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중적외선 양자폭포 레이저

        김은규,한일기 한국물리학회 2004 새물리 Vol.49 No.1

        중적외선 양자폭포 레이저는 반도체 에너지 밴드구조 공학기술과 반도체 에피의 두께를 원자단위로 조절할 수 있는 에피성장 기술이 접목하여 이루어 낸 인공광원 (artificial light source)이라 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극히 제한된 연구그룹만이 성공할 만큼양자폭포 레이저 기술은 화합물 반도체 기술에 있어서 선진국임을 자랑할 수 있는 첨단기술이다. 이에 반하여 국내에서는 양자폭포 레이저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총설논문에서는 양자폭포 레이저의 원리, 연구 개발 현황, 응용분야, 향후 연구 개발 방향 등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Mid-infrared quantum cascade lasers (QCLs) are artificial light sources invented and developed from a combination of semiconductor energy band structure engineering techniques and crystal growth techniques capable of depositing thin films down to a thickness of one molecular layer. QCLs have been developed by just a few research groups in the world.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a country that has developed a QCL is a scientifically and technically well-developed countr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ew internal research on QCL. In this review, we introduce the principle of the QCL, its state of the art, its application, and its future work.

      • KCI등재

        마을만들기와 마을공동체미디어의 호혜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마을공동체미디어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

        김은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7

        The activity for Community making movement and maeul maeul community media are spread in nationwide. So, this research focus on the relation of Community making movement and maeul maeul community. For that, this research examine the practice of maeul community media which related Community making mov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 below. Priority, Community making movement is based on launching for maeul community media and operation. Meanwhile, maeul community media engage and facilitate the community making movement. Maeul community media is a kind of instrument for active commuication in maeul community, tools of organization and networking for community members, equipment of fosterer and messenger for community culture, and archives for recording of community history and culture. 마을만들기 활동과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실천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 연구는 마을만들기와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상호 연관성에 주목한다. 마을만들기 활동이 마을공동체미디어 운영에 어떻게 관여하고 있으며, 마을공동체미디어는 마을만들기 활동에 어떠한 긍정성을 제공하고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 연구의 내용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마을만들기와 연관되어 운영되는 마을공동체미디의 실천 사례를 분석했다. 결과를 정리하면, 우선 마을만들기 활동은 마을공동체미디어를 시작토록 하는 배경과 동기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마을만들기는 주민자치를 바탕으로 하는 운동으로 전개되든 혹은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행정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든 모두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한다. 그러기에 마을만들기 과정에서 주민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소식을 전달하고, 나아가 주민들 간의 소통을 증진하기 위한 핵심 매개체로서 마을공동체미디어가 활용되고 있었다. 한편, 마을공동체미디어는 마을만들기와 관련 긍정적 관여를 하고 있었다. 이는 첫째,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의 소통을 위한 통로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 둘째, 주민 협력의 조직화와 네트워킹을 위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 셋째, 마을 문화의 형성과 전파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 넷째, 마을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마을을 둘러싼 환경들을 기록하는 기록의 공간이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마을만들기와 연결된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운영에서는 주민 참여를 바탕으로 하기에 발생되는 제작업무의 과중과 제작 역량의 문제, 운영 비용과 관련한 재정적 문제가 어려움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 KCI등재

        1920/30년대 근대 취미독물 잡지 《별건곤》을 통한 개벽사의 매체 발행 전략에 대한 연구 : 발행 주체, 편집 방향, 발행 체제를 중심으로

        김은규 한국출판학회 2013 한국출판학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1920/30년대 취미독물을 표방하며 발행된 근대잡지 《별건곤》의 매체 발행전략을 고찰하는 것이다. 1920년대는 3.1운동 이후 일제가 문화통치를 표방하여 조선인의 언론활동을 다소나마 허용한 시기였다. 여기에 3.1운동 이후 대두된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가 조선 독립을 위한 이념적 지형을 형성하면서 각 부문운동을 고양시켰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민족독립과 민중계몽이라는 화두를 부여잡으면서 잡지의 발행 역시 활발하게 전개됐다. 이 와중에서 천도교의 후원을 바탕으로 설립된 개벽사는 대중적 종합잡지 《개벽》을 발행하면서 당시 잡지계를 이끌었다. 하지만, 1926년 《개벽》이 강제 폐간되었고, 개벽사는 이의 후속잡지로 《별건곤》을 내놓았다. 이후 《별건곤》은 1920년대 후반 개벽사의 대표적 잡지로 대중의 인기를 끌며, 74호까지 발행됐다. 취미독물로서 《별건곤》은 다양한 유형의 글을 게재했기에 당대의 시대상을 읽어내는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별건곤 자체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벽사와 《별건곤》이라는 매체 자체에 주목하며 매체 발행 전략을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을 밝히고 있다. 첫째, 《별건곤》의 발행 주체로서 개벽사는 천도교 사회운동의 전략인 문화운동의 실천체라는 것이다. 1920/30년대 천도교는 후천개벽 사상을 바탕으로 신인간 창조운동에 주력했으며, 이를 위해 문화운동을 사회적 실천 전략으로 추진했고, 이을 위해 개벽사를 설립하여 문화운동으로서 언론활동을 전개했다. 둘째, 《별건곤》의 발행 배경 및 편집방향 역시 천도교 문화운동을 바탕으로 근대 식민지 시기의 민족 계몽을 위한 것이다는 점이다. 셋째, 《별건곤》의 발행 체제는 개벽사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별건곤 집중 시기, 매체 차별화 시기, 대중화 및 차별화 시기로 구분된다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 on the media strategies of Gaebyeoksa(publishing company) and Byeolgeongon as modern reading material in 1920s/1930s. In 1920s, Korea wa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Since 3.1 Pro-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colonial Japanese authorities allowed somewhat media activity by Korean. Also, Nationalism and Socialism had flourished for the ideology of independence. Based on these atmosphere, Publishing business for Magazine activated as a campaign for enlightenment and to inspire independence. That days, Gaebyeoksa which was supported by Cheondo Religion issued a popular magazine 'Gaebyeok' and led the Korean publishing scene. However, the Magazine 'Gaebyeok' was forcibly ceased publication by colonial Japanese authorities in 1926, and that Gaebyeoksa launched another popular magazine tilted 'Byeolgeongon'. After that time, 'Byeolgeongon' became representative publishing of Gaebyeoksa and issued to volume 74 during 9 years. The feature of 'Byeolgeongon' is modern reading material for popular hobby. These days, 'Byeolgeongon' is important text to research about Korean's modern life and the phases of that times. But there are a few of study about 'Byeolgeongon' itself. So, this study focus on the media strategies of Gaebyeoksa and 'Byeolgeongon'. Summary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Gaebyeoksa as the publisher of 'Byeolgeongon' is a kind of practical organization for cultural movement which was promoted by Cheondo Religion in 1920s-1930s. Second, the publishing policy of 'Byeolgeongon' is for enlightenment of modern Korean and it also based on Cheondo Religion's social movement strategies. Thirds, the strategy of 'Byeolgeongon' publishing is divided as the times of 'Byeolgeongon' concentration, the times of differentiation, and the times of popularization and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Gaebyeoksa's publishing strategies.

      • KCI등재

        마을만들기를 위한 마을공동체미디어 실천에 대한 연구 : 전북지역 마을신문 참여자들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김은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60

        본 연구는 마을만들기와 연계되어 있는 마을공동체미디어가 어떠한 방식 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그 실천의 결과는 지역공동체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 방법론에 의한 질 적 분석을 수행하여, 마을공동체미디어 실천이라는 중심 행위에 대한 참여 원인 요인, 맥락 정황, 중재 조건, 상호작용 전략, 결과라는 패러다임적 관계 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중심 행위’는 지역공동체 활 성화와 지역사회 소통에 그 의의와 목적을 두고 있다고 제시했다. 참여의 동 기인 ‘원인 요인’은 가치실현과 지역사회 네트워킹으로 나타났다. 즉, 마을공 동체미디어에 대한 참여는 중심 행위에 대한 가치실현과 이를 위한 연계망 이 작용한 것이다. ‘맥락 정황’은 내용과 운영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언급 되고 있다. 내용적 측면의 범주는 지역 정보, 지역 이슈, 지역민의 삶, 지역 문화・환경과 관련되어 있다. 중심 행위에서 제시된 지역사회 소통이라는 범 주가 내용적 측면에서 적절하게 반영되고 있음이다. 하지만 운영적 측면에 서 보면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실천은 참여자 구성, 구성원 소통, 재정 문제 등에서 풀어나가야 할 여러 과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중재 조건’은 주민참여 공동체 미디어라는 것과 지 역기반 미디어라는 것으로 인식된다. 이를 토대로 맥락 정황에서 나타난 문 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상호작용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상호작용 전략’의 범주는 주민 네트워킹 강화, 수익구조 확장, 공적지원 촉구, 플랫폼 확장, 참여 자 역량 제고로 제시됐다.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실천에서 풀어나 가야 할 과제들인 셈이다. 마을공동체미디어 실천의 ‘결과’는 마을공동체미 디어의 정체성 확인, 지역공론장 형성, 지역공동체 임파워링이라는 범주로 나타났다. 마을공동체미디어 실천이 지역 사회에 순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 는 평가이다. 종합하면, 참여자들은 마을공동체미디어라는 중심 행위에 대한 실천이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개인적 차원에서는 참여의 원인 요인들이 결과적 만족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만 마을공동체미디어 실천의 맥락 정황에서 나타나는 장애 요인들 의 해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상호작용 실행 전략이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maeul community media connected with the community making plays its role and how the results of the practice affect the loc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d major categories of the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paradigm were derived.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the ‘central action’ of maeul community media has its meaning in revitalizing local communities and communicating with local communities. The motive of participation, ‘cause factor’, was value realization and community networking. The ‘contextual situation’ is mentioned in two aspects: contents and operation. The category of contents is related to local information, local issues, local people's lives, local culture and environment. The category of community communicating presented in the central action is properly reflected in the content aspect. However, from the operational aspect, the practice of maeul community media has various tasks to be solved in the composition of participants, communication of members, and financial problems. The ‘intervention condition’ of maeul community media is recognized as community media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local media. Based on this, seeking interaction strategies to solve problems in contextual situation. The categories of ‘interaction strategy’ were suggested as strengthening resident networking, expanding profit structure, urging public support, expanding platforms, and enhancing participant capacity. It is a task to be solved for the practice of sustainable maeul community media. The ‘result’ of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was identified as the identity of community media, the formation of community public sphere, and the empowerment of local community. It is a result evaluation that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is acting as a good function for the local community. In conclusion,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evaluation that the practice of the maeul community media leads to the activation of local communiti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obstacle factors in the context of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The interaction strategy for this should be more actively s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