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작문오류를 통해 본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발음의 문제점 고찰

        김용각 대한일어일문학회 2004 일어일문학 Vol.23 No.-

        この硏究は韓國人日本語學習者の作文の誤謬に現れている日本語の發音上の問題点を指摘し、その解決策を提示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本稿では韓國人日本語學習者の作文に現れた發音の誤謬の中で、特に濁音、促音、長音について考察し、以下のような結果を得た。 第一、濁音の誤謬は淸音を濁音に表記する場合と、濁音を淸音に表記する場合とがあり、學習者によって樣相が異なる。特に韓國人學習者に共通的に現れる間違いは無聲閉鎖音/p·t·k/と有聲閉鎖音/b·d·g/の混同である。中でも/t·k/と/d·g/のの間違いが多く、音環境においても語頭、語中、語末に關係なく多樣である。 第二、促音の誤謬は添加(非促音語の促音語化)より脫落(促音語の非促音語化)の例が多く、促音の添加は母音の無聲化による發音を促音として誤解した例で、脫落は促音を長音に誤解したものと、單に促音を?落させたものがある。特に促音を長音に間違える例は主として漢語に現れるもので、漢字音の促音化規則を理解することによって正確な發音敎育はもちろん語彙數の增加にも役に立つ。 第三、長音の誤謬はこれと言えるほどの傾向がなく、ただ、韓國人學習者に長音の間違いが多い理由は韓國語において音韻論的に母音の長短の對立がないためである。よって、韓國人にとって長短の區別は容易なことではないが、本稿においては次のような解決策を打ち出している。 1)韓國語と日本語の漢字音の對應において、韓國語で終聲が/p/と/ŋ/であるものは日本語で長音に對應して現れることに着目し、このような對應規則を周知させ、長音に對應しない場合を例外として强調する必要がある。 2)外來語の發音において長音の間違いが多く、特にアクセント核が位置する音節を長音に發音する傾向が强い。したがって、アクセントに對する敎育も同時に行わなければなるまい。

      • KCI등재

        『NHK日本語発音アクセント新辞典』을 통해 본 일본어 조수사 악센트의 변화

        김용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NHK 개정판에 나타난 일본어 조수사의 악센트를 NHK 기존판과 비교하여 그 변화 양상을 1) 제1악센트형 추가, 2) 제2악센트형 추가, 3) 제2악센트형 탈락(통합), 4) 악센트형 순위 변경, 5) 악센트형 변형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고찰해 보았다. 각 유형별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악센트형 추가는 대부분 기존 악센트형보다 악센트핵이 -1박 이동한 형태로 나타났는데, 총10개의 조수사 중 7개(70%), 전체 29개 어휘 중 23개(79.3%) 어휘에서 이런 변화가 나타났다. 2) 제2악센트형 추가는 기존 악센트형보다 악센트핵이 -1박 앞으로 이동한 형태로 나타나는 조수사가 총18개 중 7개(38.9%)였고, 어휘수로는 총 70개 중 39개(55.7%)였다. 그리고 기존 악센트형보다 악센트핵이 -2박 이동한 형태의 제2악센트형이 추가된 조수사는 12개(66.7%)였고, 어휘수로는 28개(40%)였다. 결국 제2악센트형의 추가는 –1 박 이동하거나 –2박 이동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제2악센트형 탈락(통합) 유형에는 3개의 조수사에서 13개 어휘가 해당되는데, 모두탈락한 제2악센트형이 제1악센트형보다 1박 뒤에 악센트핵이 위치하는 것들로만 되어 있다는 점에서 볼 때, 제2악센트형이 –1박 이동함으로써 제1악센트형과 같은 악센트형이 되어 자연스럽게 제1악센트형으로 통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4) 악센트형 순위 변경에는 6개 조수사에서 18개 어휘가 해당되는데, 기존 평판형 악센트가 제1악센트형에서 제2악센트형으로 이동하는 일종의 역평판형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이러한 역평판형화 현상을 포함한 악센트형의 순위 변경도 기존판에서 제1악센트형의 악센트핵이 –1박 이동한 것과 –2박 이동한 것이 개정판에서 제1악센트형으로자리잡는 결과로 나타났다. 5) 악센트형 변형에는 6개 조수사에서 9개 어휘가 해당되는데, 악센트핵이 –1박 이동한것과 -2박 이동한 것이 다수를 차지했다. 결론적으로 일본어 조수사 악센트의 변화 양상은 악센트핵의 이동으로 설명 가능한데, 대부분의 변화가 악센트핵이 –1박 또는 –2박 이동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수사의 악센트 변화 양상을 5가지로 체계화하여 고찰하였고, 정량적방법을 통해 변화 양상을 악센트핵의 이동이라는 관점에서 규칙화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악센트핵의 이동이 다른 품사의 어휘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지 고찰해볼 필요가 있겠다. This research explored the accent change of Japanese classifiers, comparing the two versions: first version of NHK and its second edition. More specifically, the accent changes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the first accent type, the second accent type, the elision of the second accent, accent order change, and accent alternation. The research found that the change of the Japanese classifiers can be explained by the breakaway of the accent nuclei, and could possibly expla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accent nuclei and classification of the position. Accordingly, more further studies can focus on the possibilities of whether or not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accent nuclei can occur even in other parts of speech in Japanese.

      • KCI등재

        일본 九州方言의 음절구조 실태와 변화

        김용각 대한일어일문학회 2000 일어일문학 Vol.14 No.-

        一般的に日本語は關音節構造の言語であると言われる。 つまり音節の最後が母音で終わる。 もちろん撥音や促音などのように子音で終わる場合もあるが、日本語におぃて撥音と促音は語頭に立つことができず、アクセント杉を持たなぃなど、他の音素に比べて不完全な要素を持った、ぃわゆる特殊音素として扱われることから、この場合は例外と見て差し支えなぃなろう。 歷史的にも日本語が開音節構造の言語であったことは、すでに先行硏究によって明らかになってぃる。 これにより、漢字が日本に入った時、當時閉音節構造であった漢字音が日本語では開音節構造として現れざるをえなかったのである。 しかし、與味深ぃことはこのような開音節構造である日本語の中に閉音節構造の方言が存在するとぃうことである。 そこは庇兒島縣を中心とする九州南部から沖繩にかけての地域である。 この論文はこれらの地域を中心に諸方言の音節構造の實態と變化の過程につぃて論じたものである。 それをまとめると、 日本語の各方言における閉音節化は次のようなものとの相關性が考えられる。 1) 音節(syllable)をリズムの單位とする、ぃわゆる「シラビ-ム方言」であること 2) 挾母音の 〔i·u〕 か語末に位置するとぃうフォネ-ム構造 3) 母音 〔i·u〕の流體力學的な性質; 他の母音に比べて、相對的に多ぃ呼氣流量によて聲帶を强く振動させるにも係わらず、相對的に聞こえが小さく、强さが强くなぃ。 4) 各方言のフォネ-ム體系における整合性 5) アクセント構造(ピッチの上昇)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