction. In the case of rhyolite andesite, pits, flutes and grooves were observed on the exposed surface. Its directions coincides with main wind directions. In the case of rhyolitic tuffs, pit, flute and grooves are found but facets hard to find though weakly polished surface are recognized. Meanwhile keels and facets(polished surfaces) are developed on surface of rhyolite and tuff gravels(zweikante), along with pits, flutes, and grooves. The keels have straight or surrogated forms in planform so, it is supposed that the wind direction of this area is relatively simple. These forms appear to have been exposed due to a decrease in sand supply from beach to ridge where the cause is still unclear. If the sand supply is stable, these ventifacts will be buried under sand.

      • KCI등재후보

        미호천 퇴적층의 매몰연대에 대한 연구: 정북동 토성과 범람원의 물질을 대상으로

        김종연 ( Jong Yeon Kim ),성정용 ( Jeong Yong Seong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2

        플라이스토세와 현세에 걸친 금강 유역의 퇴적 환경 변화는 일부 연구자에 의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전의 연구는 금강의 지류인 미호천의 단구를 분류하고 후빙기 이후의 저위 단구의 형성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미호천의 하성 퇴적층에 대한 수리적 매몰연대 추정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호천의 자연제방에 축조된 것으로 알려진 청주시의 정북동을 대상으로 하여 토성의 하부와 성벽 구성 물질, 그리고 주변 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연구 지역의 미호천 인근 지역에서는 가장 하부에 모래 퇴적층이 나타나고 그 위로 하상성 자갈과 모래 및 세립질 퇴적층이 나타났으며, 그 매몰연대는 모래층의 경우 13.65±2.04ka BP, 세립질층의 경우 약 4ka BP로 나타났다. 성벽의 남동부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성벽의 아래 부분에서 약 9ka, 성벽의 중간 부분에서 6ka, 그리고 그 위에서 다시 약 9ka의 매몰연대가 추정되었다. 성벽의 남측 부분에 노출된 성벽의 하단 부분과 인근의 범람원 부분의 점토 중심의 층에서 수직으로 발달한 쐐기 구조가 관찰된다. 이 층의 매몰연대는 17~12ka BP로 파악되었으며 해당 시기는 최후 빙기 최성기 이후 온난화 및 습윤화가 진행되는 시기로 알려져 있다. Depositional environment changes of drainage basin of Geum River during Pleistocene and Holocene have been studied by some researchers. Previous studies classified fluvial terraces along the channel of Miho river by the relative height from the current river channel. The lower terraces of this area supposed to be formed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However, the burial age of fluvial sediments of Miho river have not estimated using numerical method. Samples for age estimation were collected from the Jeongbuk earth wall and adjacent area. The Jeongbuk earth wall is supposed to be constructed on the natural levee of Miho river. Sand layer forms the basis of fluvial depositional layers of the study area. The fluvial gravel layer, can be found from the channel bed, overlain the basal sand layer and are covered by upper sand and finer particle layer. The burial age of upper sand layer and finer particle layer are estimated as 13.65±2.04ka BP and 4ka BP respectively. At the south-east part of the wall three burial ages are estimated from samples of the lowest part (sand; 9ka), middle part (finer particles; 6ka) and the upper part (sandy: 9ka). The soil wedges are found from clay layer at the bottom of south part of the wall and adjacent floodplain area. The burial age of these layer estimated as 17~12ka BP and it is the time global warming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It was reported that precipitation of that period also increased.

      •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점망둑(Chasmichthys dolichognathus)의 식성

        김종연(Jong-Yeon KIM)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04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Vol.4 No.-

        To know the food chain of an intertidal community, feeding habits of Chasmichthys dolichognathus were studied by analyzing stomach contents. C dolichognatluIs were monthly collected and the feeding habits were investigated in the intertidal zone of Dodun-ri, Sochon from May 1997 to April 1998. Fullness of stomach was increased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except winter. C dolichognathus(1.0-6.0cm TL)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gammarid amphipods, polychaetes, copepods and crabs. Its diets included minor quantities of gastropods, shrimps, bivalves, cirriped larvae and stomatopods. C dolichognatluIs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fed mainly on gammarid amphipods, polychaetes and copepods. While the portion of the stomach contents attributable to polychaetes and crabs increased steadily with increasing fish size, consumption of copepods decreased progressivly. Although gammarid amphipods, polychaetes, copepods and crabs were major prey organisms for all seasons, the relative proportion of these food items changed with seasons. Consumption of copepods was relatively high in spring and fall and consumption of gammarid amphipods, polvchaetes and crabs was relatively high in summer.

      • KCI등재
      • KCI등재

        Zn - 22wt%Al 합금의 진동감쇠특성에 미치는 냉간가공과 온도의 영향

        김종연(Jong Yeon Kim),박희석(Hee Seok Park),나형용(Hyun Yong Ra) 대한금속재료학회(구 대한금속학회) 1996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4 No.9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pecific damping capacity(SDC) of rolled Zn-22Al alloy(Superplastic Zinc, SPZ). SDC is fou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reduction ratio, because of the microstructure change from network to particle type. SDC is very sensitive to the change of frequency, so that the variation of frequency with reduction ratio was investigated. Frequency is almost constant with reduction ratio. But the frequency is decreased when the specimen is heat treated. SDC of both as-rolled and heat treated sheets are increased large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at is, SDC is about 11~14% at room temperature, but 50% at 130℃. This reason is considered as follows. Relaxation time τ subjects to thermal activation process and SDC becomes a maximum(has a peak) when ωτ is equals to 1 in SDC =△0ωτ/ (l +ω2τ2).

      • KCI등재
      • KCI등재

        강원도 고성 일대의 지형 경관에 대한 연구

        김종연 ( Jong Yeon Kim ) 한국지형학회 2011 한국지형학회지 Vol.18 No.3

        강원도 고성 일대의 제3기 현무암 분포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의 지형경관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 지역은 화강암 풍화대가 형성되는 과정 또는 형성된 후 화산 활동으로 현무암이 분출된 지역으로 두 암석의 특성과 지형 발달 과정에서의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지형 경관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고성 일대의 지형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특히 화산활동의 결과로 나타난 현무암 지형과 화강암 풍화 이후의 풍화 산물 탈거로 인한 지형 발달 과정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송지호 인근의 지역인 오음산 지역의 경우 산정부가 현무암에 의해서 피복되면서 상대적으로 평탄한 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산록은 주로 화강암으로 풍화대와 풍화 잔류물로 구성되어 있다. 두 기반암 사이의 경계는 현무암의 단애 또는 풍화산물이 얇게 피복된 급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사 결과에 의하면 화강암의 풍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현무암이 피복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오음산과 뒷배재의 경우 현무암의 분출지점이 단일 화구인지 다수의 화구인지 명확하지 않았다. 두지역 모두 현무암의 단애로부터 주상절리의 해체에 의하여 분리된 암괴들은 화강암 풍화산물중심의 산록을 피복하면서 암괴류와 애추사면과 같은 암설사면을 형성하였다. 운봉산에서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암괴들의 장축은 사면의 전반적인 방향과 일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괴류들의 경우 암괴 자체의 이동보다는 하부의 세립 물질 세탈로 지형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landforms based on granite and basalt in Gosung, Gangwon province were analysed. Some part of this area experienced volcanic activities while most of the area was experiencing erosion of weathered mantle(saprolites) of mesoic granites during cenozoic period. Two different lithologies affect the mode of landscape evolution. The basalt covers the mountain tops as a ``cap rock`` with flat surfaces. It shows relatively fresh rock surface with cliff or steep slops at the boundary with weathered granite. The blocks detached from the cliff accumulated at the foot of the cliff(talus) or moved and filled the valley(block streams). These debris slopes cover the deeply weathered granites. In the case of Oeum Mt. and Duibaekjae, the number of point of origin of the basalt flow is not clear. The orientation of blocks from block stream coincides with slope aspects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bolcks were moved by solifluction. The landscape change of the block streams are dominated by removal of weathered material from beneath of the valley rather than removal of bedrock blocks themselves.

      • KCI등재

        울금 추출물의 5-Alpha Reductase Ⅱ 활성 저해 효과

        김종연(Jong Yeon Kim),이정윤(Jeong Yoon Lee),윤호근(Ho-Geun Yoon),용재(Yungjae Kim),전우진(Woojin Jun),황권택(Kwon Tack Hwang),차민석(Min Seok Cha),이유현(Yoo-Hyu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울금(Curcuma longa L.)의 다양한 추출물을 대상으로 5-alpha reductase의 활성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5-Alpha reductase는 T에서 활성형 남성호르몬인 DHT로 전환을 담당하며, 전립선비대에서는 혈액에서 DHT농도가 높다. Rat의 전립선조직 균질액과 5-alpha reductase를 과발현시킨 LNCaP 세포 균질액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100 μg/mL의 농도에서 울금의 열수추출물(CL-HW)과 20% 에탄올추출물(CL-E20)이 5-alpha reductase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특히 CL-HW는 100 μg/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유의적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CL-E20은 50 μg/mL의 농도부터 80% 이상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에서 CL-HW 및 CL-E20은 5-alpha reductase의 억제활성이 있으며, 이는 전립선비대 치료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5-Alpha reductase Ⅱ, which converts testosterone (T) to dihydrotestosterone (DHT), is a crucial enzyme Ⅱ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hibitory effects of Curcuma longa L. (CL) extracts on 5-alpha reductase Ⅱ activity were investigated in rat prostate tissue homogenates as well as LNCaP cells expressing human 5-alpha reductase Ⅱ. Hot water extract (CL-HW) of Curcuma longa L. significantly inhibited 5-alpha reductase activity by over 80%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whereas 20% ethanol extracts (CL-E20) of Curcuma longa L. exhibit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from 50 μg/m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urcuma longa L is a potent 5-alpha reductase Ⅱ inhibitor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