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21세기 구비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구비문학의 주체 문제를 중심으로-

        김정경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30 No.-

        In this article, I tried to grasp exactly wh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viewpoint of each object which looked at the object of the literature as the ‘prototype of national culture’ and ‘the culture of the upper class people’. It is the attempt to try the “historicalization” of the Korean oral literature, considering that the crisis of the oral literature pointed out by the various authors stemmed from the absence of the concern about the “historicalization” of Korean folklore and oral literature. First, in chapter 2, I tried to reveal the mechanism by which ethnic scholars and colonists understood the Korean people as a homogeneous subject, ‘nation’. In this article, I thought that it became a condition to make the origin before the loss of the recognition of the nature of the Korean people lost by colonial rule. The movement to return to the “old national roots” of the nationalists has created its roots and can say that efforts to regain its origins have resulted in a break with the hierarchical traditions of all the layers that existed in practice. In Chapter 3, I examined the change of the task of the literature to grasp the dreams and possibilities of universal liberation provided by the people. The process of colonial modernization gave the opportunity to constitute a more universal new identity than the imperial universality. In Chapter 4, I reviewed recent research on cyberspace discourse and community. In these discussions, the focus of discussing the oral literature has shifted from a universal and harmonious community to a number of special and contingent communities. In conclusion, this article clearly shows that the various activities and aspects of cyberspace are the main subjects of our study of the oral literature of our age. And since cyberspace is a space that has a non-historical time-space and is characterized by plural identities, I emphasized that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the paradigm that had been troubled with the study of the oral literature of the past so far has been demanded. 이 글에서는 구비문학의 연구대상을 ‘민족 문화의 원형’과 ‘기층 민중의 문화’로 바라보는 각각의 입장이 어떤 이론적 배경과 관점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했다. 여러 논자들이 지적한 구비문학의 위기가 한국 민속학․구비문학의 ‘역사화’에 대한 고민이 부재한 데서 비롯했다고 보고, 한국구비문학의 ‘역사화’를 시도해 보고자 한 것이다. 먼저 2장에서는 식민지기 민족학자와 식민지학자들이 조선인을 ‘민족’이라는 균질적인 대상으로 이해하는 메커니즘을 드러내려고 했다. 본고에서는 식민 통치로 인해 조선 민족의 실체를 직접 확인할 수 없는 상황, 훼손되고 상실된 상태로만 접할 수 있는 조선 민족의 본성이라는 인식이 상실 이전의 기원을 가능하게 만드는 조건이 되었다고 보았다. 민족주의자들의 “옛 민족적 뿌리”로 되돌아가려는 운동이 바로 그 뿌리를 발생시켰으며, 기원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오히려 실제적으로 존재했던 각양각층의 기층적 전통과의 단절을 가져왔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3장에서는 민중의 발견이 원시적인 한반도의 뿌리를 회복하는 작업이 아니라 민중에 의해 제공된 보편적 해방의 꿈과 가능성을 파악하는 작업으로 구비문학의 성격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식민지 근대화의 과정은 민중이라는 개념을 통해 제국과 식민지 지배층들이 내세우는 보편성보다 더 보편적인 새로운 정체성-더 주체적이고 보편적이고 자유로운 개인-을 구성할 기회를 주었다는 것이다. 4장에서는 사이버스페이스의 담론과 공동체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을 검토해보았다. 이 논의들에서는 구비문학 논의의 초점이 지속적이고 목적론적인 시간의 흐름 그리고 추상적이고 보편적이며 조화로운 공동체의 일부분에 관한 것에서, 우연적이며 특수하며 개별적인 정서 혹은 공감을 공유하는 각양각색의 집단이 생산해내는 집단적 발화에 대한 탐구로 옮아가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글에서는 사이버스페이스의 다양한 발화활동과 양상이 우리시대 구비문학 연구의 주된 대상인 것은 분명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사이버스페이스는 비역사적인 시간관을 지닌 공간이면서 동시에 복수적 정체성으로 특징화되는 공간이기에, 이에 관한 탐구에는 지금까지의 구비문학 연구가 고민해왔던 패러다임의 질적인 전환이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 KCI등재

        「여범」의 독해 방식 연구

        김정경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여성문학연구 Vol.28 No.-

        This paper has been focused on identifying the feature of Yeobeom. In order to identify the reading methods, the paper has been proceeded with the formal feature within the female normative books. On chapter 2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narrational features of Yeolyeojeon and other normative books. As a result, the paper find out that these books need a contingency reading. On chapter 3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features of the reading meathod of Yeobeom. As a result the paper find out that the specificity of Yeobeom is intertextuality or polyphony. Readers understand this book in a way of the contingency reading or in a way of the a decontextualized reading. Here, the paper suggest that the ways of reading and writing in chinese characters and the ways of reading and writing in Hangul are coexist together in Yeobeom. 본고에서는 사도세자의 친모 선희궁 영빈 이 씨가 쓴 「여범」의 독해 방식을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또한 지금까지의 규훈서 연구들이 주로 텍스트의 내용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보고, 이와는 다르게 텍스트의 형식을 보다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다른 규훈서들과 구별되는 「여범」 고유의 특질 및 문학사적 위상을 드러내려고 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여범」과 가장 유사한 방식으로 쓰여진 「열녀전」 및여러 규훈서의 서술상에 나타나는 특징을 찾아내어, 이 규훈서들이 독해되는방식을 체계화 했다. 그 결과 이 규훈서들에서는 인물을 둘러싼 사건이 보편적도덕 원리를 입증하는 방식으로 재현되며, 따라서 독자들은 텍스트 외적 요인들이 가리키는 바에 따라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해석한다는 것을 알았다. 3장에서는 「여범」의 서술 방식 또는 독해 방식이 전 장에서 살펴본 규훈서와 동일한가라는 물음의 해답을 찾고자 했다. 그 결과 「여범」은 주석이나 논평대신 텍스트 내적인 구조와 이야기 세계 내부 인물들의 발화를 통해 입전 인물들에 대한 규범적 해석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규훈서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독해될 수 있는 텍스트임을 알았다. 결론적으로 『여범』에는 한문 텍스트를 읽고 쓰는 방식뿐만이 아니라 한글텍스트를 읽고 쓰는 방식, 즉 탈맥락적인 독해방식이 새롭게 적용되었으며, 이두 가지 방식의 대화적 상황은 전자의 방식이 지배적이던 체계에 도전한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구술생애담 이야기판에 나타난 화자와 조사자의 관계 양상 연구

        김정경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ied speaker’ and ‘the implied audience’ in the self-narration. In this paper, we have distingu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ied speaker’ and ‘the implied audie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 and the younger, the non-expert and the expert, the helper and the beneficiary. Subsequently, I saw that the power of narrative became clearer by clarifying who ended the meaning of the self-narration. Therefore, I have classified the closure of the self-narration into 'the closure of meaning' and 'the closure of the situation' and found each subject. First, in the type of narrative version in which the interviewee and the interviewer appear as the elder and the younger, the closure of the meaning and the closure of the situation are all performed by the interviewee. Therefore the narrative power is in the interviewee. In the narrative version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specialist and the expert is prominent, the closure of the situation is performed by interviewee and the closure of the meaning is performed by the interviewer. In this case, the narrative power seems to be in the interviewer who ends the meaning. 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lper and the beneficiary is the key, there are types in which the interviewee has the narrative power and the type in which the interviewer has the narrative power. In the former, the interviewee delays the meaning and ends the situation, and the latter ends the interviewer determines situation and the meaning. In short, in this article, I wanted to say that the attitude of the interviewer and the interviewee is important in self-narr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lassifies the type of self-narration using the concept of ‘the implied speaker’ and ‘the implied audience’. I hope that these discussions will reveal the mechanism of communication of self-narration and re-recognize the role of interviewer. 본 연구에서는 ‘내포 화자’ ‘내포 청자’의 개념을 설정하여 생애담에 나타나는 화자와 조사자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내포화자’는 화자의 모든 발화를 통해 추상화해낸, 오직 생애담 안에서만 존재하는 화자로서, 생애담의 내용을 통제하고, 특별한 방식으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존재이며, ‘내포 청자’는 화자의 발화에 의해 유도되거나 기대되는 태도나 반응의 총체라고 보았다. 본론에서는 내포화자와 내포청자의 관계를 연장자와 연소자, 비전문가와 전문가, 시혜자와 수혜자의 관계로 구분했다. 이어서는 생애담 구술이 이러한 관계 안에서 이루어진다고 할 때, 서사의 권력은 이 가운데 누가 생애담의 의미를 종결하는지 밝힘으로써 명확해진다고 보고, 생애담의 종결을 ‘의미의 종결’과 ‘상황의 종결’로 구분하여 각각의 주체를 찾았다. 화자와 조사자가 연장자와 연소자 관계로 나타나는 이야기판의 유형에서는 의미의 종결과 상황의 종결이 모두 화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서사의 권력은 화자에게 있다. 비전문가와 전문가의 관계가 두드러지는 이야기판에서 상황의 종결은 화자에 의해 의미의 종결은 조사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경우 서사의 권력은 의미를 종결하는 조사자에게 있다. 시혜자와 수혜자의 관계가 지배적인 이야기판은 도움을 주는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인식하고 있는 화자가 주도적으로 의미를 지연하고 상황을 종결하는 유형과, 조사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정확히 알고 있는 조사자가 상황과 의미를 종결하는 유형으로 구분했는데, 이 때 서사 권력은 전자의 경우 화자에 후자의 경우 조사자에 놓여 있다고 보았다. 요컨대 이 글에서는 생애담의 내용과 형식을 결정하는 데에 화자와 조사자의 발화 태도가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사실을 드러내고자 내포화자와 내포청자 간의 서사 권력을 중심으로 텍스트 내적인 관계들을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논의가 생애담이 전달·수용되는 의사소통의 메커니즘을 드러내고, 조사자의 역할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