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소완정유문(素玩亭遺文)』에 보이는 이서구(李書九)와 조연귀(趙衍龜)의 관계에 대한 검토

        김윤조 ( Yun Jo Kim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5

        薑山李書九의 저작은 『薑山全書』로 묶였지만, 이후에도 『綠天?爲』, 『?齋詩拾遺』, 그리고 특별히 강산의 간찰이 많이 수록된 『해동명가척독』 등의 자료들이 소개되었다. 본고는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된 강산의 또 하나의 새로운 저작인 『素玩亭遺文』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물이다. 특이하게도 이 책은 강산이 敬菴趙衍龜에게 보낸 편지와 시문을 주로 수록하고 있다.경암은 병계 윤봉구의 제자로, 이서구와 그 아우들을 가르쳤다. 강산이 趙衍龜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젊은 시기 그의 학문과 문학에 대한 입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古文을 대하는 입장에서 두 사람은 대립적이었고, 字學에 대한이서구의 발언을 보다 분명하게 들을 수 있는 자료였다. 두 가지는 이서구가 이덕무와 박지원 등 북학파 지식인들과의 교유를 통해서 갖게 된 입장을 잘보여주는 것이었다. 趙衍龜는 조정에 선 관료 학자가 아니고 경제적으로 나사회적으로 신분이 높은 편도 못되었다. 그러나 지금 존재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수많은 저작을 남긴 것으로 알려진 학자였다. 충청도에서 주로 거주한호론 계열의 학자인 그가 이덕무와 이서구 등 북학파 학자들과 긴밀한 교류를 가졌다는 것은, 예상할 수 있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흥미로운 일이다. The writings of Lee Seo-gu(1754~1825) were published in 『Gangsan Jeonseo(薑山全書)』. However, several kinds of writing was discovered more in afterward. This report examined contents of 『Sowanjeong youmun 』 which was one new writing of Lee Seo-gu possessed at Japanese Oriental library[Toyo Bunko]. Unusually, there are poetry prose and letters that Lee Seo-gu sent to Jo Yeon-gyu(趙衍龜, 1726~?) mainly. Jo Yeon-gyu who was a puple of Yun Bong-gu(尹鳳九, 1683∼1768) taught Lee Seo-gu and his younger brothers. I can confirm a viewpoint for his study and literature in the letter which Lee Seo-gu sent to Jo Yeon-gyu at his young time. Two people were confrontational at the point of view for ancient writings. It is a document to know clearly about remarks of Lee Seo-gu for graphonomy at the same time. Jo Yeon-gyu did not become high in social and economical position and not a bureaucratic scholar either. However, he was a known scholar having many writings in Chungcheong province. It is interesting that even if he lived in Chungcheong province he made a close links with Seoul scholars such as Lee Seo-gu.

      • SCOPUSKCI등재

        6-59개월 미만 자녀를 가진 보호자에게 홍보물 교육 유무에 따른 인플루엔자 및 인플루엔자 백신접종에 관련한 인식도 조사

        김윤,임중섭,김윤,은병욱,대선,김동호,Kim, Yoon Mo,Lim, Jung Sub,Kim, Yun Kyung,Eun, Byung Wook,Jo, Dae Sun,Kim, Dong Ho 대한소아감염학회 2020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7 No.1

        Purpose: To compare differences and changes in the parents' awareness regarding influenza and influenza vaccination for their children according to educational intervention. Methods: This study involved 1,034 parents with children aged 6-59 months, who lived in five areas in norther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2015;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Survey items included awareness regarding influenza and influenza vaccination for children and future intentions of influenza vaccination and the underlying reason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group A: no education, group B: provided education) an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education (group C) were analyzed. Results: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between groups A and B were seen in the recognition of high-risk of influenza in their children, effectiveness of influenza vaccination, and cost of the influenza vaccine. Changes before and after education in group C were seen in the recognition of high-risk of influenza in their children, safety of influenza vaccination, cost of the influenza vaccine, and negativity toward the influenza vaccine. Conclusions: Educated parents were more aware regarding influenza and influenza vaccination for their children aged 6-59 months.

      • KCI등재

        리서구(李書九)『망촉련집(望蜀聯集)』편찬과 그 의미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이후 시도된 또 하나의『사가시집(四家詩集)』

        김윤조 ( Yun-jo Kim ) 한국실학학회 2016 한국실학연구 Vol.0 No.31

        『望蜀聯集』은 1777년 가을에 薑山 李書九가 편집한 시집이다. 강산의 시만 수록한 개인 시집이 아니고 네 사람, 즉 이서구를 저음으로 해서 으득공, 이덕우, 박제가의 시를 자례대로 수록한 공동 시집이다. 강산온 그 시집올 청나라 문인인 雨邨 李調元에게 보내려고 했다. 누군가가『望蜀聯集』올 가지고 북겨에까지 갔지만, 廣東學政으로 임명되어 廣東에 가 있는 李調元에게 전달되지 못한 채 책은 조선으로 돌아왔다. 柳琴이『韓客巾衍集』올 청나라에 소개한 것은 1776년이었다. 『望蜀聯集』은그1년 둬에, 두 번째로 조선-청나라문인들의 교류를 위해서 이서구에 의해 기헉된 공동 시집이었다. 이서구가이조원에게 보낸 바로 그 책온 아넌 것으로 보이지만, 원본『望蜀聯集』의 상당한 부분올 담고 있는 책이 공개되었다. 2015년 하반기 과천시 추사박 물관 기획 전시에서였다. 이 시집올 통해서, 문학적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던 젊은시기 사가시인들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시 작품들이 다수 발굴되었고, 나중에 정리되는 문집에 실린 시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고, 작품 이해에 긴요한작자의 주석을 다수 확인할 수 있었다. 『望蜀聯集』은 앞으로 사가시인의 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MangChok RyeonJip』 is a book of verse which Lee Seogu made in the autumn of 1777. Not a personal book of verse which only poetry of Lee Seogu recorded. it isa combination book of verse which recorded poetry of Ryu Dukkong(柳得恭). Lee deokmoo(李德懋) and Park Jaega(朴齊家) with a turn. Lee Seogu intended to send the book of verse to Woochon(雨邨) Lee Jowon(李調元),a writer of Qing dynasty. Somebody went to Beijing with 『MangChok RyeonJip』, but the book came back to Kora with not having been able to transmit it to Lee Jowon for a reason not to understand, It was 1776 that Ryu kum(柳琴) introduced 『Han gaek geon yon jip(韓客巾衍集)』 to Qin. 『MangChok RyeonJip』 was Joint book of poetry planned for interchange of writers of Korea-Qing dynasty again by Lee Seogu one year. It did not seem to be the right book which Lee Seogu sent to LeeJowon, but the book which recorded a park of original 『MangChok RyeonJip』 was shown. It was plan display of Chusa(秋史) museum opened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in 2015. It was found a poem product showing figures of four excellent poets(四家詩人) of the young time in this book of verse well a lot and came to be able to confirm a difference with the poetry loaded onto a collection of works as well and confirm the author``s footnote needed to understand works. 『MangChok RyeonJip』is regarded as becoming the important document to understand poetry of four excellent poets(四家詩人).

      • KCI등재

        이서구(李書九)의 초기 문학론과 학문(學問) 경향 -새로 발견된 자료를 중심으로-

        김윤조 ( Kim Yun-j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0 No.3

        본고는 18세기 후반의 문인 학자로 저명한 薑山 李書九의 초기 문학론과 학문적 경향에 대한 검토이다. 본고는 새로운 자료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그것은 먼저 李書九가 20대 초반에 지은 산문 작품 17편을 모은 작품집 『自問是何人言』의 발굴에 대한 논의였으며, 아울러 여러 곳에 산재되어 있는 그의 簡札들을 정리는 것이었다. 『自問是何人言』 에 실린 17편의 글 대부분은 이서구의 문집인 『?齋集』에는 누락되어 있기 때문에, 작가로서 가장 정채 있는 활동을 했던 그의 초기 작품의 양상과 문학론을 새롭게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이 작품집을 통해서 이서구와 연암 및 이덕무와의 긴밀한 관계가 보다 소상하게 확인하였고, 이들과 상통하는 문학론을 갖고 있었다는 것,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학문적으로는 文字와 字學에 대해서 지속적 관심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view of literature of Lee Seo-gu who was a famous writer in the latter of the Chosun Dynasty. He had been already a well-known literary man in his early twenties. But there isn't his early prose writings in his anthology which was handed on to this time. This work is a study on his early view of literature about his writings and letters belonged to his new prose collection which was not known up to present time. The result was that he appreciated the value of his days' literature not the literature of antiquity which had been generally recognized good and thought much of the natural expression of not-fabricated sincere feeling.

      • KCI등재
      • KCI등재

        뇌(誄)의 문체적 특성과 문학사에서의 양상

        김윤조(Kim, Yun-jo) 대동한문학회 2010 大東漢文學 Vol.32 No.-

        본고는 한문 문체 가운데 하나인 뇌(誄)에 대한 연구다. 誄란 祭文과 유사한 성격이면서 傳狀의 내용이 담기는 것이다. 誄라는 말은 『논어』 와 『예기』ㆍ『說文』 등에 보이고, 그 초기 작품들은 『문선』에 수록되어 있다. 곧, 아주 일찍 발달한 양식이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誄는 『문선』에서는 애제류의 주류 차지하였으나, 이후 위상이 축소되어 존재가 미미해졌다. 한국문집총간을 검색해보면 고려와 조선에서 誄를 남긴 작가는 모두 42인, 작품 수는 86편이다. 시기적으로 보면 이규보가 최초의 작가이지만 이후 적적하다가, 17세기에 들어서야 비로소 다양한 작가군이 떠오르고 있다. 한데 특이한 것은, 작가들이 지역적으로 영남에 편중되어서 전체의 약절반을 차지하는 점이다. 誄 작품에서 가장 실험적이고 다양한 체제를 보여주는 작가는 이만부다. This thesis a study on Lei, one of the literary styles of classical Chinese. Lei is a style, which is quite similar to a funeral oration and has life story. The word, Lei is seen in 『Analects of Confucius』, 『Li ki(禮記)』, 『Origin of Chinese Characters(說文解字)』 etc. and the early works were written in 『Wen xuan(文選)』. In other words, Lei is an early developed literary style. Since then the status of this style was reduced and became insignificant. The same in our country. 42 writers left 86 works about Lei in Goryeo and Joseon Dynasty. Lee Kyubo (李奎報) is the first writer of that time. Not until 17 century, diverse writers' group emerged. Nevertheless the writers were so biased. Half of writers converged in Kyeongsangdo(慶尙道). Lee Manbu(李萬敷) was the most important person who showed an experimental and various style in Lei.

      • KCI등재

        한국 漢詩 창작에 있어서 시기별 韻書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김윤조(Kim Yun j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The writer has estimated that Chinese poetry of our country was created in a standard of one rhyme book(韻書), 『Yeabu Uliak(禮部韻略)』to in modern times from Koryo Middle afterward in a former study. As a result, this report is a thing that work to inspect it remains by a problem. First of all the writer analyzed Molunsi(沒韻詩), one of our Korean Chinese poetry tradition by the method of the study. Molunsi becomes to know which rhyme book(韻書) is applicable. The analysis did not escape from the first expectation. In 『Yeabu Uliak(禮部韻略)』 which was estimated to have been flowed in before the Korai middle by China, it was always in a standard of the Chinese poetry rhyme the time later. The position was unshakable Various rhyme book(韻書) was published by time and were circulated, but everything did not escape from the system of 『Yeabu Uliak』. The writer checked up with 1,073 Chinese poetry piled up on anthology of poetry such as 『Dong mun sun(東文選)』 except overlap and extracted the rhyming words of 932 and confirmed it once again. It is estimated that the rhyme which is used for Korean chinese poetry was not greatly over about 1000 characters and the system of the rhyme(韻統) of all 『Yeabu Uliak』 was accompanied by place. Though the estimation that 『Yeabu Uliak』 was the standard of versification of Chinese poetry was generalized, the result of this report is that the writer examined and have made clear that it was the standard that was consistent through Koryo and Joseon whole time. 필자는 이전의 연구에서, 우리나라 한시는 고려 중기 이후 근대에 이르도록 단지 하나의 韻書, 곧 『禮部韻略』을 기준으로 창작되었으리라고 추정하였다. 그것을 검증하는 일이 과제로 남았던 바, 본고는 그 결과물이다. 필자는 연구의 방법으로, 우리 한시 전통의 하나인 沒韻詩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몰운시는 해당 작품이 어떤 운서를 사용하고 있느냐를 알 수 있는 자료가 된다. 분석 결과는 애초의 예상을 벗어나지 않았다. 고려 중기 이전에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예부운략』은 이후 언제나 詩韻의 기준이었다. 그 지위는 요지부동이었다. 시기에 따라 『삼운통고』, 『고금운회거요』, 『증보삼운통고』, 『삼운성휘』, 『규장전운』 등의 운서가 새롭게 간행되고 유통이 되었지만, 모두 『예부운략』의 韻目 배치를 벗어나지 않았다. 그 사실을, 『동문선』, 『箕雅』, 『大東詩選』에 실린 1,073수의 한시에서 중복을 제외하고 헤아려서 932字의 韻字를 추출하여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한시에 사용된 운자는 대략 1000자를 크게 초과하지 않는 정도였다고 추정할 수 있는 바, 그것은 모두 『예부운략』의 운목을 따른 것이었다고 짐작된다. 『예부운략』이 한시 작시의 기준이라는 추정은 이전부터 있었다. 다수 한시 작품의 韻을 추출해서, 고려와 조선의 전 시기를 통해서 한시 창작의 일관된 기준이 『예부운략』이었다는 점을 검증한 것이 본고의 또 하나의 성과라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