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道東淵源錄』 (권1) 역주

        김애자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사편찬위원회는 1988년 도암(鞱菴) 오희길(吳希吉, 1556~1625)이 집필한 󰡔도동연원록(道東淵源錄)󰡕(󰡔한국사료총서(韓國史料叢書)󰡕 제32집)을 간행하였다. 간행 이유로는 한국사상사 연구자료로서 가치가 있다는 점, 임진왜란 때 경기전 참봉으로서 󰡔실록󰡕을 보존하여 오늘날까지 전해지는데 큰 공로를 세운 오희길의 저술과 유고라는 점을 들었다. 이는 󰡔도동연원록󰡕의 학술적ㆍ보존적 가치가 크다는 사실을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희길과 󰡔도동연원록󰡕에 주목한 연구가 거의 없고, 조선시기 유학사를 다루는 글에서 간략히 소개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 이에 󰡔도동연원록󰡕의 번역을 통해 향후 연구의 발판으로 삼고자 한다. 본고에서 번역 대상으로 삼은 것은 󰡔도동연원록󰡕 권1(동방역대, 도동연원, 26명)과 󰡔도암선생문집부록(鞱庵先生文集附錄)󰡕 권3 가운데 「연보(年譜)」와 「행장(行狀)」으로 제한하였다. 오희길은 명종 11년(1556) 전라도 고창에서 태어났다. 선조 22년(1589) 34세 때 정여립(鄭汝立)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옥에 갇혔지만, 정여립의 집에서 ‘절연(絶緣)한다’고 적힌 오희길의 편지가 발견되어 극적으로 석방되었다. 다음해에 종9품 장사랑(將仕郎) 후릉참봉에 제수되었다. 이어 36세에 경기전 참봉으로 환수되었는데, 다음 해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전세가 악화되어 전주성(全州城)의 함락이 눈앞에 닥치자 오희길은 태조 어진(御眞)과 󰡔실록󰡕을 정읍(井邑) 내장산(內藏山) 은적암(隱寂庵) 안에 숨기고, 그해 12월까지 암자를 지켰다. 오희길은 태조의 어진(御眞)과 󰡔실록󰡕을 보존하는데 지대한 공로를 세운 것이다. 1619년(광해군 11) 오희길은 김자한(金自漢)의 역모(逆謀)에 관한 사실을 고변한다. 그러나 오히려 무함(誣陷)한 반좌(反坐)로 거제도로 귀양가게 되었다. 그는 귀양지에서 󰡔도동연원록󰡕을 저술하였으며, 1625년(인조 3) 70세로 생을 마감하였다. 오희길은 󰡔도동연원록󰡕에서 조선 도통의 정맥을 기자→정몽주→길재→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김인후→성혼→이이로 보았다. 특히 눈에 띈 것은 호남 출신인 김인후를 도통 속에 넣은 것과 호남사림 10여 명을 99명에 포함시킨 것이다. 그리고 인물의 서술에 참고한 문헌을 기록하여 객관성을 확보하고, 거기에 자신의 견해를 붙여 도학의 줄거리를 세워나갔다. 우리나라에 유학이 언제 수용되었는지 정확하게 말할 수는 없지만, 고대국가 체제의 완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은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이를 일반화하여 정리하면, 삼국시대부터 중국에서 유학이 수입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려조에 들어와서 과거제의 시행과 학교 교육의 발달, 송(宋)나라와의 활발한 교류 등으로 공맹(孔孟)을 근간으로 하는 유학이 더욱 흥성하였고, 고려 후기에 원(元)나라로부터 성리학이 수입되었다. 물론 고대부터 고려시대는 유학보다는 불교가 시대를 대표하는 사상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권1에 실린 26명은 우리나라에 유학이 들어온 이래, 성리학의 수용단계까지 당대인의 의식 체계 안에서 조화를 이루었으며, 유학 사상사의 흐름과 맥락을 유지하는 데에 힘썼다. 나아가 성리학의 수용, 성리학적 기반의 조선 건국, 16세기 퇴계․율곡의 사상 정립에까지 이르게 한 사상적 기반을 갖추는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을 수 있다. 인간은 시간적·공간적으로 단절되어 존재하지 않으므로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따라서 조선 도통의 연원을 체계화하여 ‘연원록’이라는 제호(題號)로 가장 먼저 편찬된 오희길의 󰡔도동연원록󰡕은 그 이후의 유학 계보에 직간접의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사상사 연구에 필요한 자료로서의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The Abstract in English] In 1988, The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published 󰡔The Record of Dodong Origin(道東淵源錄)󰡕 (󰡔Korea historical records collection󰡕 32nd series) written by Doarm(鞱菴) Oh Hee Gil(吳希吉, 1556~1625). They say there were two reasons for its publication. First, it was valuable research data for the history of Korean’s thought. Second, it was posthumous work and writing by Oh Hee Gil, Chambong of Gyeong-gi office, who had contributed to preserving and passing down the 󰡔Chronicles󰡕 up to this period. This ultimately means that 󰡔The Record of Dodong Origin󰡕 is worthy in both academic and conservatory ways. In spite of those reason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done which focuses on Oh Hee Gil and 󰡔The Record of Dodong Origin󰡕. Only a brief introduction remains in the writing of dealing with Chosun dynasty’s confucianism history. So, we hope this translation of 󰡔The Record of Dodong Origin󰡕 becomes a stepping stone for future studies. This thesis is limited by the restricted range of translations available in the succeeding named texts; 󰡔The Record of Dodong Origin󰡕 Vol.1(including successive generations of the East, Dodong Origin, 26 people’s stories) and 「chronology of one’s life」&「records of a deceased person's life」 from the 󰡔Appendix of the collection of teacher Doarm’s work󰡕 Vol.3. Oh Hee Gil was born in Jeolla-Do Go-chang in 1556(11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In 1589(22nd year of King Seonjo’s reign), when he was 34 years old, he was involved in Jung Yeo Rip(鄭汝立)’s conspiracy and got imprisoned. He was dramatically released after the letter was found at Jung Yeo Rip’s house written by Oh Hee Gil, saying ‘disowned’. Next year, the King granted the junior grade of the nineth official rank to him as Jangsarang Hooreung-chambong. When he became 36 years old, his official rank was changed as Chambong of Gyeong-gi office, and the following year, Japanese Invasion called Imjin War broke out. The war situation became worse and when Jeon-ju Castle was about to fall, Oh Hee Gil decided to hide the portrait of King Taejo and his 󰡔Chronicles󰡕 in Eunjuck temple at Naejang Mountain, Jeong-eup. He stayed there and protected those untill December of that year. Oh Hee Gil did much for preserving the protrait of King Taejo and his 󰡔Chronicles󰡕. In 1619(11th year of Gwanghaegun), Oh Hee Gil reported Kim Ja Han(金自漢)’s conspiracy. But he was exiled to Geo-je island, and was given the same punishment as the person he had reported, being accused of bringing a false charge. He wrote 󰡔The Record of Dodong Origin󰡕 on the island, and died at the age of 70 in 1625(3rd year of King Injo). Oh Hee Gil viewed the main stream of the Chosun dynasty’s neo-Confucianism starting from Gi Ja→Jeong Mong Ju→Gil Jae→Kim Guaeng Pil→Jeong Yeo Chang→Jo Gwang Jo→Lee Un Juck→Lee Hwang→Kim In Hu→Sung Hon→Lee Ii. Especially, including Kim In Hu in the main stream who was from Ho-nam region and putting 10 confucian scholars on a 99 people list who were also from Ho-nam region is the most interesting part. He reserved objectivity by writing literatures refered to people’s description, and made the story of moral philosophy by adding his opinion on those. We can’t tell exactly when confucianism was accepted in this country, but most researchers agree that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completion of this ancient country’s system. To make a generalization, we can say that confucianism was introduced by China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t the time of Goryo dynasty, confucianism based on Confucius and Mencius had started prospering with the beginning of gwageoje(civil service examination),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and active intercourse with the Song dynasty. And at the end of the Goryo dynasty, neo-Confucianism was imported from Won dynasty. Of course, during the Goryo dynasty, Buddhism was the main thought representing the era rather than confucianism. In this condition, since the time when confucianisim came into this country, those 26 people on Vol.1 blended in with the step of accepting neo-Confucianism in the system of consciousness of the people who lived at that time. And they tried hard to maintain the stream and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confucianism’s thought. Furthermore, they should be credited with the accept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hosun dynasty based on neo-confucianism, also making the base of the thought which led to setting of the idea of Toegye·Yulgok in 16th century. Humans continuously influences each other because they don’t exist by the severance of time and space. Therefore, Oh Hee Gil’s 󰡔The Record of Dodong Origin󰡕, systemized the Chosun dynasty’s neo-confucianisim’s origin, and the first publishment by the name of ‘The Record of Origin’ had influenced the genealogy of future confucianism directly and indirectly. Furthermore, it is very useful and essential data for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Korean’s thought.

      • 資本主義 精神과 基督敎 經濟倫理 : 베버의 理論에 대한 批判的 考察

        김애자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639

        Max Weber's Theory of The part which Protestantism, specifically Calvinism, played importantly in the development of the West Europe's Capitalistic spirits ha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thinking of the Western European society. Weber hypothesized that capitalism was a product of the Western mind for a number of reasons, one of which was the Protestant Ethic. which spawned and encouraged what he called the 'spirit of capitalism'. he sees that capitalism had its basic roots in the society moving away from tradition to increasingly goal oriented rationality. the spirit of capitalism --- a disciplined labor force and the regularized investment of capital --- took place only in Europe and most strongly in Protestant nations. However, Weber was cautious to declare that neither Luther nor Calvin saw as their life work the development of the spirit of capitalism. the salvation of the soul and that alone --- not the proponents of humanitarian projects social reform or cultural ideals -- was the center of their life and work. Rather, he merely seeks to ascertain whether and to what extent religious forces took part in the qualitative formation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spirit of capitalism. Calvin was the key link to the new 'individualism' which Adam Smith later elaborated. He recognizing profit as the reward for diligence and industry and applauded the 'economic virtue' of seeking profit without misusing and accumulation of riches for the purpose of self - indulgence or ostentation. Criticisms of Weber include Weber's misunderstanding of the writings of Benjamin Frankling which prescirbed some virtue to follow if a person is interested in being successful in commerce, offering prudential advice, rather than insisting on a moral imperative. Other critisisms can fall into two categories : (1) that capitalism was a growing force before the Reformation and that as far back in 16th century Japan Shogun Nobunaga established a 'free trade' zone which vitalized commerce and generated a huge riches to merchants as well as to Shogun's coffer, and (2) that the driving force behined capitalism was not ascetism but rationality. Fanfani even argues that many early Protestant leaders opposed Capitalism, including Luther and Calvin while agreeing with Weber that capitalism flourished after the Reformation. Taweney states that Protestantism adopted the risk - taking, profit - making ethic of capitalism, not the other way around. Jacob Viner, an economic historian, point out that until well into the 18th century, Scotland where Calvinism was a state religion was a desperately poor country, attributed in large part to deadening effect of Calvinist doctrine applied by both Church and State. Weber's thesis still stands. even allowing for critisisms mentioned above. His thesis is not perfect whether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is causal or coincidental will be grounds for conjecture. Regardless of support and critisism for Weber's thesis, the Protestant ethic, with its insistence on hard work, thrift, honesty, etc, should serve as model to mocify and remedy excesses and endless socio -- economic problems faced by present day societies. Only the upholding of ethic and morality would free our societies from Calvins so called 'iron cage' Facing multitudes of present day social -- economic problems, the church should also realize the importance of ethic moral education to its members.

      • CIPP 평가모형에 의한 전래동요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과 유아교육기관에 적용방안

        김애자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crease effects of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s which are being broadly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actice,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to be used in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s appropriate for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as a result, to provide practical and applicable methods to the field. The research topics for the purposes are as follows. Research topic 1: How is the background of criteria establishment for evaluating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s by the CIPP evaluation model? Research topic 2: How is the process of criteria developement for evaluating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s by the CIPP evaluation model? Research topic 3: How is the method of criteria application for evaluating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s to early childhood programs? To address the research topic 1, I first explored both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 models and program evaluation models through literature reviews, followed by investigations of the practical usages of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s by working with 359 subjects who are onsit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ich wa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and the suggestions for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 evalua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investigations on the actual conditions were derived evaluation items in 18 categories based on the 4 CIPP components, that is,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Regarding research topic 2, I conducted a survey, adjusted those evaluation items, and tested the validity of them through 3 phases, in order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for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s by utilizing CIPP evaluation model. On the first phase, expert opinions were sought out from relevant 22 experts to test objectivity,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18 evaluation categories of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 established by the CIPP model. On the basis of the resulting expert opinions, 66 items were drawn from the 27 categories. On the second phase for testing the validity on the 66 items from the 27 categories, I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335 decision makers sampled by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ir specialty, career, and institution they belong to.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two categories were added and the items which contained issues and thus should be reviewed by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extracted, and finally 53 items out of 20 categories were developed. On the third phase, I chose 12 experts having defined qualifications to insure the validity of the 53 items of the 20 categories that were extracted from the second phase. To take diverse views and draw out professional judgment, I directly visited them and discussed the issues. Through the discussion, I conclusionally elaborated 7 items in 2 categories of context evaluation, 14 items in 6 categories of input evaluation, 19 items in 5 categories of process evaluation, and 20 items in 5 categories of product evaluation, which summed into 60 items in 18 categories. Finally for research topic 3, I established critical values on criteria by which I could apply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s developed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actice. For onsite application of the program evaluation criteria, I provided methods, subjects, objects, time, procedures and results of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 procedures described above, distinguished from a number of existing other studies on effects of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s, can be critically significant in providing criteria by which a whole institution can control the program quality. This study provides criteria. for evaluating and improving quality of traditional nursery song programs. In applying this evalu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it is suggested that concrete strategies which reflect the onsite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as much as possible should be sought ou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전래동요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유아교육과정에 적합한 전래동요 프로그램의 질을 관리하기 위해 평가준거를 개발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CIPP 평가모형에 의한 전래동요 프로그램 평가준거 설정 배경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CIPP 평가모형에 의한 전래동요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과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전래동요 프로그램 평가준거의 유아교육기관 적용방안은 어떠한가?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문제 1에서 선행연구를 통하여 전래동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모형들을 고찰하고, 359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육현장의 전래동요 프로그램 활용실태를 조사하므로 전래동요 프로그램 평가의 현황과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선행연구와 현장 실태조사를 통하여 CIPP의 평가범주에 따라 상황, 투입, 과정, 산출의 네 가지 차원에서 18개영역의 평가문항을 작성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CIPP 평가모형을 활용한 전래동요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을 위해 3단계에 걸쳐 설문조사와 평가항목을 조정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1단계에서는 CIPP 평가모형에 의해 작성된 18개의 전래동요 프로그램 평가영역에 대한 객관성, 타당성, 적용가능성에 대한 검증을 하기위하여 관계 전문가 22명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8개영역의 하위항목을 보완하여 전래동요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27개영역의 66개 하위항목을 작성하였다. 2단계에서는 27개영역 66항목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공, 경력, 재직기관 등에 따라 유층무선 표집한 의사결정자 335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분포에 따라 재검토 되어야할 항목을 선정하여 조정한 결과 20개영역의 53개 항목으로 선정되었다. 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선정 된 20개영역의 53개 항목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특정자격을 지닌 전문가 12명을 선정하였다. 폭 넓은 관점과 전문적인 정보를 도출해 내기위해 직접 방문하여 협의하였다. 전문가와 협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CIPP모형에 따라 상황평가 2개영역의 7항목, 투입평가 6개영역의 14항목, 과정평가 5개영역의 19항목, 산출평가 5개영역의 20개 항목으로 총 18개영역의 60개 항목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3에서는 CIPP 평가모형에 의해 개발 된 전래동요 프로그램 평가준거를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준거에 대한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다. 이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평가방법, 평가주체, 평가대상, 평가시기, 평가절차, 평가결과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친 본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시행해 온 수많은 전래동요 프로그램이 효과만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되었던 범위를 뛰어넘어 기관전체 안에서 프로그램의 질적 관리를 할 수 있는 준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면 본 연구에서는 전래동요 프로그램 준거제시와 평가기준까지 연구되었으므로 유아교육에 전래동요 프로그램 평가를 적용할 때 현장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최대한 반영한 구체적인 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초등학생의 선호놀이 형태와 학교 적응과의 관계

        김애자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선호놀이 형태를 분석하고 선호놀이 형태와 학교 적응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어떠한 형태의 놀이가 아동들의 학교 적응에 도움이 되는지를 밝혀 현장에서 바람직한 놀이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인구통계학적 특성(성, 지역, 학년, SES)에 따라 초등학생의 선호 놀이 형태는 다른가? 나. 초등학생의 선호놀이 형태와 학교 적응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성, 지역, 학년, SES)에 따라 초등학생의 학교 적응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는 춘천시, 인제군, 홍천군 지역 초등학생 732명이 참여했고, 아동의 선호놀이 형태와 학교 적응을 알아보기 위한 선호놀이 형태 조사 설문지, 학교 적응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WIN) 10.1K를 사용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초등학생의 선호놀이 형태를 살펴보면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학년별, 지역별, SES(socio-economic Status)별 선호놀이 형태를 분석한 결과 성별로는 남학생은 경쟁놀이, 현기놀이, 운수놀이, 모방놀이의 순으로 경쟁놀이를 가장 좋아하고, 여학생은 현기놀이, 경쟁놀이, 운수놀이, 모방놀이의 순으로 현기놀이를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초등학생의 선호놀이 형태의 차이를 살펴보면 경쟁놀이와 모방놀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쟁놀이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경쟁놀이를 더 좋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모방놀이의 경우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모방놀이를 더 좋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남학생은 경쟁놀이를 여학생은 모방놀이를 선호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아동의 학년에 따라서는 4학년은 현기놀이, 경쟁놀이, 운수놀이, 모방놀이의 순으로 현기놀이를 가장 좋아하고, 6학년은 경쟁놀이, 현기놀이, 운수놀이, 모방놀이의 순으로 경쟁놀이를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6학년이 좋아하는 경쟁놀이와 현기놀이의 차이가 근소하여 경쟁놀이와 현기놀이를 좋아하는 정도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학년별 선호놀이 형태를 분석한 결과 경쟁놀이와 운수놀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6학년이 4학년보다 경쟁놀이와 운수놀이를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에 따라서는 농촌지역에 살고 있는 아동은 경쟁놀이를, 도시지역에 살고 있는 아동은 현기놀이를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지역 아동들의 새로운 놀이 문화로 떠오른 킥보드나 롤러브레이드, 인라인스케이트 타기 등을 통하여 도시지역의 아동들은 농촌지역의 아동들 보다 현기놀이를 통한 즐거움을 훨씬 더 다양하게 경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역별 선호놀이 형태를 분석한 결과는 운수놀이와 현기놀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운수놀이는 도시지역에 사는 아동들이 농촌지역에 사는 아동들보다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기놀이 역시 도시지역에 사는 아동들이 농촌지역에 사는 아동들보다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수놀이와 현기놀이 모두 도시 지역에 사는 아동들이 선호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넷째, SES에 따른 아동들의 선호놀이를 살펴보면 상그룹, 중그룹에서는 현기놀이를, 하그룹에서는 경쟁놀이를 가장 좋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그룹의 아동들이 하그룹의 아동들보다 현기놀이를 더 좋아한다는 김석수(2001)의 연구와 일치한다. 아동의 SES에 따라서는 선호놀이형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초등학생의 선호놀이 형태와 학굔 적응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네 가지의 놀이 형태 모두에서 놀이를 좋아하는 상그룹의 아동들이 학교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기놀이, 경쟁놀이, 모방놀이, 운수놀이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현기놀이를 가장 좋아하는 아동들이 학교 적응을 가장 잘하고, 운수놀이는 학교 적응과의 상호 작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4개의 독립변인(경쟁놀이, 운수놀이, 모방놀이, 현기놀이)중 두 독립변인 간, 세 독립변인 간, 네 독립변인 간의 상호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 적응의 결과를 살펴보면 아동의 학년과 SES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그룹에 속하는 아동들이 중그룹과 하그룹에 속하는 아동들 보다 학교 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의 성과 지역에 따른 학교 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개의 독립변인(성, 학년, 지역, SES) 중 두 독립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성*학년은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지역에서도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지역, 성*SES, 학년*SES, 지역*SES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독립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성*학년*지역 간, 학년*지역*SES 간에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학년*SES, 성*지역*SES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독립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그간의 선행연구들이 소홀히 했던 선호놀이 형태와 학교 적응과의 관계를 연구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고 본다. 또한 성, 학년, 지역, SES에 따른 선호놀이 형태와 학교 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그 차이를 밝힘으로 좀더 차별화되고 구체화된 놀이에 대한 정보와 자료가 필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 초등학생의 경우 다양한 놀이 지도를 통하여 학교 생활에 바람직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놀이의 중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lay and school adjustment. Children's play does important role on cognitive, affective, and physical development. The research topics were investigating <1> Do the children prefer different type of play depending upon the children's demographic data? <2> Do the children's preferred type of play influence their school adjustment? <3> Do the children adjust to the school differently depending upon the children's demographic data such as sex, socio-economic status(SES), grade, residential area? The subjects were 732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fourth(n=369) and sixth(n=363) grades sampled at urban(n=381) and rural(n=351) area in Kangwon-do(boys 353, girls 379). Questionnaires about children's play and School Adjustment Inventory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0.1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boys prefer competitive type of play the most, dizzy play, luck play, and mimic play, sequentially. Girls prefer dizzy play first, and competitive play, luck play, and mimic play, sequentially. Second, 4th graders prefer dizzy play the most, competitive play, luck play, and mimic play, sequentially. 6th graders prefer competitive play the most, dizzy play, luck play, and mimic play, sequentially.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ence of competitive play and dizzy play in the 6ths. Third, students resident at urban area like dizzy play, but rural area students enjoy competitive play. Urban students enjoy various type of dizzy play than the rural students. Fourth, the highs and middles in SES prefer dizzy play, but the lows competitive play. Fifth, children who like any kind of play adjust to the school the best. Teachers need to guide children how to play in order for the children's development and school adjustment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 낙서화에 나타난 미술치료적 의미 연구 : 장 미셸 바스키아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애자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미술치료의 주요기법인 낙서 방식의 미술작업을 통해서 자신의 불안, 분노, 공격성을 분출해내며 화가의 삶을 살아낸 바스키아의 낙서화를 중심으로 미술치료적 의미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검은 피카소라고 불렸던 낙서화가 장 미셸 바스키아(Jean Michel Basquiat)는 1980년부터 마약 과다복용으로 생을 마감한 1988년까지 약 9년간 열정적으로 작품 활동을 하였다. 정규 미술교육을 받지 않은 바스키아에게 낙서는 특정한 조형적 구성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그의 예술적 표현 욕구를 발현하여 대중과 소통하는 통로가 되었다. 낙서는 의식적인 인위성보다는 무의식적인 본능의 표출이 강하여, 낙서자의 순간적인 움직임과 내재되어 있는 인간성의 가장 원초적인 감성적 표현수단이다. 낙서는 활동 그 자체의 흥미 때문에 일어나는 자유로운 발동에서 표현들이 행해지므로, 경직된 상태에서는 나올 수 없는 자유분방한 내면적 표현들이 거침없이 나오게 된다. 이러한 낙서 방식을 통해 바스키아는 작품 속에서 자신의 억압된 정서와 욕구를 표출하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아동의 시각으로 대상을 바라보면서 즉흥적이고 거침없는 선들과 붓질, 강렬한 색채들, 단순한 형태 등의 낙서가 지닌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다. 바스키아의 초기―내적 욕구 탐색기―작품들에는「캐딜락 달, 1981」, 「무제(붉은 남자), 1981」가 있으며, 중기―내적 욕구 표출기―작품들에는 「이익I, 1982」, 「조니펌프의 소년과 개, 1982」, 「무제(1960), 1983」, 「트럼펫, 1984」이 있고, 후기―자기 수용기―작품들에는 「탐욕자, 1986」, 「죽음에 올라타기, 1988」가 있다. 이 작품들은 자유로운 낙서 방식을 통해 자신의 억압된 불안, 분노, 공격성을 표출하고 있다. 초기 작품들에서 끊어지거나 여러 번 그은 선, 사물들과 얼굴 내부가 생략된 인물 형태의 상징을 통해 불안이 나타나고 자신을 드러내는 것을 회피하고 있지만, 중기ㆍ후기 작품들로 갈수록 절제된 선을 사용하고, 인물의 세부 묘사와 단어 사용 등을 통해서 점차 내면의 불안, 분노, 공격성을 승화된 형태로 반복해서 표현하고 자신을 드러내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작품의 공간 구성에 있어서 초기 작품들은 주요 대상의 위치가 과거와 관련된 왼쪽 영역에 나타나는데, 이것은 바스키아의 어린 시절 트라우마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중기 작품들 이후부터는 타인과 미래나 목표에 관계된 오른쪽 영역이나 개인적인 일상의 의식 상태와 자아 경험 영역인 중앙으로 반복해서 배치되어 변화하고 있다. 또한 이 작품들에서 자주 사용된 색들은 검은색, 흰색,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등이며, 바스키아의 검은색은 흑인(Negro)과 죽음을 상징하고, 흰색은 내적 정화를, 빨간색은 불, 피, 분노를, 노란색은 빛, 권력을, 파란색은 감정을 조절하고 순응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색채 상징들은 바스키아 내면의 욕구와 불안, 분노, 공격성을 나타내거나 표출하여 이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낙서 방식과 선 상징, 공간 상징, 색채 상징 등을 통해서 그의 불안, 분노, 공격성 등을 계속 반복하여 표출되는 과정은 정서적으로 이완되고 감정이 정화되어 자기치유에 영향을 주었다. 상징화를 통한 무의식의 의식화의 과정은 바스키아의 내면의 상처와 갈등을 재정리시켜주고 자기치유를 지향하는 과정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에게 낙서화는 자신의 내면세계를 안전하게 드러내어 자신의 불안, 분노, 공격성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치유의 매개체가 되었다. 이것을 통해 바스키아의 낙서화가 미술치료 효과 요소인 무의식을 표출, 카타르시스, 상징적 표현, 승화를 통해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낙서 방식의 미술작업이 억압된 무의식 표출에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미술치료적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조력제공자 유형별 스캐폴딩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

        김애자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8639

        최근 사회적으로 도덕적 위기의식이 확산됨에 따라 유아교육 분야에서도 사회성을 포함한 도덕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도덕성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도덕교육방법이 제안되고 있지는 못하다. Vygotsky (1978)의 근접발달지대 개념을 기초로 제안된 스캐폴딩은 사회 문화적으로 유능한 성인이나 또래가 문제해결과정 중 도움이 필요한 시점에 안내나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인지적 향상을 성취하게 하고자 하는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교육활동에 포함시킬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스캐폴딩이 어떤 것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스캐폴딩의 조력 제공자를 성인과 또래로 구분하여, 교사가 조력을 제공하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의한 스캐폴딩, 유아 리더가 조력을 제공하는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의한 스캐폴딩, 그리고 이 두 유형을 혼합시킨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 유아-유아 상호작용으로 이행하는 스캐폴딩의 세 유형을 설정하고, 이들 유형별 스캐폴딩을 도덕적 갈등 또는 문제해결을 위한 토의를 핵심으로 하는 도덕교육활동에 포함시켜 그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도덕교육활동에 포함된 조력제공자 유형별 스캐폴딩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도덕교육활동에 포함된 조력제공자 유형별 스캐폴딩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은 유아의 도덕적 추론 수준에 따라 어떠한가?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도덕교육활동에 포함된 조력제공자 유형별 세 유형의 스캐폴딩이었고, 종속변인은 유아의 도덕성 관련변인들인 인지 조망수용, 감정 조망수용 및 분배정의 추론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M시의 두 개 유치원에서 표집된 취학반 원아 78명이었고, 교사-유아 상호작용 집단, 유아-유아 상호작용 집단 및 이행 상호작용 집단에 각각 26명씩 배치되었다. 세 실험집단은 6주간 12회에 걸쳐 조력제공자 유형별 스캐폴딩이 각기 포함된 도덕교육활동을 처치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중다공변량분석, Scheffe검증, 공변량분석 및 이원변량분석에 의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교육활동에 포함된 조력제공자 유형별 스캐폴딩이 유아와 인지 조망수용, 감정 조망수용 및 분배정의 추론에 미친 영향에 있어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 유아-유아 상호작용으로 이행하는 스캐폴딩 유형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의한 스캐폴딩 유형 및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의한 스캐폴딩 유형보다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유아도덕교육 방안으로 스캐폴딩을 적용하는 경우 교사의 조력과 유아 리더의 조력을 순차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스캐폴딩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다. 둘째, 도덕교육활동에 포함된 조력제공자 유형별 스캐폴딩이 유아의 인지 조망수용, 감정 조망수용 및 분배정의 추론에 미친 영향은 유아의 도덕적 추론 수준에 관계없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 유아-유아 상호작용으로 이행하는 스캐폴딩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의한 스캐폴딩 및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의한 스캐폴딩보다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유아도덕교육 방안으로 스캐폴딩을 적용하는 경우 도덕적 추론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유아에게 교사의 조력과 유아 리더의 조력을 순차적으로 혼합한 스캐폴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癤�lthough the necessity for moral education including socialization has been emphasized as the consensus of moral crisis is spreading current society, specific methods of moral education promot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morality have not been suggested yet. Scaffolding introduced by Wood (1975) and based on concept of ZP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Vygotsky, 1978) is a way for learners to accomplish their cognitive promotion by being guided or offered by socioculturally competent adults or peers when they need specific assistance process of problem solving. In this study, to explor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scaffolding that could be included in moral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scaffolders are classified adults and peers, and three different types of scaffoldings are established : a scaffolding by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in which assistance provided by teacher, another scaffolding by preschooler-preschooler interaction in which assistance provided by peer leader, and the other scaffolding mixed the above two types of scaffoldings in which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proceeds preschooler-preschooler 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scaffolder on young children's moral reasoning by including the three types of scaffolding in discussion type moral education activities.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scaffolder on preschoolers' moral reasoning, that are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nd sharing justice reasoning? Second, Do the effects of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scaffolder on preschoolers' moral reasoning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preschoolers' moral reasoning?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three types of scaffolding included in moral education activities, and dependent variables are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nd sharing justice reasoning which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morality of preschoolers. Subjects are 78 preschoolers sampled from two kindergarten in M city. Children are placed to three different typed of scaffolding conditions: 26 i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group, 26 in preschooler-preschooler interaction group, and 26 in transitional interaction group, Three experimental groups took moral education activities treatment in 12 sessions for 6 weeks. Statistic mothods for analyze the data were MANCOVA, Schffe test, ANCOVA and two-way ANOVA. The conclusion from this study through the results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scaffolder on preschoolers'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nd sharing justice reasoning. That is, transitional interaction scaffolding type i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two types,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scaffolding and preschooler-preschooler interaction scaffolding on all three dependent variables. Therefore, in case of applying scaffolding as a way of mo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using the scaffolding in which learners provided assistance from teacher and then from peer leader is effective and efficient as well. Second, the effects of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scaffolder on preschoolers'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nd sharing justice reasoning do not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preschoolers' moral reasoning. That is, transitional interaction scaffolding type i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two types,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scaffolding and preschooler-preschooler interaction scaffolding on all three dependent variables. Therefore, is case of applying scaffolding as a way of mo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regardless of young children's moral reasoning level, using the scaffolding mixed with the assistance from a teacher and from a peer leader in order is desirable.

      • 원장.교사.학부모의 보육현장 갈등 요인 비교

        김애자 숙명여자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 프로그램 운영의 주체자인 원장·교사·학부모가 보육 현장에서 어떠한 유형의 갈등을 느끼는지 그 유형을 다각도로 분석·검토해 봄으로써 전문적인 보육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는 데 있다. 위의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 현장에서 어린이집의 원장이 느끼는 갈등 요인은 무엇인가 ? 둘째, 보육 현장에서 어린이집의 교사가 느끼는 갈등 요인은 무엇인가 ? 셋째, 보육 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의 갈등 요인은 무엇인가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서울시 국·공립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원장 100명과 교사 120명, 그리고 학부모 119명이었으며, 이들 세 집단이 느끼는 구체적인 갈등 요인을 조사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빈도와 백분율, Q-분류법(The Q-Sort Methodology)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린이집 원장의 경우, 보육 시설을 운영하면서 가장 갈등을 많이 느끼는 부분은 관련 법규와 현실과의 격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원장들은 어린이집의 운영이 1월에 시작됨으로써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와 함께 아동의 입소, 보육료 수납 등 운영 제반에 걸친 문제로도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육 시설의 운영 책임자로서의 어려움을 시사해 주었다. 이러한 과중한 업무 외에도 원장들은 각종 문서와 서류의 양식이 자주 바뀌는 데서 오는 불편과 갈등을 호소하였으며, 교사들과 기타 시설 종사자들의 이직으로 인해서도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원장의 보수는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의 99.0%가 이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였다. 둘째, 어린이집에서 실제적인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가장 갈등을 많이 느끼는 부분도 역시 '근무 시간'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보수'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교사들은 사회적 불인정으로 인해 많은 갈등을 겪고 있다고 호소하였으며, 그 외에도 동료 교사, 학부모, 아동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인간적인 갈등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복지 후생 문제, 교육 환경에 대한 불만 등도 현장에서 느끼는 갈등 요인으로 지적하였다. 셋째,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학부모들의 경우 보육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으나, 일부 요인에 대해서는 갈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들은 자녀들의 안전 문제와 어린이집에서 제공하는 간식 문제, 담임 교사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 어린이집에서 실시하는 부모 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학부모들은 자녀를 어린이집에 맡기고 아이와 많은 시간을 함께 해주지 못한다는 심리적인 자책감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ther concrete data to attain a higher level of service in child education fields by investigating what kinds of problems there are among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 and by analyzing the forms of them.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it that the principals of day care have trouble with ? Second, what is it that the teachers of day care have trouble with ? Third, what is it that the parents have trouble with about the service of day care ?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339 persons in total which were divided into 100 principals, 120 teachers at public or private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119 parents of the children whom these centers in charge of. To measure and analyze the conflicts these three groups suffer from, frequency, percentages, the Q-Sort Methodology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the gap between related law systems and real conditions that the principals have trouble with. They are also in trouble because of the entrance of the children, collecting problems of day care fee and operation affairs and so on. This showed that as operators, they have many problems regarding to the operation of day care centers. Additionally, they complained of frequent change in forms of public paper and high separation rate of teachers and workers at day care centers. further more, 99% of them thought that they received small salary compared with their much work.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have trouble with small salary compared with their work time and low evaluation of people. They are in trouble with problems come from the conflicts among peers, parents of the children and children themselves. In addition, they thought welfare and poor education environments was the factors they were skeptical about. Third, in case of parents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day care were high but they also have trouble with some problems-the security of their children, snack which day care centers provide with, conflicts with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ir children and burden on the parents participating programs which centers executed But what caused anxiety to the parents was the remorse that they were able to have much time with their children. The beliefs about children's learning and teacher's view point of child among the three groups coincided but regarding to parent's participation in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It was remarkable that teacher preferred the participation of parent than parents did.

      •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주장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김애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이것이 아동의 주장성과 학교적응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주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시 소재 A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주장성과 학교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주장성과 학교적응 점수가 낮은 아동 25명 중에서 상담을 희망하고 시간을 낼 수 있는 아동 20명을 무선 표집의 방법으로 각각 10명씩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에 배당하였다. 이 연구에 적용된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은 Rakos와 Schroeder(1980)의 주장훈련 프로그램을 토대로 변창진과 김성회(1980)가 우리 나라 중.고등학생용으로 개발한 것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상담프로그램의 실시는 연구자가 직접 매주 1회씩 총 12회기를 하였으며, 한 회기마다 60분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주장성 측정도구는 Rakos와 Schroeder(1980)가 제작한 주장성 척도를, 변창진과 김성회(1980)가 우리 문화수준에 맞게 번안한 것을 이현경(1991)이 초등학교 수준에 알맞은 문장으로 바꾸어 사용한 것으로 총 20문항을 5단계로 평정하게 되어 있다. 학교적응 검사는 김호권(1965)의 ‘표준 생활검사지’와 유상철(1982)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 검사지’를 참고로 하여 임전순(1993)이 초등학교에 알맞게 수정, 보완한 것으로 32개의 문항에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의 분석은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P<.01,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은 주장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 즉 자신의 생각, 의견, 느낌 등을 솔직하게 말하는 태도를 증진시킨다. 둘째,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은 학교적응에 효과가 있다. 교사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으로 교사와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교우에 대한 자신의 관심을 표현하여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수업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태도가 향상되고, 학교규칙을 스스로 준수하는 태도를 갖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을 통하여 주장성을 높임으로써,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부적절한 행동을 수정하게 되어 아동의 학교적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현장에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의 적응을 돕는데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at pointing the way the elementary students assert themselves and they adjust to school lives by presenting the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In order to recognize the effect, the study began with setting the following two particulars as the main premise. The first premise is how the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can contribute to good results in students' school lives. The second premise is how the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can improve students' adjustment to more desirable daily school lives. Survey was made by sampling the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Jeju City,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25 students whose scores were low had genuine desire to have counseling. Then, sampled 20 students of them could afford to have time to join the program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y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ed group by 10 members each. Given elementary students, to keep an error to the minimum, personally the training group was applied to partial amendments of behavioral assertive program made by Byun Chang-jin and Kim Seong-hoy(1980) based on the program by Rakos and Schroeder(1980) for secondary students. The training program was executed one time per week by 60 minutes through 12 sessions. The measure instrument of assertiveness used in this study is assertiveness scale translated in Korean by Lee Hyun-gyong to organize Korean elementary students' standard. It is expected to measure 20 categories by 5 steps. The instrument is mainly founded on the program reorganized by Byun Chang-jin and Kim Seong-hoy(1980), referring to Rakos and Schroeder(1980). School adjustment used here is the measure instrument reorganized by Im Jeon-soon(1993) developed by Kim Ho-gwon and Yu Sang-cheol(1982). It is supposed to measure 32 categories, including 4 subcategorie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he scores of pre-tests and post-tests on data, SPSS/PC† was performed and all the statistic values were tested in the significant level of p<.01 and p<.05 through t-test.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had an good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assertiveness. Through this program, the students were able to upgrade their assertiveness by having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thoughts, opinions and feelings. Second, the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could result in students' better adjustment to their school lives. This program could keep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is program also enable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es more actively, maintain close friendship by expressing mutual interests among themselves and produce good habits according to school regulations more positively. That is, the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can have a good impact on students' assertiveness and school adjustment as well. Furthermore, the students were willing to change themselves to accept better their school lives. Accordingl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students acquiring the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asserting their rights in the proper and reasonable thinking way could have them helping adjust themselves to their school lives more smoothly. In short, one of the suggestions made here is that to help the students who suffer from school lives, the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be adopted in school education to help the students have more desirable lives at school.

      • 초등학생 사회복지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김애자 청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1. 연구의 필요성 복지교육은 공동체의 해체로 나타나는 장애인 따돌림, 경로정신의 약화, 사회적약자에 대한 배려부족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어릴때부터 교육을 통하여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 주고, 방법을 제시해 주어 민주시민으로서 부족함이 없고 올바른 가치관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복지교육은 학생들이나 사회복지 관련기관 및 청소년 관련 자원봉사 센터 등의 기관에 의뢰를 하거나, 교육을 위탁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복지교육은 매우 드문 상황이다. 2. 연구목적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통상적인 인간의 생활이다”라고 하는 이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정상화는 장애인이나 노인도 지역사회 속에서 ‘일상생활의 영위’를 가능케 하는 것이고, 자신의 생활방식이나 사고방식을 ‘자기스스로 결정, 선택’토록 하는 것이며, 모든 분야에 ‘사회참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고, 더구나 삶의 보람이나 자기 실현을 위한 ‘적극적인 활동’이 보장되는 환경이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복지교육의 목적은 정상화 이념에 기초를 둔 사회복지 문제의 학습에 두고 있으며, 또한 장애인이나 노인, 다문화가족을 지역사회에서 소외시키는 일 없이 함께 살아간다는 연대의식 함양에 두고 있음은 물론 실천활동을 통하여 복지의식과 사회복지 활동력을 체득하는 것에 두고 있다. 3. 연구목표 초․중학교부터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장애인과 노인 등 사회복지 실천 속에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이해하고 인권을 중시하면서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으로서 지역사회로부터 소외시키지 않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복지의식과 실천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또한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힘을 기르고 다른 사람과 협동 할 수 있는 역량을 체득해서 복지공동체를 조성할 주체를 형성하는 것이 복지교육의 목표이다. 4. 연구문제 연구문제 1. 사회복지교육을 통해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에 대한 의식이 변화되었는가? 연구문제 2. 사회복지교육을 통해 장애인, 노인, 다문화가족에 관한 정상화이념이 체득되었는가? 연구문제 3. 사회복지교육을 통해 자원봉사와 모금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이 형성되었는가? 5. 연구방법 본 연구의 실험설계 유형은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one-group pretest design)를 사용한다. 본 연구자는 8회차의 커리큘럼을 기본으로 하여 체계적인 사회복지교육을 실시한 사례를 소개하고, 교육을 실시하기 전 초등학생 130여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을 통해 사회복지에 대한 인지 정도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욕구 조사를 한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 후 동일한 학생들에게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사회복지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 정도와 학생들의 생활에서 사회복지교육이 실제로 도움이 되었는지의 여부, 그리고 본 교육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설문조사 하고자 한다. 6. 연구기대효과 해체된 지역사회의 유대감 회복,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아동․청소년의 건전한 가치관의 육성, 사회적으로 약자가 되어버린 노인 및 장애인과 함께 살아가는 지역사회 조성 등 목전의 목적달성과 복지국가로 가는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의 조기 교육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교육 전․후의 의식변화 추이에 대해 파악하여 ‘교육’이 개인의 가치 내면화에 얼마나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로서 복지교육을 활성화 시켜야 하는 당위성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 공동체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 함양, 미래 복지자원으로서의 심성을 개발해주는 전략으로서의 ‘복지교육’ 효과성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사회복지 조기교육, 정상화 이념, 인권중시, 사회복지의식, 지역사회 공동체, 자발적 참여, 건전한 가치관 육성, 복지교육 효과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