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군정의 언론정책이 한・일 언론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김승일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10 인간과 문화 연구 Vol.17 No.-

        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investigates how the media policy towards Korea and Japan, execut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hereinafter US-MG) in August 15th, 1945,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media structure within both nation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media policy by the US-MG in these two regions brought about diverse consequences, as follows: First, the US-MG resulted from the effects of regional chronological warfare: the Pacific War of World War II followed by 24th Corps of US Army Forces military occupation of Korea under the direction of General MacArthur,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Allied Powers stationed in Tokyo, Japan. The representatives of the US-MG in Korea and Japan were not only vertically linked, but their media policy was closely associated. However, the nature of the military occupation in two regions turned out to be completely different. The US-MG in Korea confronted the hegemonic competition against the USSR and this forced the US-MG to eradicate Korean left-winger nationalists whom were considered pro-USSR groups. In addition, the Korean US-MG branch needed an aggressive cultivation policy to expand pro-USA right-winger supporters as a bastion of anti-communism and anti-USSR. Second, a media policy remained subordinate to the objectives of the military occupation. The US-MG in Korea could not tolerate the existence of the left-wing media, which they regarded as propaganda used by left-winger supporters. In Japan, the US-MG provided a guideline for media, such as a press code, and clarified where the media's responsibility lay. On the contrary, in Korea, the US-MG exercised strict political control over the media. Left-wing media factions that distributed material deemed harmful towards the military administration faced suspension and discontinuation under legislative laws, which did not abide to the principles of a press code. Third, economic control factors, dur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post-war media, displayed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nations; in Japan, competition over securing papers led a market share challenge of media companies and the media companies were either integrated or merged through subscription rate coordination by conducting surveys on the newspaper readers.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that competition in terms of survival of the fittest ruled at the media market in Japan; while the media reshuffling was executed by the absolute-powered US-MG, as a reorganizer of social class, via suspension and discontinuation of the targeted media in Korea. Finally, in Japan, the media secured some room for diversity of ideologies; for example, it was not illegal to publish a communist magazine. In particular, the vitalization of local media markets of Japan appreciated as a main catalyst for settlement of geographical multiplicity of public opinions. Whereas, reshuffling of the media in Korea through annihilation of the left-wing media of political affairs incubated a single-colored media market of pro-USA and right-wingers upon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south only, especially with a highly centralized system of government, the majority of the media market were settled and shared by nationwide media enterprisers lacking in geographical miscellany of public opinions. 본 연구는 1945년 8월 15일 태평양전쟁 종전 이후 미군정이 남한과 일본에서 실시한 언론정책이 양국의 언론구조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미군정은 각 국가별로 상이한 언론정책을 실시했으며, 다른 언론정책이 각 국가의 언론에 미치는 결과도 다르게 나타났다. 본 논문의 논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미군정은 태평양전쟁이라는 동일한 사건의 결과였고 남한을 점령한 제24군단은 일본 도쿄에 진주한 연합국군 맥아더 총사령관의 지휘하에 있었다. 이 때문에 두 군정은 수직적으로 연결되어 있었고 언론정책 또한 긴밀히 연계되어 있었다. 하지만 두 지역의 점령의 양상은 판이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미국에게 한반도 분할점령은 일본 단독점령의 대가였고, 그 때문에 두 지역 점령목표가 달랐기 때문이다. 미군정은 일본과 달리 남한 내에서 소련과의 헤게모니 경쟁에 맞닥뜨렸고 이 때문에 친소 세력으로 규정한 남한 좌파 세력을 척결하고 반소반공의 보루로서 친미 우익 세력을 적극 육성할 수밖에 없었다. 둘째, 언론정책은 점령목표에 종속되는 것이었다. 남한 미군정은 좌파세력의 선전수단인 좌파 언론들을 존속시켜둘 수가 없었다. 일본에서는 프레스코드 등 기준을 제시한 뒤 이를 일탈하는 언론에 책임을 물었지만 남한에서는 프레스코드조차 제시하지 않은 채 법령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행정 수단을 총동원해 군정에 비판적인 좌파 신문사에 대해 정․폐간 조치를 휘둘러 시장에서 완전 퇴출시키는 등 폭압에 가까운 정치적 통제를 가했다. 셋째, 전후 신문시장 재편에 있어 경제적 통제 요인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일본에서는 용지 확보 경쟁이 신문사 간 시장 경쟁으로 귀결되고 독자 설문조사를 통한 구독 조정을 거치면서 신문 흡수통합이 이뤄진다. 남한은 계급의 재편자로 절대권력을 휘두른 점령당국이 신문사들을 정․폐간시켜 언론계를 직접 재편한 반면 일본에서는 어느 정도 시장의 적자생존 경쟁이 나타난 것도 특기할 만하다. 넷째, 일본에서는 공산당 기관지가 합법적으로 발행되는 등 제한적으로나마 이념적 다양성이 보장되고 특히 지역 신문 시장의 활성화로 지리적 여론 다양성까지 정착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남한은 모든 좌파 정론지의 축출로 단독정부 수립 때는 친미우파 일색의 신문시장으로 재편되었고 특히 중앙집권의 심화 탓에 전국지 일색의 신문시장이 자리 잡아 지리적 여론 다양성을 찾을 수 없게 됐다.

      • ITS 교통관리센터 운영관리 방안

        김승일,김영찬,류승기(Ryu, Seung-Gi)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6 No.-

        현재 국내 각 지자체 및 기관에서 FTMS, RTMS 시스템을 관리 및 운영하는 다수의 교통관리센터를 운영중이나, 그 설비나 물리적인 확장에 비하여 운영조직체계나 관리체계는 각 지자체 또는 기관의 특성에 따라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준공 이후 교통관리전략 개선 및 교통체계 개선 및 연구 등 동시스템을 적극 활용하도록 하는 전문 연구를 위한 인력 및 조직이 미비한 상태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외 교통관리센터 운영 사례를 종합, 장단점을 비교하고 벤치마킹 또는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현재 구축 및 운영중인 국내외 교통관리센터 운영조직을 분석하고 직접관리 분야 및 유지관리용역 분야 등 관리주체의 문제, 운영조직의 적정규모 및 권장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각급 교통관리센터 공통 연구기관 등 교통관리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코자 한다.

      • KCI등재

        고려 14세기 지장시왕도의 도상 연구

        김승일 동악미술사학회 2022 東岳美術史學 Vol.- No.31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unique elements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that appeared in the paintings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in the 14th century of Goryeo Dynasty and how these elements are inherited by later Buddhist paintings. The faith in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was widespread not only in Goryeo but also in China and Japan, especially, in case of Goryeo, besides the inflow of scriptures from China, this reflected the chaotic social aspects of the late Goryeo Dynasty, such as infectious diseases, natural disasters, and Japanese invasion. In this background, the iconography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in the Goryeo Dynasty emerged, this was originated from Chinese paintings from Sichuan or Dunhuang. In particular, the one-width picture form appears in Dunhuang during the Five Dynasties of China, and during the Southern Song Dynasty, a painting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Kings appears on a separate picture in a form of a set. The picture of this set form was considered of enshrining in large scale buddhist temple. On the other hand, Goryeo's image, which originated from Chinese paintings maintains a relatively small scale and only one picture unlike China's. This apparently because it was designed to enshrine it in a small temple for the private use of a hereditary peer, the ruling class of Goryeo. The narrowness of the burial site and the limitation of the canvas influenced the composition of the picture, with most of the pose of deity being expressed as standing figures. In addition, a painting of Ksitigarbha and Ten Kings in Goryeo were added special figures such as the Four Devas, Indra and Brahma, and some of the image were transformed or shared with other Goryeo buddhist painting, leading to the emergence of Goryeo's own unique painting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s in this Goryeo's image, most of them are also inheri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s buddhist painting. Also this is relatively evident in Buddhist paintings produc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refore, from the characteristics and succession patterns of these paintings, the importance of the Ksitigarbha and Ten Kings of Goryeo can be confirmed in that it shows the uniqueness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different from China and clearly confirms the connection with Joseon Buddhist paintings 본 연구는 고려 14세기 지장시왕도의 도상에서 나타나는 고려불화의 독자적인 요소와 이러한 요소들이 이후의 불화들에 어떻게 계승되는지 현존하는 작품들을 토대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장보살과 시왕에 대한 신앙은 고려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널리 성행하였는데, 특히 고려의 지장·시왕신앙은 중국으로부터의 경전 유입 이외에도, 전염병과 자연재해, 왜구의 침입과 같은 고려시대 말기의 혼란스러운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등장한 고려의 지장시왕도상은 사천과 돈황의 사례에서도 보이듯이 중국의 도상을 연원으로 하고 있다. 특히 한 폭으로 구성된 지장시왕도는 중국 오대시기 돈황에서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남송시대에는 지장보살과 시왕을 별도의 화폭에 그려 마치 하나의 세트처럼 구성하는 형식의 그림이 등장한다. 이와 같은 세트구성의 그림은 대규모의 전각에 봉안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에 고려의 지장시왕도는 이와 같은 중국 지장시왕도의 도상을 연원으로 하면서도, 중국과 달리 비교적 소규모의 한 폭 구성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고려의 지장시왕도가 주로 고려사회의 지배층이었던 권문세족 개인 용도의 작은 원당에 봉안할 목적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봉안장소의 협소함과 화폭의 제한은 지장시왕도의 존상들이 대부분 입상으로 표현 되는 등 도상의 구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뿐만 사천왕·제석·범천과 같은 특수한 도상이 추가되고 일부 도상이 변용되거나 다른 고려불화와 공유되는 등, 그 과정에서 고려의 독자적인 지장시왕도의 도상이 나타나기에 이른다. 이러한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의 도상은 비록 세부적인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고묘지(光明寺)본 <지장시왕도>나 고쿠분지(國分寺)본 <지장시왕도>와 같은 조선 전기 지장시왕도에도 대부분 계승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은 홍천 수타사 소장 <지장시왕도>의 사례와 같이 임진왜란 이후 제작된 조선 후기 불화에서도 비교적 잘 나타난다. 이와 같은 도상의 특징과 계승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고려의 지장시왕도는 중국과 다른 고려불화의 독자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불화와도 연결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확인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