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재엽,최선아,임정수,Kim, Jae Yop,Choi, Sunah,Lim, Jeong Su 대한가정학회 202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pornography use among adolescents on their subsequent violent sexual behavior, and to ascertai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2,087 Korean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data, a descriptive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Poisson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A Poisson regression was performed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 violent sexual behavior, was measured by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nd most responses were distributed at '0', indicating a non-normal distribu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8.1% of adolescents admitted to having sexually violent experiences over the past year, with a relatively high rate of sexual harassment. Secondly, 53.3% of adolescents had used pornography over the past couple of years,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use occurring via the Internet. Finally, pornography use among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and direct impact on their sexually violent behavior, with family support playing a moderating role. This indicated that, for adolescents with a high level of family support, the impact of pornography usage on sexually violent behavior de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to prevent sexually violent behavior by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 비행과 가정폭력

        김재엽(Jae Yop Kim),정소연(So Yun Jung) 한국아동복지학회 199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

        빈곤층의 주택문제 해결을 위의 정부가 1980년대 후반부터 조성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는 빈곤층의 주거환경을 개선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나 저소득층을 한 지역에 집중시킴으로써 특정문제를 더욱 부각시켰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동시에 받고 있다. 특히 `청소년 비행`과 `가정폭력`문제는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서 이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관심과 개입노력이 시급히 요청되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는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저소득층 밀집지역인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의 청소년 비행과 가정폭력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 두 요인간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6년 3월 15일부터 29일까지 2주동안 서울특별시 H동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내에 위치한 중학교 2곳의 협조를 받아 1, 2, 3학년 남녀 각 1개 반씩 총 12개 학급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구임대 단지내 중학교 재학생들의 비행행위 경험율 및 그 수준은 심각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지난 1년동안 음주경험이 있는 경우는 전체의 15.2%, 다른 사람의 물건이나 돈을 훔친 경우는 4.3회, 가출은 3.3회 였으며, 1년동안 비행청소년들의 평균 비행횟수는 음주 8.4회, 다른 사람의 물건이나 돈을 훔친 경험 6.9회, 강제로 다른 사람의 돈이나 물건을 뺏은 경험 4.2회, 가출 0.4회 등으로 나타났다. 2. 가정폭력의 문제 역시 심각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난 1년동안 부모로부터 손이나 발로 심하게 맞은 경우가 무려 23.3%, 가혹한 벌을 받은 경우는 4.2%였으며, 심지어 몽둥이나 허리띠 등으로 맞은 경우도 11.1%나 되었다. 배우자에 대한 폭력도 심각하여 1년동안 신체적인 폭력이 발생한 가구가 전체의 16%나 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3. 비행청소년 집단과 일반청소년 집단의 가정폭력 정도를 비교해 본 절과, `부모가 청소년 자녀를 손이나 발로 때린 횟수`와 `배우자에 대한 신체적 및 언어적인 폭력 횟수에 있어서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를 손이나 발로 때린 횟수`에 있어서는 일반청소년의 경우는 0.2회였으나 비행청소년은 2.2회였으며, `배우자에 대한 신체적인 폭력`은 일반청소년의 경우 0.3%인데 비해 비행청소년의 경우는 0.7%, 그리고 `배우 자에 대한 언어적 폭력`에 있어서는 일반청소년은 1.3%였으나 비행청소년은 무려 1.9%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에 대한 부모의 애정`, `부모와 청소년 자녀와의 대화`, `부모에 대한 자부심`, `전체적인 가족의 분위기`등 가족관계 및 가족 분위기에 관련된 항목에서 비행청소년들이 일반청소년에 비해 낮게 평가함으로써 이들이 가족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비행청소년 가족이 일반 청소년 가족에 비해 더 많은 폭력을 경험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가족간의 관계도 유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청소년 비행이 이러한 가족요인과 관련이 있음을 입증해주는 것이라 하겠다(한국아동복지학, 1977, 5: 71-93).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매 `청소년 비행`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가정에 대한 개입이 필수적이며, 따라서 이 두 문제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근하기 보다 통합적인 관점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가정폭력 노출이 청소년의 성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유해매체 접촉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김재엽 ( Kim Jae Yop ),김희진 ( Kim Hee Jin ),장대연 ( Jang Dae Yeon ),이현 ( Lee Hyu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유해매체 접촉을 거쳐 성폭력가해에 이르는 경로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5개 중학교에서 8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실시하였고 STATA 14을 활용하여 포아송 및 OLS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변수들의 실태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53.6%가 평생동안 최소 1번 이상의 가정폭력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59.9%가 지난 1년간 유해매체를 최소 1회 이상 접촉했으며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에 비해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은 9.5%가 성폭력가해경험이 있다고 응답했고 빈도는 남녀 간에 유사 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을 통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노출이 남자 청소년의 성폭력가해와 유해매체 접촉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해매체 접촉이 남녀 청소년 모두에서 성폭력가해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간접효과가 확인된 남자 청소년 집단에서 유해매체 접촉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성폭력가해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수립에 있어 남녀의 성별차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성폭력가해 예방을 위해서 1) 남자 청소년들의 가정폭력 노출 초기의 상담적 개입과 지속적 사례관리 실시, 2) 유해매체 접촉에 대한 예방적인 대책과 교육의 강화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domestic violence, harmful media, and sexual violence and gender differences. 835 students in 5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ponded to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 Poisson-based regression analysis and OLS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STATA 14.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53.6 percent of respondents had domestic violence for their lifetime at least more than once. Second, 59.9 percent were exposed to harmful media at least more than once. Third, 9.5 percent had committed sexual violence, in which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sum, domestic viole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exual violence crime of male adolescents and harmful media exposure. Harmful media exposur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sexual violence crime in both male and female. Thir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harmful media expos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in male groups. These findings imply the need to consider gender differences in programs and policies which are designed for preventing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in adolescents. In order to prevent sexual violence in adolescents, we suggest counseling male victims in the early stages and continuously managing cases. Also, it is suggested that taking preventive measures and strengthening education on harmful media exposure should be provided to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자녀 간 부정적 의사소통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김재엽 ( Jae-yop Kim ),장대연 ( Dae-yeon Jang ),황선익 ( Sun-ik Hwang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구 한국가족복지학회) 2018 한국가족복지학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negative communication patterns a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suggest social welfare intervention methods for adolesc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survey targeted 1,91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an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3.0.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70.6 percent of adolescents were found to be at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Second, 4.8% of high risk addiction group was identified and showed the highest mean of Parent-Child Negative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among the groups Third, parent-child negative communication patter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Lastly, depression, which is a mediate variable, has a partial mediate effect on the model. Based on these outcomes, we sugges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mproved approaches to family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as a way to reduce smartphone addiction and propose a social work-based intervention program for additional assistance.

      • KCI등재
      • KCI등재

        학령기 발달장애 자녀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우울과의 관계: 양육부담감과 부부간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재엽 ( Kim Jae Yop ),박수경 ( Park Soo Kyung ),이진주 ( Lee Jin Joo ),김은경 ( Kim Eun Kyu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6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발달장애 자녀의 문제행동이 양육부담감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부부간 긍정적 의사소통(TSL; Thanks, Sorry, and Love)의 수준에 따라 양육부담감이 문제행동과 우울 사이를 매개하는 효과의 크기가 달라지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SPSS Macro 프로그램인 PROCESS (ver.3.4)를 활용해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만 4세 이상 20세 미만의 발달장애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 중 배우자와 동거 중인 어머니 150명이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자녀의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을 완전매개로 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부간 긍정적 의사소통(TSL)은 문제행동과 양육부담감의 정적인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다. 셋째, 문제행동이 양육부담감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간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령기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우울에 대한 심리지원 체계 확충, 문제행동이 심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돌봄 지원 체계 확대, 부부간 긍정적 의사소통을 증대하는 TSL 프로그램 도입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on depression in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giver burden. Metho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communication (TSL) with husbands through the caregiver burden was also tested. To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 SPSS Macro program, PROCESS (ver.3.4) was used. A total of 150 mothers living with husbands and children (4-20 years o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analyzed. Results: First, the caregiver burden of parent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depression in mothers. Second, positive communication(TSL) with husband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mothers’ caregiver burden. Third, positive communication (TSL) with husbands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giver burden in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depression in mothe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practical intervention programs for preventing depression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ansion of care services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with more demanding problem behaviors, and introduction of a TSL Program to increase positiv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ties.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피해경험이 인터넷게임중동에 미치는 영향

        김재엽(Jae Yop Kim),송아영(Ah Young Song),이지혜(Ji Hye Le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인터넷게임중독과 학교폭력피해경험, 그리고 정신건강 간의 경로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터넷게임중독은 기술정보의 확장으로 새롭게 나타난 청소년 발달 위협 요인으로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학교 에 재학중인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에 해당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140명 학생 중 이 연구 변수에 적절한 응답을 제공한 82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전체 청소년은 지난 일 년간 어떠한 유형의 학교폭력이든지 경험한 적이 있는 경우가 46.8%로 나타나 반 정도의 청소년이 학교폭력피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터넷게임중독 실태를 살펴보았다. 인터넷게임 비중독집단은 183명으로 22.3%, 인터넷 게임 중독 잠재집단은 549명으로 67.0%, 인터넷게임 중독집단은 88명으로 10.7%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을 검증한 결과 적합도지수는 각각 TLI의 경우 .949로 나타났으며 CFI는 .990으로 나타났다. RMSEA의 경우 .049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변수간 회귀계수를 살펴본 결과 우선 학교폭력피해 경험유형별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정서폭력에서만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학교폭력유형 중 정서폭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우울이 인터넷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인터넷게임중독이 청소년의 현실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1).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인터넷게임중독 및 정신건강에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 between adolescent internet game addiction, victimization from school violence, and mental health. In conducting this study, a survey was given to adolescents of mixed gender ranging from 9th to 11th grade students from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mong the total of 1,140 respondents,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the data gathered from 820 students that provided appropriate answers in context to the study. The survey found that 46.8% of the students experienced school violence in the previous year, which translates to roughly half of the juveniles experiencing violence. We then examined the state of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the adolescents, and found that the non-addiction group comprised of 183 cases (22.3%), the potential-addiction group 549 cases(67%), and the addiction group 88 cases (10.7%).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l we suggested, the calculation of model fit index reached. 949(TLI), .990(CFI), and .049(RMSEA). In the concrete, we examin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variables. Among the various types of school violence, emotional violence was the only relevant type in context to adolescent depression (p<.001). Adolescent depression proved to be significantly influential to internet game addiction(p<.001). It was also found that internet game addiction significantly lowered the level of perceived reality of cyberspa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extended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to confront the mental health malaise of the students found i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group.

      • KCI등재

        청소년들의 가정폭력노출경험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재엽(Jae Yop Kim),이지현(Ji Hyeon Lee),정윤경(Yun Kung Ch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0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6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근본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청소년의 행동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가정이 개입의 준거점이 되어야함을 인식하여 청소년의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대한 가정폭력노출경험으로서 아동학대 경험 및 부모 간 폭력목격경험의 영향과 그 과정에서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함으로써 학교폭력의 예방 및 개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 내의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140부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 학교폭력가해행동과 가정폭력노출 경험으로서 아동학대 경험 및 부모 간 폭력목격경험,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의 실태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교폭력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폭력노출경험으로서 아동학대 경험 및 부모 간 폭력목격경험과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의 영향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폭력가해행동의 발생에 부모로부터의 아동학대경험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는 가정폭력노출경험으로서 아동학대 경험 및 부모 간 폭력목격경험과 학교폭력가해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s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on adolescent`s school violence toward peers and whether attitude toward school violence mediate in the process to provide theoretical basi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the problems of adolescent who exposed to child abuse and interparental violence. Total 1140 adolescent answered were collected from and grade in middle school students to and grade in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 Frequency analysis was done to assess the actual condition of school violence, child abuse, interparental violence, attitude toward school viole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on adolescent`s school viole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toward school violence in the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exposure of child abuse have strong positive influences on adolescent`s school violence, (2) attitude toward school violence mediate family violence and school violence.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김재엽 ( Jae Yop Kim ),장용언 ( Yong Eun Jang ),서정열 ( Jung Youl Seo ),박지민 ( Ji Min Park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을 5대 권역으로 구분하여 중학교 10개, 고등학교 10개교에서 1학급씩을 임의추출한 할당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최종분석에는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710부가 최종적으로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청소년의 경우 지난 1년간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경우가 56.3%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남자청소년은 58.5%, 여자청소년은 54.8%로 남자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실태의 경우 조사대상 청소년의 자살행동은 27.0%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청소년 (35.4%)이 남자청소년(16.4%)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청소년의 경우 학교폭력 피해경험 모두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여자 청소년의 경우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우울, 자살문제에 대해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mpact on suicidal behaviors of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to defin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710 students were selected by quota random sampling method from all parts of the Korea and surveyed. As a result of the survey, 56.3% of the adolescents experienced school violence over the past 12 months, school violence in male adolescents(58.5%) is more higher than in female adolescents(54.8%). In the case of suicide conditions, 27.0% of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ts showed that female adolescents(35.4%) commit serious suicidal behaviors than male adolescents(16.4%) do. The outcome of research model is as follows. First, for the male adolescents`` cases,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howe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direction, depression as the mediating variable presented partial mediating effect. Secondly, in the case of female adolescents, only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mpacted on suicidal behavior, and showe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direction, depression as the mediating variable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earch propose practical social work interv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