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평생교육원 운영 사례 비교 연구 : D 대학과 A 대학 평생교육원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김승정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A 대학교와 D 대학교 평생교육원 운영사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대학 평생교육 발전을 위한 학적 시사를 도출하기 위함이다. 빠른 변화를 보이고 있는 고도의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기존의 학교중심의 교육체제로는 충족시킬 수 없는 교육적 필요에 의해 요구되고 있는 평생교육은 대학 평생교육의 확대와 연결 되고 있어 대학 평생교육은 양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대학 평생교육원 중 두 대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기관 배경, 학사운영 특성, 프로그램 현황, 운영 활성화 전략 측면에서 비교 조사하여 대학 평생교육원 운영 현황의 실재를 분석하고 대학 평생교육원의 발전적 시사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자료와 문헌 및 선행 연구를 고찰하는 문헌연구와, 현상에 대한 다수의 변수들을 다룰 수 있고, 문서나 기록 정보, 관찰, 인터뷰 등 다양한 자료원으로부터 증거를 수집하고 이러한 증거들을 수렴시켜 새로운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는 사례 연구를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기관으로 선정된 각 기관을 방문하여 소장하고 있는 평생교육원 문헌 자료를 입수하고 담당자와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 보완을 위하여 전화 면담을 실시하고 우편으로 받아 심층 분석하였다. 두 대학교의 사례 비교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은 여타의 평생교육기관들에 비해 고급 인적 자원과 방대한 물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회적인 명성과 신뢰를 바탕으로 교육 수요자들의 신뢰도가 가장 높은 기관으로 이러한 공신력을 바탕으로 대학 교육과 연계되는 교육 체계의 회복, 삶과 직결되는 과정의 필요성, 해외 교육기관과 연계되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국제화 선도 등을 해결함으로서 그 기능과 역할을 선도하는 책임 있는 기관이라고 나타났다. 더욱이 계속적인 지식 획득과 소유를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생애를 위한 절실한 제도가 되기에 대학 평생교육원의 역할은 더욱 커진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양적인 성장에 어울리는 다양성, 전문성, 창의성이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과 대학 차원에서의 대책과 보조, 획기적인 개혁과 변화라는 조치가 있어야 대학 평생교육이 생존할 것이며 역사와 전통을 가진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정립하여 이 사회를 변화시키고 평생학습의 구심점이 되는 기관으로 발전할 것이다.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가 교육몰입도와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승정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여가생활의 증가와 정부의 문화융성 정책 시행으로 인하여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폭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문화예술은 창의성을 겸비한 인재를 키우기 위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경제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은 단순히 문화예술과 관련된 주입식 교육이 아닌 예술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분야의 문화와 접목시켜 창작 및 기획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각 전공분야의 체험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교육대상자들로 하여금 현재 문화예술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을 고민하고 앞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을 꾀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함께해야 한다. 이에 비해 문화예술교육의 전반적인 과정과 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과 문화예술교육을 지도할 문화예술교육사의 교육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몇몇 선행연구처럼 프로그램 구성요소 요인이 교육내용, 교육환경, 교육방법 등 하위 3개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교육효과 간에 영향관계,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교육몰입도 간의 영향관계, 교육몰입도와 교육효과 간의 영향관계를 검정하고자 한다. 또한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교육효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실증연구를 위한 1차 설문조사는 2013년 12월 24일과 26일 2일간 실시하였고, 2차 설문조사는 2014년 4월 5일과 8일 2일간에 걸쳐 호남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교육사 1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 21.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 회귀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생들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 강사는 교육과정 전반적으로 강한 열정을 보였다.’는 항목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교육기관 행정실이 잘 배치되어있고 직원들은 친절했다.’, ‘문화예술 강사는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와줬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항목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프로그램 구성요소는 교육내용, 교육환경, 교육방법 등 3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교육몰입도는 인지적 몰입, 행동적 몰입 등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교육효과는 이해효과, 인식효과, 실무효과 등 3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교육효과간의 관계에서는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모든 요인이 이해효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식효과에서는 교육환경 요인과 교육방법 요인만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무효과에서는 교육환경과 교육방법 요인만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교육몰입도 간의 관계에서는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모든 요인이 인지적 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동적 몰입에서는 교육환경 요인과 교육방법 요인만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몰입도와 교육효과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교육몰입도의 인지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 요인이 교육효과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이해효과 간의 인지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교육내용 요인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환경 요인, 교육방법 요인은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이해효과 간의 행동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교육내용 요인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환경 요인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방법 요인에서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인식효과 간의 인지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교육내용 요인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환경 요인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방법 요인은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인식효과 간의 행동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교육내용, 교육환경, 교육방법 요인과 인식효과 간의 행동적 몰입은 모든 요인이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여덟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실무효과 간의 인지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교육내용 요인, 교육방법 요인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환경 요인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실무효과 간의 행동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교육내용 요인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환경 요인, 교육방법 요인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The recent growing popularity of one’s enjoying leisure activities and the governmental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to promote culture are improving people’s interest in culture and arts, and accordingly, culture and arts is becoming one of the most essential factors to cultivate these brains equipped with a sense of creativity, to enhance life quality of the people and lastly, to invigorate the economy. This study first aimed to confirm if these components of the program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sub-factors such a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method as a few previously-conducted researches had done, and then, verify, first, correlations between the program components and the education effect, second, the mutual effects between the program components and the education flow and third, these influences of the education flow on the education effect. Lastly, the study has another goal to find out the intervening effects of the cognitive flow and the behavioral flow in connection with the program components and the education effect. Based on these items to be used for the empirical research, the study drew up a self-administration survey targeting the students attending the state-authorized curriculums of the culture and arts histor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stitute, and proceeded with the investigation distributing 150 copies of the survey. With 11 samples that had not been responded faithfully or that had been considered inappropriate to b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ed, the study worked on a total of 139 samples for the final analysis. In term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as applying SPSS 20.0 for windows, the study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depending on the different research goals of the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significance of the components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for the students, the students emphasized this item,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s were basically eager to teach throughout the curriculums.’, the most, and next, they put the second and third greatest weight onto these items, ‘The administration office in the institute was well organized, and the staff was kind.’ and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s helped general understanding on the curriculums.’ Second, the finding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measuring items reported that the program components are divided into three sub-factors such as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al method, and as for the education flow, two factors which are the cognitive flow and the behavioral flow were extracted. Third, in terms of the relation of the program components with the education effect, all the factors of the program components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understanding effect. Fourth,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 of the program components with the education flow, each of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al method as in the program components was confirmed to significantly affect the cognitive flow, and in regard to the behavioral flow, onl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al method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behavioral flow. Fifth, the study found out that a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 flow and the education effect, the cognitive flow and the behavioral flow as in the education flow are all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effect, the recognition effect and the hands-on effect as in the education effect. Sixth, the study looked into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ognitive flow in connection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program components and the understanding effect and notic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do not mediate while bo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al method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Seventh, the analysis on the cognitive flow’s mediating effects on the program components and the recognition effect led the study to know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have full mediating effect whil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oes not mediate. Eighth, the study took a look into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ognitive flow on the relation of the program components with the hands-on effect and found out that both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educational method do not mediate whil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full mediating effects. Regarding the behavioral flow’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of the program components with the hands-on effect, the study learned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al method have full mediating effects while the educational contents do not mediate.

      • 대구지역 성인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과 영양지식, 식생활지침 실천정도와의 관련성

        김승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구지역 성인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식과 영양지식, 식생활지침 실천정도와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제반 인식과 만족도, 식생활 실천사항, 영양지식 등을 파악하여 소비자의 건강한 삶을 위한 올바른 식품구매행동 및 영양교육 기초자료에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 성인 남, 여 296명을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과 식생활지침 실천정도 영양지식 요인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지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친환경농산물에 대해 잘 알고 있었으며(p<0.01), 월평균식생활비가 높을수록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고(p<0.01), 친환경농산물의 인지가 높을수록 친환경농산물의 만족도는 높았다(p<0.05). 영양지식 점수는 친환경농산물의 인지도가 높을수록(p<0.01),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제도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p<0.01), 친환경농산물 구입경험(p<0.05)이 있는 경우 유의적으로 점수가 높았다. 식생활지침 실천정도는 친환경농산물의 인식정도가 높을수록(p<0.05),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제도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p<0.05) 높았다. 그러나 식생활지침 실천정도와 영양지식은 친환경농산물의 구입여부, 만족여부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친환경농산물의 품질관리와 더불어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신뢰성 있는 영양지식을 체계적으로 교육한다면 소비자들을 올바른 식생활관리에 필요한 식품구매 행동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urvey relationship among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guideline practice level and recognition for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adults.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the food-purchasing behavior and the nutrition education for consumers' healthy life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recognition, satisfaction, dietary practices, and nutritional knowledge on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rom 296 adult men and women in Daegu reg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women knew about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etter than men(p<0.01). The higher average monthly food cost led to the higher recognition on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p<0.01). The higher recognition on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led to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p<0.05).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the higher recognition on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p<0.01), the higher recognition on certification system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p<0.01), and when having experience of purchasing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p<0.05). The dietary guideline practic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the higher in recognition level on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p<0.05), and the higher recognition on certification system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p<0.05). However, the dietary guideline practice level and the nutritional knowledge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appearance of purchase and the appearance of satisfaction with dietary-life guideline practice level. In light of the above results, given the systematic education of reliable nutrition education on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long with quality control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t which consumers can be satisfied, the consumers may be led to the food-purchase behavior necessary for right dietary-life management.

      • 국어 교육을 위한 인칭 실현 방식 연구 : 15세기 국어와 현대 국어의 인칭 실현 방식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승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어에 대해서는 인칭이 없다거나 인칭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서구어와 달리 국어의 인칭은 문법 차원이 아닌 화용론의 차원에서 이루어진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인간의 언어행위, 즉 발화행위는 화자와 청자를 벗어나서는 일어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언어들과 달리 국어의 인칭이 문법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국어에서 인칭이 나타나지 않는다거나, 문법 차원에서 논의될 수 없다는 통념을 서구 언어를 기반으로 설정된 인칭 개념을 국어에 그대로 적용시켰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로 본다. 국어에서도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인칭이 문법 차원으로 정밀하게 실현되고 있다. 나아가 문법 범주로서의 인칭이 형태소 차원에서 파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여러 문법 요소의 변천 과정에서 중요한 기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힌다. 더불어 인칭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통해 국어 교육에서 화자와 청자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다룬다. 3장에서는 15세기 국어와 현대 국어의 인칭 실현 방식을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실제 국어 교육에서 인칭 관련 교육의 실태를 확인하고, 인칭과 관련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을 어떻게 개선해 나갈 것인지 고민한다.

      • 서용석류 해금산조 악보에 의한 진양조 시김새 비교 연구 : 최태현 과 강덕원/양경숙 편저 악보에 기하여

        김승정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조는 동일한 연주자의 음악일지라도 그 시기나 연주 상황에 따라 선율과 내용이 조금씩 달라지는 즉흥성을 지니고 있는 음악이다.그러므로 동일한 연주자의 산조를 기록하더라도 연주시기에 따라 기록되는 음악적 내용이 조금씩 차이가 난다.또한 채보하는 사람의 음악적 관점이나 기보법에 따라서도 기록 되어진 악보에 의한 음악적 내용에 있어 주선율은 유사할 지라도 구체적인 시김새의 차이를 보일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본 연구자가 연주하고 있는 서용석류 해금산조 중에서 선택하여 현재 출판되어졌거나 공식적으로 발표되어진 악보 중에서 두 개의 악보에서 나타나는 시김새를 비교 연구하여 동일한 산조일지라도 채보에 의한 기록 양상을 통하여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는시김새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앞으로 산조를 채보 하여 오선보로 기록하는 데에 있어 보다정확한 산조 악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본 연구의 필요성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채택한 악보로는 현재 각 학교나 개인들이 후진양성을 위해 교재로 쓰고 있거나 연주력 연마를 위한 참고 악보로 쓰이고 있는 악보로 최태현이 채보한 것과 강덕원/양경숙이 채보한 악보를 선택하였으며 진양조 부분에 한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서용석류 해금산조 진양조는 총 40장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11번째 장단은 우조A,12~19번째 장단의 계면A,20~23장단은 우조B,24~40장단은 계면B로 구분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우조A 선율에 있어서,두 악보는 구성음과 음역이 동일하나 최태현의 악보가 강덕원/양경숙의 악보보다 시김새가 더 적고 악보도 간단히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강덕원/양경숙의 악보는 추성과 퇴성 등의 시김새 표현을 일일이 표기한 것은 물론,어느 정도 시가를 차지하는 잔가락은 모두 음표로 표시하여 선율 진행에 등장하는 가능한 한 모든 음을 악보상에 나타내었다.또한 최태현의 악보가 양경숙의 악보에 비해 고음역의 잔가락을 넣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계면A 선율은 최태현의 악보에서는 퇴성과 추성의 시김새를구체적으로 기보하고 강덕원/양경숙 악보에 비하여 약 1~2도 가량더 높은 음이 많이 나타난다.그러므로 최태현의 악보에는 계면 선율에 보다 구체적인 시김새를 기보하고 있어 우조와 계면의 대비가 선명하게 부각되어 있고 강덕원/양경숙의 악보는 선율의 안정성과 굵직한 음 진행을 중심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우조B의 선율 진행에 있어서 두 악보의 차이는 다른 조에 비하여 많지 않다.그러나 최태현의 악보에는 고음역 진행에서 시김새가 자세히 기보되어 있으며 우조B의 구성음 중 최고음이 다르고,각음의 쓰임새와 기능은 동일하다.우조B는 흔히 ‘설렁제’,‘호령조’라고도 하듯이 우조A에 비해 훨씬 넓은 음역과 고음 위주의 진행이 많은것이 특징으로 꼽힌다. 넷째,계면B의 선율은 최태현의 악보가 비교적 고음역에서 시김새를 구체적으로 기보하고 있으나 강덕원/양경숙의 악보는 고음역과 저음역에서 비슷하게 시김새를 기보하고 있다.시김새의 양과 잔가락의정도는 최태현의 악보가 더 많고 강덕원/양경숙의 악보는 선율을 비교적 간소하게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한편,강덕원/양경숙의 악보는중간에 선율을 살짝 끊게 기보하고 있으나 최태현의 악보는 그 부분을 끊어지지 않게 시김새로 기보하는 점도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Sanjo has an improvisatory aspect in which melody and musical content becom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ime and situations even for the same player. Therefore, despite the record of the same player’s Sanjo, recorded musical content is varied by the time of performance to some degree. In addition, musical content of recorded score may contain differences of specific Sigimsaes (ornamental techniques) caused by musical perspectives of those who wrote the musical score or music notation, in spite of similar main melody. Therefore, this paper is to compare Sigimsaes in 2 types of music score among those currently published or publicly released, selected from Haegum Sanjo by Seo Yong Seok studied by the author and thereby investigate different Sigimsaes by various styles of music notation even in the same Sanjo.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basic data to produce more accurate Sanjo score when marked Sanjo is made into staff notation in the future. In this study, scores made by Choi Tae Hyeon and Kang Deok Won/ Yang Kyeong Sook, among those currently being used as materials at schools or by individuals for training of pupils or as a reference for better performance, with comparison being confined only to Jinyangjo section. Jinyangjo in Haegum Sanjo by Seo Yong Seok consists of a total of 40rhythms; Woojo A from 1st to 11th rhythm, Gyemyeon A from 12th to 19th,Woojo B from 20th to 23rd, and Gyemyeon B from 24th to 40th were compared.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light of Woojo A melody, the two scores are identical in composing tones and range, while Choi Tae Hyeon’score are found to contain less Sigimsaes and be more simplistically marked, compared the one by Kang Deok Won/Yang Kyeong Sook. Score of Kang Deok Won/Yang Kyeong Sook is found not only to mark every Sigimsae expression such as Chooseong and Toeseong, but also take note of all the fine tunes having some degree of time value and mark every tone appearing in the development of melody as much as possible. Besides, Choi Tae Hyeon’s score contains more fine tunes at higher pitch than that of Yang Kyeong Sook. Second, as far as Gyemyeon A melody is concerned, in Choi Tae Hyeon’s score, Sigimsaes of Chooseong and Toeseong are marked in detail and there are many tones around 1 or 2 degree higher, compared to that of Kang Deok Won/Yang Kyeong Soo. Accordingly, Choi Tae Hyeon’s score puts an emphasis on clear contrast between Woojo and Gyemyeon, by marking more concrete Sigimsaes for Gyemyeon melody, while that of Kang Deok Won/ Yang Kyeong Sook is considered to focus on melodic stability and deep tones. Third, there are not so many differences in Woojo B melody between the two scores as in other jo(key)s. However, in Choi Tae Hyeon’s score, Sigimsaes at higher pitch are marked in detail, while the highest tones among composing tones of Woojo B are different, despite identical uses and functions of each tone. Commonly known as ‘Seoleongjae,’ or ‘Horyeongjo,’Woojo B is characterized by broader tone range than Woojo A and high pitch tone-centered composition. Fourth, as for Gyemyeon B melody, Choi Tae Hyeon’s score is found to have concretely marked Sigimsaes at a relatively higher pitch, while that of Kang Deok Won/ Yang Kyeong Sook marks Sigimsaes similarly at a higher and lower pitch. Choi Tae Hyeon’s score is found to have more Sigimsaes and fine tunes, while that of Kang Deok Won/ Yang Kyeong Sook marks melody relatively simplistically.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score of Kang Deok Won/ Yang Kyeong Sook is marked so that melody is slightly stopped in the middle, while that of Choi Tae Hyeon marks the part by Sigimsae not to be stopped, and it is considered as another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