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의 칼슘강화식품의 무기질 함량에 관한 연구

        김욱희(Ouk-Hee Kim),김을상(Eul-Sa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칼슘강화식품의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철, 구리, 아연 등 무기질을 분석하여 칼슘함량의 표시실태를 파악하고 칼슘 및 다른 무기질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각 무기질 간의 비율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식품군 별 칼슘표시량과 분석값의 오차값의 중앙값과 범위는 곡류가공품이 164.4%(116.3~343.9%), 라면류는 148.4% (87.2~180.9%), 레토르트식품은 37.0%(109.0~157.7%), 음료류는 102.6%(65.48~159.8%)였다. 그리고 칼슘이외의 다량 무기질의 함량은 인이 곡류가공품 100 g당 105.0 mg(46.7~164.8mg), 라면류는 92.5 mg(53.0~128.5 mg), 레토르트식품은 36.6mg(27.6~39.7 mg), 음료류는 11.5 mg(ND~99.0 mg)이었으며 마그네슘의 함량은 곡류가공품이 17.8 mg(10.3~32.7 mg)이었고 라면류가 17.13 mg(14.5~20.9 mg), 레토르트식품은 9.9 mg(6.8~15.7 mg), 음료류는 6.5 mg(0.2~15.3 mg)였다. 나트륨은 곡류가공품의 100 g 당 313.7 mg(36.0~626.6 mg)을 함유했으며, 라면류에는 581.9 mg(306.6~899.0 mg), 레토르트식품에는 455.8 mg(374.7~518.5 mg), 음료류에는 10.74 mg(2.45~85.4 mg)이 있었고 칼륨은 곡류가공품에 65.72 mg(ND~305.10 mg), 라면류에 119.98 mg(99.53~140.52 mg), 레토르트식품에 100.81 mg(67.67~135.70 mg), 음료류에 55.47 mg(0.72~181.50 mg)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량 무기질 중에서 철은 곡류가공품 100 g 중 2.70 mg(0.63~3.98 mg), 라면에 1.78 mg(1.03~2.49 mg), 레토르트식품은 0.97 mg(0.64~8.54 mg), 음료류는 0.14 mg(0.04~0.49 mg)이었고, 구리는 곡류가공품은 0.17 mg(0.08~0.22 mg), 라면류는 0.16 mg(0.14~0.19 mg), 레토르트식품은 0.08 mg(0.05~0.13 mg), 음료류는 0.01 mg(0.01~0.11 mg)이었으며, 아연은 각각 0.55 mg(0.19~0.77 mg), 0.35 mg(0.28~0.45 mg), 0.40 mg(0.33~0.53 mg), 0.06 mg(0.01~0.37 mg)으로 나타났다. 칼슘에 대한 각 무기질간의 비율을 살펴보면 Ca : Fe 분자량비의 평균±표준편차는 곡류가공품이 126.33±44.36, 라면류가 130.65±34.67, 레토르트식품은 120.31±71.15, 음료류가 700.25±553.70이었고, Ca : P 중량비가 각각 2.63±1.99, 1.79±0.39, 2.80±0.53, 8.35±12.87이었으며, Ca : Mg 중량비는 각각 11.86±5.40, 9.29±1.34, 9.09±2.09, 32.50±41.35이었다. 칼슘과 마그네슘의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P : Mg 분자량비는 곡류가공품이 4.11±1.54, 라면류가 4.17±0.67, 레토르트식품은 2.58±0.45, 음료류는 2.59±2.50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에서 볼 때 시료의 93.0%가 실제측정값이 표시량의 80% 이상이어야 한다는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적합하였으나(14), 표시량에 대한 분석값의 오차범위가 65.48~343.9 %로 넓어서 칼슘의 함량영양표시가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제조업체에서 품질관리를 보다 철저히 해야 할 것이며, 정부에서는 영양성분 표시량에 맞추어 식품을 섭취하는 소비자들이 자신이 생각한 것보다 훨씬 과잉섭취하는 일이 없도록 표시기준의 허용오차 상한선 설정을 추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일반 가공식품에 칼슘을 첨가할 때는 칼슘의 흡수 뿐아니라 다른 무기질의 흡수 및 이용성을 좋게 하기 위해 다른 무기질과 균형을 맞추어 첨가량을 결정하여 칼슘강화로 소비자들이 최대한의 효과를 얻고 다른 무기질과의 균형도 잃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contents of minerals, to compare the measured values of calcium and the labeled values in food labeling and to analyze the ratio of calcium to other minerals in 43 calcium-fortified food products sold in markets in Seoul, Korea. Content of minerals such as Ca, P, Mg, Na, K, Fe, Cu, Zn was measured by atomic absorption or colorimetric method after dry -ashing or wet -ashing. The measured values of calcium were ranged 65.5~343.9% of the labeled values in 43 calcium-fortified products. In 21 calcium-fortified food products, the measured calcium values were ranged 120~160% of the labeled values, and in three drinks those were less than 80% of the labeled, which is not acceptable to the food regulation. The ratios of Ca:P were 2.63±1.99 (mean±SD) in grain products, 1.79±0.39 in Ramyuns, 2.80±0.53 in retort pouch food products and 8.35±12.87 in drinks. The Ca:Fe ratios were 126.33±44.36 in grain products, 130.65±34.67 in Ramyuns, 120.31±71.15 in retort pouch food products and 700.25±553.70 in drinks. The ratios of Ca:Mg were 11.86±5.40 in grain products, 9.29± 1.34 in Ramyuns, 9.09±2.09 in retort pouch food products and 32.50±41.35 in drinks. The P:Mg ratios were 4.11± 1.54 in grain products, 4.17±0.67 in Ramyuns, 2.58±0.45 in retort pouch food products and 2.59±2.50 in drinks. These results suggest calcium contents and the ratio of calcium contents to other minerals in calcium-fortified food products should be strictly controlled.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가공식품의 칼슘강화 현황에 관한 조사 연구

        김욱희(Ouk-Hee Kim),김을상(Eul-Sang Kim),유인실(In-Sil Y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1

        서울시내 백화점과 대형 마트에서 판매되는 칼슘강화식품을 조사하여 이들을 곡류가공품, 우유 및 유제품, 식ㆍ어육가공품, 라면류, 레토르트식품, 쥬스 및 음료류, 기타로 분류하고 각 제품에 표기된 영양표시를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 칼슘강화 현황과 영양표시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조사에서는 특정인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이나 특수영양식품 및 유아용 조제유와 이유식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조사된 칼슘강화식품은 총 81건이었으며 곡류가공품, 라면류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식품군에 강화되었다. 특히 칼슘이 기호식품에 첨가됨으로서 소비자의 식사 패턴과 기호도에 따라 개인별로 칼슘 섭취량의 차이가 클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고 칼슘 강화식품은 대부분 칼슘이 단독으로 강화되었고 그 다음으로 칼슘 이외에 1종의 영양소가 추가로 강화된 제품들이 많았고 식품군에 따라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우유 및 유제품 식품군은 다중 강화식품군으로 한 제품에 칼슘과 1~8종의 영양소가 동시에 강화되었다. 또한 같이 첨가되는 영양소의 종류는 DHA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 비타민류, 무기질류 등이 있었다. 제품의 칼슘함량을 표시하는 기준단위는 주로 ‘100 g/100 mL’, ‘포장중량’이었으며 각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실제 섭취량을 비교하기 위해 칼슘함량을 ‘1인 분량’ 당 % RDA로 환산해보면 2.5~27.6% RDA 범위였다. 특히 칼슘이 강화된 제품의 칼슘함량이 ‘1인 분량’ 당 10% RDA에도 미달되는 제품들이 많아 강화함량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필요했다. 영양표시는 표시기준에 규정되지 않은 용어가 사용되고 규정된 용어를 사용하더라도 함량기준에 미달되는 경우가 있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드러냈다. 그러므로 영양강화가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시대적인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관련 정부기관의 노력과 식품업계의 강화에 따르는 기술력 향상 및 사후 품질관리가 필요했다. 또한 학술기관에서는 이에 대한 기초연구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소비자 스스로도 자신에 맞는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꾸준한 노력과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alcium fortification in processed foods for obtaining basic data on nutrition fortification policy and nutrition labeling. Surveyed samples were the products fortified with calcium among processed products sold in department store and large mart in Seoul from Aug. 1998 to Aug. 1999. But supplementary health food or special nutritious food and weaning food and infant formula were excluded from them. We examined the kinds and numbers of added nutrients except calcium and the amounts of calcium per 100 g product and nutrient labeling of calcium-fortified foods. Surveyed products were 81 foods and they were grouped in grain products, milk and milk products, processed meat and fishes, ramyuns, retort pouch foods, fruit juice and drinks, and others. Calcium fortification was found in wide food groups, especially in snack foods and carbonated beverages. In relation to surveyed products, most of them were fortified with only calcium. The number of added nutrients in the product were relatively various in comparison with each food groups. In addition to calcium, the most frequently added nutrient was DHA, and were followed vitamin, mineral, oligosacchride, fiber, etc. This result showed that the kind(s) and the number(s) of nutrient added to product did not consider nutrition balance of calcium-fortified foods. Units of calcium content were decided by companies, therefore consumers confused labelled content with mouth dose of calcium and the comparison of the amounts added calcium among products was difficult. The amounts of calcium in products were from 16.4 to 1226 mg per 100 g and from 2.5 to 27.6% RDA (recommended daily allowance) per serving size. The amounts of calcium in many products were less than 10% RDA per serving size, whole appraisal about fortified content was needed. And for nutrient labeling on calcium, they used various term whether it is approved by law or not.

      • KCI등재

        HPLC/DAD를 이용한 대황의 Sennoside A와 Rhaponticin 동시분석

        김욱희(Ouk-Hee Kim),곽재은(Jae-Eun Kwak),정삼주(Sam-Ju Jung),김동규(Dong-Gyu Kim),한은정(Eun-Jung Han),한창호(Chang-Ho Han),김복순(Bok-Soon Kim),최병현(Byung-Hyun Choi),김민영(Min-Young Kim) 대한약학회 2010 약학회지 Vol.54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nnoside A and rhaponticin simultaneously according to sennoside A of Rhei Rhizoma determination in Korean Pharmacopoeia. NaHCO3 solution in KP was compared with methanol which usually used as solution to extract rhaponticin in Rhei Rhizoma. The method was validated through the guidelines of linearity, LOD, LOQ, specificity and accuracy. Two solution weren't different about validation parameter and passed. So this method were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6 commercial Rhei Rhizoma samples and 2 samples were suitable for the legal standard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