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유진의 졸업작품 「동행」 해설

        김유진 동덕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연주한 3곡의 자작곡과 1곡의 편곡곡을 분석한 것이다. 각각의 곡들에 사용된 음악적 기법들을 소개하고 분석함으로써 작품의 음악적 특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다시마 전처리가 넙치회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비 처리군, 이물질을 제거 후 다시마로 넙치를 감싼 ‘다시마 전처리군’, 이물질 제거한 다시마를 식초로 전 처리한 후 넙치를 감싼 ‘식초로 전 처리 한 다시마군’의 세 가지 보관방법을 달리한 넙치육의 전처리를 통해 시간의 경과와 환경에 따른 수분, pH와 총균수, 아미노산 측정 등의 방법을 통하여 감칠맛과 texture를 증가시키는 숙성과정에서 어떠한 성분변화와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수치화된 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저장시간에 따른 수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수분 함량은 저장시간이 질어질수록 수분 함량은 증가하여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은 수분 함량이 8시간에 가장 낮게 나타냈다. 저장시간에 따른 pH를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pH는 저장 초기에 6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은 시간이 지날수록 pH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이 다시마 전 처리군과 비 처리군인 일반적인 넙치 보다 pH가 높게 나타난 것은 생선회를 일반적으로 저장하면 효소류의 작용과 미생물의 번식으로 암모니아와 염기성 물질에 의하여 pH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 저장시간에 따른 적정산도를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적정산도는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적정산도는 증가하여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적정산도는 일반적인 비 처리군 넙치와 같은 경향으로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이는 다시마의 첨가로 변질로 인한 산도의 증가율이 낮아진다 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다시마의 첨가가 생선회의 저장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시간에 따른 glutamic acid를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는 저장 4시간까지는 증가하였으나 이후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은 같은 경향으로 비 처리군과는 다른 경향으로 나타나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다. 분석 결과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 전처리 넙치의 glutamic acid 함량이 비 처리군보다 저장시간이 높게 나타난 것은 다시마의 glutamic acid 성분이 넙치 근육에 흡수되어 증가한 것으로 보이고 시간이 지나면서 근육자체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식초처리의 유기산으로 인하여 육성분이 분해된 결과로 보여 지며 이결과는 넙치 생선회 맛에 감칠맛을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되었다. 저장시간에 따른 texture를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경도는 저장시간 8시간에 경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경도는 일반적인 비 처리군 넙치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냈다. 비 처리군 넙치의 응집성은 저장 8시간에 증가하였으며,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 다시마군의 응집성은 저장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 비 처리군 넙치의 탄력성은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여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시마 전처리군의 탄력성은 비 처리군 넙치의 탄력성과 같은 경향으로 저장 8시간에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탄력성은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비 처리군 넙치의 점성은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여 저장시간 8시간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점성은 같은 경향으로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였다. 비 처리군 넙치의 씹힘성은 저장시간 8시간에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의 씹힘성은 같은 경향으로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였다. 넙치 생선회를 냉장 저장 시 저장시간이 지날수록 응집성, 경도, 씹힘성, 탄력성이 감소한 현상은 생선의 어종에 따라 콜라겐 및 근섬유의 용적 등 성질과 함량의 차이에 따라 근소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시간에 따른 총균수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넙치인 비 처리군의 총균수는 저장 2시간까지는 2.0×102CFU/g 수준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저장 8시간에는 가장 높게 나타나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총균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마 전처리군은 같은 조건일 때 2시간까지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저장 8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은 같은 조건일 때 저장 6시간까지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저장 8시간에는 3.4×102 CFU/g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산염처리 한 다시마가 총균수 증식을 억제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다시마의 알긴산 성분으로 인해 다시마로 감싼 넙치가 비 처리군인 일반적인 넙치회 보다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총균수는 적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시간에 따른 관능적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비 처리군 넙치의 비린 냄새, 감칠맛, 전체적인 기호도는 저장 4시간에 질감과 뒷맛은 저장 2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 다시마 전처리군의 비린 냄새와 감칠맛, 전체적인 기호도는 저장 6시간에 질감과 뒷맛은 저장 4시간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 일반적인 넙치 보다 다시마로 처리한 넙치의 저장성 및 기호도가 2시간 연장 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화학적 품질특성, 미생물 특성과 관능적 품질 특성을 종합해 보면 일반적인 넙치 보다는 다시마 전 처리군과 식초로 전 처리한 다시마군이 생선회의 품질을 알 수 있는 수분함량과 pH가 적게 나타났으며 생선 회의 감칠맛인 glutamic acid와 texture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다시마로 처리한 넙치가 일반적인 넙치 보다 저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검사에서도 비 처리군 보다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 우리나라에서 인기 있는 생선회인 넙치회를 먹을 때 일반적인 넙치 보다는 다시마로 처리 하는 방법이 위생적이면서도 감칠맛과 texture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glutamic acid and texture were measured by moisture, pH, total viable counts, and glutamic acid measurement according to storage time through pretreatment of flounder with control, non-acid kelp and acid kelp. And elucidate the quantitative data on what kind of composition change and action in aging process.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flounder of control increased with the storage time, and the moisture contents was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moisture contents was the lowest in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pretreatment of acid kelp at 8 hours storage time. The pH of the flounder of control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was the lowest at the beginning of storage and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pretreatment of acid kelp increased with storage time. In this study, the pH of the pretreatment of acid kelp was higher than the flounder of control and th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It was considered that the pH of the raw fish was increased by ammonia and basic substances due to the action of enzymes an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The analysis of the titratable acidity with storage time, the titratable acidity of flounder of control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titratable acidity of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acid kelp were similar to those of normal flounder of control. Th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with storage time. Thi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kelp decreased the rate of increase of acidity due to alteration. The addition of kelp may be effective for the storage stability of sashimi. The result of glutamic acid with storage time, The flounder of control increased until 4 hours storage time, but began to decrease with storage time. The amount of glutamic acid of the flounder at acid kelp and pretreatment of flounder at acid kelp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s same tendency,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flounder of contro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lutamic acid content of th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acid kelp was higher than the flounder of control. It indicated that the glutamic acid content of kelp was increased by absorption into the flounder muscle. Over time, it was produced either in the muscle itself or as a result of the degradation of the muscle component due to the organic acids in the vinegar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lutamic acid was increased in the flounder sashimi. The analysis of texture with storage time, the hardness of flounder of control was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hardness of the texture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was the same as that of the pretreatment of the non-acid kelp and the pretreatment of the flounder at acid kelp. The cohesiveness of acid kelp was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Pretreatment of flounder at non-acid kelp showed the same springiness as flounder of control and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elasticity of the flounder of control de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was the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elasticity of pretreated group showed the same tendency as that of the flounder of control. It was the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elasticity of the pretreatment of acid kelp decreased with storage time. The viscosity of flounder of control de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was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viscosities of pretreatment of non acid kelp and acid kelp decreased with storage time with same tendency. The chewiness of flounder of control was low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chewiness of non-acid kelp and pretreatment of flounder at acid kelp decreased with storage time. It was considered that the decreasing phenomena of cohesiveness, hardness, chewiness and elasticity with storage time of flounder in cold storage depended on fish species and the content of collagen and muscle fiber.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total viable count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the total viable count in the flounder of control was not detected at 2.0×102CFU/g until 2 hours of storage and was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As the storage time increased, the total viable count increased. Th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was not detected until 2 hours at the same condition and showed the highest at 8 hours storage time. The pretreatment of acid kelp was not detected until 6 hours after storage at the same conditions and was 3.4×102 CFU/g at 8 hours storage tim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etreatment of acid kelp can inhibit the growth of total viable count. It was considered that the total viable count of the kelp wrapped flounder was lower than of control due to alginic acid of kelp as the storage time longer.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storage time showed that fishy odor, glutamic acid and overall-acceptability of flounder of control shwed high preference in 4 hours storage time and texture and after-swallowing taste were high in 2 hours storage time. In the 6 hours storage time, the fishy odor, glutamic acid, and overall-acceptability And at the 4 hours storage time, the texture and after-swallowing taste showed a high preference in the pretreatment with kelp. The preference of pretreatment of flounder at kelp was 2 hours longer than that of flounder of control. Therefore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with those of pretreatment of flounder and of control. In the moisture and pH value which are quality of sashimi, the pretreatment of non-acid kelp and acid kelp were lower than the flounder of control. And in the glutamic acid and texture, they were higher respectively. Pretreatment of flounder at kelp was more hygienic than that of flounder of control. It was more preferable in sensory evaluation than flounder of control. It was judged that pretreatment with kelp was hygienic rather than the common flounder, and it was a method to increase the texture and glutamic acid of the flounder, most popular sashimi in Korea.

      •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교과서 비교 연구 : 7학년 감상영역을 중심으로

        김유진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음악교육은 인간이 삶을 살아가면서 음악을 사랑하고 즐기며 음악의 심미적 체험을 통해 미적 가치에 대한 판단을 길러주고 정서적이고 창조적인 면을 형성해주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미적 가치의 발견은 감상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감상교육은 음악교육에서 그 근본을 이루는 요소인 것이다. 이러한 감상교육은 현재 대부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감상곡을 비교 · 연구 하여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감상곡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감상영역을 분석하여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에 충실하게 부합하는지와 그 외의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음악 교과서 감상곡 선정에 있어서 하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분석에 앞서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점사항을 살펴본 후 관련문헌을 통해 음악 감상교육의 중요성과 의의를 알아보았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감상곡을 분석하였는데 분석은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영역을 대상으로 감상영역이 차지하는 비율과 감상곡 내의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이 차지하는 비율, 감상곡 수록현황을 알아보았으며 감상곡을 시대별, 작곡가별, 장르별, 연주형태별로 나누어 각각의 비율과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 교과서에서는 전통음악의 비중이 증가하였고 그 외에도 보다 다양한 시대, 장르의 감상곡들이 제시되었으며 창작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분석을 통해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교과서의 발전된 모습 외에 부분적인 문제점들을 파악 할 수 있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감상 영역 안에서 각각의 영역들이 차지하는 감상곡의 비율이 전체적으로 어느 한 영역으로 치우쳐 있었고 교과서별 차이 역시 현저히 나타났으며 둘째, 전통음악의 비중이 증가한 반면 그에 대한 심도 있는 자료나 부연 설명이 부족하였고 작곡가에 대한 정보가 실려 있지 않은 교과서도 있었다. 또한 감상곡 선정이 잘 알려진 곡들로 이루어져 다양하지 못하였고 감상곡과 연관된 정보들이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교사는 스스로 선정한 학습목표에 가장 적합한 교과서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선택한 교과서로 수업을 진행해 나갈 때 그에 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보다 심미적인 감상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할 것이다. 또한 음악감상 교육의 기본이 되는 교과서의 부족한 부분들을 개선함으로서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교육이 더욱 조화롭고 균형 있게 이루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Music education is a very important process that enables us to love and enjoy music as we live our lives. It also helps us develops our sense of artistic value through the beauty of music and form the emotional and creative aspect in us. Discovery of the artistic value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through appreciation so the appreciation education is a fundamental element in music education. Such appreciation education is currently carried out in most of the textbook. In this paper, the music contents in the textbook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was comparatively analyzed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s, if any,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lso, the appreciation part was analyzed to see if it satisfies the suggested contents specified in the 7th curriculum, and other areas were examined so that the paper can be used as one of th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select music for the future music textbook. Before the analysis, the study looked into the background of curriculum revision and the pivotal points of the 7th music curriculum. Also, the study looked into importance and meaning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relevant literary works and theories. The analysis was done with the appreciation of the music textbook for 1st grade of middle school. The study looked into the ratio of the music appreciation part in the textbook and the ratio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in the appreciation music as well as the list of the appreciation music. Also, the study categorized the appreciation music by time, composer, genre and performing style in order to analyze the ratio and the cont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increased, music of different times and genres can be noticed and more stress is put on the creative music. However, other than the advanced parts of the music textbook of the 7th curriculum, the analyses showed partial problems of the textbook such as the followings . First, the ratio of each field of appreciation music generally showed an inclination to one field in the music appreciation field, and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from one textbook to another. Second, the ratio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increased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insufficient in-depth information and expatiation for the music. There were some textbooks that did not even have information on the composers. Also, most of the appreciation music was well-known by people so the list was not diverse, and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music was insufficient.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able to select a textbook that is most suitable for their lesson plans, and they are advised to collect and apply various information for better aesthetic appreciation education. Also, they should improve the insufficient parts of the textbook that is the basic source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for harmonious and well-balanced music education.

      • 협동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중국어I』수업방안 연구

        김유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의 학습목표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 쉬운 중국어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과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려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제7차 외국어과 교육 과정에서도 실용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중시하여 가장 근본적인 목표를 의사소통 능력 배양에 두었다. 그러나 현재 고등학교 중국어 교실 환경을 살펴보면, 과밀한 학급 수와 수업시수 부족, 비주요과목으로 인한 학습동기 부족 등으로 학생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에서 전통적 수업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학습자들의 중국어 의사소통 능력 배양하기 위한 방안으로 협동학습을 제안한다. 협동학습은 학급의 인원수와 상관없이 4-6명 정도의 인원수로 모둠을 구성하여 학생 모두가 동시다발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므로 학습자 주도의 주체적인 수업이 가능하다. 또한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므로 학업 성취도가 향상되고 교과에 대한 동기 및 흥미 제고와 적극적인 학습태도 양성, 협동적이며 친밀한 교우관계가 양성될 수 있으며 그 효과가 국내외로 경험적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협동학습이 실제 고등학교『중국어I』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중국어 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협동학습 방안을 연구하고 더 나아가, 협동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중국어I』수업 모형을 설계하여, 수업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한다. 전체 5장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동기와 목적을 밝히고, 협동학습과 관련된 중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초적 이론인 협동학습 이론에 대해 고찰한다. 협동학습의 개념을 알아본 후, 협동학습의 원리에 대해 살펴본다. 여러 학자들이 주장한 협동학습의 원리를 고찰하여 기본이 되는 원리를 알아본다. 또한 다양한 협동학습의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협동학습의 효과를 인지적 효과와 정의적 효과로 구분하여 살펴보겠다. 제3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이론적 근거들을 바탕으로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협동학습 방안을 연구하겠다. 협동학습 이론과 모형을 중국어 특성에 맞게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중심으로 구분하여 개발한다. 언어기능별 협동학습 활동에 관해 특징과 학습단계, 언어기능에 대해 설명한 후, 고등학교『중국어I』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활용 가능한 영역을 표시하고, 구체적인 활용예시를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협동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중국어I』수업을 설계하고자 한다. 협동학습 수업을 설계하기에 앞서 협동학습 수업의 기초가 되는 모둠조직, 모둠 활동의 관리, 평가 방법, 교사의 역할에 대해 살펴본다. 그 후, 체계적인 협동학습 수업 설계를 위해 교재를 분석하여 앞서 개발한 협동학습 활동을 적용한다. 또한 협동학습 수업의 실제에서는 듣기 중심 수업, 말하기 중심 수업, 읽기 중심 수업, 쓰기 중심 수업으로 나누어 협동학습 활용 방법과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여 실제 고등학교 『중국어I』 수업에 적용하는데 용이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도출하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제시한 언어기능별 협동학습 방안을 통하여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언어기능이 골고루 배양되어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고, 학습자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 태도가 양성되며 중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과 흥미가 제고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 brevis KFRI 806의 분자적 동정

        김유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Lactobacillus as a Gram positive chemo-organotorph is one of the largest genus among lactic acid bacteria that can grow only in complex media and found in diverse habitats. Many species of Lactobacillus are very important microorganisms in the bio-industry as well as in the field of human health, and used as therapeutic agents and substitutes for well-being treatments. Lactobacillus brevis, one of the major lactic acid bacteria appeared in the late phase of kimchi fermentation, is an obligate heterofermenting lactobacilli.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reveal the nature of Lb. brevis KFRI 806 isolated from kimchi related to salt tolerance, ability of fermenting carbohydrates and utilizing cholesterol. The rapid growing Lb. brevis KFRI 806 was able to survive in the media containing 8% NaCl while other strains of Lb. brevis tested showed an inhibitory effect at 6% NaCl concentr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organism could utilize various hexoses as a carbon source, such as fructose, galactose, glucose and mannose. In addition, it also grew very well in the media containing cholesterol with Tween 80 likewise the type strain Lb. acidophilus ATCC 43121, while the most Lb. brevis strains showed no activity at all. With further specific analysis, we confirmed the Lb. brevis KFRI 806 as a Lb. brevis subsp. hexosus by employing methods of RAPD-PCR and 16S rDNA sequencing. Lactobacillus속은 Gram 양성의 간균으로 lactic acid bacteria 중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로 발효된 육류나 야채, 과일, 유제품, 사람이나 동물의 장내에서 발견되며 배양 시 철저한 혐기적 조건과 복잡한 영양 조건을 요구한다. 많은 종의 Lactobacillus는 인간 건강과 관련된 생물 산업 분야에 매우 중요한 미생물로서 사용된다. 김치 숙성의 후기에 나타나는 주요 lactic acid bacteria 중 하나인 Lactobacillus brevis는 obligate heterofermenting lactobacilli로서 hexose를 발효하여 lactic acid, acetic acid, ethanol과 CO2 등을 생산하고 pentose를 발효하여 lactic acid와 acetic acid를 생산한다. 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 Lb. brevis KFRI 806은 매우 빨리 생육하며 실험된 다른 Lb. brevis 균주는 6%에서 생육저해를 받는 것에 반해 8%의 NaCl이 포함된 배지에서도 생육이 양호하였다. 또한 Lb. brevis KFRI 806은 당원으로서 fructose, galactose, glucose 및 mannose 등과 같은 hexose를 잘 이용하였다. Cholesterol 이용 표준 균주 Lb. acidophilus ATCC 43121을 대조구로 한 cholesterol 이용능 조사 시 다른 Lb. brevis 균주는 cholesterol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나 Lb. brevis KFRI 806은 Lb. acidophilus ATCC 43121과 유사하게 Tween 80을 첨가한 cholesterol이 포함된 배지에서도 매우 잘 생육하였다. RAPD-PCR 결과 primer 125의 310 bp 부근에서 특이적인 짧은 밴드가 나타남으로써 Lb. brevis KFRI 806은 시험된 다른 Lb. brevis 균주와 chromosomal DNA 상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Lb. brevis KFRI 806은 Lb. brevis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된 다른 Lb. brevis 균주와 달리 Lb. brevis KFRI 806은 hexose를 잘 이용하였으므로 Lb. brevis KFRI 806의 아종을 Lb. brevis subsp. hexosus로 결정하였다.

      • 숀 스미스(Shawn Smith) 작품의 픽셀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펀치니들 자수(Punch Needle Embroidery) 기법을 중심으로

        김유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Modern man lives in a flood of digital information and images surrounded by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computers in a highly digitalized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point that is the smallest unit of a digital image is called pixel, and pixel art refers to creative activities and aesthetic techniques that form images utilizing these square pixels. Shawn Smith creates a sculpture by applying pixels that exist in the coordinate system of 'horizontal x vertical', and the punch needle embroidery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also forms a image by placing a stitch on the fabric of grid texture. Hence, this study finds an idea from the pixel image of Sean Smith's work and applies it to fashion design by using the punch needle embroidery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reconstructing Shawn Smith's works that give viewers a sense of pleasure from it's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textures of tactile to create new visual results and apply punch needle embroidery technique based on pixel images in fashion to suggest individual texture expression's fashion design methods and works. The detail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Grasped, in general, the Shawn Smith's world of works from a theoretical background, analyzed the pixel worked from a formative view and looked at the modern fashion case in which the pixel images were applied. Also, the punch needle embroidery's concept, hist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chniques were examined, and the fashion design cases in which it was applied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zed theoretical background, five fashion design works were produced using the pixel image of Shawn Smith's works focusing on the punch needle embroidery technique.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hawn Smith's pixel work captures the potential of an interesting motive for expressing rich three-dimensional textures when digitally formatted pixel images are applied to the surface of fashion. Second, by creating a new visual result through reconstructing Shawn Smith's works with characteristic of tactile textures, and applying punch needle embroidery techniques based on pixel images in fashion, it was possible to present fashion design methods and works with unique texture expressions. Third, as a technique selected by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pixels, the punch needle embroidery technique was especially strong in the expression of texture in fashion design. The visual texture could be formed by unevenness from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punch needle stitching, and the texture contrast effect was prominent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of yarn utilized as the material of the stitching, allowing the expression of a deep feeling of the material. Also, the grain was produced according to the stitching direction, forming the direction of the texture, and different textured expressions were able to add through the stitching post-processing, such as cutting or trimming the stitch after the punch needle embroidery. Fourth, as a result of linking the idea of digital images with analog techniques through the production of works, it was possible to be the transformational expression of digital images by putting mechanical and regular pixel images into soft fiber material. This is also linked to the emotional part that can be felt in Shawn Smith's work that implementation of pixel images with wooden cubes. This study is a work-study that intensively experimented by linking one craft technique targeting the work idea of especially an artist in the contemporary formative arts. Interesting experiments on the analog realization of digital images were possible through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works, and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was confirmed as a method of finding the theme of fashion design especially through the connection of nature-digital-human(handicraft). Thinking of various world's phenomena and art phenomena, we are expecting that new research proposals for ideas and expression techniques related to fashion design will continue in the future. 고도로 디지털화된 현대 산업사회에서 현대인들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 각종 전자기기에 둘러싸여 디지털 정보와 이미지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이미지를 이루는 최소단위인 점을 가리켜 픽셀이라 부르며, 픽셀아트는 이러한 사각형 모양의 픽셀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 창조 활동 및 미적 기술을 일컫는다. 숀 스미스는 ‘가로 x 세로’라는 좌표계 안에 존재하는 픽셀을 응용하여 작품을 만들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펀치니들 자수 기법 역시 그리드 조직의 원단 위에 스티치를 놓아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것으로 근본적으로 동일한 맥락에서 형태를 구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숀 스미스 작품의 픽셀 이미지로부터 발상을 찾고 펀치니들 자수 기법을 활용하여 이를 패션디자인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촉각적 질감의 특징이 두드러지는 숀 스미스 작품은 관람자로 하여금 감각적 즐거움을 선사하는데, 이러한 숀 스미스 작품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시각적 결과물을 창조하고, 패션에 있어서 픽셀 이미지에 근거하여 펀치니들 자수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개성적인 질감 표현의 패션디자인 방법과 작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 배경으로 숀 스미스의 작품세계 및 픽셀에 대해 전반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조형적 관점에서 픽셀 작품을 분석하고 픽셀 이미지를 응용한 현대 패션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 펀치니들 자수의 개념과 역사 및 기법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펀치니들 자수 기법을 중심으로 숀 스미스 작품의 픽셀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작품 5벌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숀 스미스의 픽셀 작품은 디지털의 정형화된 픽셀 이미지를 패션의 표피에 적용했을 때 풍부한 입체적 질감을 표출시킬 수 있는 흥미로운 모티브로서의 가능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 둘째, 촉각적 질감의 특징이 두드러지는 숀 스미스 작품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시각적 결과물을 창조하고, 패션에 있어서 픽셀 이미지에 근거하여 펀치니들 자수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개성적인 질감 표현의 패션디자인 방법과 작품을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픽셀의 속성과 연계하여 선택된 기법으로서 펀치니들 자수 기법은 패션디자인에 있어 특히 질감 표현에 강점을 보였다. 펀치니들 스티칭의 높낮이 차이에 따른 요철감으로 시각적인 질감을 형성할 수 있었고, 스티칭의 소재로 활용된 다양한 종류 실에 따라 질감 대비 효과가 두드러지면서 풍부한 느낌의 재질 표현이 가능하였다. 또한 스티칭 방향에 따라 결이 생성되어 질감의 방향성이 형성되었고, 펀치니들 자수 후 스티치를 자르거나 다듬는 등의 스티칭 후가공을 통해 색다른 질감 표현을 추가할 수 있었다. 넷째, 작품의 제작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의 발상을 아날로그적 기법으로 연계한 결과 기계적이고 규칙적인 픽셀 이미지를 부드러운 섬유 소재로 표현함으로써 디지털 이미지의 전환적 표현이 가능하였다. 이는 나무 큐브로 픽셀 이미지를 구현하는 숀 스미스의 작품에서 느낄 수 있는 감성적 부분과도 연계된다. 본 연구는 동시대의 조형예술 분야 중 특히 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연구대상으로 두고 한 가지 공예 기법을 연계하여 집중적으로 실험한 작품연구이다. 작품의 디자인과 제작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의 아날로그적 구현에 대한 흥미로운 실험이 가능하였고 특히 자연-디지털-인간(수공예)의 연결을 통해 패션디자인의 주제 발굴의 한 방법으로서 발전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세계의 현상 및 예술 현상을 떠올려 볼 때에 향후 패션디자인과 관련된 발상과 표현 기법의 새로운 연구 제안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

      • 저항성 균형운동이 치매노인의 ADL과 낙상관련체력에 미치는 효과

        김유진 한국체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게 저항성 균형운동을 적용하여 일상생활수행능력(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이하 ADL)과 낙상관련체력(하지근력, 민첩성, 평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소재의 데이케어센터를 이용하고 운동참여와 체력측정이 가능한 65세 이상의 치매노인으로 12주간 주 2회 회당 45분간 저항성 균형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81.83±6.85세) 18명,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83.07±6.10세) 15명으로 구성되었다. 저항성 균형운동 프로그램은 미국 캔사스주 위치타주립대학의 신체활동과 노화센터에서 Michael Rogers와 Phil Page가 2003년 개발한 『Standing Strong』 프로그램으로 세라밴드(Thera-band™)와 균형성 도구인 스테빌리티 트레이너(Stability trainers, Thera-band™)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0.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시기와 집단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법(2-way repeated measure ANOVA)을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의 ADL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시기·집단 간 상호작용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낙상관련체력 중 하지근력은 시기와 시기·집단 간 상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민첩성은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형성에서는 시기·집단 간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하면 저항성 균형운동이 치매노인의 ADL과 낙상관련체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고,『Standing Strong』프로그램이 국내 치매노인에게도 ADL과 낙상관련체력을 향상 혹은 유지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저하를 늦추고, 낙상관력체력을 향상 혹은 유지시켜 낙상을 예방하고 의료비를 절감하며 수명을 연장하여, 치매노인과 보호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생의 성 지식, 성 태도와 성 행동

        김유진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 지식, 성 태도와 성 행동의 정도를 조사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및 성 관련 특성에 따른 성 지식, 성 태도와 성 행동 정도의 차이와 성 지식, 성 태도와 피임 실천 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9월 17일부터 10월 3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전북, 부산 지역의 남녀 대학생을 편의 추출하여 남학생 60명, 여학생 157명, 총 2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 지식은 Yip 등(2013)의 성 지식(Sex-related Knowledge) 도구를 이용하여, 피임, 성병, 에이즈에 대한 지식 정도를 총 12문항, 3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성 태도는 Rempel과 Baumgartner(2003)가 개발한 성 태도(Personal Attitudes for Sexuality, PAS) 도구를 이용하여, 총 10문항,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성 행동은 Zeng, Luo와 Zhou(2015)가 개발한 성과 피임 행동(Sexual and Contraceptive practices) 도구 및 Yip 등(2013)이 개발한 피임 방법(Contraceptive methods)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총 9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및 성 관련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성 지식, 성 태도와 성 행동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및 성 관련 특성에 따른 성 지식, 성 태도와 성 행동 정도의 차이는 t-test, ANOVA, Chi-square test 등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성 지식, 성 태도와 피임 실천 정도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 결과에서 대상자의 성 지식 정도는 12점 만점에 평균 10.37(±1.79)점, 100점 만점에 86.4점으로 높았고, 성 태도 정도는 70점 만점에 평균 36.23(±9.37)점, 100점 만점에 51.8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 행동과 관련해서 대상자의 79.3%가 이성 교제 경험이 있었고, 54.8%가 성관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피임 지식 인식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05(±0.87)점이었으나, 평소 성관계 시 ‘피임을 항상 한다’는 21.0%, ‘전혀 하지 않는다’는 1.7%로, 실제적인 피임 실천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임하지 않은 이유로는 ‘성적 만족도가 감소하여서’가 가장 많았고, 피임은 주로 ‘파트너’가 준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및 성 관련 특성에 따른 성 지식, 성 태도와 성 행동 정도의 차이로는 대상자의 낙태법 허용에 대한 의견과 낙태 의도에 따라 성 지식 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5.92, p=.003; F=5.58, p=.004). 대상자의 성별과 성 지식 습득경로에 따라 성 태도 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51, p=.013; F=2.45, p=.026). 대상자의 피임 교육 여부에 따라 피임 지식 인식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94, p=.008). 본 연구 결과에서 대상자의 성 지식, 성 태도와 피임 실천 정도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116, p=.088; r=.012, p=.898; r=.112, p=.226).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대상자의 성 지식 정도는 높고, 성 태도 정도는 비교적 수용적이었다. 그러나 피임 실천 정도는 낮게 나타나 피임 실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피임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이고, 피임 실천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건강한 성, 안전한 성을 위한 실제적, 효율적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