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과 사회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방향 -개정 법과 사회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영천 ( Young Chun Kim ),자영 ( Ja Young Ki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9 시민교육연구 Vol.41 No.3

        The Street Law program seeks to promote legal literacy among young people to ensure that they possess that minimum amount of practical, legal knowledge needed to understand the system as a whole and how it can work in their behalf. It delivers units in Housing, Consumer, Family, Criminal, and Constitutional Law at the respective school sites. In Korea, the `Law and Society` official curriculum has been revised in 2007. When developing the new `Law and Society` textbook according to the 2007`s revised `Law and Society` curriculum, it is necessary that what and how the concrete contents should be included. The previous `Law and Society` textbook has been continuously criticized by teachers and students for it`s hard and vast contents. And it makes the teachers and students hard to take the subject. So such problems should be solved in the new revised `Law and Society` textbook. The survey in this study shows that in the revised `Law and Society` curriculum, what law terms are most important in theory and what law terms are most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Especially in many cases, the importance and the difficulty of concepts of law terms are different. So the importance and the difficulty of concepts of law terms should be deeply and widely considered. Especially, the law concepts which have big gaps between importance in theory and students` understanding, we should make much effort to make up for the difference. In this way, we hope that `Law and Society` promote in students a willingness and capability to participate effectively in the legal and political systems.

      • KCI등재

        현행 학교폭력 관련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김영천 ( Young Chun Kim ),정현 ( Jeong Hyun Kim ) 한국법교육학회 2012 법교육연구 Vol.7 No.2

        최근 학교폭력은 다양한 형태로 집단적, 조직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또한 성인범죄 못지않은 잔혹성과 집요함을 특징으로 하여 피해학생의 사망이라는 결과까지 초래하기도 했다. 그동안 이러한 학교폭력을 규제하기 위하여 2004년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하학교폭력법)과 동법 시행령이 제정되었으며, 이후 수차례 개정을 거쳐 왔음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은 오히려 그 정도가 심해지고 있다. 최근 다시 심한 학교폭력 사건의 발생이 잇따르자, 2012년에는 정부차원의 대책이 수립되고 동 학교폭력법도 또한 일부가 개정되었다. 본고에서는 법학적 관점에서 현재까지 제기되어 온 논점들을 살펴보고, 개정된 현행법은 과연 기존 법령의 문제점을 어떻게 개선하였는지, 현행법에서의 새로운 문제점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 지 분석해 보기로 한다. 2012년 개정된 학교폭력법은 기존에 제기되어온 비판에 따라, 학교폭력 개념을 확대하고 학교폭력에 관련된 대책과 기구들을 정비하였다. 나아가 피해학생 보호를 강화하고 가해학생에 대하여는 처벌을 강화함과 동시에 치료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했다. 나아가 학교폭력에 대하여는 해당 학생뿐만 아니라 가정과 학교, 그리고 정부의 책임을 명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학교폭력의 개념과 관련해서는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고, 피해학생의 구제와 가해학생의 처벌에 관하여 재정비가 요청되고 있다. 특히 현재까지의 학교폭력에 대한 대책은 많은 경우 임기응변적으로 마련되어 왔기에, 교육적 측면이 무엇보다 고려되어야 할 학교폭력이라는 특수한 문제에 대하여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시각이 결여되어 있다. 피해학생의 보호를 강화한다는 것이 과연 곧바로 가해학생의 처벌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하는지, 미성년자인 가해학생의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성장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등에 대한 고민없이 근시안적으로 현재의 행위의 반사회성에 대하여 이를 곧바로 사법처리로서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학교폭력의 효율적 대책인지 등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학교폭력을 근본적으로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고찰은 현재 자치위원회가 교육기관적 성격과 사법기관적 성격을 동시에 가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에 보다 명확한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다방면에서 제기되고 있는 학교폭력대책이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은 현재까지의 대응에 대하여 이제까지와는 다른 방식의 근본적인 접근을 필요로 하는 시점에 다다랐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우리 입법자와 사회가 특히 학교폭력법을 제정하여 학교폭력사건들을 다른 폭력사건들과 특별히 취급하려고 하는 이유를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법적 접근과 교육적 접근과의 경계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학교폭력의 문제를 기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는 지금까지의 시각보다 좀 더 규범적인 사고에 근거하여 근본적인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Korea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Act (hereinafter, SVPC Act) was enacted in 2004 and was recently amended in 2012. The SVPC Act has been revised more than 10 times to address the problems of school violence effectively. The effectiveness of the act, however, is still under question. Even with the 2012 revision, the SVPC Act needs further adjustment in a number of aspects. Therefore, the fundamental reflection should be given on the causes that leaves the SVPC Act impotent against preventing school violence. First of all, the term ``school violence`` is not yet clearly defined. Second, the SVPC Act still does not provide protection to cover all cases of the victimized students in real life. There also are very much controversy over how the SVPC Act does not give due punishment to the assailant. We should have a clear understanding over the fact that harsh punishment for the offenders does not translate directly to the protection for the victims. This perception is fundamentally related to the purpose of the SVPC Act. It also has an influence on the function of the School Violence Autonomy Committee, which deals with the educational procedure and the judicial procedure regarding the current SVPC Act at the same time. On this track of thoughts, we should focus the attention on what we want to achieve through the SVPC Act as a means to deal with school violence. The SVPC Act will take root and function as it is suppose to only when a social consensus is reached on this issue.

      • KCI등재

        일반논문 :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문서분석

        김영천 ( Young Chun Kim ),정상원 ( Sang Won 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6

        문서를 기반으로 하는 많은 연구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연구 방법으로서 문서분석 을 이론화 하려는 노력은 거의 없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서분석과 관련 된 학자들의 논의를 통해 문서의 개념과 문서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질적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문서의 종류를 살펴보고 그러한 문서들을 기반으로 한 연구 에서 문서들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질적 연구자들이 정 보의 원천으로서 문서의 사용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도울 것이며 이를 통해 그들이 자 신들의 연구에 문서 분석 방법을 도입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Nonetheless, there are so many studies based on using documents. There is little effort to theorizing document analysis research as a qualitative method in Korea. So, this article tried to review the definition of documents and the scholar`s argument of using documents. And after review of some studies that using documents as sources of information, we attempted to list the kinds of documents that can be used in research. This study can help researchers with understanding the use of documents as sources of information and trying to adopt document method to their study.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원 교육과정과 평가체제에 관한 분석적 이해

        김영천 ( Young Chun Kim ),송희진 ( Heui Jin Song ),주영주 ( Yeong Joo Joo ),황인실 ( In Sil Hwang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8 교육인류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학원실태, 학업성취도간의 연관성, 교재 분석 등에만 치우쳤던 학원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 한발 나아가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실제 학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과 평가 방법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하였다.학원의 교육과정은 속진학습과 반복학습을 통해 학습과정 상에서 학생들의 학습 경쟁력을 높이고, 학생들의 능력에 따른 학습과정 운영을 통해 맞춤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나아가 계속적인 평가를 통해서 학원 학습과정을 수정 보완 해 나가고 있었다. 또한 학원에서 실시하는 평가 또한 계획적으로 잦은 평가와 체계적으로 분석된 성적표를 통해 학생 개개인을 관리해 주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이 연구를 통하여 학원학습 현장을 살펴보고 학원의 교육과정과 평가의 특징을 발견하였다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나아가 학원학습의 초기 연구로서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Eventhough Hakwon education is very popular and has been a part of Korean students` learning and lives, its culture and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deeply researched by Korean educators and in particular by curriculum researchers. With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Hakwon education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one of the first frontier research on this area and can be regarded as future resource for Korean educational researchers to study further about Korean Hakwon education.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and case study methods were employed. In order to describe and understand how Hakwon education is implemented and operated, a variety of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such as intensive interviewing,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content analysis have been done for almost a year-long fieldwork study. Through these field-oriented methods, researchers were able to collect qualitative data to closely show what kinds of features Korean Hakwon education has in regard to curriculum and evaluation. Through the research, we have identified three features of curriculum of Hankwon education, and three features of students evaluation in Hakwon education. These findings are valuable i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is scarcity of research on Korean Hakwon education, and there should be much more academic interest on this topic in the near future.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frontier reference when other Korean researchers begin to study the phenomena on Hakwon education across elementary to secondary schooling.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생각해보는 교육과정 연구: 탐구주제와 연구영역들

        김영천 ( Young Chun Kim ),주재홍 ( Jae Hong Jo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의 관점이 교육과정과 수업연구에 어떤 시사점과 문제의식을 제공해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교육과정의 네 번째 연구패러디임으로 인정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체계적인 소개와 그에 기초한 교육과정 이론화 작업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는 판단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이에 연구의 첫 번째 내용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연구 개념들을 다섯 가지로 정의하고 각 개념을 이해하는 작업을 하였다. 다음 두 번째 연구내용으로서 그러한 개념들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연구한다면 어떤 시사점과 연구문제들을 새롭게 발견하거나 구성하거나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연구 작업들과 서구의 연구 작업들에 대한 분석들에 기초하여 교육과정과 수업연구에 줄 수 있는 연구의 새로운 영역들을 크게 네 가지로 개념화시켰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추후에 이루어져야 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 기초한 교육과정과 수업연구의 새로운 주제들 또는 연구문제들은 어떤 것들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다섯 가지의 제안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merging themes and research domains from the point of postmodernism. The inquiry was based on authors` evaluation that postmodern approach toward curriculum theorizing was not serioulsy introduced in Korea even though it has been energetically discussed as the fourth paradigm in curriculum research in the West. For this purpose, first, the major concepts of postmodernism were explained. They were as follows: (1) Incompleteness of meaning and representation; (2) rejection of absolute knowledge and truth; (3) difference; (4) deconstruction; and (5) Rhizome. Second, the implications and emerging themes of postmodern approach in curriculum studies were identified in four ways. They were as follows: (1) Critique of traditional curriculum model; (2) Deconstructive reading on school knowledge and textbooks; (3) Instructional methods to emphasize the multiplicity and complexity; (4) Representation and theorizing of the Other. Lastly, the authors emphasize that five suggestions will be researched as further research topics in Korea which Korean curriculum scholars are expected to theorize.

      • KCI등재후보

        교사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연구동향과 예들

        김영천(Young Chun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04 열린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1980년대 이래로 교육과정 분야의 주요 탐구분야로 대두한 교사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동향을 종합적으로 장려한 글이다. 이에 첫 번째 연구문제로서 교육과정 연구분야에서 생애사 연구방법이 왜 대두하였고 강조되었는지를 이 분야의 이론적 배경을 제기한 학자들인 William Pinar, Madeline Grumet, Janet Miller, Ivor Goodson 등의 주장을 살펴보고 교사연구에서 생애사 연구의 필요성과 가치를 강조한 다양한 학자들의 연구를 소개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로서 교사의 삶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동향을 연구자의 준거에 따라서 네 개로 구분하였고 각 연구주제의 개념과 연구결과들을 세부적으로 정리하였다. 이에 초임교사의 사회화, 교직과 교사의 삶, 교사의 실제적 지식, 비판적 교사의 삶이라는 네 개의 영역별로 교사의 삶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있는지를 대표적인 작품들의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동향에 대한 소개와 정리가 교육개혁의 선상에 놓여 있는 우리나라의 교육학연구와 교육과정 연구와 실제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우리나라의 학교개혁이 보다 잘 진행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살아가고 있는 교사들의 일상적인 삶의 특징과 구조, 학교문화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하며 그리고 그들의 전문적 지식에 대한 심층적인 교육학적 탐구가 있을 때만이 교육적 이상과 현실의 조화를 통한 현장개선이 일어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introduce general research trends in life history approaches to teachers' lives which has appeared as one of the main research topics in curriculum studies during last two decades. For this purpose, fIrst,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life history in studying curricular pheonmena and teachers' lives were explained with citations of leading scholars' theorization in this field. Second, research trend of life history approaches on teachers' lives were classifi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①socialization of first year teachers; ②culture of teaching and teachers' lives ③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④critical teachers' lives. Definition and main research works of each category were explicated. On the basis of the aforementioned introduc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topic for Korean curriculum studies were discussed in four ways. First, teachers' everyday lives must be closely researched and described. Secon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must be priortized as main resource of theorizing knowledge for curriculum and teaching in a Korean context. Third,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in curriculum studies will be necessary in a postpositivist ear where legitimacy of traditional methods in curriculum studies has been continuously questioned. Knowing about the life history approach will contribute to Korean scholars' deeper understanding on new research methodologies which are employed in contemporary curriculum inquiries. Fourth, works on teachers' lives will be used as educative materials to help classroom teachers to critically review their own everyday practices and find better ideas for improvment of classroom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