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혈압의 치료순응과 그 관련요인에 대한 지역사회 추적조사

        김장락,문중갑,강경희,이명순,홍대용 대한보건협회 1997 대한보건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고혈압 의심자 및 확정 고혈압자에서 자신의 고혈압에 대한 인지율, 치료율 및 관리율을 파악하고, 1차 조사후 3-5개월간의 치료순응 및 그 관련요인을 규명하여 지역사회의 고혈압 관리사업에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실시되었다. 1차 설문조사 및 혈압 측정의 기간은 1996년 3월 6일부터 1996년 4월 29일이었으며, 선정된 의령군 연구지역의 주민등록상 20세 이상 지역 거주자 3,140명에 대하여 2,171명을 조사함으로써 조사율은 69.1%였다. 이중 혈압측정에서 혈압이 정상범위보다 높은 624명과 혈압은 정상이지만 혈압강하제를 투여받는 사람 35명(총 659명)은 2차 고혈압의 치료순응 연구의 대상자였다. 2차 자료 수집은 1차 설문조사가 끝난 뒤 최소한 3개월이 경과한 8월중에 각 면 단위로 1차 조사를 담당하였던 보건요원들이 실시하였다. 치료순응 관련요인의 분석을 위한 연구의 변수들은 건강신념모형 및 다른 연구들을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우리나라 농촌 지역사회의 고혈압자(고혈압 의심자 및 확정 고혈압자) 중 고혈압 인지율은 32.8% (48.2%), 고혈압자 중 치료율은 19,1% (33.5%), 고혈압 인지자 중 치료율은 61.4% (70.8%), 고혈압자 중 관리율은 5.3% (18.2%), 고혈압 인지자 중 관리율은 16.4% (36.7%), 치료자 중 관리율은 36.7 % (53.5%)였다 (괄호안은 WHO 기준으로 고혈압을 분류했을 때 비율이다). 혈압이 높았던 사람들에서 향후 3-5개월간의 치료 순응률은 52.0%로 고혈압 의심자에서 38.7%, 확정 고혈압자들에서 78.2%였다. 다변량분석 결과 치료순응 관련요인으로 유의한 변수들은 고혈압 의심자군에서는 농부증 점수, 동거 세대수, 고혈압의 정도, 고혈압 치료는 간단한지에 대한 생각, 친지중 고혈압 또는 중풍이 있었는지 여부였다. 확정 고혈압자군에서는 자동차 소유 여부, 동거 세대수, 고혈압이 잘 치료되는지에 대한 생각, 증상의 경험 유무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농촌 지역사회에서의 고혈압에 대한 인지율, 치료율 및 관리율은 매우 낮다. 치료순응 관련요인에서는 아직도 경제적, 지리적 또는 시간적으로 의료인에 대한 접근도에서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고혈압 관리를 위한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보건사업이 절실히 요구된다. 고혈압자의 환자 교육 측면에서는 고혈압의 심각성을 강조하는 겁주기(fear arousing)보다는 고혈압의 치료 과정이 간단하지만 평생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proportions of th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and to identify the compliance rate within 3-5 months follow-up and its determinants among the hypertensives in the community. 2,171 (69.1%) of the 3,140 adults above 20 years old who had lived in the selected 20 villages in Uiryong County of Kyungnam Province were screened for hypertension (defined as systolic blood pressure ≥ 140 mmHg and/or diastolic blood pressure 90mmHg and/or self-reported taking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and interviewed regarding the variables in the Health Belief Model from March 6 through April 29, 1996. The second interview about compliance which was defined as having visited health professionals since the screening was completed in 573 (86.9%) of 659 hypertensive persons in August, 1996. The proportions of awareness, pharmacological treatment, pharmacological treatment on awareness, control, control on awareness, and control on pharmacologic treatment among the hypertensives were 32.8% (48.2%), 19.1% (33.5%), 61.4% (70.8%), 5.3% (18.2%), 16.4% (36.7%), 28.9% (53.5%), respectively (% in parentheses are those when hypertension was defined as systolic blood pressure ≥ 160mmHg and/or diastolic blood pressure ≥ 95mmHg or self-reported taking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The compliance rate within 3-5 months was 52.0% in all hypertensives. That in suspected hypertensives (persons defined as systolic blood pressure ≥ 140mmHg and/or diastolic blood pressure ≥ 90mmHg in those who had not been aware of their hypertension) was 38.7%. That in definite hypertensives (defined as self-reported taking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and/or systolic blood pressure ≥ 140mmHg and/or diastolic 90mmHg in those who had been aware of their hypertension) was 78.2%. In a logistic regression model of the suspected hypertensives, those with a higher farmer's disease score, larger number of generations living together at home, hypertension stage II or above, thinking that treatment of hypertension was simple, or having a hypertensive or cerebrovascular patient in their acquaintance were more compliant. Among definite hypertensives, those having a car, with larger number of generations living together at home, thinking that the cure of hypertension was different from person to person or impossible, or having experienced symptoms from hypertension were more compliant.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hypertension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in the rural community was still very low. There seemed to be barriers in the accessibility of patients to health professionals in terms of economy, distance and time. This study implicates that more systematic and active health services are required for hypertension control in a community. For health education of hypertensive patients, we suggest,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delivering the fact that treatment of hypertension is simple but should be continued during lifetime, rather than on arousing fear.

      • SCOPUSKCI등재

        중년 남성 근로자에서 신체 적합도, 여가중 신체 활동과 혈중 지질 농도

        김장락,남복동,김주호,이송권,문중갑,이장호,홍대용,Kim, Jang-Rak,Nam, Bock-Dong,Kim, Ju-Ho,Lee, Song-Kwon,Moon, Joong-Kap,Lee, Jang-Ho,Hong, Dae-Yong 대한예방의학회 1996 예방의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40세 이상 중년의 남자 근로자 253명을 대상으로 신체 적합도 및 여가중 신체 활동과 혈중 지질 중 심혈관질환 발생에 특히 중요한 혈중 총콜레스테롤 값, HDL 콜레스테롤 값 및 총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비와의 관련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시도된 단면조사연구이다. 단순분석에서 혈중 총콜레스테롤 값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는 변수는 신체 적합도(r=-0.27), 비만지수(r=0.27)였다. 여가중 신체 활동은 총콜레스테롤 값이 170mg/dl 이상군에서만 총콜레스테롤 값과 유의한 상관관계(r= -0.20)가 있었다. HDL 콜레스테롤 값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들은 신체 적합도(r=0.15), 비만지수(r=-0.22)및 1주간 음주량(r=0.14)이였다. 총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들은 신체 적합도(r=0.23), 비만지수(r=0.32), 총흡연지수(r=0.13), 1주간 음주량(r=-0.13) 및 야채 선호도(r=0.13)이었다. 신체 적합도는 안정시 맥박수와 중등도의 상관관계(r=-0.66)가 있었고, 여가중 신체 활동(r=0.19)및 비만지수(r=-0.18)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결과 혈중 총콜레스테롤 값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는 변수는 신체 적합도(beta=-0.23)와 비만지수(beta=0.18)이었다. HDL 콜레스테롤 값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는 변수는 비만지수(beta=-0.25)뿐이었다. 총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는 변수는 비만지수(beta=0.30)와 신체 적합도(beta=-0.16) 및 야채선호도(beta=0.14)이었다. 결론적으로 중년 남성 근로자들에서 신체 적합도는 비만지수와 함께 혈중 총콜레스테롤 값, HDL 콜레스테롤 값, 총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비의 중요한 관련 요인이었다. 여가중 신체 활동은 혈중 총콜레스테롤 값이 170mg/dl 이상인 군에서만 혈중 총콜레스테롤 값과 관계가 있었고, 신체 적합도와는 관련성이 유의하지만 크지 않았다. 따라서 신체 적합도가 여가중 신체 활동보다 혈중 지질 농도의 더 중요한 관련요인이며, 앞으로 신체 활동에 관련된 역학적 연구에서 신체 적합도가 독립적이고 중요한 요인으로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fitness,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middle-aged male workers. Physical fitness was measured by a step test score, and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was self-reported on a questionnaire. Serum total cholesterol was negatively related to physical fitness(r=-0.27), and positively to obesity index(r=0.27). But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was related to total cholesterol negatively(r=-0.20) only in subjects whose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above 170mg/dl. High density lipoprotein(HDL) cholesterol was positively related to physical fitness(r=0.15), negatively to obestiy index(r=-0.22), and positively to weekly alcohol consumption(r=0.14). Total cholesterol/HDL cholesterol ratio was related to physical fitness(r=-0.23), obesity index(r=0.32), total cigarette index (r=0.13), weekly alcohol consumption(r=-0.13), and vegetable preference(r=0.13). Physical fitness was also related to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r=0.19) and obesity index(r=-0.18).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physical fitness(beta=-0.23) and obesity index(beta=0.18)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tal cholesterol, obesity index(beta=-0.25) with HDLcholesterol, and obesity index(beta=0.30), physical fitness(beta=-0.16) and vegetable preference (beta=0.14) with total cholesterol/HDL cholesterol ratio. In conclusion, as physical fitness has a stronger relationship with serum lipid levels than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is modest, physical fitness should be add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addition to activity in future epidemiologic studies.

      • KCI등재후보

        콘크리트 포장 양생제의 적정살포량 결정 연구

        김장락,서영찬,안성순 한국도로학회 2005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7 No.2

        It is known that the Q/C(Quality Control) in the early age of portland cement concrete(PCC) pavement gives a huge effect on long term pavement performance. Thus, many studies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PCC pavement have focused on how to assure construction quality at the early age stage. Cur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Q/C of PCC pavement. Membrane curing that protects the evaporation of moisture by placing an impermeable layer on the slab surface is the most common practice for curing the PCC pavement. In order to improve the membrane curing practice, the rate of curing compound should be optimized. However, the optimum rate of curing compound considering Korean weather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has not been specified in the pavement construction specifications. In this study, a proper application rate was recommended in terms of minimizing evaporation with several full-scale tests where various rates of curing compound have been applied. Four test sites on the expressway were enlisted during the summer of 2002 and 2003. Application rates tested were in the range of 0~1,000㎖/㎡. The rate of evaporation, the temperature pattern of the slab and the pulse velocity of concrete surface have been monitored at each test constructi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he rate of current construction was approximately 160㎖/㎡ and that approximately 400㎖/㎡ of curing application was recommended as the proper rate for minimizing the moisture evaporation.

      • KCI등재

        경남 일부 지역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율과 관련요인

        김장락,강윤식,정백근,김성희,김병로,박기수,홍대용 한국모자보건학회 2007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1 No.1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identify obesity-related factors among elementary,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Province.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total 1,704 students (896 male and 808 female students) from 53 classes among arbitrarily selected 13 elementary (4th grade or above), junior high, or senior high schools in one county area, one small city, and one medium-sized city in Gyeongnam Province. We used height and weight information measured and recorded in physical examinations in the 1st semester to calculate the degree of obesity according to 1998 year Korean standard body weight published by Korean Society for Pediatrics. Obesity was defined as ≥120% of standard body weight. Information on the students' dietary habit and physical activities was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in the 2nd semester. Results: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12.4% for male and 9.3% for female students (p<0.05). As the grade became higher, the prevalence had tendency to become higher. The significant obesity-related factors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eating amount and speed compared with friends' and 'frequency of eating ramyon' among male students; 'perceived obesity of parents', 'eating amount and speed compared with friends'. 'frequency of moderate or vigorous activities’, and 'fish preference' among female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eating amount and speed' and 'perceived obesity of parents' were risk factors for obesity for students. Obese students seemed to eat less ramyon in boys and do more moderate or vigorous activities in girls. However, a prospective follow-up study is warranted to identify exact risk factors for obesity among students in Korea. 및 결론본 연구는 경남 지역 초(4학년 이상), 중, 고등학생의 비만율과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보건소 비만 관리 사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조사 대상 학교는 1개 군 지역, 1개 소도시 및 1개 중도시 지역에서 학년별, 성별로 대상자 수가 비슷하도록 임의로 선정한 초등학교, 남녀 중학교 및 남녀 고등학교 총 13개교, 53개 학반의 조사 대상자 1,720명 가운데 분석이 가능한 조사 대상자수는 남학생 896명, 여학생 808명 총 1,704명이었다.학생들의 식이습관 및 신체활동은 2005년 11월 14일에서 12월 겨울방학 시작 전까지의 기간 동안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신장 및 체중의 정보는 학교별로 1학기에 시행하여 건강기록부에 기록한 체격검사의 결과를 사용하였다. 비만도의 산출은 1998년 대한 소아과 학회에서 측정한 우리나라 소아의 성별, 신장(cm)별 평균체중을 표준체중으로 하여 산출하고, 비만도가 20% 이상인 경우를 비만으로 정의하였다. 본 조사 결과 주요 성적은 다음과 같다.1) 전체 학생의 비만율은 10.9%였으며, 남학생은 12.4%, 여학생은 9.3%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은 초등학생 11.9%, 중학생 12.5%, 고등학생 13.0%, 여학생은 초등학생 8.3%, 중학생 9.1%, 고등학생 11.0%로 상급학교 학생일수록 비만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2)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만관련요인은 남학생은 부모의 체형, 친구와 비교한 식사량과 식사속도, 라면을 먹는 횟수 및 과자를 먹는 횟수였다. 여학생은 부모의 체형, 친구와 비교한 식사량과 식사속도, 중등도 이상 강도의 신체활동일수 및 생선 선호도였다. 3)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유의한 비만관련요인은 남학생에서는 친구와 비교한 식사량과 속도, 라면을 먹는 횟수였다. 여학생에서는 부모의 체형, 친구와 비교한 식사량과 속도, 중등도 이상의 신체활동을 하는 일수 및 생선 선호도였다. 본 연구 결과 경남 일부 지역의 2005년 비만율은 남학생 12.4%, 여학생 9.3%였다. 비만관련요인으로는 부모의 체형, 식사량 및 식사속도가 유의하였으며, 비만한 남학생들은 라면을 덜 먹고, 비만한 여학생은 신체활동을 더 많이 하였다. 비만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향후 전향적 추적조사 연구가 더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혈청 펩시노겐치를 이용한 위암 및 위선종의 집단검진

        김장락,최진학,김영채,이옥재,조규일,이한우,홍대용,Kim, Jang-Rak,Choi, Jin-Hak,Kim, Young-Chai,Lee, Ok-Jae,Cho, Kyu-Il,Lee, Han-Woo,Hong, Dae-Yong 대한예방의학회 1994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7 No.4

        To evaluate the validity of serum pepsinogen levels as a screening tool for gastric cancer and adenoma, immunoradiometric assays of serum pepsinogen I level (PG I), II level (PG II) and esphagogastroduodenal endoscopies were done in 757 health examinees. Serum PG I level was higher in subjects with active duodenal ulcer (n=45, $75.2{\pm}34.3{\mu}g/l(mean{\pm}standard\;deviation)$, p<0.01) and gastroduodenal ulcers (n=8, $75.6{\pm}19.8{\mu}g/l$, p<0.05), and was lower in those with gastric adenoma(n=4, $37.7{\pm}37.2{\mu}g/l$, p<0.2) than those with normal, mild gastritis findings or ulcer scars (n=378, $56.6{\pm}24.9{\mu}g/l$. Serum PG II level was higher in subjects with active duodenal ulcer($17.2{\pm}13.8{\mu}g/l$, p<0.2), active gastro-duodenal ulcers ($18.3{\pm}7.4{\mu}g/l$, p<0.2) and gastric carcinoma (n=3, $23.8{\pm}10.9{\mu}g/l$, p<0.05) than those with normal, mild gastritis findings or ulcer scars $(14.5{\pm}7.9{\mu}g/l)$. Serum PG I/PG II ratio was higher in subjects with active duodenal ulcer($5.1{\pm}1.6$, p<0.05) and was lower in those with chronic gastritis(n=107, $4.1{\pm}1.7$, p<0.05), gastric polyp(n=19, $3.9{\pm}1.4$, p<0.2), gastric adenoma(n=4, $2.1{\pm}1.9$, p<0.01) and gastric carcinoma(n=3, $2.7{\pm}1.2$, p<0.1) than those with normal, mild gastritis findings or ulcer scars ($4.5{\pm}1.7$). Serum PG II level increased with age until 6th decade, whereas serum PG I/PG II ratio decreased with age in 378 subjects with normal, mild gastritis findings or ulcer scars. The screening criteria of serum PG I<$70{\mu}g/l$ and PG I/PG II ratio<3.0 for detecting gastric cancer and adenoma gave a positive rate of 15.7%, sensitivity of 57.1% and specificity of 84.7%.

      • 보도포장상태 평가를 위한 파손분류 및 조사방법 연구

        김장락,박형군,조남근,문형철,박대근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7 No.10

        현재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 보도의 포장상태를 정량화 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어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며 보도의 포장상태를 조사할 수 있는 방법과 보수기준 수립 역시 부재한 실정이다. 공항, 고속도로, 일반국도, 시도에서 적용되고 있는 포장상태지수는 비교적 다양하게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조사항목과 평가방법이 매우 상이하여 보도 포장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해외사례의 경우도 대부분 특정결함에 대한 보수기준은 수립되어 있으나, 파손유형을 복합적으로 반영한 평가지수에 대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보도포장 유지보수의 근거마련을 위한 종합평가지수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보도 포장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보도의 포장상태를 정량화할 수 있도록 파손분류, 조사방법에 대한 기본방향을 수립하였다. 보도포장에는 포장재료(벽돌, 콘크리트, 화강석 등), 블록형식(I형, O형 등)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결함이 확인되고 있으나 결함량에 대한 조사방법은 별도로 수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보도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결함의 형태를 분석하여 표 1.과 같이 네 가지 형태의 파손종류를 정의하였다. 블록 깨짐 및 빠짐, 모서리 깨짐, 평탄성 불량, 표면마모 및 박리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기타 특이한 파손은 제외하였다. 보도 포장의 파손면적 측정은 실제 파손구간의 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이 가장 타당하다고 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인력조사라는 것과 파손면적 산정의 단순화를 위해 유사한 파손유형을 구룹화하여 직사각형 형태로 파손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최소 파손면적은 보수면적 등을 고려하여 1㎡로 설정하였다. 또한 평탄성은 워킹프로파일로미터를 이용하였다. 보도의 포장상태를 정량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보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가지수를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관련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여 보도평가지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Associations of Generalized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with Unmet Healthcare Needs in Communities with High Mortality

        김장락,정백근,박기수,강윤식 대한의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3 No.11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generalized trust and/or social participation at an individual level have negative associations with unmet healthcare needs. Methods: Door-to-door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trained interviewers to collect information. The 8,800 study participants included 220 adults sampled systematically using the resident registration database from 40 sub-municipal-level administrative units in Korea. Unmet healthcare needs were measured subjectively by the following question: “During the past 12 months, was there ever a time when you felt that you needed healthcare (excluding dental care) but did not receive it?” The responses were classified as either “yes” or “no.” Results: The adjusted odds ratios (ORs) for unmet healthcare needs based on one positive response, two positive responses, and three positive responses to the three items of generalized trust compared to no positive responses were 0.92 (95% confidence interval [CI], 0.77–1.09), 0.90 (95% CI, 0.74–1.09), and 0.73 (95% CI, 0.61–0.87), respectively. The adjusted ORs for unmet healthcare needs based on social participation only in informal organizations, only in formal organizations, and in both informal and formal organizations compared to no social participation were 0.83 (95% CI, 0.71–0.98), 0.97 (95% CI, 0.77–1.21), and 0.97 (95% CI, 0.82–1.15), respectively. The covariates included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food security, and administrative unit), self-rated health, and perceived stress. Conclusion: Therefore, generalized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in informal organizations can decrease the incid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 SCOPUSKCI등재

        농촌지역 모성의 산전관리서비스 이용양상과 그 결정요인

        김장락,박정한,이재경,서상홍,방준용,Kim, Jang-Rak,Park, Jung-Han,Lee, Jae-Kyong,Seo, Sang-Hong,Bang, Joon-Yong 대한예방의학회 1993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6 No.4

        농촌지역의 모성을 대상으로 산전관리서비스 이용양상과 그 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부 경남 3개군(합천군, 사천군, 진양군)에서 1990년 7월 1일부터 1991년 6월 30일 사이에 분만한 모성 1,489명중 65.5%인 976명을 훈련된 면보건요원들이 1992년 1월 3일에서 1992년 2월 15일사이에 면담조사하였다. 의료서비스 이용의 관련요인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Anderson의 의료이용 행태모형을 기본분석모형으로 하고 종속변수는 산전진찰의 회수, 그것을 설명하는 독립변수로는 의료요구요인, 개인의 속성요인, 가능성요인 그리고 기타요인의 변수들을 설정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산전진찰 수진율은 97.3%로 높은 편이었으나 10회 이상의 수진율은 20.6%로 전문가에 의해 추천되는 정상임신시 $10{\sim}12$회의 산전진찰회수에는 미흡하였다. 산전진찰의 저이용(미수진 또는 4회 이하의 수진)은 모성의 낮은 교육수준, 출생아의 출생순위가 두번째 이상, 의료보호 대상자, 의원이 없는 지역, 임신중 진단된 질병이 없을 때 그리고 모성의 직업이 농업인 경우 등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거주지 군의 변수(즉 지역내 모자보건센터 유무)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산전진찰의 저이용은 인구학적 변수라 할 수 있는 출생아의 출생순위, 의료요구요인인 임신중 진단된 질병의 유무와도 높은 관련성이 있기는 하나, 더 많은 부분이 어머니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직업이라는 사회구조적 요인과 의료보장의 종류, 지역내 의원의 유무라는 가능성요인과 관련이 있어 균점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또 변경성이란 견지에서 보면 변경성이 높은 가능성요인에 의해서 상당부분 설명되고 있어 보건정책적으로 해결 가능성이 있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면 의료보호 대상자와 의원이 없는 지역 산모들의 산전진찰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To study the pattern of prenatal care utilization and its determinants in rural Korea, 976 mothers (65.5%) out of 1,489 living mothers in Chinyang, Sachon and Hapchon Counties in Kyongsangnam Province who had delivered a baby between July 1, 1990 and June 30, 1991 were interviewed by the Myon health workers from January 3 through February 15, 1992. The Anderson's behavioral model for health service utilization was applied to develop the frames for analysis. The dependent variable was a number of prenatal care visit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 the model were the variables pertaining to the predisposing, enabling, medical need and other components. The proportion of mother who had ever received the prenatal care service for the index pregnancy was 97.3%. However, the proportion of mothers who had made more than 10 visits was only 20.6%, which indicated that majority of mothers had paid far less visits than recommended $10{\sim}12$ visits for each normal pregnancy. The low utilization of prenatal care services (none or less than 4 visits) was related to mother's low educational level, the high birth order, beneficiary of the medical aid, the absence of clinic in the community, no diagnosed disease of mother during pregnancy, and mothers engaged in farming. Inequity of access seemed to exist because social structure variables and the variables of enabling component were important predictors. And there seemed to be high mutability in equalizing the distribution of prenatal care services because the variables of enabling component such as type of medical security and whether there was a clinic or not in the community were substantially important.

      • SCOPUSKCI등재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에 대한 환자 - 대조군 연구

        김장락,홍대용,박성학,Kim, Jang-Rak,Hong, Dae-Yong,Park, Sung-Hak 대한예방의학회 1995 예방의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고, 특히 혈청 콜레스테롤 값 및 코골음과 뇌혈관질환과의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시도된 짝지은 병원 환자-대조군 연구이다. 환자군인 뇌혈관질환군은 1993년 12월부터 1995년 3월까지(16개월간) 경상대학교 병원 신경과에 처음 입원하는 환자로 뇌전산화 단층촬영으로 확진되는 뇌경색 74명, 뇌출혈 53명 총 127명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환자군과 비슷한 시기에 입원하는 경상대학교 병원의 신경과 이외 병동의 입원 환자중 환자군과 성(性)이 같고 연령이 5세 이내인 대상자를 환자군과 1:1 개별 짝짓기(individual matching)하여 127명을 선정하였다. 대조군은 과거에 뇌혈관질환의 병력이 없고 원칙적으로 뇌혈관질환의 잠재적 위험요인과 관계없는 질병으로 입원한 경우로만 하였다. 본 연구결과 논란이 있는 코골음과 저콜레스테롤혈증이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이라고 할 수 없었다. 유의한 위험요인은 심전도의 이상(좌심실비대 및 심방세동)이 가장 중요하였고, 그 외에도 뇌혈관질환의 가족력, 안저검사의 이상소견, 과거 일과성 허혈성 발작의 경험 및 혈청 콜레스테롤치의 상승이었다. 뇌경색의 위험요인은 역시 심전도의 이상이 가장 중요하였고, 그외에도 안저검사의 이상소견, 흡연 및 혈청 콜레스테롤치의 상승이었다. 이상의 위험요인을 고려할 때 뇌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혈압의 치료가 중요하며, 특히 안저검사와 심전도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나타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과 과거 일과성 허혈성 발작 경험자는 특히 고위험군으로서 다른 위험요인을 가지지 않도록 교육해야 한다. 또한 흡연과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건강에 대한 위해성도 다시 한번 강조되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건당국은 단일 사망원인으로 우리나라에서 제1의 사망원인인 뇌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A hospital-based, matched case-contro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elation ship of various suspected risk factors including snoring and serum level of cholesterol to cerebrovascular disease in Korea. A total of 127 incident cases of cerebrovascular disease(74 cases of cerebral infarction and 53 cases of intracerebral hemorrhag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neurology in a university hospital from December, 1993 to March, 1995 were compared with 127 matched controls admitted to same hospital in same period. A multivariate analysis suggested that ECG abnormality(left ventricular hypertrophy and atrial fibrillation), family history of cerebrovascular disease, fundoscopic abnormality, previous history of transient ischemic attack and hypercholesterolemia were risk factors of cerebrovascular disease, ECG abnormality, fundoscopic abnormality, smoking and hypercholesterolemia were also suggested as risk factors of cerebral infar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