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과 퇴보: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김영명 ( Yung-Myung Kim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4 韓國 政治 硏究 Vol.23 No.3

        이 논문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가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어떤 기여를 했으며 또 어떤 문제점을 남겼는지를 탐구한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젊은 세대의 정치세력이 등장하여 한국 정치의 일인 지배 구조와 권위주의적 행태를 타파하였고, 정치제도 개혁을 통해 민주주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또 진보세력이 국회에 진출하여 한국 정치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 그러나 대통령의 권위 부족과 집권세력의 대결지향적인 행태 및 민생 발전을 도외시한 빗나간 의제 선정으로 당파싸움을 증폭시켰다. 노무현 정부의 인기가 하락하자 그 반사효과로 등장한 이명박 정부는 친기업 정책과 대북 강경 정책으로 노무현 정부의 정책들을 역전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취임 약속이었던 경제살리기에 실패하고 오히려 사회적 양극화를 부추겼다. 그리고 인권 문제를 등한시하는 등 민주주의의 후퇴를 야기하였다. 두 정부는 이념상 대척점에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둘은 모두 가상의 적을 지나치게 과장하였으며, 정치 지도력이 미숙하였고, 타협보다는 대결 지향적으로 나아갔다. 또 진보와 보수를 각각 표방한 두 정부의 정책들은 세부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결국 중도우의 방향으로 수렴되었다. 이렇게 보면 한국 정치 갈등의 근본 원인은 이념 차이 자체보다는 작은 이념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대결로만 치닫는 정치적 미숙함과 통합적 지도력의 부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은 결국 이념과 정책의 차이를 극복하고 당파이익을 조정할 타협 문화와 통합적 지도력의 개발에 달려있다고 할 것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ntributions and problems of the two recent Koreangovernments?the Roh Moo-hyun government and the Yi Myung-bak government?in the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The Roh government ushered in a new era in Korean democracy, ending the post-three Kim politics, i.e., one-man rule based upon regional factions. It also overcame authoritarian practices and introduced new democratic procedures to a certain extent while the progressive political forces took seats in the National Assembly for the first time in several decades. In spite of these democratic achievements, the Roh government exacerbated factional strife rampant in Korean politics, a good part of which stemmed from the incumbent`s lack of political leadership and from strife-stricken behaviors. Yi utilized Roh`s failure to be elected as the next president, promising to revitalize the Korean economy. The new government and supporting conservative forces attempted to reverse what they saw as “leftist” policies of the previous government, but soon their policies changed, culminating in more or less center-right ones not dissimilar to Roh`s policies. Yi also failed: He did not revitalize the Korean economy and social polarization worsened; and his anti-North Korean policies contributed nothing in either improving South-North Korean relations or changing the North Korean regime. What is worse, Yi`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was next to nil: He rather despised democratic political procedures, so political freedom and human rights records worsened during his incumbency. The two governments look very dissimilar at first glance, with the former being “left” and the latter being “right,” but the realty was not exactly so. They shared meaningful commonalities: They both exaggerated the would-be enemies; they both lacked political leadership; they were both strife-oriented rather than compromise-oriented. Their ideological positions may have been different but their policies, especially in socio-economic matters, eventually converged. In this regard, we may conclude that the real problems in Korean politics do not lie with ideological polarization as usually considered but more in the lack of integrative political leadership and compromising political culture, found both in the political and civil societies of Korea. The measures to improve these political assets should be found and the study of Korean democracy needs to be more concerned on this issue.

      • KCI등재

        한국의 정치발전: 일인지배에서 제도정치로?

        김영명 ( Yung Myung Kim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2009 비교민주주의연구 Vol.5 No.1

        한국 정치발전에서 일인지배체제의 등장과 소멸은 큰 의미를 가진다. 이 현상을 이해해야 이승만과 박정희의 장기집권과 파멸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고, 민주화 이후의 한국정치가 지역 붕당정치로 된 이유도 알 수 있다. 이승만 정권이 가부장적 권위주의가 된 이유는 정치제도화의 부족과 이승만의 압도적인 위치 때문이었다. 박정희 군사정권이 제도적 군부통치가 아니라 유사민간화된 일인지배체제가 된 것은 당시 군부의 발전 정도가 중간 정도였기 때문이었다. 일인지배체제가 되었기 때문에 양 정권은 장기집권으로 갔고, 또 그 때문에 순조로운 권력계승을 할 수 없어 국민 저항 앞에서 파멸을 맞았다. 전두환 정권은 박정희 정권과 같은 개인 권력을 구사하지 못했는데, 그것은 장기집권에 대한 국민 저항과 군(또는 지배권력) 안에서 제도적 권력 분담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기 때문이었다. 노태우 정부의 과도기를 거쳐 집권한 김영삼-김대중 정부는 박정희 체제의 한 유산으로서 각 정파 안에서 일인지배체제를 보여주었다. 노무현 정부로 오면서 비로소 그 체제가 해소되었는데, 이는 대한민국 건국 이후 오래 지속되었던 인물 지배의 시대가 가고 제도정치의 시대가 오는 것을 의미했다. 일인지배자가 사라진 자리를 정치제도의 혼란과 지도력 빈곤이 차지하여 한국 민주주의의 앞날이 밝지만은 않다. 그렇더라도 일인지배체제가 종식되고 제도정치의 가능성이 열렸다는 사실 자체가 한국정치의 한 중요한 발전이다. 지금의 한국 민주주의 연구 경향이 이런 점을 경시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The rise and demise of one-man rule has a significant meaning for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out understanding this phenomenon, we cannot fully understand the long-term rules of Rhee Syngman and Park Chung Hee, nor can we understand the reason why Korean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still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one-man rule. The Rhee regime became one-man-dominated despite its democratic facade because the Korean society at the time lacked adequate political institutions while Rhee`s personal position as a national leader was predominant. Likewise, after the military coup which toppled the enfeebled Chang-Myon government became quasi-civilian and personalistic rather than military-institutional because the level of the Korean military`s institutionalization at the time was somewhere between those of African and Latin American militaries which also intervened in politics at a virtually same period. Park increasingly accumulated his own power within the quasi-civilian power structure, culminating in the most authoritarian and one-man-dominated Yushin regime. However, both Rhee and Park could not escape a catastrophic downfall because their personal rule blocked an institutional basis to emerge which would guarantee peaceful power transfer. After Park`s assassination, Cun Doo Hwan seized power but he could not enjoy one-man power because the Korean military had been more institutionalized than before while Korean people did not allow another one-man dictatorship. After Roh Tae Woo`s transitional and rather weak leadership, the "two Kims" established their own versions of one-man rule within their own power bloc although their governments were clearly democratic at a more systemic level. Two Kims` paternalistic power relations with their "clients" may well be understood as a heritage of Park`s authoritarian rule, which on the opposition`s part required power concentration for more effective challenge to the regime. With the end of the two Kim`s presidential tenure, one-man rule now seems to have finally gone into history. But the result is not a stabilization of political institutions but the ineffectiveness of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al leadership, and this is the reason why Korean politics is under constant trivial squabbles and sectoral disputes. For all that, Korean politics has clearly developed in at least one point that one-man rule has now disappeared, which opened a way to an institutional democratic politics, although still not clearly on the horizon.

      • KCI등재후보
      • 특별기고 : “객관적”인 역사와 대한민국: 해방, 분단, 전쟁에 관한 몇 가지 쟁점

        김영명 ( Yung Myung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08 글로벌정치연구 Vol.1 No.1

        역사 서술과 해석이 순수하게 객관적일 수는 없지만 최대한 객관성에 다가가려는 노력은 필요하다. 자신의 편견이나 세계관을 최대한 탈피하여 있는 그대로를 냉정하게 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에 대한민국 역사 해석에 대한 상반된 견해가 충돌하고 있는데, 양쪽 모두 주관적이고 이념적인 문제를 보인다. 이 글은 해방과 건국, 전쟁에 관련된 몇몇 쟁점들을 ‘객관적’으로 보기를 시도한다.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방이 분단으로 이어진 것은 민족의 실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미-소 양 강대국이 분할 점령하였기 때문인데, 이에 대한 책임은 미국이 첫째, 소련이 둘째, 그리고 민족 내부의 분열이 셋째로 져야 한다. 2) 대한민국이 민족 정통성을 주장하기에는 국제연합의 승인만으로는 부족하다. 민족 독립운동 세력이 경시된 점에서 큰 문제가 있다. 하지만 북한과의 체제 경쟁에서 승리하였으므로 미래의 역사 기술에서는 정통성 경쟁에서 북한보다 유리할 것이다. 3) 해방 직후 민족주의자들이 신탁통치 안을 거부하지 않았더라면 분단과 전쟁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면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4) 6.25전쟁의 책임은 첫째 김일성에게 있지만 분단의 원초적 상황을 제기한 미국이나 무력 경쟁을 일삼은 남한 정부에게도 없지는 않다. 5) 미국이 참전하지 않았더라면 금방 적화통일 되었을 것이다. 그랬더라면 주민들이 지금의 남한보다 못 살겠지만 지금의 북한보다는 잘 살고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수백만 명의 목숨이 사라지지 않았을 것이다. Genuinely objective interpretation of history is not possible to achieve but it is necessary to try to reach the objectivity as far as possible, overcoming one`s own narrow and ideological perspective. Recent clashes between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modern korean history reveals the problem of ideological skewedness from both sides, left and right. This essay tries to show “objective” interpretations on a few issues surrounding the liberation and division of Korea as well as the Korean War: 1) Korea was divided by the political competition between the two would-be superpowers,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which was imposed upon the Korean people whose political leadership were also divided; 2) the responsibility for the division should be taken jointly by the above forces in that order; 3) the legitimacy of the Republic of Korea could not be secured solely by the recognition of the United Nations because the Korean national leaders were largely denied to the state formation, but she will occupy a favorable position in the future, presumably reunited, Korean history because she has won over North Korea in the regime competition; 4) if Korean nationalists had accepted the Moscow agreement, Koreans might have avoided the worst possible results-division and the protracted war; 5) the Korean War was initiated by Kim Il-Sung but its original seed was planted by the United States which first suggested the 38th parallel division, while Rhee Syngman was also a part of pre-war armed disputes between the two Koreas; 6) if the United States had not intervened in the war Korea would have been immediately reunited, which means better life for North Koreans and worse life for South Koreans than now but without the sacrifice of millions of peop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민족주의의 쟁점 : 개념과 과제

        김영명(Yung-Myung Kim)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6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8 No.1

        지금까지의 민족주의 논의에서는 민족주의 용어가 지나치게 넓고 모호하게 사용되었다. 민족주의가 국가주의, 국민주의 등과 구별되지 않고 사용되며, 애국주의 개념도 또 다른 혼란을 불러온다. 그래서 심지어 때로는 반민족주의적인 현상마저 민족주의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다. 또 민족 정서와 민족주의를 구별하지 않고 모두 민족주의로 서술한다. 그 결과 한국의 민족주의가 매우 강하다는 결론이 도출되는데, 이 논문은 한국인에게 민족 정서를 강하지만 민족주의는 약하다고 주장한다. 한국 민족주의 논의에서는 사대주의에 주목해야 하는 바, 한국인에게 사대주의가 민족주의보다 더 강하다. 한국 민족주의의 과제는 민족주의 본질의 달성과 문제점 완화인데, 앞의 것은 민족 통일과 대외적 자주성의 고취이며, 뒤의 것은 배타성과 폐쇄성 완화이다. 한국 민족주의는 그 목표를 달성해 가면서 문제점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정책과 이념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One of the most evident shortcomings in the studies of Korean nationalism is the overly broad usage of the concept of nationalism itself; the diverse aspects of nationalism some of which are mutually contradictory are not properly discerned and lumped together under the name of nationalism. The underlying problem is the English word nationalism itself which cannot properly distinguish between the nation, state, and citizenship which are all ingredients of nationalism. This article suggests that we properly discern the corresponding Korean terms for these different aspects of nationalism. It also suggests that we distinguish between nationalism, mostly an area of reason and national feelings, an area of passion. Korean nationalism is rather weak compared with strong national feelings of average Koreans. Sadaejui (“serving-the-great”ism), rather than nationalism, is Koreans’ prevalent mental position vis-a-vis outer forces. Sadaejui is directly opposite to nationalism, the essence of which are the movement toward national independence, integration, and self-reliance. Key tasks of Korean nationalism are the achievement of national unification and more independent foreign positions as well as the alleviation of the inherent problems of nationalism itself, i.e. the possibilities of international conflicts, domestic oppression and xenophobia.

      • KCI등재후보

        한국의 정치와 문화: 연구 현황과 새로운 방향 모색

        김영명 ( Yung Myung Kim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2010 비교민주주의연구 Vol.5 No.2

        한국 정치문화 연구는 지금까지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것은 주로 설문조사와 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정치적 태도를 연구하는 것이 중심을 이루었다. 이러한 연구는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므로, 한국 역사와 한국인의 행동에 대한 세밀한 관찰에 따른 질적인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또 이러한 주류 정치문화 연구는 지나치게 미국 학계의 연구를 답습하여 미국 학자들이 제시한 지표를 거의 그대로 사용하거나 정작 한국 정치현실에서 중요한 문화현상은 소홀히 다루는 한계를 보였다. 미국학계의 앞선 연구들을 도입하더라도 한국 현실에 대한 이해와 관찰에 입각하여 독창적인 연구도 동시에 수행해야 하리라 본다. 한편, 지금까지의 연구는 한국인의 정치적 태도나 가치관, 의식구조 등 `마음 상태`에 대한 조사에 집중하였는데, 앞으로는 실제로 그런 마음 상태가 한국 정치과정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런 점들을 염두에 두고 한국 정치문화 연구는 기존의 연구경향에 덧붙여 새로운 방향으로 더 확대되어 가야 할 것이다. Studies of Korean political culture has shown rather rich accomplishments but have generally been confined to statistical analyses drawing mostly upon how Koreans "think and feel" on various political issues. They also show the problems of overly depending upon the issues and research techniques derived from and developed in American political culture studies, thus failing to catch specifically on the "Koreanness" in their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Therefore, Korean studies on political culture should focus more on the particular and unique natures of Korean political behaviors and political structures, filling the gap left by American-based statistical analyses. This will not conflict with the necessity for seeking universality in any social scientific analyses, because the study of Korean uniqueness would by no means seal the possibility of comparative studies of different cultures, as some would worry. This will rather deepen and diversify the study of political culture of both Korean and foreign political cultures.

      • KCI등재후보

        유길준과 한국적 정치학의 태동

        김영명 ( Yung Myung Kim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2 비교민주주의연구 Vol.8 No.2

        유길준은 한국 정치학의 태동기를 대변하는 선구자였다. 그러나 그의 저작들을 한국 정치학의 효시라고 간주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 무엇보다 그의 저술들은 근대 정치학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정치평론의 성격을 띠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의 저작들은 서양 사회과학을 적극 수용하고 이를 한국에 적용한 것으로서 한국 근대 정치학의 탄생을 ``예고``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 유길준은 당시 조선의 독립이라는 명제에 천착하고 이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개화의 등급등 독창적인 논설도 창조함으로써, 한국``적`` 정치학의 태동에 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러한 방향 제시는 지식인의 논설에 처음으로 국한문 혼용을 사용함으로써 언어 생활의 자주성을 모색한 데서도 볼수 있다. 한 마디로, 그의 저작 자체를 한국 정치학의 효시라고 하기는 어려우나, 유길준은 한국 정치학과 한국적 정치학 모두의 탄생을 예고하고 그 방향을 제시한 선구자였음에 틀림없다. Ryu Giljun was a pioneer in the emergence of modern political science in Korea, but his works generally fell short of genuine political science because they were more of political essays than academic works. However, his works layed a foundation for the emergence of modern political science in Korea; they imported Western social science concepts and theories, applying them to Korean political circumstances which was on the brink of collapse in the late 19th century. Ryu was especially concerned with maintaining Korea`s independence and created his own arguments advocating the rights of Chosun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world. He also sought to mend the exclusiv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prevalent at the time, by using Hangul alongside with Chinese characters in his writings and this paved another way to establishing the "Koreanness" of his writings. Overall, Ryu`s achievements lied more in "foreshadowing" the advent of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as well as "Korean-style" political science than in actually undertaking either.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